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95896A - 통기성 보호용 물품 - Google Patents

통기성 보호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896A
KR20070095896A KR1020077013248A KR20077013248A KR20070095896A KR 20070095896 A KR20070095896 A KR 20070095896A KR 1020077013248 A KR1020077013248 A KR 1020077013248A KR 20077013248 A KR20077013248 A KR 20077013248A KR 20070095896 A KR20070095896 A KR 20070095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web
layer
glove
art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유안 양
제프리 이. 피시
오만 파이넘모틸 토마스
마틴 에스. 샤미스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9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89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55Saturation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5Wound bandages medication confin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97Wound bandages safety barrier for protection of the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4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4Caps,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or cath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10T442/2148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microporous but is not a fo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13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eather proof, water vapor resistant, or moisture resis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1Multiple nonwoven fabric layers composed of the same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lov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적어도 액체 불투과성 증기 투과성 배리어의 층 및 적어도 스트레치성 또는 엘라스토머성 부직포 섬유 웹의 적층으로 형성된 보호용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배리어는 적어도 한쪽 면이 부직포 섬유 웹으로 보강되고, 이 부직포 섬유 웹은 배리어 층에 결합된 후 탄성인 채로 있다. 배리어 및 결합된 섬유 층의 탄성은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또는 다른 중합체 필름의 유연성을 모방한다. 부직포 섬유 웹은 약 1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개별 섬유를 약 75 % 이상 포함하고, 이 섬유들은 실질적으로 연속이다. 제 2 부직포 웹, 제 2 배리어 층, 또는 둘 모두 통기성 배리어의 외부 쪽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물품의 적어도 일부 위에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또는 다른 중합체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물질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통기성 보호용 물품, 증기 투과성 배리어

Description

통기성 보호용 물품{BREATHABLE PROTECTIVE ARTICL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증기 투과성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웹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구조로 제조된 통기성 보호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글러브(glove), 미트(mitt), 양말, 단화 또는 장화와 같은 커버링(covering)은 환경적 또는 작업적 상황으로부터 손 및 발을 보호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환경의 유형, 작업의 성질 또는 원하는 성질에 의존해서, 이러한 유형의 커버링은 직포 천 직물, 가죽, 천연 라텍스 또는 합성 중합체 엘라스토머성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되어 왔다. 이들 물품은 전형적으로 내구적 용도로 설계되어 왔다.
대부분의 글러브 또는 발 커버는 전형적으로 직포 천 직물, 스웨이드 또는 가죽으로 제조되어 왔다. 직포 직물로 제조된 글러브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피부가 직포 직물 물질의 개별 스트랜드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숨을 쉬게 하고, 손 또는 발로부터 나오는 땀은 어느 것이라도 직물에 의해 위킹(wicking)된다. 가죽은 천 또는 직물로 라이닝된(lined) 물품만큼 꼭 맞지는 않는 경향이 있고, 그만큼 유연하지도 않거나, 또는 피부가 그만큼 쉽게 숨을 쉬게 하지 못하게 한다. 게다가, 가죽은 탄력성은 있지만, 전형적으로 젖음 또는 위험에의 장기간 노출에 대해 중합 체 엘라스토머성 물질만큼 좋은 배리어는 아니다. 실험, 건강 관리 및 임상 또는 다른 작업 환경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유체, 화학 물질 또는 현미경적 병원균에 대해서 더 큰 보호를 요구하는 응용의 경우, 전통적으로 보호용 물품-특히, 글러브-은 바람직하지 않은 두 물질에 대해 불침투성인 배리어 층을 혼입시켜 왔다. 예를 들어, 수술, 검사 또는 작업 글러브는 전형적으로 양호한 배리어 성질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라텍스 또는 다른 탄성 중합체 멤브레인을 이용해서 제조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물질의 양호한 배리어 성질은 피부/손 건강에 나쁜 가혹한 환경을 착용자 피부에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간 동안 탄성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제조된 글러브를 착용하면 착용자 피부가 충분히 숨을 쉴 수 없어서 물품에 땀이 갇힐 수 있고 따라서 글러브 착용을 불편하게 한다. 땀이 축적될 때, 물품 내의 축축한 환경은 진균 또는 효모의 성장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오염을 위한 잠재적인 원천 또는 인큐베이터가 될 수 있고, 이는 피부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직포 및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병용함으로써 해결하려고 노력해 왔다. 흔하게 실시되고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강하고 내성이 있는 물품을 위해 하위층으로서의 직포 또는 천 유사 물질을 배리어 오버코트로서의 엘라스토머성 멤브레인 또는 필름과 합치는 것이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2,060,961, 또는 5,246,658, 또는 미국 특허 공개 2004/0139529). 제조자들은 상대적으로 오랜 작업 수명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내구성 산업용 글러브에 편직물, 직포 또는 부직포 직물을 라이너로 사용해 왔다. 이러한 글러브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특허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글러브는 손 형상 블록 금형 또는 형성기를 제공하고, 직포 또는 편직물 글러브 형상 라이너를 적용하거나 또는 맞춰 넣은 후, 라텍스 또는 니트릴과 같은 중합체 용액 안으로 침지시켜서 글러브 라이너를 덮음으로써 제작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글러브의 라이너는 일반적으로 두껍고,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방법으로 제조된 글러브는 보통 유연성이 불량하고 손에 느슨하게 맞는다. 몇몇 다른 경우에서는,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공기 및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보호 커버를 기재하고 있는 미국 특허 5,981,0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먼저, 직물을 중합체 층에 적층시킨 후 가혹한 환경 하에서 봉합해서 공기 및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솔기를 형성한다. 게다가, 사람 손의 형태는 엄지 손가락이 손바닥을 지나서 상당히 돌출되고 엄지 손가락 및 다른 4 개의 손가락은 원하는 어떠한 일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글러브는 종종 편평한 손 형상 침지 금형 또는 골(last)로 제조된다. 손 또는 발이 3 차원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거의 편평한 금형으로 제조된 글러브 또는 발 커버는 착용시 손 또는 발에 잘 맞지 않고, 불편을 느끼게 하여, 작업시 귀찮게 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제조자들은 섬유로 보강된 엘라스토머성 물품을 제조한다. 가사 또는 산업 용도와 같은 흔한 작업 글러브는 이러한 후자의 디자인의 예이다. 섬유 보강 글러브의 제조자들은 면 플록(cotton flock)과 같은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라이닝을 혼입한다(예: 미국 특허 4,918,754, 4,536,890, 또는 5,581,812). 전형적으로, 플록은 미분되고 짧고 분쇄된 섬유 입자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플록 입자를 접착제로 덮인 백킹(예: 글러브의 외부 껍질) 위에 분무함으로써 라이닝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플록에 의한 내부 글러브 라이닝은 매끄럽고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고, 손을 완충시키며, 땀을 흡수하고, 손을 건조한 채로 유지시키고, 부피가 커짐이 없이 보통의 열 및 차가움에 대해 절연시키며, 글러브를 더 쉽게 끼고 벗을 수 있게 하고, 다른 유익한 특성들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글러브는 작업자들이 선호해서, 다양한 중대형 산업 응용을 위한 흔한 물품이 되어 왔다.
