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11236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236A
KR20070111236A KR1020060044359A KR20060044359A KR20070111236A KR 20070111236 A KR20070111236 A KR 20070111236A KR 1020060044359 A KR1020060044359 A KR 1020060044359A KR 20060044359 A KR20060044359 A KR 20060044359A KR 20070111236 A KR20070111236 A KR 20070111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unit
foreign matter
cyclone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904B1 (ko
Inventor
황만태
양해석
정회길
고무현
현기탁
추종수
김재겸
유명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904B1/ko
Priority to US11/565,206 priority patent/US7882592B2/en
Priority to US11/565,241 priority patent/US7749295B2/en
Priority to JP2006333719A priority patent/JP4444946B2/ja
Priority to CN200610169333.2A priority patent/CN101073480B/zh
Priority to AU2006249291A priority patent/AU2006249291B2/en
Priority to RU2006143773/11A priority patent/RU2328961C1/ru
Priority to EP20060125823 priority patent/EP1857032B1/en
Priority to US11/713,022 priority patent/US7601188B2/en
Priority to US11/712,958 priority patent/US7582128B2/en
Priority to US11/831,519 priority patent/US7785396B2/en
Priority to US11/831,473 priority patent/US8060979B2/en
Priority to US11/831,564 priority patent/US7770253B2/en
Publication of KR2007011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904B1/ko
Priority to US12/404,692 priority patent/US8312593B2/en
Priority to US12/404,715 priority patent/US8240001B2/en
Priority to US12/404,739 priority patent/US8021452B2/en
Priority to US12/407,224 priority patent/US7998234B2/en
Priority to US12/407,243 priority patent/US8544143B2/en
Priority to US12/407,267 priority patent/US8043397B2/en
Priority to US12/407,293 priority patent/US8043410B2/en
Priority to US12/407,964 priority patent/US8012250B2/en
Priority to US12/408,066 priority patent/US7987551B2/en
Priority to US12/407,975 priority patent/US8281455B2/en
Priority to US12/407,983 priority patent/US8404034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집진된 이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적어도 2이상의 차수로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에는 적어도 1개 차수 이상의 싸이클론부가 제공되고, 그 외의 차수의 싸이클론부는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차수를 가지는 싸이클론부가 집진 유닛과 청소기 본체에 나뉘어 제공되므로, 상기 집진 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 무게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집진 유닛을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c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은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집진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집진 유닛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 유닛
230 : 제 1 차 싸이클론부 250 : 커버 부재
300 : 제 2 차 싸이클론부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 도록 함과 동시에 집진된 이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싸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에 장착되는 집진 유닛은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는 이물이 공기로부터 분리 수집되도록 하고, 이물이 제거된 공기는 청소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장치이다.
그리고,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래에는 복수의 차수로 구성되는 싸이클론부가 구비된 멀티 싸이클론 집진 유닛이 사용된다.
상세히, 멀티 싸이클론 집진 유닛은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비교적 큰 이물을 분리하는 제 1 차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가 유입되어 미세 이물을 재차 분리하는 다수 개의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은 제 1 이물 저장부에 저장되고, 제 2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은 제 2 이물 저장부에 저장된다.
즉, 종래의 집진 유닛은 제 1 차 싸이클론부와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함께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집진 유닛은 내부에 저장된 이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런데, 종래의 집진 유닛에 의하면,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와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집진 유닛에 함께 구비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제 1 이물 저장부가 작게 형성되어 제 1 이물 저장부의 집진 용량이 적은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자주 이물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와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집진 유닛에 함께 구비됨에 따라, 상기 집진 유닛의 무게도 상당하게 되어 사용자가 집진 유닛을 청소기에 착탈시키거나,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집진 유닛에 저장된 이물을 비우기 위하여, 상기 집진 유닛을 본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이나 상기 집진 장치 내부의 이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실내의 재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물을 비우는 과정에서 실내가 재오염되면, 사용자가 재차 청소를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집진 유닛 및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진 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짐과 동시에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진 유닛에 집진된 이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적어도 2이상의 차수가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에는 적어도 1개 차수 이상의 싸이클론부가 제공되고, 그 외의 차수의 싸이클론부는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로부터 재차 이물을 분리하는 본체 싸이클론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차수를 가지는 싸이클론부가 집진 유닛과 청소기 본체에 나뉘어 제공되므로, 상기 집진 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 무게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집진 유닛을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 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은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분리시키는 이물 분리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및 연결관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미도시)로부터 흡입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 흡입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이물이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본체 배출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 손잡이부(140)가 형성된다.
