KR20080005642A - 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5642A KR20080005642A KR1020060064203A KR20060064203A KR20080005642A KR 20080005642 A KR20080005642 A KR 20080005642A KR 1020060064203 A KR1020060064203 A KR 1020060064203A KR 20060064203 A KR20060064203 A KR 20060064203A KR 20080005642 A KR20080005642 A KR 200800056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layer
- color
- electroluminescent devic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되, 각 층의 발광색이 서로 다른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부, 및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발광부의 발광층 중 어느 한층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전계발광소자, 색 좌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ion)주입 전극(cathode)과 정공(hole)주입 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자발광소자이다.
전계발광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며, 화이트를 포함한 다양한 색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초박막화가 가능하고,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플렉서블(flexible)한 구조가 가능하므로 조명 및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광원(back_light unit)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 및 광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빛의 가색혼합(加色混合)의 원리에 따라 둘 이상의 원색 발광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발광특성이 좋지 않은 발광층이 존재함에 따라 조명 및 광원의 구현시 전계발광소자의 색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명 및 광원을 구현시 색 재현성 또는 재료적 발광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되, 각 층의 발광색이 서로 다른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부, 및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발광부의 발광층 중 어느 한층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제 2 발광부의 발광층은 청색 계열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발광부는 백색 계열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는, 기판의 평면 상에서 상호 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발광부의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제 1 발광부의 발광층 및 제 2 발광부의 발광층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는 1:1, 1:N 중 어느 하나의 개수 비율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는 1:1, 1:N, N:1, N:N 중 어느 하나의 개수 비율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 1 발광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발광층이 구현하는 색은 적색, 녹색, 청색(R, G, B)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1 발광부는 제 2 발광부의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발광층이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및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층과, 제 1 발광층과 다른 색을 발광하며 제 1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 2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제 1 발광층은 청색 계열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색은 백색 계열일 수 있다.
발광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발광층이 구현하는 색은 적색, 녹색, 청색(R, G, B)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은 1:1, 1:N, N:1, N:N 중 어느 하나의 개수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발광층은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정공과 전자를 공급하는 두 개의 전극이 형성되며, 두 개의 전극 사이에는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 부가 형성된다.
이하, 두 개의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제 1 발광부 및 제 2 발광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 픽셀로 구분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둘 이상의 발광층(B1,B2,R1,R2)을 포함하는 제 1 발광부(100)가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발광부(100)의 발광층(B1,B2,R1,R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B3)을 포함하는 제 2 발광부(110)가 형성된다.
이상, 제 1 발광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층구조에 의해 제 1-1발광부(B1,R1)와 제 1-2발광부(B2,R2)로 구분되어 상호 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 1 발광부(100)가 제 1-1발광부(B1,R1)와 제 1-2발광부(B2,R2)로 나뉘어 적층되어 있지만 이들은 하나의 발광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발광부(110)는 제 1 발광부(100)와 상호 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광부(100, 110)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발광부(100)에 있어서, 제 1-1발광부(B1,R1)와 제 1-2발광부(B2,R2)의 발광층 중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기준으로 제1 발광층(B1,B2)과 제2발광층(R1,R2)을 구분 정의한다. 또한, 제1발광층(B1,B2)은 청색 계열의 색을 발광하며, 제2발광층(R1,R2)은 적색 계열의 색을 발광한다고 가정한다.
위와 같은 가정에 의하면, 제 1 발광부(100)의 제1발광층(B1,B2)과 제2발광층(R1,R2)은 가색혼합법의 원리에 의해 백색 계열의 광을 구현할 수 있고, 제 2 발광부(B3)는 청색 계열의 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발광부(B3)는 제 1 발광부(B1,B2,R1,R2)의 발광층 중 제1발광층(B1,B2)의 발광 특성 등을 보완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기판(200)의 평면상에서 설명하면, 제 1 발광부(100)는 백색 발광영역(W1,W2)으로 제 2 발광부(110)는 청색 발광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발광부(100)와 제 2 발광부의 개수비가 2:1 인 경우로 도시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발광부의 개수 비율 및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발광부(100)와 제 2 발광부(110)는 1:1, 1:N, N:1, N:N 중 어느 하나의 개수 비율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300) 상에는 다수의 백색 발광부(W)가 소정간격 이격 되어 패터닝된다. 또한, 백색 발광부(W)의 사이 사이에는 백색 발광부(W)의 폭의 1/2 크기의 폭을 갖는 청색 발광부(B)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 발광부(W)와 청색 발광부(B)의 개수 비율은 1: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각각의 발광부가 구현하는 색을 백색과 청색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각각의 발광부가 구현하는 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400) 상에는 다수의 백색 발광부(W)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패터닝된다. 또한, 정방형 패턴으로 상호 간 근접한 4개의 백색 발광부(W)의 위치가 원점 대칭이 되는 기준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청색 발광부(B)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 발광부(W)와 청색 발광부(B)의 개수 비율은 4:1이 될 수도 있다.
