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101929A -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929A
KR20070101929A KR1020060033368A KR20060033368A KR20070101929A KR 20070101929 A KR20070101929 A KR 20070101929A KR 1020060033368 A KR1020060033368 A KR 1020060033368A KR 20060033368 A KR20060033368 A KR 20060033368A KR 20070101929 A KR20070101929 A KR 2007010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ifting member
lifting
fram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드레 록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유럽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600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929A/ko
Priority to DE602006013279T priority patent/DE602006013279D1/de
Priority to EP06121207A priority patent/EP1844976B1/en
Priority to US11/591,896 priority patent/US7401857B2/en
Priority to CN2006101435294A priority patent/CN101177128B/zh
Publication of KR2007010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9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위치하며 승객이 착석하는 쿠션이 설치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전방으로 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쿠션이 결합되는 백시트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을 언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팅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를 제공한다.
시트

Description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LIFTABLE SEAT OF VEHICLES}
도 1 은 다목적 차량의 시트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언리프팅 위치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위치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언폴딩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폴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서 시트의 언리프팅 위치에서의 리프팅 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서 시트의 리프팅 위치에서의 리프팅 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부재 록킹 기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백시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백시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백시트 어셈블리의 워킹 테이블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백시트 어셈블리의 워킹 테이블의 수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위치에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목적 차량의 2열 시트의 미들 시트가 폴딩된 상태에서 리프팅될 수 있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폴딩된 상태에서 리프팅된 시트는 미들 시트의 양쪽 시트에 앉은 승객의 팔을 편안히 걸치수 있는 암 레스트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랩탑 또는 노트북 등을 놓고 영화를 보거나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킹 플레이스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목적 차량의 내부 시트는 일반적으로 백시트가 쿠션 시트를 향해 접혀지는 폴딩 기능과 시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드라이브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를 일반적으로 폴딩 앤 드라이브 시트 기구라 한다. 다목적 차량에서 시트는 폴딩 앤 드라이브 시트 기구로 설치되기 때문에, 승객이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어서 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승차 최대 인원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승객이 착석한 시트 사이의 시트는 접어서 짐 등을 놓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목적 차량의 폴 앤 드라이브 시트에서 폴딩된 시트는 높이가 승객의 착석 위치 정도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물을 올려놓은 공간 외의 공간으로는 활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폴딩된 시트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여, 승객에 편의성을 줄 수 있는 시트 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가 폴딩된 상태에서 리프팅되어 암 레스트 또는 랩탑, 노트북등을 올려놓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킹 플레이스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목적 차량의 미들 시트를 보다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위치하며 승객이 착석하는 쿠션이 설치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전방으로 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쿠션이 결합되는 백시트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을 언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팅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차량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시트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기 시트 트랙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시트 트랙에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시트 드라이브 기구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을 지지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프팅 멤버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우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팅 멤버의 타단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힌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프팅 멤버가 상기 로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어퍼 힌지부가 결합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언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팅 위치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프팅 멤버를 언리프팅 위치와 리프팅 위치 에서 고정시키는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는 상기 리프팅 멤버의 하부로 배치되되, 제1엔드가 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고, 제2엔드가 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멤버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리프팅 멤버가 로우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가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조절 포지션 록킹 가스 스프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는, 상기 리프팅 멤버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엔드가 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고, 제2엔드가 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멤버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리프팅 멤버가 로우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가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실린더, 압력공급수단 및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백시트 프레임의 후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설치되는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백시트 프레임과 상기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이 상기 쿠션 시트 프레임을 향해 폴딩되고 리프팅 상태에서 측면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인출되는 워킹 테이블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워킹 테이블은 하단 일측이 상기 백시트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동작을 통해 측면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인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워킹 테이블에는 컵을 홀딩할 수 있는 크기의 컵 홀더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에는 컵을 홀딩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다목적 차량의 시트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다목적 차량의 시트 배치에서 미들 시트(1a)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블 시트로 설치되는 경우, 미들 시트(1a)의 측면의 시트(1b,1c) 및 후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다양한 편의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블 시트의 언리프팅 위치(2) 및 리프팅 위치(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는 리프팅 멤버(300)에 의해 언리프팅 위치(2)와 리프팅 위치(3) 사이에 이동가능하다.
