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580A - Wind Power Generator with Rotating Wind Collector - Google Patents
Wind Power Generator with Rotating Wind Coll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7580A KR20070107580A KR1020070039997A KR20070039997A KR20070107580A KR 20070107580 A KR20070107580 A KR 20070107580A KR 1020070039997 A KR1020070039997 A KR 1020070039997A KR 20070039997 A KR20070039997 A KR 20070039997A KR 20070107580 A KR20070107580 A KR 200701075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power
- generator
- rotating
- prope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58—Arrangements for fixing wind-engaging parts to a hub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4—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flat or V-belts and pulle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장치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의 전면부에 바람을 모으는 집풍장치를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집풍장치의 외주연에 날개를 결합시켜 집풍장치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blow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wind collecting device to collect wind in the front of the propeller installed in the wind power generato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the wind collecting device The wind turbin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turbine is also configured to rotate by the wind to the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turbin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력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면에는 외주연에 날개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집풍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d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a propeller rotating by the win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propeller is installed in the wind blowing device is coupled to the blade is rotated on the outer peripher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bl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동력발생부 110 : 프로펠러100: power generating unit 110: propeller
112, 122 : 결합링 114 : 결합축112, 122: coupling ring 114: coupling shaft
120 : 집풍장치 124 : 보강부재120: wind collecting device 124: reinforcing member
126 : 날개부착부 128 : 날개126: wing attachment portion 128: wings
130 : 회전축 200 : 지지부130: rotation axis 200: support
210 : 지지수단 212 : 지지대210: support means 212: support
214 : 받침대 216 : 바퀴214: pedestal 216: wheels
220 : 고정수단 222 : 고정판220: fixing means 222: fixing plate
224 : 지구베어링 300 : 동력전달부224: earth bearing 300: power transmission unit
310 : 구동풀리 320 : 종동풀리310: driving pulley 320: driven pulley
330 : 벨트 400 : 발전기330: belt 400: generator
본 발명은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장치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의 전면부에 바람을 모으는 집풍장치를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집풍장치의 외주연에 날개를 결합시켜 집풍장치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blow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wind collecting device to collect wind in the front of the propeller installed in the wind power generato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the wind collecting device The wind turbin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turbine is also configured to rotate by the wind to the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turbin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풍력(風力)은 자연상태의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 기술로는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에너지원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風力發電)은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 직접 공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을 이용한다면 산간이나 해안오지 및 방조제 등의 부지를 활용함으로써 국토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general, wind power is a pollution-free energy source in a natural state, which is the most economical energy source amo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Currently, wind power generation using such wind power converts the power of the wind into the rotational force. It is a technology that directly supplies power generated by converting to power system or consumer. If such wind power is used, the efficiency of land use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sites such as mountains, coastal backcountry, and embankments.
한편, 풍력발전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풍차(프로펠러)를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장치를 말한다.Meanwhile, the wind power generator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win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using various types of windmills (propellers) and drives power generators to obtain electric power.
이러한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한 풍력발전은 무한정의 청정에너지인 바람을 동력원으로 하므로 기존의 화석연료나 우라늄 등을 이용한 발전방식과 달리 발열에 의한 열공해나 대기오염 그리고 방사능 누출 등과 같은 문제가 없는 무공해 발전방식이다.Wind power generation using this wind power generator is powered by wind, which is infinitely clean energy, and thus has no pollution such as heat pollution, air pollution, and radiation leakage due to heat generation, unlike conventional generation methods using fossil fuel or uranium. to be.
이러한 장점 때문에, 풍력발전 시스템은 가장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이미 전 세계적으로 약 32,154MW(2002년말 누계기준)의 풍력발전 시스템이 설치 운전되고 있다. 이중, 2002년 한해 동안 설치된 풍력발전 시스템의 용량은 7,227MW이며, 이는 그해 건설된 원자력발전소 용량보다도 큰 수치이다. Because of these advantages, wind power systems are recognized as the most viable alternative energy sources, and wind power systems of around 32,154 MW (total 2002) are already being installed and operated worldwide. Among them, the capacity of wind power system installed in 2002 was 7,227MW, which is larger than the capacity of nuclear power plant built that year.