이상, 각각의 발광부가 구현하는 색을 백색과 청색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각각의 발광부가 구현하는 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들은 각각의 발광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 맞게 발광부의 폭과 개수 비율을 다양하게 패터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그에 따른 변형 실시예들에서는 전계발광소자의 제 2 발광부(110)가 제 1 발광부(100)에서 구현하는 백색광에 대하 여 청색 발광 특성을 보완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소자가 구현할 수 있는 광은 백색광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완할 수 있는 발광 특성 또한, 청색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과 휘도 등을 포함하는 발광 특성에 맞춰 보완하고자 하는 계열의 색을 구현하도록 제 2 발광부(110)를 형성함으로써 목적에 맞게 발광 특성을 보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와 달리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가 인접하여 하나의 단위픽셀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세 개 이상의 발광층(B1,B2,G1,G2,R1,R2)을 포함하는 제 1 발광부(500)가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발광부(500)의 발광층(B1,B2,G1,G2,R1,R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B3)만을 포함하는 제 2 발광부(510)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세 개의 서로 다른 색의 발광층이 적층 형성되어 상호 보완하므로 예를 들어, 제 1 발광부(500)가 백색 계열의 광을 구현할 때 더욱 선명히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발광부(500, 510)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개의 전극 중 어느 한쪽과 인접한 영역에서 발광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발광부(500)의 발광층(B1,B2,G1,G2,R1,R2) 중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제1발광층(B1,B2), 제2발광층(G1,G2), 제3발광층(R1,R2)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발광층(B1,B2)은 청색 계열의 색을 발광하며, 제2발광층(G1,G2)은 녹색 계열의 색을 발광하고, 제3발광층(R1,R2)은 적색 계열의 색을 발광한다고 가정한다.
위와 같은 가정에 의하면, 제 1 발광부(500)의 제1발광층(B1,B2), 제2발광층(G1,G2) 및 제3발광층(R1,R2)은 가색혼합법의 원리에 의해 백색 계열의 광을 구현할 수 있고, 제 2 발광부(510)는 청색 계열의 광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발광부(510)는 제 1 발광부(500)의 발광층(B1,B2,G1,G2,R1,R2) 중 제1발광층(B1,B2)의 발광 특성 등을 보완할 수 있는 발광부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1 발광부(500)와 제 2 발광부(510)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발광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기판(600)의 평면상에서 설명하면, 제 1 발광부(도 5의 500)는 백색 발광영역(W1,W2)으로 제 2 발광부(510)는 청 색 발광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전계발광소자의 제 2 발광부(510)가 제 1 발광부(500)에서 구현하는 백색광에 대하여 청색 발광 특성을 보완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소자가 구현할 수 있는 광은 백색광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완할 수 있는 발광 특성 또한, 청색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과 휘도 등을 포함하는 발광 특성에 맞춰 보완하고자 하는 계열의 색을 구현하도록 제 2 발광부(110)를 형성함으로써 목적에 맞게 발광 특성을 보완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와는 달리 하나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각 발광층의 면적이 다르게 패터닝된 단위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단위픽셀의 색 구현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층(B1)과, 제 1 발광층(B1)과 다른 색을 발광하며 제 1 발광층(B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 2 발광층(R1)을 포함하는 발광부 가 형성된다.
이하, 제 1 발광층(B1)은 청색 계열의 색을 발광하며, 제 2 발광층(R1)은 적색 계열의 색을 발광한다고 가정한다.