백시트(7)가 쿠션 시트(6)를 향해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1)가 리프팅 위치(3)로 리프팅되면, 백시트(7)의 후면은 측면의 시트에 앉은 승객이 팔을 놓기에 적당한 위치가 되며, 백시트(7)의 후면은 노트북, 랩탑(laptop) 등을 놓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킹 플레이스(working place)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구조가 도 4 내지 도 6 에 의해 자세히 보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1)는 시트 쿠션 어셈블리(100), 백시트 어셈블리(200), 리프팅 멤버(300)를 포함한다.
시트 쿠션 어셈블리(10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쿠션이 결합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한 쌍의 평행한 설치된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와, 상기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의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 단부가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에 후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리어 멤버(114)를 포함한다.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에 결합되는 베이스 리어 멤버(114)에 의해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되면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형상을 유지하고, 상측으로 배치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120)을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연장방향으로 록킹 홈(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시트 트랙(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시트 트랙(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120)과 일체로 시트 트랙(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시트(1)의 전후 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 프런트 방향으로 슬라이딩 레버(14)가 배치된다. 슬라이딩 레버(14)는 베이스 프레임(110)을 시트 트랙(10)의 소정 위치에 록킹 및 언록킹 시키는 시트 드라이브 기구(13)의 조작 레버이다. 술라이딩 레버(14)의 단부는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 쪽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에 결합된 로크 레버(미도시)와 연결되며, 로크 레버는 베이스 사이드 멤버(12)와 시트 트랙(10)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을 시트 트랙(10)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 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레버(14)를 위쪽으로 당기면 베이스 프레임(110)과 시트 트랙(10)의 록킹이 해제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은 시트 트랙(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1)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하고 슬라이딩 레버(14)를 놓는 경우, 로크 레버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은 조정된 위치에서 시트 트랙(10)에 록킹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이 시트 트랙(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메커니즘은 폴딩 앤 드라이브 시트 기구(folding and drive seat mechanism)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1) 역시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폴딩 앤 드라이브 시트 기구에서 사용되는 시트 드라이브 기구의 시트 전후 방향 조절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120)은 평행하게 연장되어 리어 부분(132)이 상향 절곡된 한 쌍의 로어 사이드 멤버(130)와,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위쪽에서 평행하게 연장되어 리어 부분(142)이 상향 절곡된 한 쌍의 어퍼 사이드 멤버(140)를 포함한다. 쿠션 시트(6)의 쿠션은 어퍼 사이드 멤버(140)에 설치된다.
어퍼 사이드 멤버(140)와 로어 사이드 멤버(120)는 커넥팅 멤버(150)에 의해 연결되는 데, 커넥팅 멤버(150)의 어퍼 엔드는 어퍼 사이드 멤버(140)의 전단 부근에서 어퍼 사이드 멤버(140)의 내측으로 어퍼 엔드 힌지(15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넥팅 멤버(150)의 로어 엔드는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외측으로 로어 엔드 힌지(15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커넥팅 멤버(150)는 쿠션 시트(6)에 착석한 승객이 편안함을 가질 수 있는 높이를 가진다. 로어 사이드 멤버(130)는 어퍼 사이드 멤버(1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내측 즉, 쿠션 시트(6)중앙부를 향해 위치한다. 커넥팅 멤버(150)는 시트 언폴딩 상태에서는 세워진 상태에서 어퍼 사이드 멤버(140)와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거리를 지지한다. 시트 폴딩 조작에 의해 백시트(7)가 시트 쿠션(6)을 향해 폴딩되면 어퍼 사이드 멤버(140)가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팅 멤버(150)는 로어 엔드 힌지(15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어퍼 사이드 멤버(140)가 하강하여 로어 사이드 멤버(130)와 나란하게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의 위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커넥팅 멤버(150)는 어퍼 사이드 멤버(140)와 로어 사이드 멤버(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백시트(7)가 폴딩될 때, 시트는 차량 내부 바닥면 방향으로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커넥팅 멤버(150)의 길이는 시트에서 쿠션 시트가 차량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높이에 관계된다
백시트 어셈블리(200)는 백시트 프레임(202)을 포함한다.
