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21286A -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286A
KR20070121286A KR1020060056122A KR20060056122A KR20070121286A KR 20070121286 A KR20070121286 A KR 20070121286A KR 1020060056122 A KR1020060056122 A KR 1020060056122A KR 20060056122 A KR20060056122 A KR 20060056122A KR 20070121286 A KR20070121286 A KR 2007012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ue
needle block
work table
display device
predetermined refer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1286A/ko
Publication of KR2007012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28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 패드부와 니들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패드부로부터 니들 블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워크테이블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한다.
평판표시패널, 테스트, 니들, 압력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Apparatus for testing FPD and driv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동작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표시패널 110: 하판
120: 상판 130: 패드부
200: 워크테이블 300: 니들 블럭
400: 테스트 장치 410: 압력센서
420: 제어부 430: 테이블 구동부
440: 표시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한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패널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 패드부와 니들(Needle)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소자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또는 브라운관은 무게와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EL) 등이 있고 이들 대부분이 실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액정표시소자는 전자제품의 경박단소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양산성이 향상되고 있어 많은 응용분야에서 음극선관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특히,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한다)를 이용하여 액정셀을 구동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소자는 화질이 우수하고 소비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으며, 최근의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은 기판 세정, 기판 패터닝 공정, 배향막형성/러빙 공정,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실장 공 정, 검사 공정, 리페어(Repair) 공정 등으로 나뉘어진다.
기판세정 공정에서는 액정표시소자의 기판 표면에 오염된 이물질을 세정액으로 제거하게 된다.
기판 패터닝 공정에서는 상부기판(컬러필터 기판)의 패터닝과 하부기판(TFT-어레이 기판)의 패터닝으로 나뉘어진다. 상부기판에는 칼라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하부기판에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TFT가 형성되며, TFT의 소오스전극에 접속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배향막형성/러빙 공정에서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각각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그 배향막을 러빙포 등으로 러빙하게 된다.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에서는 실재(Sealant)를 이용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합착하고 액정주입구를 통하여 액정과 스페이서를 주입한 다음, 그 액정주입구를 봉지하는 공정으로 진행된다.
액정패널의 실장공정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 등의 집적회로가 실장된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한다)를 기판 상의 패드부에 접속시키게 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집적회로는 전술한 TCP를 이용한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이외에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 이하, "COG"라 한다) 방식 등으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검사 공정은 하부기판에 각종 신호배선과 화소전극이 형성된 후에 실시되는 전기적 검사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후에 실시되는 전기적 검사 및 육안 검사를 포함한다. 특히 기판합착 전에 하부기판의 신호배선과 화소전극에 대한 전기적 검사 공정은 불량율과 폐기처분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리페어가 가능한 상태의 불량 기판을 조기에 색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리페어 공정은 검사 공정에 의해 리페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기판에 대한 복원을 실시한다. 한편, 검사 공정에서 리페어가 불가능한 불량기판들에 대하여는 폐기처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액정표시패널이 제조된 다음, 액정표시패널이 각종 신호를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점등 검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점등 검사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테스트 장치의 니들(Needle)에 표시패널의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과정에서 카세트에 적재된 표시패널을 로봇을 이용하여 이송시켜 워크테이블(Work Table)에 로딩한 후, 워크테이블을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아울러 회전시켜 니들과 표시패널의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여기서, 워크테이블 상에 표시패널의 위치가 잘못 고정되거나 표시패널과 워크테이블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표시패널의 위치가 정상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경우, 종래의 테스트 장치는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니들 블럭의 접촉시 니들 블럭에 많은 압력이 가해져 니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 패드부와 니들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 패드부와 니들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는, 패드부로부터 니들 블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워크테이블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니들 블럭의 니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니들 블럭의 외측에 위치된 니들과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니들 블럭과 접촉된 상기 패드부가 니들 블럭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이 동일하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작으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미리 설정된 상기 니들 블럭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에러신호나 정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검사 표시패널을 워크테이블에 탑재하여 상기 피검사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니들 블럭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니들 블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의 이동을 지시하는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 표시패널(100)이 워크테이블(200) 상단면에 적재된 상태에서, 워크테이블(200)이 이동하여 피검사 표시패널(100)을 니들 블럭(30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피검사 표시패널(100)은 하판(110)과 상판(120)으로 이루어지며, 하판(110)의 일측단에 패드부(130)가 배치된다. 따라서,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점등 검사를 위해 하판(110)의 일측단에 형성된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워크테이블(200)은 피검사 표시패널(100)이 자신의 상단면에 로딩되면 X축, Y축 또는/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미세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워크테이블(200)의 일측단은 수평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단이 상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워크테이블(200)은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테스트시에 수평면과 70°정도의 각도를 유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400)는,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로부터 니들 블럭(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410)와, 압력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워크테이블(200)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20)와,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워크테이블(200) 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 구동부(4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400)는, 제어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에러신호나 정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440)를 더 구비한다.
