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302A -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 Google Patents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6302A KR20070096302A KR1020060026471A KR20060026471A KR20070096302A KR 20070096302 A KR20070096302 A KR 20070096302A KR 1020060026471 A KR1020060026471 A KR 1020060026471A KR 20060026471 A KR20060026471 A KR 20060026471A KR 20070096302 A KR20070096302 A KR 20070096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ight
- photoelectric sensor
- beacon
- war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3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or trains by the transmission of signals therebetwe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 보수 차량의 이동시 자체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광등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철보수차량의 차륜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광전센서부; 차체 외부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장착되는 경광등; 및 상기 광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여 상기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peed of the vehicle itself when moving the train repair vehicle and displays it visually through the warning light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worker of the track or track side can recognize the speed of the vehicle approaching, furthermore It relates to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to facilitate the safety of the worker,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wheel rotation of the train repair vehicle to convert the output into an electrical signal; Warning light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vehicle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warning lam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반적인 광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타이밍도.2 is a timing diagram of pulses output from a general photoelectric sensor unit.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전센서부에서 전철보수차량의 정역 진행방향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the forward and reverse travel direction of a train repair vehicle in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전센서부에서 전철보수차량의 정역 진행방향에 따라 출력되는 펄스의 타이밍도.FIG. 4 is a timing diagram of pulses output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of a train repair vehicle in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제어시스템의 결선도.5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worker safety control system using the warning lights of the train repair vehicl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a.. 제 1광전센서부 10b.. 제 2광전센서부10a .. first
12.. 차륜 14.. 광반사경12 .. Wheel 14 .. Reflector
16.. 과전류 차단기16 .. Overcurrent breaker
20.. 제어장치부 22.. 방향로직20.
24.. 속도 계산 로직부 26.. 경광등 제어 로직부24. Speed
28.. 릴레이 접점부28 .. Relay contact
30.. 전면 경광등 40.. 후면 경광등30 ..
본 발명은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철 보수 차량에 경광등을 설치하여 이동시 차량의 속도를 가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전철 보수 차량의 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warning light on a train repair vehicle to visually display the speed of the vehicle when moving, so that a worker on a track or railroad tracks the speed of the train repair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that can be recognized.
철도는 자동차, 비행기, 선박등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특히 이러한 철도는 지역과 지역 간을 연결하는 대규모 운송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Railroads, along with cars, airplanes and ships, are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make people's lives easier. In particular, such a railway is very useful as a large-scale transportation between the regions.
철도 선로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노후가 진행되므로 이를 보수하기 위한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같이 작업자가 선로를 보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 몇 가지 열차접근 검지장치가 제안되었다.As the railroad tracks become obsolete as time passes, work is often done to repair them.However,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an operator repairs the railroad tracks, several conventional train approach detection devices are used. Was proposed.
첫째, 선로의 일정지점에 초음파에 의한 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열차가 접근하 면 이를 검지하여 무선으로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수신기에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열차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경고하여 주는 방식이다.First, it installs an ultrasonic sensor at a certain point of the track and detects when the train approaches and alerts that the train is approaching by wirelessly generating a warning sound on the receiver that the worker is carrying.
둘째, 발신기가 선로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대기상태로 동작하고 있다가 열차가 오면 주파수나 궤도전압의 상태를 검지하여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수신기로 열차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방식이다.Secondly, the transmitter is connected to the track and operates in a standby state at normal times, and when the train comes, it detects the state of the frequency or track voltage and informs that the train is approaching the receiver that the operator is carrying.
셋째, GPS를 통해 열차 운행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선로에서 작업중인 전철보수요원에게 열차 접근을 경보하여 주는 방식이다.Third, GPS tracks the train's operating position in real time and alerts train repair personnel working on the track to approach train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열차 접근 검지방식 중 첫 번째 방식은, 작업현장의 전후방에 초음파 센서와 무선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뿐 아니라 소소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irst method of the train approach dete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 wireless device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work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labor waste occurs when a small work is not only troublesome.