백시트 프레임(202)은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리어 부분(132)에 설치된 시트 리클라이너 기구(134)에 시트 쿠션 프레임(120)을 향해 전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어퍼 사이드 멤버(140)의 리어 부분(142)은 시트 리클리닝 기구(134)와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결합 부분 상부에서 백시트 프레임(202)과 힌지축(1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시트 리클라이너 기구(134)의 동작 조절 레버인 리클라이너 릴리즈 레버(136)의 조작에 따라 백시트 프레임(202)은 시트 리클라이너 기구(134)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시트 쿠션 프레 임(120)을 향해 폴딩된다. 이때 어퍼 사이드 멤버(140)와 백시트 프레임(202)을 연결하는 힌지축(144)은 시트 리클라이너 기구(134)와 로우 사이드 멤버(130) 결합 부분 상부로 위치하므로, 백시트 프레임(202)이 폴딩될 때, 어퍼 사이드 멤버(140)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어퍼 사이드 멤버(140)의 이동은 커넥팅 멤버(150)를 로우 엔드 힌지(154)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어퍼 사이드 멤버(140)가 로어 사이드 멤버(130)와 측면으로 나란한 위치로 하강 이동하게 된다.
리프팅 멤버(300)는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 쿠션 프레임(120)에 결합된 리프팅 높이를(LH;lifting height)를 갖는 부재로서, 시트 쿠션 프레임(12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리프팅 높이(LH; lifting height)로 들려올려지도록 한다. 즉, 언리프팅 위치에 있는 시트 쿠션 프레임을 리프팅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서 시트의 언리프팅 위치(2)의 리프팅 멤버(3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은 시트의 리프팅 위치(3)에서 리프팅 멤버(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멤버(300)는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를 포함한다.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 각각은 상단으로 형성된 어퍼 힌지부(314,324)와, 하단으로 형성된 로어 힌지부(312,322)를 구비하고, 어퍼 힌지부(314,324)와 로어 힌지부(312,322)는 리프팅 높이(LH)로 이격되어 있다.
제1리프팅 멤버(310)와 제2리프팅 멤버(320)는 상호간에 동작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쿠션 프레임(12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데,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의 어퍼 힌지부(314,324)는 시트 쿠션 프레임(120)의 로어 사이드 멤버(130) 내측 사이드 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로어 힌지부(312,322)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12)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도 7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리프팅 멤버(300)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언리프팅 위치(2)에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멤버(30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쿠션 시트(6)가 리프팅 위치(3)로 들어올려진다.
쿠션 시트(6)의 아래쪽에는 시트를 잡고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리프팅 멤버(3)를 세울 수 있도록 시트 리프팅 레버(340)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제1리프팅 멤버(310)의 어퍼 힌지부(312)가 로어 사이드 멤버(130)의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로어 힌지부(314)가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의 중간 부분 근처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제2리프팅 멤버(320)의 어퍼 힌지부(324)는 제1리프팅 멤버(310)와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로어 사이드 멤버(130)에 힌지결합되고, 로어 힌지부(322)는 베이스 사이드 멤버(112)의 후단 측에서 힌지결합된다. 시트 언리프팅 위치(2)에서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는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수평방향으로 접혀져 위치한다.