압력센서(410)는 니들 블럭(300)의 니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니들 블럭(300)의 외측에 위치된 니들과 인접되어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테이블(200)에 의해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가 니들 블럭(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압력센서(410)는 패드부(130)와 동시에 니들 블럭(300)에 접촉되어 패드부(130)로부터 니들 블럭(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한 압력값을 제어부(420)로 출력한다.
제어부(420)는 사용자로부터 테스트을 지시하는 테스트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소정의 실행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미리 설정된 위치로 워크테이블(200)을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테이블 구동부(430)로 출력한다. 이렇게 워크테이블(200)이 이동되어 자신의 상단면에 접속된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를 니들 블럭(300)에 접속시키는 경우, 압력센서(410)는 패드부(130)로부터 니들 블럭(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한 압력값을 제어부(4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감지된 압력값이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니들 블럭(300)과 접촉된 패드부(130)가 니들 블럭(13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테이블 구동부(430)를 제어한다. 이때, 테이블 구동부(43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워크 테이블(200)을 이동되기 이전 위치로 이동시켜 니들 블럭(300)과 접촉된 패드부(130)를 니들 블럭(13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테스트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표시부(44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의 접촉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니들 블럭(300)과 접촉된 패드부(130)를 니들 블럭(130)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니들 블럭(130)의 파손을 방지한다.
비교결과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이 동일하면, 제어부(420)는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의 접촉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워크테이블(200)을 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테이블 구동부(430)를 제어한다. 이때, 테이블 구동부(43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워크테이블(200)을 현위치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의 접촉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정상신호를 표시부(44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비교결과 감지된 압력값이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작으면, 제어부(420)는 피검사 표시패널(100)의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워크테이블(200)을 미리 설정된 니들 블럭(30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테이블 구동부(430)를 제어한다. 이때, 테이블 구동부(43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워크테이블(200)을 미리 설정된 니들 블럭(300)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패드부(130)와 니들 블럭(300)이 미접촉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부(44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테이블 구동부(430)는 제어부(420)로부터의 이동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방향, 예를 들면 X축, Y축 또는/및 Z축 방향으로 이동제어신호가 지시하는 거리만큼 워크테이블(200)을 이동시키고, 또한 이동제어신호가 지시하는 각도만큼 워크테이블(200)을 회전시킨다.
표시부(440)는 액정표시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되어 제어부(420)로부터 전달되는 테스트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로서, 표시부(440)에는 테스트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문자신호 또는 테스트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문자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 패드부와 니들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피검사 표시패널을 워크테이블에 탑재하여 상기 피검사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니들 블럭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니들 블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니들 블럭의 니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니들 블럭의 외측에 위치된 니들과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니들 블럭과 접촉된 상기 패드부가 상기 니들 블럭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이 동일하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작으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미리 설정된 상기 니들 블럭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블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에러신호나 정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8. 피검사 표시패널을 워크테이블에 탑재하여 상기 피검사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니들 블럭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니들 블럭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의 이동을 지시하는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니들 블럭과 접촉된 상기 패드부를 상기 니들 블럭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지시하는 상기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에서,
    상기 이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패드부를 상기 니들 블럭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이 동일하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지시하는 상기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에서,
    상기 이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현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압력값과 소정의 기준압력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압력값보다 작으면 상기 워크테이블을 미리 설정된 상기 니들 블럭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상기 이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에서,
    상기 이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테이블을 미리 설정된 상기 니들 블럭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블럭과 상기 패드부의 접촉이 정상 상태 또는 에러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60056122A 2006-06-21 2006-06-21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Withdrawn KR20070121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22A KR20070121286A (ko) 2006-06-21 2006-06-21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22A KR20070121286A (ko) 2006-06-21 2006-06-21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86A true KR20070121286A (ko) 2007-12-27

Family

ID=3913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22A Withdrawn KR20070121286A (ko) 2006-06-21 2006-06-21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12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454A (zh) * 2019-04-09 2019-06-14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阻抗检测设备
US11016139B2 (en) * 2018-09-14 2021-05-25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est assembly and tes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6139B2 (en) * 2018-09-14 2021-05-25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est assembly and test device
CN109887454A (zh) * 2019-04-09 2019-06-14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阻抗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560B1 (ko) 액정표시소자의 검사방법 및 장치
US7999905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34088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CN102565564A (zh) 阵列测试装置
JP2011137795A (ja) アレイテスト装置{apparatusfortestingarray}
US200402228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liquid crystal display
CN102539850A (zh) 阵列测试装置
JP2007292750A (ja) 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1003232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7509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20070121286A (ko) 평판표시소자의 테스트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7468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KR100487429B1 (ko) 액정표시소자의 결함수리방법 및 액정표시소자
KR100837599B1 (ko) 기판 지지용 스테이지
KR102365455B1 (ko)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KR20120077291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102020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46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23926B1 (ko) 평판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KR20070095544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패널 부착 방법
KR20080001428A (ko) 파티클 제거용 석션 유닛
KR20000060677A (ko) 그로스 테스트 설비
TWI730595B (zh) 待測面板的側向檢測裝置及檢測方法
KR101631623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플리커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반송방법
KR101002340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