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250U - 라면조리기 - Google Patents
라면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0250U KR20080000250U KR2020080001867U KR20080001867U KR20080000250U KR 20080000250 U KR20080000250 U KR 20080000250U KR 2020080001867 U KR2020080001867 U KR 2020080001867U KR 20080001867 U KR20080001867 U KR 20080001867U KR 20080000250 U KR20080000250 U KR 2008000025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men
- container
- water
- hot water
- coo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라면조리기는 물공급을 위한 물통; 히터를 부착하고 고온의 물을 보관하는 열수통;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고온의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 라면 용기를 받치는 받침대; 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 라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판; 라면용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 보조받침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인 철판가공물을 부착하여 교체하거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외장구조; 라면 조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라면 조리 과정을 선택하는 버튼; 및 라면 조리를 제어하는 전자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라면조리기
Description
본 고안은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와 그 보조받침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하고,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인 철판가공물을 부착하고, 라면조리기에서 라면용기를 사용하여 일반라면을 조리하는 것과 함께 컵라면을 위한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라면은 물을 공급하고 가열하여야 식음할 수 있는 음식이고, 라면조리기는 간편하게 라면을 조리하여 식음할 수 있도록 한다. 라면조리기에 대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318063호, 제100325418호, 제100580150호, 또는 제100752977호가 있으며 이들 기술은 라면조리에 필요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라면조리에 있어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요소가 부족하다.
라면조리기의 라면용기를 가열하여 조리한 후, 다음 라면을 연속하여 조리하는 경우에 있어 가열판의 잔열이 80도 이하로 내려가야 안전하나 보통은 200도 전후의 고온인 상태에서 연속하여 다음 라면조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다음 라면을 용기에 담아 연속하여 가열판에 올리면 라면조리의 선택과정으로 수 초 후에 물이 내려오게 된다. 그 수 초 동안 음식물은 가열되어 발화하거나 재로 변할 수 있고, 이러한 생태로 물이 투입이 되고 계속적으로 가열되어 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비위생적인 라면조리을 하게 되고 이러한 사실은 모르는 상태에서 식음한다. 이것 을 해결하고자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라면용기에 물이 투입된 후에 가열판에 올려져야만 하는 것인데 이를 자동적으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라면용기를 가열판에서 분리하는 수단으로 보조받침대가 필요하고, 가열판의 작동에 있어서 라면용기에 물이 공급된 후에 가열하도록 보조받침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필요한다.
라면조리기는 외관이 찌그러지거나 음식 조리시의 염분이 많은 국물이 조리기의 내부를 부식시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는 조리기의 외장구조는 라면조리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데 편리한 것이다.
라면조리기는 일반라면을 조리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컵라면은 가열에 의한 조리과정을 생략되고 온수만을 공급하면 일정시간 후 식음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치를 포함하여 다양한 라면조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이 없는 상태의 라면용기을 가열판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를 포함하고, 보조받침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부착하여 라면용기에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한 후 가열판을 작동하도록 하고, 라면조리기의 외관을 교체하거나 변경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의 철판가공물을 부착할 수 있고, 라면조리기에서 라면용기를 사용하여 일반라면을 조리하는 것과 함께 컵라면을 위한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라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
본 고안에 따른 라면조리기는 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를 포함하고 있어 물이 없는 상태의 라면용기를 가열판에서 분리하도록 하여 조리후의 가열판 잔열에 의한 라면용기의 내용물이 가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조받침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부착하여 라면용기에 일정한 양을 물을 공급한 후 가열판을 작동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라면조리를 할 수 있고,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의 철판가공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조리기의 외관을 교체하거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라면조리기에서 라면용기를 사용하여 일반라면을 조리하는 것과 함께 컵라면을 위한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여 다양한 라면조리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라면조리기에 부착되어 있는 동전투입기(201)에 동전을 투입하면 전면부 작동판의 FND(Flexible Numeric Display)(202 및 204)에 100원 단위로 누적되어 표시되며, 미리 설정한 금액을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FND(202)가 깜빡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라면조리과정을 선택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려주고, 사용자는 라면조리과정을 버튼(203)으로 선택한다. 사용자가 라면용기를 받침대에 올려 놓으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전자회로기판(505)의 마이크로칩(504)은 라면조리과정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일반 라면을 조리하는 과정은 3분 30초(203-1)와 3분 55초(203-2)로 두가지 버튼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였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면 열수통에 부착된 솔레노이드 벨브(405)에 의하여 노즐(406)을 따라 라면용기에 온수가 공급된다. 물 공급은 버튼작동 후 20초 동안 공급하는 것이 450cc를 채우는 시간으로 적당하며 설치 시 조절되어 늘 변화 없이 일정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물이 용기에 공급되어 200cc정도에 이르면 라면, 용기 및 온수까지 포함한 중량에 의하여 보조받침대가 작동하여 가열판(103)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또 물의 양은 자판기를 설치 시 충분한 조절을 하여 너무 싱겁거나 혹은 짠 상태에서 따로 추가버튼에 의해서 임의로 조절되는 일이 없어야 하는 것이 라면조리에 유리하다.