리프팅 멤버(300)에는 리프트 멤버(300)가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와, 리프팅 멤버(30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 즉, 언리프팅 위치(2)와 리프팅 위 치(3)에서 리프팅 멤버(300)를 유지시키기 위한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400)가 설치된다.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400)는 바람직하게는 제1리프팅 멤버(310)와 제2리프팅 멤버(3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410)을 포함한다. 가스 스프링은 제1리프팅 멤버(310)와 제2리프팅 멤버(320)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다. 가스 스프링(410)은 제1엔드(412)와 제2엔드(414)를 구비한다. 제1리프팅 멤버(310)의 후단에는 아래쪽으로 가스 스프링(410)의 제1엔드(412)가 핀 등에 의해 피벗 연결되는 연결부(316)가 구비되며, 제2리프링 멤버(320)의 후단 아래쪽으로 가스 스프링(410)의 제2엔드(414)가 핀 등에 의해 피벗 연결되는 연결부(318)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리프팅 멤버(300)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와 리프팅 멤버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가스 스프링(410)의 로드 부분(416)이 실린더 부분(418)에서 연장된 길이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가스 스프링은 인출된 로드 부분(416)의 길이 즉, 실린더 부분(418)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미도시)의 위치가 소정 위치에 록킹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리프팅 멤버(300)를 수평으로 접힌 상태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41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 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가스 스프링(410)은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가 수평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며,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를 고정하여 시트를 언리프팅 위치(2)에서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때, 리프팅 멤버(300)의 움직임에 의해 로드 부분(416)이 실린더 부분(418)으로부터 인출되고, 이때 제1리프링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를 고정하여 시트가 리프팅 위치(30)에서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에서 사용되는 가스 스프링은 가스 스프링의 일 종류로 널리 알려진 가스 스프링은 조절 위치가 록킹 가능한 조절 위치 록커블 가스 스프링(adjusted position lockable gas spring)이다. 상기 가스 스프링은 실린더 부분(418)과 상기 실린더 부분(418)에서 연장된 로드 부분(416)을 포함하며, 가스 스프링(410)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로드 부분(416)이 실린더 부분(418)에서 인출되거나 인입 동작을 한다. 로드 부분(416)은 실린더 부분(418) 내부에서서 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에 연결된다. 피스톤(미도시)의 양 사이드는 실린더 부분(418) 내에서 압입 되어 있는 가스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다. 조절 포지션 록커블 가스 스프링(410)에서는 로드 부분(416)을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때 설정된 가스 유동 개방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피스톤 양 사이드 간의 가스의 유동이 개방되어 피스톤을 일정 위치에 록킹시키는 힘이 제거되어 로드 부분이 자유로이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그러나 로드 부분(416)을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피스톤 양 사이드 간의 가스 유동이 막혀 피스톤은 양 사이드에서 작용하는 힘의 평형에 의해 조절된 위치를 유지한다. 로드부분(418)를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피스톤 양 사이드 사이의 가스 유동을 개방시키는 가스 유동 개방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피스톤은 조절된 위치 를 유지하고 로드 부분(416)이 실린더 부분(418)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가스 스프링(410)은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 사이의 간격을 조절된 상태로 유지시켜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가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 즉, 언리프팅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가스 유동 개방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제1리프팅 멤버(310) 및 제2 리프팅 멤버(320)를 회전시켜 시트를 리프팅 시키고 힘을 제거하는 경우 제1 리프팅 멤버(310) 및 제2리프팅 멤버(3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여 시트를 리프팅 위치(3)에서 록킹한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부재 록킹 기구(400)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400)의 다른 예로서 제1리프팅 멤버(310)와 제2리프팅 멤버(320) 사이에는 실린더(430)가 설치된다.
