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305A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4305A KR20080004305A KR1020060063141A KR20060063141A KR20080004305A KR 20080004305 A KR20080004305 A KR 20080004305A KR 1020060063141 A KR1020060063141 A KR 1020060063141A KR 20060063141 A KR20060063141 A KR 20060063141A KR 20080004305 A KR20080004305 A KR 200800043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gate
- memory cells
- film
- gate patter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의 높이, 플로팅 게이트 간의 거리에 따른 인터퍼런스와 커플링 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ference ratio and a coupling ratio according to a height of a floating gate and a distance between floating gates of a flash memory device.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3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device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반도체 기판 101 : 터널 산화막100
102 :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103 : 유전체막102 conductive film for
104 :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 105 : 하드마스크층104: conductive film for control gate 105: hard mask layer
106 : 절연막 107 : GAP층106: insulating film 107: GAP layer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팅 게이트 간의 인터퍼런스를 감소시키고 커플링 비를 증가시키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that reduces the interference between floating gates and increases the coupling ratio.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셀이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스트링을 구성하며, 셀 스트링과 드레인 및 셀 스트링과 소오스 사이에 각각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 선택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이러한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은 반도체 기판상의 소정 영역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 유전체막 및 콘트롤 게이트가 적층된 게이트를 형성하고, 게이트 양측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In a NAND type flash memory device, a plurality of cells for storing data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string, and a drain select transistor and a source select transistor are formed between the cell string and the drain and the cell string and the source, respectively. A cell of such a NAND flash memory device is formed by forming a gate in which a tunnel oxide film, a floating gate, a dielectric film, and a control gate are stack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junctions on both sides of the gate.
이러한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셀의 상태가 인접한 주변 셀의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셀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접한 주변 셀의 동작, 특히 프로그램 동작으로 인해 셀의 상태가 변하게 되는 것을 인터퍼런스 효과(interference effect)라 한다. 즉, 인터퍼런스 효과란 독출하려는 제 1 셀과 인접한 제 2 셀을 프로그램하게 되면 제 2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차지 변화로 인한 캐패시턴스 작용으로 인해 제 1 셀의 독출시 제 1 셀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문턱 전압이 독출되는 현상을 일컫는 것으로, 독출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차지는 변화하지 않지만, 인접 셀의 상태 변화에 의해 실제 셀의 상태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러한 인터퍼런스 효과로 인해 셀의 상태가 변하게 되며, 이는 불량율을 증가시켜 수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인 터퍼런스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 셀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In such a NAND flash memory devic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cell state constant because the state of the cell is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adjacent neighboring cells.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cell due to the operation of adjacent neighboring cells, in particular the program operation, is called an interference effect. That is, the interference effect means that when the second cell adjacent to the first cell to be read is programmed,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cell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cell when the first cell is read due to the capacitance action caused by the charge change of the floating gate of the second cell. Thi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threshold voltage is read, and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state of the actual cell is distorted by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adjacent cell, although the charge of the floating gate of the read cell does not change. This interference effect causes the state of the cell to change,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defective rate resulting in a lower yield. Therefore, minimizing the interference effect can be said to be effective to keep the state of the cell constant.
한편, 일반적인 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SA-STI(Self 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이용하여 소자 분리막 및 플로팅 게이트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그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part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and the floating gate are formed by using a self-aligned shallow trench isolation (SA-STI) process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general NAND flash memory device. Referring to FIG. Is the same as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터널 산화막(11) 및 제 1 폴리실리콘막(12)을 형성한 후 제 1 폴리실리콘막(12) 및 터널 산화막(11)의 소정 영역을 식각하고, 반도체 기판(10)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절연막을 매립하고 연마 공정을 실시하여 소자 분리막(13)을 형성한다. 이후 제2 폴리 실리콘막(14)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12, 14)를 형성한다. 플로팅 게이트(12, 14) 상부에 유전체막(15), 및 콘트롤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막(16)을 형성한다.After the
상기와 같이 SA-STI 공정을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조하게 되면 플로팅 게이트로 작용되는 제 1 폴리실리콘막(12)과 인접한 제 1 폴리실리콘막(12) 사이에 소자 분리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폴리실리콘막(12)들 사이에 인터퍼런스(interference)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flash memory device is manufactured using the SA-STI proces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vice isolation layer is formed between the
도 2는 플로팅 게이트간의 높이 및 거리에 따른 인터퍼런스 효과와 커플링 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interference effect and the coupling ratio according to the height and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gates.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간 인터퍼런스는 플로팅 게이트간의 거리와 플로팅 게이트의 높이에 비례한다. 즉, 플로팅 게이트 간의 거리가 멀고, 플로팅 게이트의 높이가 감소하면 인터퍼런스는 감소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플로팅 게이트의 높이가 감소하면 플로팅 게이트와 콘트롤 게이트의 계면 면적이 감소하여 커플링 비(coupling ratio)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2, the gate-to-gate interface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gates and the height of the floating gates.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gates is far and the height of the floating gate decreases, the interference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height of the floating gate is decreased, the interface area betwee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is decreased, thereby reducing the coupling rati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이트 패턴 사이의 영역이 절연막으로 완전히 매립되지 않도록 한 후, 게이트 패턴 사이의 영역을 전도성 물질로 완전히 매립하고, 전도성 물질에 접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셀간 인터퍼런스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rea between the gate pattern is completely filled with an insulating film, and then completely fill the area between the gate pattern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the inter-cell interference effect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that can reduce th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월 형성 이온 주입 공정과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한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다수의 메모리 셀의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메모리 셀의 게이트 패턴들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메모리 셀의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매립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전도성 물질인 GAP층을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메모리 셀의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매립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GAP층에 접지 전압이 인가되도록 콘택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erforming a wall forming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n ion implantation process for adjusting a threshold voltage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gates of memory cells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patterns, form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gat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memory cells,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gat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memory cells so as not to completely fill the space; Forming a GAP layer, which is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wherein the spaces between gate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memory cells are completely filled; and contacting and metal wiring to apply a ground voltage to the