라면조리기의 조리 후에 남아있는 가열판(103)의 고온의 잔열이 다음의 라면조리의 내용물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위생적인 문제를 본 자판기는 이중 받침대(101)를 만들어 개선하였다.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여 누르면 물이 용기에 공급 되고 물의 중량이 보조받침대의 스프링(102)을 작동하여 가열판(103)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라면조리후의 가열판 잔열에 의한 다음 라면조리에 발생하는 심각한 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 이다.
받침대(105)와 가열 판 중간에 보조 받침대(101)를 만들어 이것을 스프링(102)에 의한 중력 변화로 450cc 물 중 절반인 200cc의 물량에 의해 가열 판에 접촉 하도록 하고 이후 450cc가 차면 완전한 중력에 의해 가열판(103)을 눌려져서 용기를 가열하는데 전혀 지장 없이 이루어져 종료시까지 완전한 가열을 이루도록 하였다. 200cc까지 물이 차는 시점인 8초 정도 부터는 용기가 가열판(103)에 접촉했다는 감지하는 마이크로센서(104)가 작동하여 전자회로기판(505)의 마이크로칩(504)에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순간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이 시작되다.
이 보조받침대(101)는 평상시에 가열 히터에 사람들의 접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므로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도록 하였다. FND(202)에는 3분 30초를 선택하여 작동 시 3분 29초. 3분 28초 순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들이 남은 시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보통 라면 을 제조하는 회사는 5분 정도를 끓이도록 권고 하는데 이 시간은 완전히 익어 퍼진 시간이며 보통 젊은 세대는 3분 30초면 아삭 거릴 정도의 익은 라면이 되고, 3분 55초이면 완전히 익은 라면이 된다. 가열시간은 시작부터 종료되기 10초 전에 전자회로기판(505)의 마이크로칩(504)은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금속으로된 가열판(103) 자체적으로 비축하고 있는 열을 발산하여 라면조리의 종료 시에 있어 가열판의 잔열을 빨리 방출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전을 기하도록 하였다.
가열은 열선을 내장하고 있는 가열판에 의한다. 보조받침대가 가열판에 접촉하면 받침대(101)에 부착된 마이크로센서(104)가 감지하고 전자회로기판의 마이크로칩(504)은 신호를 받아 가열판(103)에 전기공급을 시작한다. 이때 용기를 제거하면 마이크로 센서(104)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회로기판의 마이크로 칩(504)에서 적절한 조치로 가열판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였다.