한편, 이물 분리 수단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일차적으로 분리하는 제 1 차 싸이클론부(후술함)가 구비되는 집진 유닛(200)과,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1차적으로 이물이 분리된 공기에서 재차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유닛(20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집진 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손잡이부(140)에는 착탈 레버(142)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 유닛(200)에는 상기 착탈 레버(142)와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걸림단(2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닛(200)은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차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 유닛(200)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청소기 본체(100) 및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와 연통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 유닛(20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유닛(200)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3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 공 기 유입구(212)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공기 유입구(212)는 상기 집진 유닛(20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유닛(20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 유닛(200)에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공기 배출구(252)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연결 유로(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로(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는 대략 원추 형상의 소싸이클론들이 다수 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상부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가 요구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진공 모터 등과의 배치 관계에 있어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가 상기 집진 유닛(200)과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집진 유닛(20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중량이 가벼워져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집진 유닛(200)을 들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20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유입되는 이물 유입구(254)와,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210)에 형성되는 이물 저장부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1 이물 저장부와,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 의해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2 이물 저장부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가 상기 집진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성되되,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200)에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10)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진공 청소기(10)로 전원이 인가되어 청소기 본체(100)가 작동하면, 내부에 구비된 진공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흡입된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연결관 및 청소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를 따라 상기 집진 유닛(200)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집진 유닛(200)으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는 제 1 차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이물이 1차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저장된다. 반면,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집진 유 닛(200)에서 배출되어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고,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된 연결 유로(114)에 의해서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 공기는 재차 이물이 분리되며,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2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00) 내부의 소정의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 최종적으로 본체 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 유닛(2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200)은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저장부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1 이물 저장부(214)와,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2 이물 저장부(21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바디(210)는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를 형성하는 제 1 벽(211)과, 상기 제 1 벽(211)과의 관계에서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216)를 형성 하는 제 2 벽(212)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벽(212)은 상기 제 2 벽(211)의 소정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216)는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216)가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크기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211)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턱(219)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219)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상부는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먼지의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판(221)(2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압판(221)(222)들은 서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먼지를 압축하여 이물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에 저장되는 이물의 밀도가 높아짐으로써,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의 최대 집진 용량이 증가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가압판(221)(22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에 돌출 성형되는 고정축(224)에 고정되는 고정판(221)과, 상기 고정축(221)에 회전 가 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26)에 고정되는 회전판(2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5)에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종동 기어(228)가 결합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종동 기어(228)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228)가 회전되고, 상기 종동 기어(228)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판(222)이 회전된다.
이 때, 상기 고정판(221)의 양측에서 이물의 압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222)은 양방향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는 싱크로노스 모터(sy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가압판(221)(222)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나, 이와 달리 상기 한 쌍의 가압판(221)(222) 모두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어서 이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2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의 배출 시에, 상기 커버 부재(250)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는 상기 커버 부재(250)의 하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커버 부재(250)에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와 상기 커버 부재(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이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물 가이드 유로(23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 가이드 유로(232)는 분리된 이물이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에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 가이드 유로(232)의 유입구(233)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측면에 형성되고, 배출구(234)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저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와 제 2 이물 저장부(216)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와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216)에 저장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된 커버 부재(250)를 상기 집진 바디(210)에서 분리하면,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단이 완전히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으면 먼지가 쉽게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집진 바디(210)를 비우기 위해서, 사용자는 쓰레기통이나 실외에서 상기 커버 부재(250)를 상기 집진 바디(210)에서 분리하므로, 실내의 재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에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51)이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251)에는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통공(262)들이 다수 개 형성된 필터 부재(260)의 상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 내에서 일차적으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260)를 거쳐 상기 배출공(251)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251)으로부터 배출된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공기가 상기 1차 공기 배출구(252)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25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253)는 상기 배출공(251)과 1차 공기 배출구(252)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차 싸이클론부(230)가 집진 유닛(200)에 구비되고, 제 2 차 싸이클론부(300)가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싸이클론부는 제 1 차 싸이클론부 및 제 2 차 싸이클론부 외에 제 3 차 싸이클론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 3 싸이클론부 역시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집진 유닛(200)에 제 1 차 및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구비되고, 청소기 본체(100)에 제 3 차 싸이클론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다수의 차수를 가지는 싸이클론부 중에서 적어도 1차수 이상의 싸이클론부가 집진 유닛(200)에 구비되고, 그 외의 차수의 싸이클론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상기 집진 유닛(200)에 구비되는 싸이클론부를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라 할 수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싸이클론부를 본체 싸이클론부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 및 본체 싸이클론부는 적어도 1차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부가 적용되나, 이와 달리 이물과 공기의 중력차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 분리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 분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물 분리부는 상기 집진 유닛에 제공되고, 그 외의 이물 분리부는 상기 집진 유닛 이외의 물품 즉,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의 분리를 위하여, 싸이클론부와 이물 분리부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싸이클론부가 상기 집진 유닛 또는 청소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진공 청소기(10)의 진공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공 모터(150)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 흡입부(11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연통 유로(112)를 통하여 상기 집진 유닛(200)으로 유입된다.