그러나, 면 플록 또는 다른 유사한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라이닝을 갖는 글러브의 불리한 점은 많다. 첫째, 예를 들어, 섬유 및 입자가 글러브 착용자의 손 또는 그 착용자가 착용한 가먼트의 소매 표면에 의한 마모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라이닝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탈착된 입자는, 특히 글러브를 끼거나 또는 착용자 손으로부터 빼낼 때, 글러브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둘째, 짧은 면 섬유 같은 섬유는 전형적으로 엘라스토머성이 아니므로, 그것을 라텍스 또는 니트릴 물질 등으로 제조된 글러브 껍질 위에 코팅하기가 어렵다. 현재 이용되는 상업적 플로킹(flocking) 방법은 풀을 이용해서 짧은 면 섬유를 달라붙게 하는데, 이것은 본질적으로 배치(batch) 방법이고, 섬유가 중합체 층 내에 효과적으로 봉입될 수 없다.
엘라스토머성 물품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상업적인 플로킹된 장갑은 몇몇 경우에서는 착용감 및 편안함을 증진시키기 위해 옥수수 전분 또는 탄산칼슘 분 말과 같은 분말을 사용한다. 분말의 존재는 땀 수분의 일부를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착용자가 직면하는 문제들 중 일부를 다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분말 입자들이 수분을 제한된 양만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분말의 사용은 오직 부분적으로만 성공적이었다. 추가로, 분말은 작은 입자들에 대한 알레르기 및 건강 문제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잘 받아들여지지 못하거나, 또는 청정실 유형 응용에서의 이사용 및 수술 과정 동안의 이용과 같은 일부 이용에서는, 어쨌든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면 라이너 또는 직물 라이너를 갖는 산업용 글러브는 차치하더라도, 편안함, 유연성있는 양호한 맞음새, 손에 끼거나 또는 삽입하기가 쉬움, 분말 무함유, 알레르기 방지, 피부 보호 및 수분 흡수와 같은 성질을 제공할 수 있는 코팅된 섬유를 혼입한 일회용 글러브의 예는 현재 극소수가 존재한다. 일회용 라텍스 글러브의 경우, 도전해야 하는 목표는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섬유로 라이닝된 일회용 글러브를 제조하기 위해 섬유 길이 및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 엘라스토머성 섬유층을 생성하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내구성 산업용 글러브에 관한 현재의 기술은 이러한 목표를 만족시킬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제한된 성공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10/732,959 및 10/732,965에는 멜트블로운 다이 팁으로부터 섬유들이 방사되어 나오자마자 섬유들이 라텍스에 코팅되는, 라텍스 코팅 글로브 형성기에 직접 엘라스토머성 섬유를 코팅하는 방법들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엘라스토머성 섬유 보강 코팅을 갖는 일회용 라텍스 글러브를 제조할 수 있다. 글러브 형성기에 직접 섬유 코팅하는 것이 일회용 라텍스 글러브 제조를 위한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이 방법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코팅에 이용되는 멜트블로윙 방법은 공기를 이용해서 섬유 형성을 촉진한다. 이 기술은 형성기에 모든 섬유를 분무할 수는 없어서, 물질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이 방법은 침지 방법에 의해 글러브 형성기에 코팅될 수 있는 중합체에 제한된다.
글러브 및 발 커버와 같은 통상의 보호용 물품은 내구적 또는 장기간 사용하도록 계획된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제조하기가 더 쉬운 라텍스 또는 다른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경향이 있는 일회용 또는 일회 사용 물품과 비교해 볼 때, 통상의 글러브 제조에 이용되는 제조 방법 및 직포 천 또는 가죽과 같은 물질은 상대적으로 더 비싸고 복잡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라텍스 및 중합체 글러브는 통기성이 없고 내구성이 없다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통기성이 있고, 결합시키는 일 없이도 꼭 맞고, 더 많은 통상의 내구성이 있는 라이닝된 글러브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일회 사용 물품처럼 빠르고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보호용 글러브 또는 발 커버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신규 물품은 일회용 섬유 보강 글러브 및 발 웨어를 위한 부직포 섬유 및 다른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글러브, 발 웨어, 커버링 또는 드레이프와 같은 보호용 물품 또는 가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배리어 층 및 적어도 부직포 섬유 웹 층을 혼입한 라미네이트 구조를 갖는 통기성 보호용 물품을 기재한다. 추가로, 보호용 물품은 제 1 배리어 층이 제 1 부직포 섬유 층과 인접 제 2 부직포 섬유 층 사이에, 또는 제 1 부직포 섬유 층과 인접 제 2 배리어 층 사이에 있도록 제 2 배리어 층 또는 제 2 부직포 섬유 층,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 층은 액체 불투과성이지만, 통기성 물품을 위해 증기 투과성이다. 배리어 층은 적어도 한쪽 면이 적어도 부직포 섬유 층으로 보강된다. 부직포 층은 1 개 이상의 방향으로 스트레치(stretch)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호용 물품이 착용자 몸의 일부에 꼭 맞으면서 구부릴 수 있게 하도록 다방향 탄성을 갖는다. 꼭 맞는 맞음새는 물품 내에 싸일 수 있는 몸의 일부분의 형상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순응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물품은 지나치게 크지 않고 헐렁거리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착용자 몸에 딱 맞고 편안하게 순응하여야 한다. 꼭 맞지만 유연성 있는 맞음새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포 물질이 횡방향(CD) 뿐만 아니라 기계 방향(MD) 스트레치 탄성을 갖는다. 횡방향 탄성은 라미네이트가 부직포 물질의 일반적인 기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즉,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스트레치하도록 당겨질 수 있는 능력 또는 특성을 의미한다. 부직포 섬유 층은 배리어 층과 적층되기 전에 넥킹(necking)된다(즉, 스트레치되고 폭이 수축되게 한다). 이리하여, CD 물질은 또한 네키드 스펀본디드 라미네이트(Necked Spunbonded Laminate, NBL)라고도 알려져 있다. 부직포 웹의 섬유들은 실질적으로 연속인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섬유일 수 있고, 엘라스토머성일 수 있다. 부직포 웹은 약 75% 또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5 - 90 % 이상의 약 1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개별 섬유들을 가질 수 있다. 부직포 섬유 층은 손 또는 발에 더 나은 편안함 및 맞음새를 위해 스트레치성 본디드 카디드 웹, 포인트 언본디드(point unbonded) 웹, 및 다른 적당한 직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용 물품으로 제작될 때, 부직포 섬유 층은 사용자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이 내부 부직포 층은 착용자 피부, 관절 또는 다른 몸 부위에 건강상의 이익을 부여하기 위해 치료제로 처리될 수 있다. 통기성 배리어 층은 액체 수분 배리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최소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 더 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물품은 1 개 이상의 불투과성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물품의 몸체 기재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덮는 오버 코팅으로서 더 혼입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배리어 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배리어 층에 대한 분리된 추가의 오버코트 층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천연 라텍스 고무, 니트릴, 비닐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물질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 기반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가 적절하게 형상화된 금형 또는 골에 배열되어 있을 때 침지, 실크-스크리닝 또는 분무 방법을 이용해서 배리어 및 부직포 적층 몸체 기재에 엘라스토머성 성분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배리어 층의 일부일 때, 중합체 성분은 아마도 중합체 배리어 필름의 요소로서 미리 제작될 것이다.