또한, 두 번째 방식은, 작업자가 소작업 이동시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소수인력 즉 단독작업이나 2인1조 작업으로 순간순간 점검하면서 이동해야 하는 작업자에게는 전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second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er is not at all useful to the worker who must move while checking the momentary work by a small number of people, namely single work or a pair of work because it is impossible to use when the worker moves small work.
그리고, 세 번째 방식은, GPS 위성으로부터 열차위치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수신장치가 고가이기 때문에 상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hird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compatibility is low because a receiver for receiving train location signals from a GPS satellite is expensiv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철 보수 차량의 이동시 자체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광등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 는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measu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tself during the movement of the train maintenance vehicle to display it visually through the warning light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approaching the track or track opera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that can recogniz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further promote the safety of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은, 전철보수차량의 차륜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광전센서부; 차체 외부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장착되는 경광등; 및 상기 광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여 상기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orker safety system using the warning lights of the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wheel rotation of the train repair vehicle to convert the output into an electrical signal; Warning light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vehicle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warning lamp.
상기 제어장치부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flash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제어장치부는, 차량의 정지나 정역방향 운행에 대응되게 상기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beac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stop of the vehicle or running forward and backward.
상기 광전센서부는, 차륜에 장착되는 광반사경이 형성하는 궤적에 빛을 조사하고 수신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 1 및 제 2광전센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photoelectric sensor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trajectory formed by the light reflector mounted on the wheel and converting the receiv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제 1 및 제 2광전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의 생성시점을 근거로 차량의 정역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time of generating the pulses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photoelectric sensor units.
상기 경광등은 각각 적색등과 녹색등을 구비하여 전반부에 장착되는 전면 경광등과 후반부에 장착되는 후면 경광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acon is provided with a red light and a green light,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front beacon mounted on the first half and a rear beacon mounted on the second half.
상기 제어장치부는, 차량의 정지시에, 각각 전면 경광등과 후면 경광등의 적 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차량의 정방향 이동시에, 전면 경광등의 적색등을 점멸,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후면 경광등의 적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며, 차량의 역방향 이동시에, 전면 경광등의 적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후면 경광등의 적색등을 점멸, 녹색등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when the vehicle is stopped, turn off the red light of the front and rear lights, respectively, and flashes the green light, and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the red light of the front warning light flashes, the green light blinks, Turn off the red light of the warning light and blink the green light, and when the vehicle moves backward, turn off the red light of the front warning light, flash the green light, and control the red light of the rear warning light to flash and the green light to blink. It features.
상기 제어장치부는, 차량의 정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전면 경광등 중 녹색등 제어시에, 20km/h 이하로 이동할 때에는 점멸시키고, 20km/h를 초과하여 이동할 때에는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blink when moving below 20 km / h and to turn off when moving above 20 km / h during green light control of the front warning lights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상기 제어장치부는, 차량의 역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후면 경광등 중 녹색등 제어시에, 20km/h 이하로 이동할 때에는 점멸시키고, 20km/h를 초과하여 이동할 때에는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when controlling the green light of the rear warning lights according to the reverse movemen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shing when moving below 20km / h, and to turn off when moving over 20km / h.