라면조리기는 물과 전기가 동시에 공급되고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제품으로 안전성을 보다 중요시하여 누전차단기(502)를 장착하였다. 누전차단기는 라면조리기의 관리자가 안전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장착하여 열쇠(503)로 문을 열고 안전을 확인 후 작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단기는 Q 마크를 획득한 누전 차단기(502)를 설치하는 것이 관리자 및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필수 요소이다. 또한 별도로 외부에 노출된 일반 스위치(506)를 부착하여 문제 발생시 관리자나 이용자가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조 가격을 낮출 목적으로 온수통 만 내장한 제품과 달리 보조통(402)을 설치하여, 보조통(402)에서 열수통(404)으로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충분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였다. 특히, 물은 시중에 판매되는 인증된 안전한 정수 필터(401)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보조통(402)에 공급하도록 하였다. 정수 필터(401)의 교환 주기는 정수필터(401) 안전사용 표시에 되어 있으며 보통 3000L 에서 6000L 로 라면 1개에 0.5L로 계산하여 교환해야 하며 교환이 편리하도록 자판기 후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관리자의 편의를 위하여 적당하겠다. 보조통(402)에 필터를 통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방법은 부력을 이용한 볼탑(403)을 이용하여 볼이 부력에 의하여 올라가면 차단되고 내려가면 다시 물을 공급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보조통(402)에 대한 수위감지장치(407)를 부착하여 물이 부족한 것을 감지하면 5분 동안 대기하다가 물없음에 대한 신호를 전자회로기판(505)의 마이크로칩(504)에 보내 동전투입기(201)을 정지시켜 동전을 투입하더라도 곧 바로 반환하도록 하고, 관리자가 단수로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리도록 하고, 신속히 추가적인 물을 공급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열수통(404) 전원과 모든 주변 장치에 전자회로기판의 마이크로칩은 신호를 보내 필요한 작동 및 불 필요한 작동을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은 필수적이어야 한다. 열수통(404)은 전혀 부식의 변화가 없는 27종의 안전한 stainless steel 통과 가열 히터(408)까지도 같은 재질을 사용하였으며 물의 온도는 최고 96도까지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온수통의 가열히터(408)는 전자회로기판의 마이크로 칩이 정해준 값에 의해서 작동되므로 늘 96도에 도달 할 때까지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온도 감지센서(409)는 열수통(404)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통에 단순히 부착할 경우 온수의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감지센서(409)는 열수통(404)의 재질과 같은 관을 이용하여 열수통(404) 깊숙한 곳까지 넣어져 있어서 하며, 물의 온도가 정확히 측정이 되어 96도에 도달하여 유지되어 물속의 미생물 번식을 멈추도록 하여야 한다. 전자회로기판(505)의 마이크로칩(504)에 연결된 온도감지센서(409)의 온도 표시는 외부에서 늘 확인하도록 하였다.
열수통에 연결된 호스가 막히거나 온도 감지기(409)의 고장으로 물이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가열이 이루어질 경우 온수통(404)은 과열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통 측면에 120도가 도달하면 전원이 차단되는 바이메탈 전원 차단기(507)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자판기를 점검한 후 작동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이중으로 안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이중안전장치는 다음과 같다. 동전을 투입하였어도 라면용기를 감지하는 센서장치(301)가 작동되지 않으면 라면조리의 선택 버튼(203-1 203-2 205)이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안전 장치는 라면 가열판(103) 2곳(104)과 컵 라면 용기감지장치(302) 모두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라면용기를 적절하게 준비되지 않은 상 태에서 작동하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장치로 적용된 것이다.
조리기의 외관은 A/S가 편리하도록 하여 어느부분이 찌그러지거나 음식 조리시 국물등이 부식을 가져와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있어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방법은 조리기 전면 좌 우에 알루미늄 프로파일(601)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기둥에 절곡된 철판을 부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면을 자유 자제로 변경 가능하며 알루미늄 프로파일(601)을 이용하여 전면에 문을 만들어 문안에 마이크로칩(504)이 내장된 전자회로기판(505)을 내장하여 각 부품과 연결된 상태 등을 점검하기 편하도록 하는 자판기 형태이다.
본고안은 컵라면과 일반 라면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고안이다. 컵라면을 요리하도록 가열판을 생략하고 온수만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편의점등에서 생수는 판매를 하면서 온수는 무상으로 제공하게 되어 서로가 불합리한 관계였지만 온수도 판매하여 합리적인 운영을 하도록하여 커다란 변화가 되도록 한 라면조리기이다. 조리나 온수를 무상으로 공급하는 것을 판매하는 자판기로 만들어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도록 하였다. 특히 이전에는 단순히 물을 공급하고 가열하는 라면조리기를 무상으로 사용하는 것에서 유료로 사용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라 하겠다.
시중에 유통되는 컵 라면를 편의점등에서 판매할 시 미리 정해진 금액에 맞추어 동전을 투입하면 20초 동안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부주의로 온수공급을 누르더라도 작동이 되지 않도록하여 온수에 의한 화상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동전투입기에 동전을 투입하면 FND(Flexible Numeric Display)에 100원단위로 표시되고, 사전에 정하여진 금액까지 도달하면 FND가 깜빡이면서 사용자가 작동하라는 표시를 해준다. 우선 컵 라면의 윗부분을 개봉하여 라면조리기에 있는 용기감지센서(302)가 있는 받침대에 올리고 버튼(205)을 누르면 온수가 공급되며 적당한 양의 물이 공급받은 후 버튼(205)을 놓아 사용을 종료 하면 된다.