실린더(430)는 리프팅 멤버(3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엔드가 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310)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316)에 피벗 연결되고, 제2엔드가 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320)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318)에 피벗연결된다. 상기 리프팅 멤버(300)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실린더 부분(436)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438)의 길이와, 상기 리프팅 멤버(300)가 로우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436)에서 상기 로드 부분(438)의 길이가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실린더(430)의 로드 부분(438)은 실린더 부분(436) 내측에 위치하는 피스톤(미도시)을 포함한다. 실린더 부분(436) 내측의 피스톤에 가해지는 네트력을 조절하여 로드 부분(438)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압력공급수단(4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압력공급수단(440)은 압력 공급을 제어하여 로드 부분(438)을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조작부(442)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리프팅 위치(3)와 언리프팅 위치(2) 사이에서 동작시킬 때 조작부(442)의 버튼을 눌러 압력공급수단(440)에 의해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리프팅 맴버 록킹 기구(400)의 다른 예로서 기계적인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기구들은 리프팅 멤버(30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록킹하고, 리프팅 멤버(3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록킹하는 록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400)는 언리프팅 위치(2)와 리프팅 위치(3) 각각에서 리프팅 멤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백시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시트 어셈블리(200)는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위치하는 측면 시트를 향해 인출될 수 있는 워킹 테이블(210)을 포함한다. 백시트 프레임(202)의 후면에 설치되어 백시트 프레임(202)의 후면을 커버하는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230)는 워킹 테이블(21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워킹 테이블(210)은 백시트 프레임(202)의 헤드 레스트(205) 결합 위치 반대편 단부 즉, 하단 단부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수용 공간 내외부로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워킹 테이블(210)은 측면 시트를 향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좌,우측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앉은 상태에서 행하는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 된다. 워킹 테이블(210)이 좌측 및 우측의 측면 시트를 향해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워킹 테이블(210)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서로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백시트 프레임(202) 및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230)에는 워킹 테이블(210)이 백시트 프레임(210)쪽으로 회전하여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위치를 지지하는 수납 포지션 멤버(218)와, 워킹 테이블(210)이 힌지점(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 우 시트를 향해 완전히 인출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인출 위치 서포트 기구(22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워킹 테이블(210)에는 힌지점(211) 방향의 측면 상단에 록커부(212)가 형성되고, 백시트 프레임(202)에는 록커부(212)를 지지하는 록커바디(203)가 형성된다.
또한, 워킹 테이블(210)의 일측에는 컵이 아랫방향으로 끼워져 홀딩될 수 있는 크기의 컵 홀더 구멍(215)이 형성된다.
또한, 워킹 테이블(21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210)에는 후면으로 컵을 수용하는 홈 형상의 복수개의 컵 홀더(235)이 형성된다. 백시트(7)가 쿠션시트(6)를 향해 폴딩된 상태에서 백시트(7) 후면은 암 레스트 및 컵 홀더를 할 수 있는 테이블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리프팅 위치에서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폴딩된 시트(1)가 리프팅 위치(3)로 이동한 경우 시트(1)의 백시트(7) 상면은 좌측 또는 우측의 시트(1b)에 착석한 승객의 암 레스 트 높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 시트(1b)에 착석한 승객은 백시트(7)의 상면에 팔을 기댈 수 있다. 또한 시트(1)의 리프팅 위치는 좌측 또는 우측 시트(1b)에 착석한 승객이 노트북 또는 랩탑 등을 올려놓고 작업을 하거나 영화 등을 감상하는 워킹 플레이스가 되기에 적당한 위치를 가진다.
이러한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의 다목적 차량의 미들 시트에 적용되는 경우 유리한데, 도 2 에 도시된 폴딩 상태의 언리프팅 위치에 있는 시트에서 리프팅 부재(300)를 움직여 도 3 에 도시된 리프팅 위치로 들어올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작동이 완료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시트의 전방 하부로 위치하는 슬라이딩 레버를 조작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은 보다 편안한 위치에서 리프트블 시트를 워킹 플레이스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객은 필요에 따라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 테이블을 백시트 어셈블리로부터 꺼내어 워킹 테이블을 워킹 플레이스로 이용할 수 있으며, 워킹 테이블에 설치된 컵 홀더 및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컵 홀더는 승객이 리프트블 시트를 워킹 플레이스로 이용하는 데 보다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프블 시트에 의하면 승객이 착석하지 아니한 시트를 폴딩한 후 암레스트 및 워킹 플레이스로 이용가능한 높이로 리프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팅된 시트는 상기 시트 좌,우측에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암 레스트 및 랩탑, 노트북등을 올려놓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워킹 플레이스로 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백시트 어셈블리에 설치된 워킹 테이블은 좌,우측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보다 편안하게 컴퓨터 작업, 영화 감상 등과 같은 작업 등을 할 수 있게 하며, 컵 등을 홀딩할 수 있는 컵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가 다목적 차량의 2열 시트 중 미들 시트에 적용되는 경우, 다목적 차량의 내부 공간이 편의성과 안락감을 주는 여행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위치하며 승객이 착석하는 쿠션이 설치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전방으로 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쿠션이 결합되는 백시트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을 언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팅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차량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시트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시트 트랙에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시트 드라이브 기구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을 지지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멤버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 우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팅 멤버의 타단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어퍼 힌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프팅 멤버가 상기 로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어퍼 힌지부가 결합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언리프팅 위치에서 리프팅 위치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멤버는 적어도 2개의 리프팅 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멤버를 언리프팅 위치와 리프팅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는,