상기 제어장치부는, 상기 광전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방향 로직부; 상기 광전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 계산 로직부; 상기 방향 로직부와 속도 계산 로직부에 의해 연산된 차량의 진행방향과 속도를 근거로 상기 경광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광등 제어 로직부; 및 상기 경광등 제어 로직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광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릴레이 접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logic unit that determines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A speed calculation logic unit calculating a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A beacon control logic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beacon based on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calculated by the direction logic unit and the speed calculation logic unit; And a relay contact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beaco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beacon light control logic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 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광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타이밍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전센서부에서 전철보수차량의 정역 진행방향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전센서부에서 전철보수차량의 정역 진행방향에 따라 출력되는 펄스의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제어시스템의 결선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orker safety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iming diagram of the pulse output from the general photoelectric sensor unit, Figure 3 is a photoelectric sensor unit shown in FIG.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cting the forward and reverse travel direction of the train repair vehicle, Figure 4 is a timing diagram of the pulse outpu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travel direction of the train repair vehicle shown in Figure 1, Figure 5 1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worker safety control system using a warning light of a train repair vehicle shown in FIG. 1.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2)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2개의 광전센서부(10a, 10b)와 전철보수차량의 차체 외부에 장착되는 전면 경광등(30)과 후면 경광등(40) 및 상기 광전센서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진행방향과 속도를 판단하여 상기 전면 경광등(30)과 후면 경광등(4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Operator safety system using the warning lights of the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the two photoelectric sensor unit (10a, 10b)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상기한 광전센서부(10a, 10b)는 차륜(12)에 부착되는 광반사판(14)에 광을 조사하고, 이 광반사판(14)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수신 처리하게 된다. The
특히,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상기 광전센서부(10a, 10b)로부터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근거로 전철보수차량의 속도를 판단하고, 이 전철보수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전면 경광등(30) 또는 후면 경광등(40)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정지시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전면 경광등(30) 또는 후면 경광등(40)을 가변적으로 제어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상기 광전센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전철보수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방향로직부(22)와 상기 광전센서부(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전철보수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 계산 로직부(22), 상기 속도 계산 로직부(22)에 의해 연산된 차량 속도를 근거로 상기 전면 경광등(30) 또는 후면 경광등(30)에 대한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광등 제어 로직부(24) 그리고 상기 경광등 제어 로직부(2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면 경광등(30) 또는 후면 경광등(4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릴레이 접점부(2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광전센서부(10a, 10b)와 제어장치부(20) 및 전후면 경광등(30, 40)은 과전류 차단기(16)에 의하여 보호되게 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 경광등 제어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ach component of the train repair vehicle warning ligh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차대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광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2)이 1회전하는 동안 1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펄스 발생 주기를 T라 하였을 때 열차의 속도는 V = S/T(S는 차륜의 원주)로 정해진다.First, the pulse output from the general photoelectric sensor unit mounted on the chassis is generated once while the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 차대에 장착되는 광전센서부(10a, 10b)는 차륜(12)측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신호를 근거로 차륜(12)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은 일반적인 광전센서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광전센서부(10a, 10b)가 장착되게 되고, 각 광전센서부(10a, 10b)는 차륜(12)의 측부에 장착되는 광반사경(14)에 빛을 조사하고 수신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장치부(20)로 출력하게 된다. 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상기 광전센서부(10a, 10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전철보수차량이 정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여 전후면 경광등(30, 40)을 제어하게 된다.The
