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0246A -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246A
KR20080000246A KR1020060057890A KR20060057890A KR20080000246A KR 20080000246 A KR20080000246 A KR 20080000246A KR 1020060057890 A KR1020060057890 A KR 1020060057890A KR 20060057890 A KR20060057890 A KR 20060057890A KR 20080000246 A KR20080000246 A KR 20080000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fer
substrate
film
transfe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231B1 (ko
Inventor
김성기
노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2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2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9Over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재층;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되는 제 1 전사층; 및 상기 제 1 전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전사 기판으로 상기 제 1 전사층과 동시에 전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과 상기 피전사 기판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전사층을 포함하는 전사필름을 제공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며,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전사 필름, 배향막,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Transfer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인쇄판을 이용한 배향막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재층 110 : 제 1 전사층
120 : 제 2 전사층 130 : 보호필름
200 : 피전사 기판 300 : 제 1 기판
400 : 제 2 기판 500 : 실란트
600 : 액정층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전사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는 경량박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 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컬러필터가 형성된 제 2 기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액정의 초기 배향을 설정하는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이 더 추가된다.
상기 배향막은 인쇄판을 이용한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인쇄판을 이용한 배향막의 형성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배향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판(1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10)상으로 배향막(21)이 도포되어 있는 인쇄판(20)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판(20)에 형성된 배향막(21)을 상기 기판(10)으로 전사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판(20)에 형성된 배향막(21)을 상기 기판(10)으로 전사하기 위해, 상기 인쇄판(20)을 일정 압력을 가한다. 이때, 상기 인쇄판(20)에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21)이 연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인쇄판(20)에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인쇄판(20)의 에지부에서 볼록해지는 마운트(mount;M)가 발생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판(20)이 제거된 뒤, 경화공정을 거쳐 상기 기판(10)에 배향막(21)을 형성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향막(21)의 에지부에서 마운트(M)가 발생하여, 배향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또, 오늘날 대형 기판에 여러 개의 셀을 형성한 뒤, 상기 셀을 절단하여 동시에 여러 개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상기 기판은 점점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판도 대형화되어야 하지만, 대형 인쇄판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써, 상기 대형 인쇄판은 소형 인쇄판을 여러 개 제작한 뒤, 상기 소형 인쇄판을 접합하여 형성한다.
이때, 적어도 2 개 이상의 소형 인쇄판이 접합하여 제조된 대형 인쇄판을 이용하여 배향막을 형성할 경우, 접합부에서 배향막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인쇄판의 접합부를 피해, 상기 대형 기판에 셀을 설계해야 하므로, 상기 대형 기판에 셀간의 간격 마진이 감소되어, 상기 대형 기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균일한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대형기판에 효율적으로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전사 공정에 이용되는 전사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사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전사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되는 제 1 전사층; 및 상기 제 1 전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전사 기판으로 상기 제 1 전사층과 동시에 전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과 상기 피전사 기판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전사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배향막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으로 전사필름을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필름의 전사층을 상기 기판으 로 전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재층(1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층(100)은 투명성의 재질로, 광 투과율이 뛰어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기재층(100)은 유리,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0)상에 제 1 전사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사층(110)은 피전사 기판에 전사하고자 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전사층(110)은 배향막의 형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향막의 형성물질은 폴리 이미드계 수지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전사층(110)은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유기계 패턴의 형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계 패턴은 컬러필터 또는 오버코트층 중 어느 하나의 형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사층(110)상에 제 2 전사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피전사 기판에 대해 점착성을 가져서, 상기 전사필름과 상기 피전사 기판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시 상기 전사필름이 이동하여 전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광에 의해 반응하여 접착성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제 2 전사층(120)으로 일부 영역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이 조사된 상기 제 2 전사층(120)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전사층(110)이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된다.