GAP layer. Forming a ste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3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device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월 형성 이온 주입 공정과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한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한다.Referring to FIG. 3, a wall forming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n ion implantation process for adjusting the threshold voltage are performed on the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터널 산화막(101),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2), 유전체막(103),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04), 하드마스크층(10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2)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04)은 폴리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막(103)은 제1 산화막, 질화막, 제2 산화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ONO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하드마스크층을 식각하여 하드마스크 패턴(105)을 형성하고, 하드마스크 패턴(105)을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04), 유전체막(103),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2), 및 터널 산화막(101)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패턴은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메모리 셀 게이트 패턴과, 소스 및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소스 및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 게이트 패턴이 동시에 형성 된다.Referring to FIG. 5, a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 패턴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절연막(106)을 형성한다. 이때 절연막(106)은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매립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막(106)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막(106)은 산화막과 질화막의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06)을 형성하는 공정은 산화막과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주변 회로(미도시)의 콘택 부위에 증착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건식 식각 공정 이후에 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질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게이트 패턴 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산화막의 두께는 10Å~ 10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화막의 두께는 10Å~ 10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6, an
도 7을 참조하면, 절연막(106)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GAP층(Ground Assistance Plate; 107)을 형성한다. GAP층(107)은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빈 공간이 완전히 매립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AP층(107)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AP층(107) 대신 불순물이 주입되어 있는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하여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빈 공간이 완전히 매립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GAP층(107) 대신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결정 실리콘과 금속층을 복합층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GAP layer (Ground Assistance Plate) 107 is formed on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그 후, 도면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진 공정과 식각 공정을 통해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된 GAP층(107)을 제거한다. 이후 콘택 형성 및 금속 배선 형성 공정을 통해 GAP층(107)에 접지 전압(0V)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GAP층(107)은 셀의 정션과 접합되지 않고 일정 두께의 절연막을 층으로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AP층(107)은 접지 전압이 인가되도록 스트링(string)의 공통 소스 라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GAP층(107)에 의해 메모리 셀 게이트는 인접한 메모리 셀 게이트와의 전기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접 셀간의 인터퍼런스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reaf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독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reading a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다수의 메모리 셀 중 독출하려는 선택된 메모리 셀의 게이트에는 독출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상태에 따라 채널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비 선택된 메모리 셀의 게이트에는 패싱 전압이 인가되어 비 선택된 메모리 셀은 모두 채널이 형성된다. 또한, 소스 및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어 턴온된다.A read voltage is applied to a gate of a selected memory cell to be read among the plurality of memory cells. As a result, a channel may or may not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ogram state of the selected memory cell. At this time, a pass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s of the unselected memory cells, so that channels are formed in all of the unselected memory cells. In addition, a power supply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gates of the source and drain select transistors to be turned on.
상기 독출 동작시 다수의 메모리 셀 간의 공간과 메모리 셀과 소스 또는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 사이의 공간에 접지 전압과 연결된 GAP층에 의해 양 셀간의 캐패시턴스가 차단된다. 따라서, 독출 동작시 인터퍼런스 효과를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소거 동작 및 프로그램 동작시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the read operation, capacitance between both cells is blocked by a GAP layer connected to a ground voltage in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memory cells and a space between a memory cell and a source or drain select transistor. Therefore, the interference effect can be blocked during the read operation. This has the same effect in the erase operation and the program operation.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게이트 패턴 사이의 영역이 절연막으로 완전히 매립되지 않도록 한 후, 게이트 패턴 사이의 영역을 전도성 물질로 완전히 매립하고, 전도성 물질에 접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플로팅 게이트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차단하여 셀간 인터퍼런스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gions between the gate patterns are not completely filled with the insulating layer, the regions between the gate patterns are completely filled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As a result,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cells may be reduced by blocking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loating gates.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3141A KR20080004305A (en) | 2006-07-05 | 2006-07-05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3141A KR20080004305A (en) | 2006-07-05 | 2006-07-05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4305A true KR20080004305A (en) | 2008-01-09 |
Family
ID=3921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3141A Withdrawn KR20080004305A (en) | 2006-07-05 | 2006-07-05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430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69142A1 (en) * | 2010-01-11 | 2011-07-14 | Hynix Semiconductor Inc.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06
- 2006-07-05 KR KR1020060063141A patent/KR2008000430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69142A1 (en) * | 2010-01-11 | 2011-07-14 | Hynix Semiconductor Inc.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8598677B2 (en) | 2010-01-11 | 2013-12-03 | Hynix Semiconductor Inc |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etal lin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41570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single-layered gat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89477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7553725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
TW201611247A (en) | Improved scale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using enhanced lateral control gate to floating gate coupling | |
KR101022666B1 (en) |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3999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KR10087033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JP2011100946A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KR20080067442A (en) | How to Form a Flash Memory Device | |
KR10077180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KR101510481B1 (en) |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US7611946B2 (en) | Method of fabricat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 |
US8476694B2 (en) | Memory cel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ory cell | |
KR20080004305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 |
KR10072376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KR20080039098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AND Flash Memory Device | |
KR2008006115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KR100732391B1 (en) | Manufacturing and Operation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958627B1 (en) | Flash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93147B1 (en) | Gate pattern of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20060099157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
KR20080039095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AND Flash Memory Device | |
KR100661230B1 (en) | Flash memo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99860B1 (en) | Flash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0277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lash Memo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