상기한 제어장치부(20)에 의하여 전철보수차량의 정역방향 판단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f the train repair vehicle by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2)의 측면에는 광반사경(14)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광반사경(14)에 대응되는 차대의 임의의 지점에 2개의 제 1 및 제 2광전센서부(10a, 10b)가 설치되어 광반사경(14)이 부착된 차륜(12)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장치부(20)로 출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a
상기한 제 1광전센서부(10a)와 제 2광전센서부(10b)가 최초(차륜이 정지하고 있을 때) 각각 ⓐ지점과 ⓑ지점에 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철보수차량이 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두 광전센서부(10a, 10b)에 의하여 검출되는 광신호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파를 나타내게 되고, 전철보수차량이 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두 광전센서부(10a, 10b)에 의하여 검출되는 광신호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파를 나타내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first
이때,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차륜(10)이 1회전할 때마다 타이머(미도시)를 리셋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광전센서부(10a, 10b)에 의하여 각각 구형파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계수된 시간을 근거로 전철보수차량이 정방향으로 진행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진행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차륜(12)이 ①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제 1광전센서부(10a)에 의하여 구형파가 발생되면 타이머를 구동하고, 곧이어 제 2광전센서부(10b)에 의하여 구형파가 생성되면 이때 타이머에 의하여 계수된 시간(B_t1)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시 차륜(12)이 회전하여 제 1광전센서부(10a)에 의하여 구형파가 발생되면 이때 타이머에 의하여 계수된 시간(A_t1)을 메모리에 저장한다.That is, the
이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차륜(12)이 ①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 1광전센서부(10a)의 주기(A_t1)가 제 1광전센서부(10a)에 의하여 펄스가 생성된 후 제 2광전센서부(10b)에 의하여 펄스가 생성되는 시간(B_t1)보다 크고, 차륜(12)이 ②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 1광전센서부(10a)의 주기(A_t1)와 제 1광전센서부(10a)에 의하여 펄스가 생성된 후 제 2광전센서부(10b)에 의하여 펄스가 생성되는 때에 계수된 시간(B_t2)이 비슷한 점을 고려하여 차륜(12)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게 된다.Subsequently, in the
즉,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타이머에 의하여 계수된 시간이 [A_t1 - 2B_t1 > 0]을 만족하게 되면 차륜(1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타이머에 의하여 계수된 시간이 [A_t1 - 2B_t1 < 0]을 만족하게 되면 차륜(1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satisfies [A_t1-2B_t1> 0], the
그리고,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상기 제 1광전센서부(10a)에 의하여 생성되는 파형의 주기를 근거로 차량의 이동속도를 연산하게 된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부(20)에 의한 타이머의 구동 동작은 차륜(12)이 회전할 때마다 리셋되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timer by the
한편, 상기한 전면 경광등(14)과 후면 경광등(16)은 전철보수차량의 전반부 또는 후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전면 경광등(14)과 후면 경광등(16)은 각각 적색등과 녹색등을 구비하여 전철보수차량의 차체 외부에 장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철보수차량의 정지시 또는 정역방향 이동시에 서로 다른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전면 경광등(30)과 후면 경광등(40)을 제어하게 된다.As shown in Table 1, the
주1) 전면은 운전석이 있는 곳이고, 후면은 그 반대되는 곳이다.Note 1) The front is where the driver's seat is and the rear is the opposite.
주2) F : 점멸, X : 소등을 의미한다.Note 2) F: Blinking, X: Off.
즉,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정지시(차량의 정지 상태나 정역방향 이동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전센서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에, 각각 전면 경광등(30)과 후면 경광등(40)의 적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정방향 이동시에, 전면 경광등(30)의 적색등을 점멸,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후면 경광등(40)의 적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역방향 이동시에, 전면 경광등(30)의 적색등을 소등,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후면 경광등(40)의 적색등을 점멸, 녹색등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의 진행방향과 이동속도에 따라 전면 경광등(30)의 녹색등과 후면 경광등(40)의 녹색등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점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이 정방향으로 20km/h 이하의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전면 경광등(30)의 녹색등이 점멸되도록 제어하고, 20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전면 경광등(30)의 녹색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부(20)는 전철보수차량이 역방향으로 20km/h 이하의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후면 경광등(40) 중 녹색등이 점멸되도록 제어하고, 20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후면 경광등(40)의 녹색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전철보수차량의 이동속도(20km/h)는 통상 전철보수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이동속도가 20km/h를 넘지 않고, 운행을 할 때에는 20km/h를 초과하기 때문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때, 전철보수차량은 엄밀하게 등속도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과 운행의 판단시에 적절한 오차범위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ing speed of the train repair vehicle as described above (20 km / h) usually does not exceed 20 km / h when operating the train using the train repair vehicle, exceeding 20 km / h when driving That's why. At this time, since the train repair vehicle does not move exactly at the same speed, it is preferable to allow an appropriate error range when determ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보수차량의 경광등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시스템에 