우리나라도 세계기후변화협약과 같은 국제 환경의 변화와 유가상승, 그리고 국내사용 에너지의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다. 뿐만 아니라 풍력발전 시스템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여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orea also has a strong interest i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World Climate Change Convention, rising oil prices, and realistic problems that depend on imports for 96% of domestic energy use.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has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because the structure or installation is simple, so that it is easy to operate and manage, and unmanned and automated operation is possible.
하지만,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이론상 운동에너지 중 약 60% 정도 만을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데, 이것도 기계적인 마찰, 발전기의 효율 등을 고려하면 실제적으로 약 20 ~ 40% 정도 만을 전기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어 시설규모에 비해 발전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can theoretically convert only about 60% of the 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which can only be used as electrical energy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friction and generator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ac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654246호에는 풍력발전기용 풍차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구성은 하우징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외부바람판을 가지는 외부수풍부재와, 상기 외부바람판에 작용된 바람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외부수풍부재의 상하측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내부바람통로를 포함하는 내부수풍부재로 구성되어 외부수풍부재에 형성된 외부바람통로를 통하여 유입된 바람이 내부수풍부재에 형성된 내부바람통로로 배출되면서 회전력을 발생시켜 풍차의 회전력을 증대시켜 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654246 discloses a windmill for a wind power generator, the main configuration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wind blower having a plurality of external wind plates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outer wind passage formed in the outer wind member is composed of an inner wind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ner wind passages formed spiral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wind member to discharge the wind acting on the outer wind plate; As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air discharged into the inner wind passage formed in the inner wind member, th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하기 어렵고, 단순히 풍차의 회전력만을 증대시킨 것이므로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the shape is complex, and simply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dmill,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장치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의 전면부에 바람을 모으는 집풍장치를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집풍장치의 외주연에 날개를 결합시켜 집풍장치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력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by installing a wind collecting device to collect the wind in the front of the propeller installed in the wind power generator, It is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to combine the wings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collecting device is also configured to rotate by the wind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to maximiz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력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면에는 외주연에 날개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집풍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ind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a propeller rotating by wind, the front of the propeller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turbine is installed installed It features.
이 때,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wi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wer generating uni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o the power.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가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어 바람을 모음과 동시에 외주연에 날개가 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집풍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a propeller that is rotated by the wind, the rotating shaft to which the propeller is coupled, and the wind turbine is coupled to the front rotation shaft of the propeller is coupled to the wind vowel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at the same time to rotate by win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evice.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동력발생부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동력발생부를 지지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power generator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wer generator to the support means.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ans, a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지구베어 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arth bear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is fitt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rotatable.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발전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동시키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drive pulley is installed, the driven pulley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pulley 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lt for linking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