제 1 부직포 섬유 웹은 사용자의 피부 또는 몸과 직접 접촉하는 물품의 층이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땀 또는 다른 수분을 위킹하는 것이 목적이어야 한다. 부직포 직물 층은 예를 들어 부직포 층의 물리적 구조를 모세관 작용에 적합하게 하거나 또는 층을 특이한 처리,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로 개질하여 위킹을 촉진함으로써 이것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분이 사용자 피부로부터 일단 빠져나오면, 물품의 실시태양 및 원하는 용도에 의존해서, 수분은 통기성 배리어 층을 통해 증발이 일어나는 물품의 영역으로 보내질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물품의 전체 표면이 통기성일 수 있지만, 반면에 예를 들어 글러브의 손바닥 및 손가락 또는 양말의 발바닥 영역에 불투과성 성질 또는 합성 중합체 라텍스의 오버코트를 가질 수 있는 다른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각각 손등, 발등 또는 어느 하나의 커프와 같은 영역으로 증발이 일어날 것이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추가의 부직포 직물 층 및(또는) 제 2 배리어 층이 최소한의 이중층 구조-제 1 통기성 배리어 층 및 제 1 부직포 섬유 층-을 보강할 수 있다. 이 제 2 부직포 층 또는 제 2 배리어 층(제 2 부직포 층 없이)은 제 1 배리어 층 위에 그의 외부 쪽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제 2 부직포 직물 층은 예를 들어 보호용 물품의 쥠(gripping) 또는 미끄러지지 않음 성질을 개선하거나, 또는 세정 응용을 위한 거친 표면을 갖게 하는 텍스처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제 2 부직포 물질은 항미생물제 또는 다른 기능성 화학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제 2 부직포 직물 층 위에 다른 한 배리어 층을 추가로 적층할 수 있거나 또는 불투과성 엘라스토머성 성분으로 코팅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번갈아 위치하는 배리어 층 또는 부직포 층의 반복이 구상된다. 제 2 배리어 층은 제 1 배리어 층과 유사할 수 있고, 추가의 보호용 필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제 2 배리어 층은 원하는 바에 따라 제 1 배리어 층과는 상이한 기능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글러브는 실험실, 임상 또는 병원 환경, 산업 환경, 식품 취급, 가정 환경 및 기타 등등에서와 같이 라텍스 또는 다른 중합체 글러브가 현재 우세하게 사용되는 영역 또는 시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러브는 허용되는 그리고 가끔씩은 우수한 성능으로 화학, 생물학 또는 의학 실험실 이용자, 또는 건강 관리 제공자 등의 배리어 및 보호 요건을 달성할 수 있다. 어떤 점에서는, 본 발명의 글러브는 일회용 라텍스 글러브와 플럭 또는 직포 섬유 라이닝된 산업용 글러브의 갭을 채울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물품은 다양한 부속기(appendage) 병을 치료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글러브 또는 발 커버는 착용자의 피부에 치료 목적의 첨가제 또는 활성제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물품의 가장 바깥 표면을 세정용 물품으로서 더 큰 쥠 및 유용성을 갖도록 개질해서 텍스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 및 관련 제조 방법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낼 것이다. 상기 요약 및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청구된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개관을 제공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로 하는 본 명세서에는 당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가장 좋은 방식을 포함해서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하고 권능 부여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글러브의 손등 쪽에서 본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와 동일한 글러브를 손바닥 쪽에서 본 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통기성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직물 층을 갖는 글러브의 분해 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글러브의 투시도.
제 5A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부직포 글러브의 손가락을 절취한 횡단면도. 폭을 갖는 솔기 (41)은 손가락 부분품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직포 물질의 두 패널을 접합함. 솔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존재하는 여분의 결합 지점들을 나타냄. 이 부분품은 속이 빈 포켓 (42)를 형성함.
제 5B 도는 글러브의 2 개의 편평해진 패널 사이에 펼쳐진 솔기를 예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현미경 배율 하에서 찍은 뻣뻣한 솔기의 사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현미경 배율 하에서 찍은 플러쉬 솔기의 사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플러쉬 솔기의 다른 한 현미경 사진.
제 9 도는 통상의 부직포 글러브에서 전형적으로 솔기의 파열 및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응력을 받을 수 있는 몇몇 위치에 많은 여분의 결합 지점을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글러브의 투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손바닥 영역에 여분의 강화 중합체 도트(dot)를 갖는 글러브의 투시도.
제 11 도는 개방된 손가락 말단부를 갖는 제 10 도에 나타낸 실시태양의 다른 변형.