또는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피전사 기판에 대해 접착성을 가지고, 광에 의해 반응하여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 전사층(120)으로 일부 영역에 광을 조사하면, 상기 광이 조사되지 않은 상기 제 2 전사층(120)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전사층(110)이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된다.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상기 제 1 전사층(110)이 상기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2 전사층(120)에 형성된 보호필름(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30)은 상기 제 2 전사층(1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필름(130)은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을 수행하기전 탈착한다. 즉, 상기 보호필름(130)은 상기 제 2 전사층(120)에 점착되어 있는 것으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재층(100)과 상기 제 1 전사층(110)사이에 개재되는 이형층(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층은 전사공정시 상기 기재층(100)과 상기 제 1 전사층(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층은 광에 반응하여 접착성을 가지거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이형층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층은 상기 제 2 전사층(120)과 서로 반대의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 2 전사층(120)이 광에 의해 접착성이 증가하면, 상기 이형층은 광에 의해 접착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 달리, 상기 제 2 전사층(120)이 광에 의해 접착성이 저하되면, 상기 이형층은 광에 의해 접착성이 증가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이형층에 의해, 상기 제 2 전사층과 상기 제 1 전사층이 용이하게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사필름(T)을 제공한다. 상기 전사필름(T)은 롤(140)에 감겨져 있을 수 있으며, 도면과 달리 평탄한 기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사필름(T)은 기재층(100)과, 상기 기재층(100)상에 형성되며,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되는 제 1 전사층(110)과, 상기 제 1 전사 층(110)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전사 기판으로 상기 제 1 전사층(110)과 동시에 전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110)과 상기 피전사 기판(200)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전사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0)은 광 투과율이 좋은 투명성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사층(11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형성된 배향막 형성물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광에 의해 반응하여 접착성을 가지거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사필름(T)은 상기 제 2 전사층(120)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전사층(1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필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재층(100)과 상기 제 1 전사층(110)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110)의 전사특성을 향상시키는 이형층(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전사필름(T)이 감겨진 롤(140)과 피전사 기판(200)을 라미네이션 장비로 제공한다. 상기 피전사 기판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피전사 기판에는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오버코트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필름(T)의 보호필름(130)을 제거한 뒤, 상기 전사필름(T)과 상기 피전사 기판(200)을 라미네이션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피전사 기판(200)으로 상기 전사필름(T)을 라미네이션한 뒤, 상기 전사필름(T)상으로 마스크(M)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M)상으로 광을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마스크(M)의 패턴이 상기 전사필름(T)으로 투영된다. 이때, 상기 전사필름(T)의 제 2 전사층(120)이 광에 반응하여, 상기 피전사 기판(200)에 대해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도면과 달리, 상기 제 2 전사층(120)은 광에 반응하여, 상기 피전사 기판(200)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도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피전사 기판(200)으로부터 상기 전사필름(T)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광이 조사된 영역의 제 2 전사층(120)은 상기 피전사 기판(200)에 대한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광이 조사된 영역의 제 2 전사층(120)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전사층(110)은 상기 피전사 기판(200)으로 전사되어, 상기 피전사 기판(200)에 접착층(120')과 배향막(1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접착층(120')은 상기 전사필름(T)의 제 2 전사층(120)의 일부가 전사된 것이며, 상기 배향막(110')은 상기 전사필름(T)의 제 1 전사층(110)의 일부가 전사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전사 기판(200)은 대형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전사 기판(200)이 대형 기판이더라도 대형의 인쇄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을 거쳐 용이하게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사공정은 상기 전사필름 상에 일정 크기의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상기 전사필름은 공정이 용이한 습식공정, 이를테면,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닥터 블레이드 법, T-다이 코팅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상기 마스크는 라미네이션된 피조사 기판과 전사필름 상을 여러번 쉬프트시켜서, 노광 공 정을 거치면 되므로, 별도의 대형 마스크를 제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종래에 인쇄판을 여러 개 접합해서, 대형 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할 경우, 상기 인쇄판의 접합부를 피해서 상기 대형 기판의 셀을 설계할 필요 없이, 대형 기판의 셀 효율성을 먼저 고려하여 셀을 설계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을 거쳐 배향막을 형성함으로써, 배향막을 균일하게 형성하면서 대형 기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필름을 통해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사공정을 거쳐 컬러필터 또는 오버 코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기판(300)과 제 2 기판(400)이 일정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채로 서로 대향되며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300)과 상기 제 2 기판(400)은 실란트(500)에 의해 서로 합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300)과 상기 제 2 기판(400)사이에는 액정층(6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300)상에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어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데이터 배선(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3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의 교차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게이트 전극(301)과, 상기 게이트 전극(301)에 대응된 상기 게이트 절연막(310)상에 반도체층(311)과, 상기 반도체층(311)의 양 단부상에 분리되어 각각 위치하는 소스/드레인 전극(312, 313)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310)상에 보호막(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320)은 상기 드레인 전극(313)을 일부 노출하는 콘텍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텍홀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321)이 상기 보호막(320)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전극(321)상에 액정의 초기 배향을 위한 배향막(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향막(340)하부에는 접착층(33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향막(340)과 상기 화소전극(321)을 포함하는 상기 보호막(320)간의 접착성을 향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배향막(340)을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에 상기 전사필름에 구비되는 상기 배향막(340)의 형성물질로 이루어진 제 1 전사층과, 상기 제 1 전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330)의 형성물질로 이루어진 제 2 전사층이 상기 화소전극(321)을 포함하는 상기 보호막(320)으로 전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배향막(340)하부에는 접착층(33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향막(340)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층(330)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400) 중 차단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블랙매트릭스(4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영역은 상기 제 1 기판(300)의 배선 형성영역 및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400) 중 투과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컬러필터(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과영역은 상기 제 1 