상세히, 상기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제 1 공기 유입구(212)를 통하여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접선 방향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낙하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와 이물은 그 중량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260)의 통공(262)을 통하여 여과된 후 상기 배출공(251) 및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상기 집진 유닛(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리된 이물은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되는 과정에서 접선 방향으로 상기 이물 가이드 유로(23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가이드 유로(232)로 유입된 이물은 상기 이물 가이드 유로(232)의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절환되어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배출구(234)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214)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결 유로(114)를 지나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는 상기 연결 유로(114)의 끝단에 연결된 제 2 공기 유입구(116)를 통하여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의 내벽에 각각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이물이 재차 분리된다.
그리고, 재차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내의 배기 유로(118)로 유입된 후에 모터 프리 필터(152) 및 진공 모터(150)를 지나 상기 본체 배출부(12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분리된 이물은 상기 이물 유입구(254)를 통하여 상기 집진 유닛(200)으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216)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에 저장된 이물을 비우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집진 유닛(20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닛(200)에서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230)가 결합된 커버 부재(250)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어서 먼지를 비우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원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이물 저장부가 상기 집진 유닛과 분리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400)은 내부에 제 1 이물 저장부(414)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410)와, 상기 집진 바디(410)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차 싸이클론부(430)와, 상기 집진 바디(4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4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430)에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에서 재차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와, 내부에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2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용기(5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430)에서 분리된 이물과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은 별개의 물품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430)에서는 비교적 큰 이물이 분리되고,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300)에서는 미세 먼지가 분리되므로,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에 대부분의 먼지가 저장되어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에 이물이 빨리차게 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에는 소량의 이물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에 저장된 이물은 자주 비워줘야 한다.
따라서, 내부에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410)와, 내부 에 상기 제 2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용기(500)가 분리되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진 바디(410)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고 중량이 가벼워져,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도 상기 집진 바디(410)를 들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의 더욱 증대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용기(500)는, 그 내부에 저장된 이물을 비울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집진 용기(500)가 먼저가 결합되고, 그 다음 상기 집진 유닛(400)이 결합되어 상호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용기(500)의 일면은 상기 집진 바디(4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 1 차 싸이클론부는 집진 유닛에 제공되고, 제 2 차 싸이클론부는 상기 집진 유닛과 분리되어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므로, 상기 집진 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 무게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집진 유닛을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집진 유닛에서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가 분리되어 구성되나,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에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진 유닛 만을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을 배출함으 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셋째, 상기 제 2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2 이물 저장부가 상기 제 1 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제 1 이물 저장부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 1 이물 저장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이물를 집진하는 집진 유닛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커버 부재를 개방하면, 집진 바디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므로, 실내의 재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집진 유닛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버 부재가 제 1 이물 저장부와 제 2 이물 저장부를 동시에 개폐하므로, 이물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2이상의 차수로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에는 적어도 1개 차수 이상의 싸이클론부가 제공되고, 그 외의 차수의 싸이클론부는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에는 상기 싸이클론부의 차수와 동일한 갯수의 이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물 저장부는 단일의 커버에 의해서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싸이클론부는 상기 집진 유닛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집진 유닛과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집진 용기가 장착된 후에 상기 집진 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싸이클론부의 차수는 상기 집진 유닛에 구비되는 차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9. 내부에 흡입력 발생수단이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 유닛;