제 12 도는 다수의 부분품을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는 글러브의 투시도. 각 부분품은 원하는 성질 또는 특성, 및 글러브의 각 부분품의 의도된 용도에 의존해서 동일 또는 상이한 부직포 웹 및(또는) 배리어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예를 들어, 손바닥 및 손가락은 상대적으로 더 탄력성이 있고 텍스처화될 수 있고, 반면에 커프 영역은 더 탄성이고, 글러브의 손등은 더 통기성임.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부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
대표적인 실시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부 - 정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별한 실시태양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는 것이다. 본 발 명은 특이한 조성, 물질, 디자인 또는 장비에 반드시 제한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문맥에서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보통의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첨부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a", "an" 및 "the")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이요소 섬유"(biconstituent fiber)(때로는 "다요소 섬유"라고도 부름)는 동일 압출기로부터 블렌드로서 압출되는 2 개 이상의 중합체 또는 상이한 성질 또는 첨가제를 갖는 동일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필라멘트 또는 섬유를 의미한다. 이요소 섬유는 섬유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위치하는 다른 대역들에 배열된 다양한 중합체 성분들을 갖지 않고, 다양한 중합체 성분들이 보통 섬유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속으로 존재하지 않고, 대신에, 보통 랜덤하게 시작해서 끝나는 피브릴 또는 프로토피브릴을 형성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형의 섬유는 예를 들어 제스너(Gessner)의 미국 특허 5,108,827 및 5,294,482에서 논의되어 있다. 또한, 이요소 섬유는 존 에이. 맨슨(John A. Manson) 및 레슬리 에이치. 스퍼링(Leslie H. Sperling)의 저서(POLYMER BLENDS AND COMPOSITES, Plenum Press, a division of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New York, IBSN 0-306-30831-2, pp. 273-277,ⓒ1976)에서도 논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기성"이라는 용어는 수증기 및 물에 대해 침투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통기성 배리어" 및 "통기성 필름"은 수증기는 통과하게 하지만, 사용자 피부를 미생물 또는 다른 감염 물질로부터는 여전히 보호한다. 예를 들어, "통기성"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이 미미한 변화를 가한 ASTM 표준 E96-80, 업라이트 컵 방법(upright cup method)을 이용해서 측정한 수증기 투과율(MVTR)이 24 시간 당 약 300 g/㎡ 이상인 필름 또는 라미네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직물의 통기성 측정은 본질적으로 하기하는 바와 같이 시험 절차에 미미한 변화를 가한 ASTM 표준 E 96-80에 따라서 계산한다. 각 시험 물질로부터 직경 3 inch의 원 모양 샘플을 자르고, 셀라니즈 세퍼레이션 프로덕츠(Celanese Separation Products)(미국 노쓰캐롤라이나주 샤로테)로부터의 "셀가드"(CELGARD) 2500 시트의 한 조각인 대조군과 함께 시험한다. "셀가드" 2500 시트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이다. 각 물질에 대해 3 개의 샘플을 준비한다. 시험 접시는 No. 60-1 베이포미터 팬(Vapometer pan)(트윙-알버트 인스트루먼트 컴파니(Thwing-Albert Instrument Company)(미국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분배함)이다. 100 ml의 물을 각 베이포미터 팬에 붓고, 시험 물질 및 대조 물질의 개별 샘플들을 개별 팬의 개방된 상부를 가로질러서 놓는다. 스크루-온(screw-on) 플랜지를 꽉 죄어서 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봉을 형성하고, 관련된 시험 물질 또는 대조 물질을 약 33.17 ㎠의 노출 면적을 갖는 직경 6.5 cm 원 위에서 주변 분위기에 노출시킨 채로 둔다. 팬을 32 ℃(100 ℉)의 강제 공기 오븐에 1 시간 동안 놓고 평형시킨다. 오븐은 항온 오븐이고, 수증기가 안에 축적하지 못하도록 외부 공기가 그를 통해 순환한다. 적당한 강제 공기 오븐은 예를 들어 블루 엠 파워-O-매틱 600(Blue M Power-O-Matic 600) 오븐(블루 엠 일렉트릭 컴파니(Blue M Electric Company); 미국 일리노이주 블루 아일랜드)에서 분배함)이다. 평형에 도달했을 때, 팬을 오븐에서 꺼내어 중량을 측정하고, 즉시 오븐에 다시 넣는다. 24 시간 후, 팬을 다시 오븐에서 꺼내어 중량을 측정한다. 예비 시험 수증기 투과율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시험 MVTR = (24 시간에 걸친 중량 손실 (g)) x (24 시간 당 315.5 g/㎡). 오븐 내의 상대 습도는 특별히 조절하지는 않는다. ~ 32 - 37 ℃(~ 95 - 100 ℉) 및 주변 상대 습도의 예정된 세트 조건 하에서, "셀가드" 2500 대조군의 MVTR은 24 시간 동안 5000 g/㎡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대조 샘플을 각 시험과 함께 수행하고, 예비 시험 값들을 다음 방정식을 이용해서 세트 조건으로 보정한다: MVTR = (시험 MVTR/대조 MVTR) x (24 시간 당 5000 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컨쥬게이트 섬유"(conjugate fiber)라는 용어는 분리된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지만 함께 방사되어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는 2 개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의미한다. 또한, 컨쥬게이트 섬유는 때로는 다성분 (muticomponent) 또는 이성분(bicomponent) 섬유라고도 불린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다성분 섬유이긴 하지만, 보통은 중합체들이 서로 상이하다. 중합체들은 컨쥬게이트 섬유의 횡단면을 가로질러서 실질적으로 즉각 위치한 다른 대역들에 배열되고 컨쥬게이트 섬유의 길이를 따라서 연속으로 뻗는다. 이러한 컨쥬게이트 섬유의 형태는 예를 들어 한 중합체가 다른 한 중합체에 의해 둘러싸인 쉬쓰/코어(sheath/core) 배열일 수 있거나, 또는 병렬(side-by-side) 배열일 수 있거나, 또는 파이 배열 또는 "아일랜드-인-더-시"(islands-in-the-sea) 배열일 수 있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카네코(Kaneko) 등의 미국 특허 5,108,820 및 크루거(Krueger) 등의 미국 특허 4,795,668, 스트랙(Strack) 등의 미국 특허 5,336,55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컨쥬게이트 섬유는 파이크(Pike) 등의 미국 특허 5,382,400에서 알려주고 있고, 2 개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의 상이한 확장률 및 수축률을 이용함으로써 섬유에 크림프(crim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크림핑된 섬유는 또한 기계적 수단 및 독일 특허 DT 25 13 251 A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2 개의 성분으로 된 섬유의 경우, 중합체는 75/25, 50/50, 25/75 또는 다른 원하는 어떠한 비율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 섬유는 호글(Hogle) 등의 미국 특허 5,277,976, 힐(Hill)의 미국 특허 5,466,410, 라그만(Largman) 등의 미국 특허 5,069,970 및 5,057,368에 기재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문헌들은 비통상적인 형상을 갖는 섬유를 기재하고 있다.
필라멘트 또는 섬유와 관련해서 "연속"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이라는 용어는 길이가 직경보다 훨씬 더 큰, 예를 들어 직경 대 길이 비가 약 1 : 2,000 또는 3,000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 : 5,000, 15,000 또는 25,000 초과인 필라멘트 또는 섬유를 의미한다.