위와 같은 가정에 의하면, 제 1 발광층(B1)과 제 2 발광층(R1)이 겹치는 발광영역(W)은 가색혼합법의 원리에 의해 백색 계열의 광을 형성할 수 있고, 제 2 발광층(R1)의 외부로 노출된 제 1 발광층(B1)의 발광영역(B)은 청색 계열의 광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를 도 8을 참조하여 기판(800)의 평면상에서 설명하면, 제 1 발광층(B1)과 제 2 발광층(R1)이 겹치는 발광영역은 백색 발광영역(W)으로 구분되고, 제 1 발광층(B1)의 노출된 영역은 청색 발광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의 단위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반전시킨 것으로 제 1 발광층(R1)의 면적을 작게 형성하고, 제 1 발광층(R1) 상에 형성되는 제 2 발광층(B1)의 면적을 넓게 형성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들은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과 휘도 등을 포함하는 발광 특성에 맞게 각각의 보완하고자 하는 특정 발광층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보완하고자 하는 계열의 색을 보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그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이 경우에 따라, 보완이 필요한 발광층을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도록 적층하여 발광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면은 예를 들어 하부 발광형 전계발광소자의 경우, 투명 기판의 일 측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전계발광소자에 포함된 발광층의 발광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층의 상하 적층구조 측면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계발광소자에 포함된 각 발광부 간에 상호 보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청색의 색 좌표는 X 색 좌표가 0.13 ~ 0.18의 범위이고, Y 색 좌표가 0.08 ~ 0.25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적색의 색 좌표는 X 색 좌표가 0.65 ~ 0.70의 범위이고, Y 색 좌표가 0.34 ~ 0.40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녹색의 색 좌표는 X 색 좌표가 0.25 ~ 0.33의 범위이고, Y 색 좌표가 0.63 ~ 0.70의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백색의 색 좌표는 CIE chromaticity (0.33, 0.33)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X 색 좌표가 0.31 ~ 0.34의 범위이고, Y 색 좌표가 0.32 ~ 0.35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청색과 적색의 조합 또는 청색, 녹색, 적색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백색 구현을 위한 색 조합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카이 블루 와 오렌지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색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둘 또는 세층의 발광층이 적층된 것으로 도시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발광층의 적층 구조는 3층 이상이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픽셀 또는 서브픽셀에 포함되는 발광부의 패턴은 각 실시예에 따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패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발광부의 크기 및 비율 등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두 층 또는 세 층의 발광층들의 스택(Stack)구조로 형성된 각각의 백색 발광부가 백색을 구현하는 것으로 도시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백색을 구현하기 위한 발광부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부의 구조는 자체로 백색을 구현하는 백색 발광부가 없이 인접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백색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계발광소자는 경우에 따라, 보완이 필요한 발광층을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도록 적층하여 발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면은 예를 들어 하부 발광형 전계발광소자의 경우, 투명 기판의 일 측면일 수 있다. 또한, 보완하려는 발광층은 발광특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에 형광재료, 인광재료 중 어느 하나 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층은 유기물, 무기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명 및 광원을 구현시 발광층의 색 재현성 또는 재료적 발광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 기판;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되, 각 층의 발광색이 서로 다른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부 및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발광부의 발광층 중 어느 한층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발광부의 발광층은 청색 계열의 색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는 백색 계열의 색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는,상기 기판의 평면 상에서 상호 간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발광부의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제 1 발광부의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부의 발광층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는 1:1, 1:N 중 어느 하나의 개수 비율로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는 1:1, 1:N, N:1, N:N 중 어느 하나의 개수 비율로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발광층이 구현하는 색은 적색, 녹색, 청색(R, G, B)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부는 상기 제 2 발광부의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발광층이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 기판;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및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1 발광층과 다른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 1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제 2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층은 청색 계열의 색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색은 백색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발광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발광층이 구현하는 색은 적색, 녹색, 청색(R, G, B)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은 1:1, 1:N, N:1, N:N 중 어느 하나의 개수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발광층은 디스플레이 면과 가장 근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소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4203A KR20080005642A (ko) | 2006-07-10 | 2006-07-10 | 전계발광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4203A KR20080005642A (ko) | 2006-07-10 | 2006-07-10 | 전계발광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5642A true KR20080005642A (ko) | 2008-01-15 |
Family
ID=3921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4203A Abandoned KR20080005642A (ko) | 2006-07-10 | 2006-07-10 | 전계발광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564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10683B2 (en) | 2008-12-02 | 2013-04-0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50137280A (ko) * | 2014-05-29 | 2015-12-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WO2021060878A1 (ko) * | 2019-09-27 | 2021-04-01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용 발광 소자 및 그것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
-
2006
- 2006-07-10 KR KR1020060064203A patent/KR20080005642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10683B2 (en) | 2008-12-02 | 2013-04-0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50137280A (ko) * | 2014-05-29 | 2015-12-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WO2021060878A1 (ko) * | 2019-09-27 | 2021-04-01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용 발광 소자 및 그것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
US11798974B2 (en) | 2019-09-27 | 2023-10-24 | Seoul Viosys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80031B (zh) | 顏色轉換層、有機電致發光顯示面板及液晶顯示面板 | |
KR101073540B1 (ko) | 유기 발광 장치 | |
JP6218548B2 (ja) | 有機発光表示装置 | |
US8946735B2 (en) | Pixel structure of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 |
US10872929B2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display device | |
KR10182643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20160358979A1 (en) | Oled uni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US20160064683A1 (en) | Display device | |
CN107240601A (zh) | 像素阵列及其制造方法 | |
CN111276619B (zh) | 有机发光显示设备 | |
CN110634909A (zh) |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CN105355644B (zh) | 一种像素单元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
US10930711B2 (en) |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 |
CN115274783A (zh) | 阵列基板、显示面板以及掩膜结构 | |
CN105097876B (zh) | 有机发光二极管oled显示器件和装置 | |
KR20080005642A (ko) | 전계발광소자 | |
KR20000073118A (ko) |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 |
KR100963135B1 (ko) | 표시장치 | |
US8183767B2 (en) | Display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20070008071A (ko) |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 |
US9627446B2 (en) | Display device | |
KR20100068123A (ko) |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2 | |
KR10172916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9411626B (zh) | 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照明装置 | |
CN100461489C (zh) | 有机发光二极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