대한 결선도로서, 동작전원은 전원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작동됨에 따라 광전센서부(10)와 제어장치부(20) 및 전후면 경광등(30, 40)에 전원 공급이 단속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connection diagram for the worker safety system using the warning lights of the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wer is the photoelectric sensor unit 10 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철 보수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전면 경광등(30)과 후면 경광등(40)의 점멸상태를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가변 제어함으로써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전철 보수 차량의 진행방향과 운행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flashing state of the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 보수 차량의 경광등 제어시스템은, 전철 보수 차량의 이동시 정역 진행방향에 대해 차량의 속도를 경광등으로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rning light control system of a train repai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ly display the speed of the vehicle as a warning light so that a worker on a track or track side can recognize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when the train repair vehicle moves.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전철 보수 차량의 이동시 차량의 속도를 선로나 선로변의 작업자가 가시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operator of the track or track side to visually recognize the speed of the vehicle when moving the train maintenance vehicle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operato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6471A KR100764007B1 (en) | 2006-03-23 | 2006-03-23 |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6471A KR100764007B1 (en) | 2006-03-23 | 2006-03-23 |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6302A true KR20070096302A (en) | 2007-10-02 |
KR100764007B1 KR100764007B1 (en) | 2007-10-09 |
Family
ID=388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6471A Active KR100764007B1 (en) | 2006-03-23 | 2006-03-23 |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4007B1 (e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4690B1 (en) * | 1996-02-08 | 1999-02-18 | 김봉택 | Main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railcar |
JPH1159419A (en) | 1997-08-12 | 1999-03-02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Train approach warning device |
KR100505745B1 (en) | 2002-12-30 | 2005-08-03 | 주식회사 삼삼 | Train approach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
KR100682510B1 (en) * | 2003-12-18 | 2007-02-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ravel speed measurement system of railway vehicle us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
JP4042739B2 (en) | 2004-11-24 | 2008-02-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Wheel speed detection device |
KR20190000099U (en) * | 2018-12-31 | 2019-01-09 | 이보환 | A toy rack |
-
2006
- 2006-03-23 KR KR1020060026471A patent/KR10076400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4007B1 (en) | 2007-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85703A1 (en) | Traffic crossing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of an oncoming locomotive object | |
CN206306932U (en) | A kind of vehicle turn signal automatic control system | |
JPH10504253A (en) | Emergency alert system | |
CN105575114B (en) | A kind of tramcar intersection is made a dash across the red light warning system and alarm implementation method | |
CN203601123U (en) | Automobile door opening warning system | |
CN104050828A (en) | Auxiliary driving system | |
CN203644209U (en) | Road caution system | |
KR100764007B1 (en) | Worker safety system using warning lights of train repair vehicle | |
KR101387435B1 (en) | Traffic signal interlocking tram control system and method | |
RU124647U1 (en) | AUTOMATIC WARNING AND ALERT SYSTEM OF A MOBILE RAIL SIGNALING SYSTEM | |
CN202219756U (en) | Driving safety warning system | |
CN109835249A (en) | A kind of opening door of vehicle auxilia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ultrasonic radar | |
JP5199689B2 (en) | Railroad crossing control system | |
CN202429222U (en) | Crossing control system | |
CN107176236A (en) | A kind of prior-warning device driven safely for electric car and method | |
CN220947967U (en) | Railcar protection device and railcar | |
CN207225235U (en) | A kind of motor turning carrys out car alarm set | |
CN207190916U (en) | An intelligent braking system for an electric trolley | |
KR101457298B1 (en) | A system for driving experience using electric cars | |
CN211252390U (en) | Bridge inspect vehicle suggestion system that traveles slowly | |
KR100497993B1 (en) | Alarm system for alarming train access and method thereof | |
JP4175614B2 (en) | Maintenance vehicle turnout stop device | |
CN109345856A (en) | A kind of automobile auxiliary sig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navigation | |
US20240300557A1 (en) | Railcar Fouling Detection System | |
KR100706377B1 (en) | Emergency system for car shoulder stop and its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