"일회용품"이라는 용어는 물품을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하도록 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일회 또한 제한된 사용 물품을 의미한다. 일회용품과 연관된 기술적, 물질적 및 경제적 문제는 그 자체가 상대적으로 값비싼 물질로부터 제작되는 여러 번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재사용될 수 있는 물품과는 상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성" 및 "엘라스토머성"이라는 용어는 호환될 수 있고, 변형 응력 또는 힘을 적용할 때 하나 이상의 방향(예: CD 방향)으로 스트레치될 수 있고, 그 힘을 해제할 때 거의 원래의 크기 및 형상으로 되돌아 가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트레치된 물질은 이완된 스트레치되지 않은 길이보다 5 - 20 % 이상 더 큰 스트레치된 길이를 가지고 스트레치하는 바이어스력을 해제할 때 원래 길이의 5 - 20 % 이상 이내로 회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필라멘트"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약 500 - 1000 또는 그 이상의 비와 같이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큰 일반적으로 연속인 스트랜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또는 "적층"이라는 용어는 접착제 결합, 열 결합, 포인트 결합, 압력 결합, 압출 코팅 또는 초음파 결합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결합 단계를 통해서 고착된 2 개 이상의 시트 물질 층들의 복합 구조를 의미한다.
"기계 방향" 또는 MD라는 용어는 웹이 제조되는 방향에서의 웹의 길이를 의미한다. "횡방향" 또는 CD는 직물의 폭, 즉 MD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용융 열가소성 물질을 다수의 미세하고 보통은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서 용융 쓰레드(thread) 또는 필라멘트로서 수렴하는 고속의 보통은 뜨거운 기체 (예: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시키고, 이 스트림이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어테뉴에이션(attenuation)하여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의미하고, 직경은 마이크로섬유 직경까지 감소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멜트블 로운 섬유가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어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됨으로써 랜덤하게 배분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부틴(Butin) 등의 미국 특허 3,849,241에 기재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약 8 - 10 ㎛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될 때 일반적으로 점착성이 있는 마이크로섬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미세다공성 필름" 또는 "미세다공성 충전된 필름"이라는 용어는 필름을 스트레치 또는 배향하는 동안 필름에 미세기공의 발달 또는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제 물질을 함유하는 필름을 의미한다.
"모노리식"(monolithic)이라는 용어는 "비다공성"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고, 따라서 모노리식 필름은 비다공성 필름이다. 모노리식 필름의 물리적 가공에 의해 생성되는 구멍보다는 오히려, 이 필름은 중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분자 스케일의 횡단 크기를 갖는 통로를 갖는다. 통로는 물 분자(또는 다른 액체 분자)가 필름을 통해 퍼질 수 있는 도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증기 투과는 모노리식 필름을 가로질러서 일어나는 농도 구배의 결과로서 모노리식 필름을 통해 일어난다. 이 과정은 활성화된 확산이라고 불린다. 물(또는 다른 액체)이 필름의 몸쪽에서 증발할 때, 수증기 농도가 증가한다. 수증기는 필름의 몸쪽 표면에서 응축하고 가용성으로 된다. 액체로서, 물 분자가 필름 안으로 용해한다. 이어서, 물 분자는 모노리식 필름을 통해 확산하고, 수증기 농도가 더 낮은 쪽에서 공기 중으로 재증발한다.
"수분 배리어"는 액체 유체 투과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투과성인 물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의미하고, 즉, 수분 배리어를 갖는 직물은 ASTM 시험 방법 22에 따르 는 혈액 스트라이크쓰루(strikethrough) 비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넥-본디드"라는 용어는 비탄성 부재가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안에 비탄성 부재에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넥킹된 물질을 생성한 것을 의미한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하나의 층이 넥킹된 비탄성 층이고 다른 하나의 층이 탄성 층인 2 개 이상의 층을 가짐으로써 횡방향으로 탄성인 물질을 생성하는 복합 물질을 의미한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모르만(Morman)의 미국 특허 5,226,992, 4,981,747, 4,965,122 및 5,336,545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들이고, 이들 문헌은 모두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 직물"이라는 용어는 편직 직물에서처럼 확인가능한 방식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인터레잉(interlaying)된 개별 섬유 또는 쓰레드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포 웹 또는 직물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윙 방법, 스펀본딩 방법 및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과 같은 많은 방법들로부터 형성되어 왔다. 부직포 직물의 기초 중량은 보통 평방 야드 당 물질의 온스(ounce)(osy) 또는 평방 미터 당 그램(gsm)으로 표현되고, 섬유 직경은 보통 마이크론으로 표현된다. (osy를 gsm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osy에 33.91을 곱한다는 점을 주의한다.) 부직포 웹 또는 직물은 호환해서 사용될 수 있고, 단위적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개별 섬유의 플록킹 또는 다른 집합과는 구별될 수 있다.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대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 변형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면, "중합체"라는 용어는 분자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는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 및 "시트 물질"이라는 용어는 호환될 수 있을 것이고, 수식어가 없을 때는 직포 물질, 부직포 웹, 중합체 필름, 중합체 스크림-유사 물질 및 중합체 발포 시팅(sheeting)을 의미한다.