    가스가 압입된 실린더 부분과, 상기 실린더 부분 내부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내부로 인입되는 로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의 위치가 록킹가능한 조절 포지션 록커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포지션 록커블 가스 스프링은 상기 리프팅 멤버의 하부로 배치되 되, 제1엔드가 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고, 제2엔드가 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멤버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리프팅 멤버가 로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가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멤버 록킹 기구는,
    상기 리프팅 멤버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엔드가 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 연결되고, 제2엔드가 후측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멤버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피벗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멤버가 수평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인출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와, 상기 리프팅 멤버가 로우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분에서 상기 로드 부분의 길이가 차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압력을 상기 실린더 부분에 제공하는 압력공급수단; 및
    상기 압력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 부분의 길이가 제어되도록 하여 상기 시트를 리트팅 위치와 언리프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시트 프레임의 후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설치되는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백시트 프레임과 상기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백 시트 프레임이 상기 쿠션 시트 프레임을 향해 폴딩되고 리프팅 상태에서 측면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인출되는 워킹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테이블은 하단 일측이 상기 백시트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동작을 통해 측면에 위치하는 시트를 향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테이블에는 컵을 홀딩할 수 있는 크기의 컵 홀더용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시트 후면 플레이트에는 컵을 홀딩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KR1020060033368A 2006-04-12 2006-04-12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Ceased KR20070101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68A KR20070101929A (ko) 2006-04-12 2006-04-12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DE602006013279T DE602006013279D1 (de) 2006-04-12 2006-09-25 Hochhebbarer Fahrzeugsitz.
EP06121207A EP1844976B1 (en) 2006-04-12 2006-09-25 Liftable seat for vehicles
US11/591,896 US7401857B2 (en) 2006-04-12 2006-11-02 Liftable seat in a vehicle
CN2006101435294A CN101177128B (zh) 2006-04-12 2006-11-10 车辆的可提升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68A KR20070101929A (ko) 2006-04-12 2006-04-12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29A true KR20070101929A (ko) 2007-10-18

Family

ID=3823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368A Ceased KR20070101929A (ko) 2006-04-12 2006-04-12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1857B2 (ko)
EP (1) EP1844976B1 (ko)
KR (1) KR20070101929A (ko)
CN (1) CN101177128B (ko)
DE (1) DE60200601327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2479A1 (en) * 2008-03-20 2010-11-24 Magna Seating Inc. Second row front tumble hook protection
CN103407389B (zh) * 2013-08-19 2016-08-17 常州市万翔车辆部件有限公司 折叠座椅
DE102014013955B4 (de) * 2014-09-19 2024-03-07 Isringhausen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oder ein Campingmobil
DE102014013746B4 (de) * 2014-09-22 2020-06-18 Kesseböhmer Holding Kg Fahrzeugsitz für insbesondere Nutzfahrzeuge
US10040378B2 (en) 2016-03-28 2018-08-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towable seats
KR102299335B1 (ko) 2017-03-23 2021-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CN107042873A (zh) * 2017-04-05 2017-08-15 东台市水洲盈华船舶配件有限公司 一种可避震调节的船用椅座底座装置
KR102410521B1 (ko) * 2017-12-06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릴렉스 시트
FR3082793B1 (fr) * 2018-06-22 2020-10-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3086606B1 (fr) * 2018-10-02 2021-05-1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Vehicule automobile
US10625680B1 (en) * 2018-10-31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DE102018221340A1 (de) * 2018-12-10 2020-06-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onsole für ein Kraftfahrzeug
US11279266B2 (en) * 2019-03-11 2022-03-22 Newmar Corporation Motor home chair lift
JP7312090B2 (ja) * 2019-11-15 2023-07-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降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3177C2 (de) 1980-11-15 1985-05-23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Abgefederter Fahrzeugsitz
US4979773A (en) * 1988-10-12 1990-12-25 Ford Motor Company Stowable seat with outboard pivotal latch
GB2224198A (en) * 1988-10-26 1990-05-02 Ford Motor Co Seat positioning mechanism
KR960003643B1 (ko) 1992-07-24 1996-03-21 주식회사미원 갈락토올리고당의 제조방법
DE4426846A1 (de) 1994-07-28 1994-12-15 Suspa Compart Ag Längenverstellbare Gasfeder für Stühle, Tische o. dgl.