이러한 고안은 처음부터 끝까지 위생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고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동조리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받침대, 가열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동조리기의 외장을 교체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 과정을 흐름도로 표시한 것이다.
Claims (4)
- 라면조리기는물공급을 위한 물통;히터를 부착하고 고온의 물을 보관하는 열수통;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고온의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라면 용기를 받치는 받침대;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라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판;라면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부;보조받침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인 철판가공물을 부착하여 교체하거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외장구조;라면 조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라면 조리 과정을 선택하는 버튼; 및라면 조리를 제어하는 전자회로기판을 포함하고상기에서 물이 없는 상태의 라면용기을 가열판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동조리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프링을 부착하고 라면용기의 물의 중량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받침대를 감지하여 가열판을 작동하도록 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라면조리기의 외관을 교체하거나 변경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지대에 전면부 및 측면부인 철판가공물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라면조리기에서 라면용기를 사용하여 일반라면을 조리하는 것과 함께 컵라면을 위한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동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867U KR20080000250U (ko) | 2008-02-12 | 2008-02-12 | 라면조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867U KR20080000250U (ko) | 2008-02-12 | 2008-02-12 | 라면조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0250U true KR20080000250U (ko) | 2008-03-03 |
Family
ID=4132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1867U Ceased KR20080000250U (ko) | 2008-02-12 | 2008-02-12 | 라면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0250U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039B1 (ko) | 2016-03-18 | 2017-03-09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KR101710036B1 (ko) | 2016-03-18 | 2017-03-09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EP3289934A1 (en) * | 2016-08-30 | 2018-03-07 | Bumil Industrial Co. Ltd. |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
KR20180088304A (ko) | 2017-01-25 | 2018-08-03 | 박한 |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
CN111096069A (zh) * | 2017-09-20 | 2020-05-01 | 凡一产业株式会社 | 具有净水功能的多功能食物烹饪机 |
-
2008
- 2008-02-12 KR KR2020080001867U patent/KR20080000250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039B1 (ko) | 2016-03-18 | 2017-03-09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KR101710036B1 (ko) | 2016-03-18 | 2017-03-09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EP3289934A1 (en) * | 2016-08-30 | 2018-03-07 | Bumil Industrial Co. Ltd. |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
KR20180088304A (ko) | 2017-01-25 | 2018-08-03 | 박한 | 인덕션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
CN111096069A (zh) * | 2017-09-20 | 2020-05-01 | 凡一产业株式会社 | 具有净水功能的多功能食物烹饪机 |
CN111096069B (zh) * | 2017-09-20 | 2022-01-11 | 凡一产业株式会社 | 具有净水功能的多功能食物烹饪机 |
US11406216B2 (en) | 2017-09-20 | 2022-08-09 | Bumil Industrial Co., Ltd. |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52069B1 (en) | Beverage brewer with pour over feature | |
CA2294666C (en) | Computer controlled brewing apparatus | |
KR101400108B1 (ko) |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 |
EP3064103B1 (en) | Improved coffee machine with single-serve setting | |
RU2584119C2 (ru) |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10258188B2 (en) |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 |
KR20080000250U (ko) | 라면조리기 | |
CN204765110U (zh) | 计算机控制的咖啡机 | |
WO2006014511A1 (en) | Grill | |
KR101566856B1 (ko) | 즉석식품 조리기 | |
CN207666445U (zh) | 一种智能恒温饮水机 | |
US20080148954A1 (en) | Safety brewer | |
GB2481023A (en) | Hot water dispenser with adjustable temperature and dispensing volume settings | |
CN202751212U (zh) | 一种多功能全自动茶饮机 | |
EP0350199A2 (en) | Coffee brewing system | |
CA233733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thermalizing pre-cooked food portions | |
KR100818224B1 (ko) | 라면전용 압력냄비 | |
JP2011242020A (ja) | 給湯装置 | |
CN210697199U (zh) | 自动售面机的煮面装置及自动售面机 | |
JP5659569B2 (ja) | 給湯装置 | |
JP2011149576A (ja) | 給湯装置 | |
KR101317262B1 (ko) | 예약 취사용 계량 수조가 구비된 전기밥솥 | |
TWM548265U (zh) | 應用於高溫高壓沖煮機台之秤重裝置 | |
TW201036581A (en) | Method of stir-fry cooking | |
JP2011242024A (ja) | 給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21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119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