"스펀본드 섬유"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애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4,340,563, 도르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3,692,618, 마추키(Matsuki) 등의 미국 특허 3,802,817, 키네이(Kinney)의 미국 특허 3,338,992 및 3,341,394, 하르트만(Hartman)의 미국 특허 3,502,763 및 도보(Dobo) 등의 미국 특허 3,542,6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융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구의 다수의 미세한 보통은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압출시키고,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이 급속하게 감소됨으로써 형성된 직경이 작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 물질을 의미한다. "스펀본드 부직포 웹"은 수집 표면 상에 침착될 때 일반적으로 점착성이 없는 스펀본드 섬유로부터 형성된 섬유 웹을 의미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이고, 평균 직경(10 개 이상의 샘플로부터 얻음)이 7 마이크론(㎛) 초과이고, 더 특별하게는 약 10 ㎛ 내지 40 ㎛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치-본디드"라는 용어는 하나의 층은 개더링가능 층이고, 다른 하나의 층은 탄성층인 2 개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물질을 의미한다. 탄성층이 연장된 상태에 있을 때 이들 층을 함께 접합시킴으로써 층들이 이 완될 때 개더링가능 층이 개더링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탄성 부재는 이 탄성 부재가 그의 이완 길이의 약 25 % 이상 연장되어 있는 동안 다른 하나의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복합 탄성 물질은 비탄성층이 완전히 연장될 때까지 스트레치될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의 한 유형은 예를 들어 밴더 윌렌(Vander Wielen) 등의 미국 특허 4,720,415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참고로 본원에 혼입된다. 다른 복합 탄성 물질은 키에퍼(Kieffer) 등의 미국 특허 4,789,699, 테일러(Taylor) 등의 미국 특허 4,781,966, 모르만 등의 미국 특허 4,657,802, 및 모르만 등의 미국 특허 4,655,760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참고로 본원에 혼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텍스처화된"이라는 용어는 웹의 표면으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부를 갖는 베이스(base) 웹을 의미한다. 돌출부는 예를 들어 약 0.1 mm 내지 약 25 mm, 특별하게는 약 0.1 mm 내지 약 5 mm, 더 특별하게는 약 0.1 mm 내지 약 3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강모, 술, 후크-루프 부착 구조에 사용되는 루프와 같은 루프 구조, 및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뻣뻣한 솔기"는 폭이 약 1 mm 이상인 솔기를 의미한다. "플러쉬 솔기"는 폭이 약 1 mm 이하인 솔기를 의미한다. 솔기 폭 (또는 높이) 및 두께는 제 5 도 - 제 8 도를 참고로 하여 정의한다. 제 5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기는 글러브가 편평한 형상으로 있는 경우(즉, 2 개의 연결된 직물 조각 사이의 각이 0임)의 폭 및 두께로 정의할 수 있다. 솔기가 넓을 수록, 솔기가 뻣뻣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을 직물의 두 패널 (12)와 (14) 사이의 각 (42)가 약 180 °가 되도록 예를 들어 제 5B 도 또는 제 6 도 -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어 펼쳤을 때, 솔기 라인은 2 개의 결합된 직물에 대해 거의 수직이 되고, 따라서 솔기의 폭이 솔기의 높이가 된다. 솔기의 높이는 Z 축 방향으로의 솔기의 돌출된 높이로 정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플러쉬 솔기 라인은 폭이 약 1 mm 미만이고 높이가 약 1 mm 미만이다. 몇몇 실시태양에 따르면, 솔기는 바람직하게는 폭이 500 ㎛ 미만이고 높이가 약 500 ㎛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솔기는 폭이 약 300㎛ 미만이고 높이가 약 300 ㎛ 미만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솔기는 폭이 약 100 - 200 ㎛ 미만이고 높이가 약 100 - 200 ㎛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솔기는 폭이 약 50 ㎛ 미만이고 높이가 약 50 ㎛ 미만이다. 결합 혼(horn) 또는 재봉 다이에서 손가락 글러브 패턴의 폭 및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솔기의 폭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2 부 - 일반적인 설명
피부는 인체의 가장 큰 기관이고, 체중의 약 12 % 내지 16 %의 원인이 되고, 12 내지 20 ft2의 면적을 덮는다. 피부는 두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다. 첫째, 그것은 감각 기관으로서 작용한다. 둘째, 피부는 배리어로서 작용하여 우리 주위 환경의 유해 또는 침입 요소에 맞서서 그리고 유체 손실 및 건조에 맞서서 몸을 보호한다. 그러나, 이 배리어는 제한된 양의 분비를 허락하고 증발에 의해 체온을 조절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여전히 투과성이어야 한다.
글러브 또는 다른 가먼트와 같은 보호용 배리어 물품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물품이 사람 피부를 싸서 통기시키지 않기 때문에 종종 피부 문제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종사자가 예를 들어 수술 절차를 행할 때 또는 드레싱, 카테테르, 환자용 변기를 교체할 때 또는 환자를 목욕시킬 때 등에 일어날 수 있는 환자의 체내 유체와 접촉할 때는 어느 때나 수술 및 의료용 검사 글러브를 착용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수 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서부터 많은 시간까지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건강 관리 종사자는 평균적으로 8 시간당 약 10 내지 15 켤레의 글러브를 착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보호용 배리어 글러브는 낮은 증기 투과율을 가지기 때문에, 손에서 나오는 수분이 착용자 피부에 이웃해서 갇히게 된다. 피부가 장시간 동안 폐쇄될 때, 그것은 쇠약하기 시작하여 나중에 문제를 일으키게 될 수도 있는 피부 손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본 발명은 통기성이지만 환경 상황에 맞서서 강하고 보호적인 보다 더 피부와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적합하게 된 보호용 물품 또는 가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호용 물품의 생성은 유연성 시트 물질로부터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연성 시트 물질은 부직포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종종 발견되는 뻣뻣함 및 라텍스 기반 기재와 연관된 점착성 및 어려운 착용 성질을 감소시킴으로써 원하는 피부 유사 배리어 및 탄성 성질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또한 착용자를 위한 전반적인 촉각적 심미감 또는 감각을 개선할 수 있다. 스트레치성 부직포 웹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 또는 수분 투과율을 허용하면서 유연성을 희생 시킴이 없이 꽉 끼는 편안한 맞음새를 제공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기능적으로 피부와 유사하다. 부직포 섬유 웹 중의 형상화된 섬유는 착용자 피부로부터 수분을 위킹할 수 있고, 따라서 피부 건강을 보전한다. 추가로, 특별한 구조의 몇몇 부직포 직물이 있다고 할 때, 접촉 표면의 주름은 착용자 피부와 실제로 접촉하는 표면적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움으로써, 물품, 예를 들어 글러브를 착용하거나 또는 벗기가 더 쉬워지게 한다. 또한, 부직포 물질의 물리적 구조는 착용자 피부로부터 수분을 위킹하는 모세관 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따라서 축축하거나 또는 끈적끈적한 감각을 제거하고 착용자가 건조하고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한다.
부직포 물질은 보통은 직포 천, 부드러운 가죽 또는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래티스(lattice)만큼 순응적이지는 않다. 즉, 부직포 물질은 굽히거나 또는 구부려지지 않고, 뻣뻣하고 유연성이 없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몸에 착용했을 때 그러하다. 갑갑함이 없고 편안함 및 제한 없는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해, 부직포 성분으로 제조된 보호용 가먼트는 지나치게 크고 헐렁헐렁한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그것은 예를 들어 사람의 손, 발, 팔꿈치 또는 무릎에 꼭 맞고 순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부직포 물질은 갑갑함 및 움직임 구속이 없이 꽉 끼게 맞고 여전히 양호한 유연성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보호용 물품의 제조에는 고려되지 않았다. 추가로, 사이징(sizing) 문제 때문에, 부직포 물질은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제조 및 결합 기술의 진보로, 직포 천 유사 물질의 감촉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부직포 물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더 유연성인 보호용 물품 제조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보호용 물품은 통상의 내구성 글러브 및 발 커버와 덜 비싼 일회용품 사이의 갭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직포 웹은 고속 제조 기술을 이용해서 보호용 물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스트레치성 다방향성 탄성 부직포 웹을 본 발명의 물품에 적합하게 하는 것은 유연성 있는 꼭 맞는 맞음새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약 5 - 10 % 이상의 물질을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것은 일회 또는 제한된 사용을 위한 일회용품을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직포 웹의 탄성 성질은 3 차원적 구조, 예를 들어 글러브의 경우에는 손의 3 차원적 구조와 순응하도록 보다 더 쉽게 몰딩되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손이 전통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글러브보다 더 자연스럽게 구부릴 수 있고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물품은 적어도 중합체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섬유 층을 가지는 적어도 2 층 구조를 갖는다. 이 물품의 특별한 형태는 원하는 성질 및 그의 특이한 의도된 용도에 좌우될 것이다. 글러브와 같은 3 층 물품의 경우, 외부 층 및 내부 층은 둘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직포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삽입된 중간층은 엘라스토머성 멤브레인 또는 다른 중합체 필름이다. 중합체 층은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어느 방향으로도 또는 x 방향이든 또는 y 방향이든 원하는 한 방향으로 10 - 25 % 이상 스트레치될 수 있는 탄성 유연성 플라스틱이고, 또한 강한 수축력을 갖는다.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신장성,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물질이다. 중합체 층은 주요한 배리어 층이다.