기판(300)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되어 정의되는 화소영역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412)는 상기 블랙매트릭스(411)에 일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411)와 상기 컬러필터(412)간의 단차를 극복하기 위한 오버코트층(42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오버코트층(420)상에 공통전극(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전극(430)상에 상기 액정의 초기 배향을 위한 배향막(4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막(450)이 상술한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공통전극(430)과 상기 배향막(450)사이에 접착층(44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상기 컬러필터(412)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도 상술한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컬러필터(412)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420)층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는 접착층(4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필름을 통한 전사공정을 거쳐 배향 막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을 통해, 대형 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배향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형 기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공정을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외에 다른 구성요소 즉, 컬러필터 또는 오버코트층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피전사 기판으로 전사되는 제 1 전사층; 및
    상기 제 1 전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전사 기판으로 상기 제 1 전사층과 동시에 전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과 상기 피전사 기판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전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사층은 상기 피전사 기판에 대해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사층은 광에 의해 반응하여 접착성을 가지거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사층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사층은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배향막, 컬러필터, 오버코팅층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사층에 점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사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제 1 전사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제 1 전사층의 분리를 도와주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광에 의해 반응하여 접착력이 상승되거나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10.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배향막; 및
    상기 배향막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배향막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으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으로 전사되는 제 1 전사층과, 상기 제 1 전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으로 상기 제 1 전사층과 동시에 전사되어 상기 제 1 전사층과 상기 기판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 2 전사층을 포함하는 전사필름을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필름으로 광을 제공하여 상기 기판상으로 제 1 전사층과 제 2 전사층이 전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사층은 배향막의 형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사층은 광에 반응하여 상기 기판과의 접착성을 상승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 코트층상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사층은 상기 컬러필터 또는 상기 오버코트층의 형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057890A 2006-06-27 2006-06-27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Active KR10127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890A KR101279231B1 (ko) 2006-06-27 2006-06-27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890A KR101279231B1 (ko) 2006-06-27 2006-06-27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246A true KR20080000246A (ko) 2008-01-02
KR101279231B1 KR101279231B1 (ko) 2013-06-26

Family

ID=3921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890A Active KR101279231B1 (ko) 2006-06-27 2006-06-27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2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644A (ko) * 2013-08-27 2015-03-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KR20150060716A (ko) * 2012-09-27 2015-06-03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409116B2 (en) 2016-12-01 2019-09-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apparatus,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window
WO2021029482A1 (ko)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세이포드 외이도 내 인체 조직에 음향 전달을 위한 사운드 앵커 및 이를 구비한 반이식형 보청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925B1 (ko) 1993-02-24 2000-05-01 구본준 액정디스플레이용 칼라필터 제조방법
KR19980028618A (ko) * 1996-10-23 1998-07-15 손욱 새로운 액정 디스플레이용 칼라필터의 제조방법
KR100769172B1 (ko) * 2001-09-0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50003248A (ko) * 2003-06-30 2005-0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컬러필름 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716A (ko) * 2012-09-27 2015-06-03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26322A (ko) * 2012-09-27 2020-03-10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24644A (ko) * 2013-08-27 2015-03-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US10409116B2 (en) 2016-12-01 2019-09-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apparatus,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window
US10948784B2 (en) 2016-12-01 2021-03-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window
US11604386B2 (en) 2016-12-01 2023-03-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window
WO2021029482A1 (ko)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세이포드 외이도 내 인체 조직에 음향 전달을 위한 사운드 앵커 및 이를 구비한 반이식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231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2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10643503B2 (en) Mother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v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61815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824256B2 (e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797697B (zh) 柔性显示装置
US20110255034A1 (en) Display device
US9854668B2 (en) Display device
US10114422B2 (en) Cover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337500B (zh) 主动元件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JP456447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461372B (zh) 用于显示装置的盖窗和该盖窗的制造方法
KR20200029683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25641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00246A (ko) 전사필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WO2010143543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80075002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1837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05781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99836B2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12445015A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90059875A (ko) 일렉트로닉 잉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117180A (ko) 가요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197061B1 (ko) 표시장치 제조용 몰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11308816A (zh) 有机膜、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396759B1 (ko) 컬러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