US6302679B1 (en) 1994-11-10 2001-10-16 Corning Incorporated Honeycomb extrusion die
KR970061619A (ko) 1996-02-15 1997-09-12 강용일 자동차용 보조테이블
US5788324A (en) * 1997-05-20 1998-08-04 Chrysler Corporation Seat assembly with fold-out armrest
DE19882413B4 (de) * 1997-05-27 2008-12-24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Mississauga Fahrzeugsitz mit verstellbarem umklappbarem Sitzmechanismus mit einfachem Einstieg
JP3539228B2 (ja) * 1997-10-23 2004-07-0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
US6220660B1 (en) * 1998-01-02 2001-04-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activity center
WO1999035002A1 (en) * 1998-01-02 1999-07-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back mounted fold down auto office
DE19812140C1 (de) * 1998-03-20 1999-10-07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raftfahrzeugsitz mit klappbarer Rückenlehne
US6199948B1 (en) * 1998-12-16 2001-03-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rchangeable module system
EP1150860A1 (en) * 1999-02-11 2001-11-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use and storage system
JP2001001805A (ja) 1999-06-22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センタシートの取付構造
US6347834B1 (en) * 1999-11-12 2002-02-19 Bertrand Faure Components Ltd. Vehicle seat assembly
US6499787B2 (en) * 2000-07-26 2002-12-31 Lear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seat assemblies
JP2002193002A (ja) 2000-12-25 2002-07-10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2248980A (ja) 2001-02-27 2002-09-0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US6860550B2 (en) * 2002-11-26 2005-03-0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Bucket seat fold out diaper changing table
US6899392B1 (en) * 2003-10-31 2005-05-31 Lear Corporation Stadium slide seat
JP4123521B2 (ja) * 2004-03-31 2008-07-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コンソール
US7077463B2 (en) * 2004-04-06 2006-07-18 Lear Corporation Rear fold down cargo seat with tilt down cushion
US7152921B2 (en) * 2004-08-18 2006-12-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US7686397B2 (en) * 2004-08-20 2010-03-30 Intier Automotive Inc. Easy entry seat track release mechanism
US7267406B2 (en) * 2005-10-21 2007-09-11 Lear Corporation Foldable vehicle seat
US7413252B2 (en) * 2006-03-20 2008-08-19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seat lif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4976B1 (en) 2010-03-31
DE602006013279D1 (de) 2010-05-12
CN101177128A (zh) 2008-05-14
EP1844976A1 (en) 2007-10-17
US7401857B2 (en) 2008-07-22
CN101177128B (zh) 2011-08-31
US20070241600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1929A (ko)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US6997498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6139016B2 (ja) 並進移動を含む、垂直に収納されるトレーテーブルアセンブリ
CN106314223B (zh) 具有可折叠的收起位置的交通工具座椅
US7677656B2 (en) Modular seat/console for a vehicle
JP4900832B2 (ja) 航空機シート
CN103863142B (zh) 伸缩折叠的车辆座椅总成
US7255399B2 (en) Thin profile folding vehicle seat
JP443267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US7651166B2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US7240949B1 (en) Adjustable seat assembly
US20070210601A1 (en) Vehicle panel and seat assembly
JP5746424B2 (ja) スタジアム式および収納式のシート
GB2425947A (en) Stowable seat system
US20090295184A1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GB2395118A (en) Seat assembly having a table extending from upper backrest
GB2569149A (en) Vehicle floor assembly
KR20170142884A (ko) 차량을 위한 시트 장치
US10266075B2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JP6470035B2 (ja) 座席用テーブル装置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200733140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62275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3597497B2 (ja) 車両用シート
JP7449756B2 (ja) 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