또한, 상기 집풍장치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날개의 개수는 8개 내지 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wing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collec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rom 8 to 1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provided with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설치되는 프로펠러(110)의 전면부에 바람을 모으는 집풍장치(120)를 설치하여 프로펠러(11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집풍장치(120)의 외주연에 날개(128)를 결합시켜 집풍장치(120)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동력발생부(100), 지지부(200), 동력전달부(300) 및 발전기(400)로 이루어져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먼저, 상기 동력발생부(10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10)와, 상기 프로펠러(110)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30)과, 상기 프로펠러(110)의 전면부 회전축(130)에 끼움 결합되는 집풍장치(120)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이때, 상기 프로펠러(110)는 회전축(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결합링(112)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링(112)의 외주면에는 결합축(114)들이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프로펠러 날개들이 상기 결합축(1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링(112)을 회전축(130)으로 삽입한 후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킨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집풍장치(120)는 주변의 바람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펠러(110)와 마찬가지로 회전축(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결합링(122)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링(122)의 외주면으로 다수 개의 보강부재(124)가 형성되어 집풍장치(1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집풍장치(120)는 전면부가 넓게 형성되고 뒤쪽, 즉 프로펠러(110)가 설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집풍장치(120)를 통과하는 바람의 유속을 증대시켜 프로펠러(11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집풍장치(120)의 전면부 즉, 바람이 들어오는 입구부 외주연에는 날개부착부(126)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착부(126)에 다수 개의 날개(128)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날개(128)는 바람을 받아 집풍장치(1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또한, 상기 날개(128)는 집풍장치(120)의 크기와 원하는 발전량에 따라 다양 하게 변형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착부(126)에 일정 간격으로 8개 내지 1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날개(128)가 8개보다 적게 설치되면 원하는 회전력을 얻기 힘들고, 12개 보다 많이 설치되면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회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집풍장치(120)는 프로펠러(110)의 앞쪽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주변의 바람을 모으는 역할을 하여 일차적으로 프로펠러(11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고, 전면(입구부)에서 후면(출구부)쪽으로 갈 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집풍장치(120)를 통과하는 바람의 유속을 증가시켜 이차적으로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과 동시에 전면부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부착부(126)에 다수 개의 날개(128)를 설치하여 집풍장치(120) 자체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력을 극대화하여 발전 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프로펠러(110), 집풍장치(120) 및 회전축(130)을 포함하는 동력발생부(100)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수단(210)과, 상기 동력발생부(100)를 지지수단(2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20)으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이때, 상기 지지수단(210)은 상기 회전축(130)과 결합되는 고정수단(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발전기(400)가 수용되는 받침대(214)로 구성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 등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대(214)의 하단 각 모서리부에 바퀴(216)를 설치하여 풍력발전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ans 210 is a
또한,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지지수단(210)의 지지대(212)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222)과, 상기 고정판(2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30)이 끼움 결합되는 지구베어링(22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구베어링(224)은 정밀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30)을 회전지지하고, 진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체 내에 급유기구(미도시)를 가지고 있어 마찰에 의한 회전력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장시간 동안 안정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222)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두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동력발생부(1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발전기(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310)와, 상기 발전기(400)에 연결설치되어 구동풀리(31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풀리(320) 및 상기 구동풀리(310)와 종동풀리(320)를 연동시키는 벨트(330)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발전기(400)는 상기 지지수단(210)의 받침대(214)에 설치되어 동력전달부(300)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동풀리(32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전기(400)는 통상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내부 구조 및 자세한 작동원리는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wind turbine with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받침대(214)를 포함하는 지지수단(21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되는 회전축(130)에 프로펠러(110)를 결합시키고, 상기 프로펠러(110)의 앞쪽으로 다수 개의 날개(128)가 구비된 집풍장치(120)를 결합시킨 후 결합링(112, 122)에 구비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펠러(110) 및 집풍장치(120)를 고정시킨다.First, the