3 개 초과의 층을 갖는 글러브는 부직포 및 중합체 필름 층들을 예정된 원하 는 보호 성질에 의해 한정되는 어떠한 순서로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최초의 층은 부직포 층이고, 그 위에 배리어 층이 고착된다. 배리어 층 위에 또 다른 하나의 부직포 층 또는 또 다른 하나의 배리어 층이 있을 수 있고, 각 층은 보호 성질을 추가 또는 증진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모든 층은 다양한 열, 화학, 초음파 또는 물리적/기계적 수단을 이용해서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품은 손가락의 큐어(cure)를 따라서 또는 글러브의 개별 손가락 사이에서와 같이 구부려지는 지점에서 뭉치지 않고 예를 들어 글러브 또는 발 커버의 손목 또는 발목에 너무 꽉 끼게 죄거나 또는 미끄러져 벗겨짐이 없이 꼭 맞는 개구를 갖는 속이 빈 몸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 1 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2 층 글러브 (10)에서 가장 내부에 있는 층인 부직포 층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한편 중합체 층은 외부 배리어를 제공한다. 제 1 도의 실시태양에 따르면, 글러브는 제 2 패널 (14)에 부착되어 속이 빈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제 1 패널 (12)를 가질 수 있다. 제 1 패널 (12)는 적어도 스트레치성 다방향 탄성 부직포 섬유 웹 (18)에 고착된 통기성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배리어 층 (16)으로 이루어지고, 배리어 층 (16)이 상기 부직포 섬유 웹 (18)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층은 부직포 웹과 동일 영역을 차지한다. 제 2 패널 (14)는 적어도 탄성 부직포 섬유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임의로, 제 2 패널에도 배리어층이 적용될 수 있다. 제 3 도는 배리어 층 (14)가 부직포 층 (16)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벗겨진 글러브의 분해도를 나타 낸다. 제 1 패널은 솔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 2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패널의 부직포 섬유 웹은 연속 섬유를 포함한다. 제 1 도의 실시태양의 커프 또는 손목 개구부 영역 (20)은 착용자 손에 대한 글러브 (10)의 맞음새를 유지하고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일련의 개더 (22)를 보여준다. 이어서, 손등으로부터 본 제 1 도에는 부분적으로 보여주고 제 2 도에서는 완전히 보여주는 글러브 (10)의 손바닥 (23), 엄지손가락 (24) 및 다른 4 개의 손가락 (25), (26), (27) 및 (28) 각각은 천연 라텍스 고무, 니트릴, 비닐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중합체 물질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 오버코트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물질 (30)으로 코팅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코팅은 제 1 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적용된다. 즉, 불투과성 엘라스토머성 성분이 각각 글러브의 손바닥 및 발 웨어의 발바닥을 덮을 수 있지만, 손의 손등 및 발의 발등의 영역을 덮을 수도 있다. 이들 영역도 또한 엘라스토머성 성분의 코팅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통기성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물품의 전체 표면이 덮이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글러브의 손등 또는 커프 영역의 일부는 비통기성 엘라스토머성 물질이 없는 채로 있는데, 이것은 부직포 층이 피부로부터 위킹된 땀 및 다른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부직포 직물 구조의 모세관을 통과하는 수분은 손의 손등 표면으로 올 수 있고, 글러브의 덮이지 않은 부분을 통해 증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임의로 엘라스토머성 물질이 손의 손바닥 쪽 및 손등 쪽 양쪽 모두인 글러브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글러브 또는 발 웨어에서, 예를 들어, 부직포 층은 배리어 층 및 엘라스토머성 오버코트의 라이닝 또는 언더글러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직포 섬유 층 웹은 피부로부터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분리해서 떨어진 채로 유지시킨다. 둘러싸인 피부 위에서 천연 고무 라텍스로 제조된 물품 또는 가먼트의 착용과 연관된 흔한 문제는 고무 라텍스 중의 단백질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라고 믿어지는 다양한 피부 알레르기(예: 자극성 피부염, 지연형 피부 과민증(제 IV 형 알레르기), 및 급성 반응(제 I 형 알레르기)의 발달이다. 부직포 라이너의 사용으로, 피부와 라텍스의 직접 접촉을 피함으로써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이 최소화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라텍스 고무와 접촉하는 대신, 배리어는 기다란 인접 섬유 스트랜드들의 부직포 층을 갖는 내부 표면에 닿게 되는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것이다. 부직포 라이너는 착용자에게 라텍스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의 직접적인 피부 접촉보다 유의하게 더 편안한 부드러운 천 또는 "면 유사"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라이너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그리고 특수 착용 코트에 필요한 통상의 필수품을 제거함으로써 라이닝되지 않거나 또는 덮이지 않은 라텍스 글러브에 비해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부직포 직물이 플라스틱 필름 또는 라텍스 멤브레인에 비해 마찰계수가 더 낮기 때문에, 부직포 직물의 내부 라이닝을 갖는 글러브는 글러브를 끼거나 벗는 것을 도울 수 있어서, 사용자가 글러브 안으로 또는 밖으로 손을 쉽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부직포 층이 축축한 사람 피부에 대해 고무 또는 다른 중합체 라텍스 조성물만큼 점착성 또는 내성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글러브에는 옥수수 전분 또는 탤컴 분말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 문제로, 라텍스 글러브는 상이 한 제조자들에 의한 두께 불규칙성으로 부터 발생하는 품질 문제로 말썽이 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글러브는 편안함 및 더 나은 제어를 위해 더 균일한 두께를 제공할 수 있고, 부직포 웹을 미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시 품질 및 재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당업계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중합체 기반 물질이 천 유사 부직포 직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기초적인 기재 또는 베이스 부직포 섬유 웹은 웹이 천 유사 성질을 갖도록 예를 들어 합성 섬유, 펄프 섬유, 열기계적 펄프 또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데는 유연성 시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부직포 웹 물질은 예를 들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코폼, 스펀본드-필름-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이성분 스펀본드, 이성분 멜트블로운, 이요소 스펀본드, 이요소 멜트블로운, 본디드 카디드 이성분 웹, 크림핑된 섬유 에어레이드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웹은 탄성 라미네이트 또는 필름 라미네이트와 같은 다양한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탄성 라미네이트는 스트레치-본디드 및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열가소성 필름 또는 마이크로섬유 층과 함께 사용되는 스펀본딩 및 멜트블로윙과 같은 압출 방법 및 에어레잉 및 카딩과 같은 기계적 건식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상 부직포 웹이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성분들의 물질 및 제조는 직포 또는 편직 성분들의 비용에 비해 종종 저렴하기 때문에, 제품은 일회용일 수 있 다.