    상기 집진 유닛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이물이 분리된 공기로부터 재차 이물을 분리하는 본체 싸이클론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 싸이클론부 및 본체 싸이클론부는 각각 적어도 1차수 이상의 싸이클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 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을 분리시키는 이물 분리부와, 상기 이물 분리부에 의해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 저장부로 구성되는 이물분리기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이물 분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물 분리부는 상기 이물분리기구에 제공되고, 그 외의 이물 분리부는 상기 이물분리기구 이외의 물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분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이물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청소기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60044359A 2005-12-10 2006-05-17 진공 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59A KR100846904B1 (ko) 2006-05-17 2006-05-17 진공 청소기
US11/565,206 US7882592B2 (en) 2005-12-10 2006-11-30 Vacuum cleaner
US11/565,241 US7749295B2 (en) 2005-12-10 2006-11-30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2006333719A JP4444946B2 (ja) 2006-05-17 2006-12-11 真空掃除機
CN200610169333.2A CN101073480B (zh) 2006-05-17 2006-12-11 真空吸尘器
AU2006249291A AU2006249291B2 (en) 2006-05-17 2006-12-11 Vacuum cleaner
RU2006143773/11A RU2328961C1 (ru) 2006-05-17 2006-12-11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EP20060125823 EP1857032B1 (en) 2006-05-17 2006-12-11 Vacuum cleaner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cyclone units
US11/712,958 US7582128B2 (en) 2005-12-10 2007-03-02 Vacuum cleaner
US11/713,022 US7601188B2 (en) 2005-12-10 2007-03-02 Vacuum cleaner
US11/831,473 US8060979B2 (en) 2005-12-10 2007-07-31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831,564 US7770253B2 (en) 2005-12-10 2007-07-31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831,519 US7785396B2 (en) 2005-12-10 2007-07-31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4,692 US8312593B2 (en) 2005-12-10 2009-03-16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4,715 US8240001B2 (en) 2005-12-10 2009-03-16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4,739 US8021452B2 (en) 2005-12-10 2009-03-16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7,293 US8043410B2 (en) 2005-12-10 2009-03-19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7,267 US8043397B2 (en) 2005-12-10 2009-03-19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7,224 US7998234B2 (en) 2005-12-10 2009-03-19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7,243 US8544143B2 (en) 2005-12-10 2009-03-19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2/407,964 US8012250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US12/408,066 US7987551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US12/407,975 US8281455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US12/407,983 US8404034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359A KR100846904B1 (ko) 2006-05-17 2006-05-17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236A true KR20070111236A (ko) 2007-11-21
KR100846904B1 KR100846904B1 (ko) 2008-07-17

Family

ID=3909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904B1 (ko) 2005-12-10 2006-05-17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8B1 (ko) * 2011-12-21 2014-11-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61B1 (ko) * 2014-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22Y1 (ko) * 1989-05-01 1991-05-20 구자회 다목적 진공 청소기
KR970003572B1 (ko) * 1994-04-23 1997-03-20 김남선 진공청소기 겸용 물걸레 청소기
KR980000339A (ko) * 1996-06-26 1998-03-30 배순훈 보조모터를 갖춘 진공청소기
KR100437153B1 (ko) 2000-10-31 2004-06-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8B1 (ko) * 2011-12-21 2014-11-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904B1 (ko)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900B1 (ko) 진공 청소기
AU2006249291B2 (en) Vacuum cleaner
EP1839758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US8163051B2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1250077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1250154B1 (ko) 진공 청소기
KR20080000188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20070088022A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0906848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474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20220110709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20070111236A (ko) 진공 청소기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42963B1 (ko) 진공 청소기
KR102406189B1 (ko) 청소기 시스템
KR20080006056A (ko) 이물 분리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20070113354A (ko) 진공 청소기
KR100876700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 집진 장치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83888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KR20080022350A (ko)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090040418A (ko) 진공 청소기
WO2009138811A2 (en) Inertial dust separator for vacuum cleaners
KR100904324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