상기와 같이 풍력발전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이 설치완료 되면, 바람에 의해 프로펠러(110)가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이 때, 상기 집풍장치(120)에 의해 주변의 바람까지 프로펠러(110)에 가해지므로 프로펠러(110)의 회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풍장치(120)는 전면부, 즉 입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출구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집풍장치(120)를 통과하는 바람의 유속은 점점 빨라지게 되어 집풍장치(120)의 뒤쪽에 설치된 프로펠러(110)의 회전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로펠러(110)의 회전과 동시에 집풍장치(120)의 날개부착부(126)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날개(128)에 의해 집풍장치(120) 자체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력은 더욱더 증가하게 된다.Whe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wind turbin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프로펠러(110)와 집풍장치(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130)의 후단부에 결합된 구동풀리(310)가 회전하면서 회전력이 벨트(330)에 의해 종동풀리(320)에 전달되며, 다시 상기 종동풀리(320)에 연결 설치된 발전기(400)에 전달되어 동력을 전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발전 도중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바뀌게 되면 받침대(214)의 하부에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풍력발전장치가 회전되게 하거나, 받침대(214)의 하단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바퀴(216)를 이용하여 풍력발전장치를 회전시켜 최대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출원인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해 본 결과, 날개(128)가 구비된 집풍장치(120)를 프로펠러(110)의 전면부에 장착한 경우, 프로펠러(110)만 장착한 경우보다 약 세 배 이상의 전력을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cant has tested by us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하는 집풍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의하면 풍력발전장치에 설치되는 프로펠러의 전면부에 바람을 모으는 집풍장치를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입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출구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는 집풍장치의 형상에 의해 집풍장치를 통과하는 바람의 속력은 점점 빨라지게 되어 집풍장치의 뒤쪽에 설치된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집풍장치의 외주연에 날개를 결합시켜 집풍장치 또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력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rotating win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wind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wind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propeller installed in the wind power generato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In addition, the speed of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wind collecting device becomes faster due to the shape of the wind collecting device having a wider inlet portion and a narrower outlet por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wind collecting device can be further increased. Combining the w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 collecting device has a wind blowing device also configured to rotate by the wind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further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39372 | 2006-05-02 | ||
KR1020060039372 | 2006-05-02 | ||
KR1020060066684 | 2006-07-18 | ||
KR20060066684 | 2006-07-18 | ||
KR20060082626 | 2006-08-30 | ||
KR1020060082626 | 2006-08-30 | ||
KR20070002788 | 2007-01-10 | ||
KR1020070002788 | 2007-0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7580A true KR20070107580A (en) | 2007-11-07 |
KR100818161B1 KR100818161B1 (en) | 2008-03-31 |
Family
ID=3906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99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8161B1 (en) | 2006-05-02 | 2007-04-24 | Wind power plant having a rotating wind-coll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81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546B1 (en) * | 2008-12-02 | 2012-04-17 | 김 빅토르 | Wind-collecting type wind power generator |
KR101074958B1 (en) | 2009-05-19 | 2011-10-18 | 김범상 | A wind power pla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59191A (en) * | 1977-08-01 | 1979-06-26 | Graybill Clinton L | Fluid rotor |
JPH11182405A (en) | 1997-12-22 | 1999-07-06 | Takashi Kato | Windmill rotation increasing device |
-
2007
- 2007-04-24 KR KR1020070039997A patent/KR1008181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8161B1 (en) | 2008-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760B1 (en) | Windmill | |
CN102121455A (en) | Wind turbine drivetrain system | |
GB2516989A (en) | Tidal current generating device and installation frame thereof | |
US8134246B1 (en) | Fluid driven generator | |
KR20140015520A (en) | Horizontal multiple stages wind turbine | |
KR101106205B1 (en) | Wind generator | |
CN111911343A (en) | Improved wind turbine adapted for installation without wind turbine tower | |
CN203412696U (en) | Wind collection axial-flow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 |
US20150008677A1 (en) | Wind turbine with hydraulic motor power generation | |
KR20110114043A (en) | Generator with variable wings | |
KR100818161B1 (en) | Wind power plant having a rotating wind-collecting device | |
KR102026954B1 (en) | System of wind focus type electricity from wind energy | |
CN108119299B (en) | Wind-driven generator | |
CN211258886U (en) | Wind power generator | |
US20210348595A1 (en) | Fluid turbine | |
CN204827795U (en) | Vertical axis aerogenerator | |
CN105888962A (en) | A fan blade deflecting type wind driven generator | |
CN116745518A (en) |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n a mobile body | |
KR101165680B1 (en) |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 |
KR101191434B1 (en) | Vertical wind power generator | |
KR101794904B1 (en) | Pipe type generation module and generator having the same | |
CN219711721U (en) | Vertical axis wind turbine | |
CN222162818U (en) | Wind power generation blade adjusting device | |
CN204553087U (en) |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on structure | |
CN102691624A (en) | Wind power generator with multiple stages of vertical bla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