비흡수성 물품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은 실질적인 양의 유체를 갇히게 하거나 또는 흡수하지 않고 착용자의 몸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거나 또는 덮도록 구성된다. 비흡수성 물품은 예를 들어 기저귀, 성인 실금용품, 또는 생리대와는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은 전형적으로 글러브 또는 발 커버링에 형태 맞춤 성질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성 성분으로 형성된 글러브는 사람의 손에 꼭 맞을 수 있어서, 글러브가 손에 더 효과적으로 머무를 수 있다. 배리어 필름은 글러브의 다른 표면으로부터 사람의 손으로의 액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채로 있으면서 사용 동안 사람의 편안함을 보조하도록 "통기성"인 채로 있도록 적합하게 된다.
배리어층은 기초적인 기재 또는 베이스 부직포 웹 내에 혼입되거나 또는 거기에 적용되는 수분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분 배리어는 상대적으로 액체 불침투성인 배리어, 층 또는 필름 어느 것이라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는 글러브를 사용하고 있을 때 그 안에 삽입된 손이 건조한 채로 있도록 글러브를 통한 액체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수분 배리어는 글러브 안에 있는 손이 더 편안하도록 통기성, 즉 증기 투과성인 채로 있을 수 있다. 적당한 수분 배리어의 예는 필름, 섬유 물질, 라미네이트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액체 배리어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필름 또는 마이크로섬유의 층이 사용될 수 있고, 추가의 스트레치 및 회복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탄성 층(예: 탄성 필름 또는 탄성 마이크로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 및 특별하게는 탄성층은, 필름 시트 층이든 마이크로섬유 층이든 간에, 종종 만졌을 때 고무 같은 느낌 또는 점착성 느낌과 같은 불쾌한 촉각적 심미적 성질을 가져서, 그것을 착용자 피부에 대해 불쾌하고 불편하게 한다. 한편, 섬유상 부직포 웹은 더 나은 촉감, 편안함 및 심미적 성질을 갖는다.
탄성 필름의 촉각적 심미적 성질은 탄성 물질의 외부 표면 상에 섬유상 부직포 웹과 같은 1 개 이상의 비탄성 물질을 갖는 탄성 필름의 라미네이트를 형성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과 같은 비탄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섬유상 부직포 웹은 일반적으로 비탄성인 것으로 여겨지고, 불량한 신장성을 가질 수 있고, 비탄성 부직포 웹이 탄성 물질에 적층될 때, 얻어진 라미네이트는 또한 그의 탄성 성질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 웹이 넥킹 또는 개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신장성이 되게 한 부직포 웹과 탄성 물질의 라미네이트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포 섬유 웹은 다공성일 수 있고, 그의 섬유 표면은 다양한 상이한 표면 기능들을 갖도록 더 개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웹과연관 있는 기공은 필요하면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 전에 글러브 전체 또는 일부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처리를 위한 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다. 건조 피부, 창상, 베인 상처, 타박상, 수포, 악취 제어, 손 또는 발의 보온 유지 등을 위한 보호용 가먼트로서 이용될 때, 치료 목적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를 글러브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의 예는 추가된 강도, 편안함, 피부 보호 및 무분 말이라는 양상이 바람직한 특성인 일회용, 검사, 수술, 청정실, 작업 및(또는) 산업용 보호용 글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물품은 일반적으로 항생제, 항미생물제, 소염제, 네오스포린, 보습제, 양이온 중합체,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관절염, "블랙 토우", "방아쇠 수지증" 또는 끼거나, 삐거나, 과신전되거나, 좌위되거나 또는 부러진 부속기와 같은 다른 병을 치료하기 위한 글로브로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글러브는 일반적으로 국소 진통제(예: 벤-게이(등록상표)(BEN-GAY®)), 소염제, 혈관 확장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디메틸 술폭시드(DMSO), 캡사이신, 멘톨, 메틸 살리실레이트, DMSO/캡사이신, 양이온 중합체, 항진균제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수용액, 비수성 용액(예: 오일), 로션, 크림, 현탁액, 겔 등의 형태로 본 발명의 글러브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될 때, 수용액은 예를 들어 글러브에 코팅, 분무, 침윤 또는 함침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첨가제가 비대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경우에서는, 첨가제가 글러브의 약 100 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의 약 50 중량% 미만, 특히 글러브의 약 10 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의 약 5 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의 약 1 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어느 주어진 범위도 더 적게 포함하는 어떠한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45 내지 90의 범위는 또한 50 내지 90, 45.5 내지 80, 75 내지 89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것이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일부 영역에만, 특히 처리가 요구되는 영역에만 상기 첨가제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러브는 손가락 부속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손가락 영역에만 첨가제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 웹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불소중합체, 비닐 중합체 및 그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로 형성된다. 적당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6/6, 나일론 10, 나일론 12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그의 블렌드;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그의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이다. 추가로, 적당한 섬유 형성 중합체는 그 안에 블렌딩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에 사용되는 부직포 직물은 이러한 라미네이트로 전환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약 10 g/㎡ 내지 50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 g/㎡ 내지 25 g/㎡의 기초 중량을 가진다.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부직포 직물은 약 15 g/㎡ 내지 20 g/㎡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한 유연성 시트 물질은 유연성인 채로 있으면서 유체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는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이 필름은 미세다공성 또는 모노리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 제작시에는 미세다공성 또는 모노리식 필름이 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각각의 영역이 그의 기능에 따라서 상이한 요구를 가질 것이고 그것은 상이한 환경 상황에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성질 또는 용도에 의존해서, 글러브 또는 발 커버의 한 부분은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고(예: 글러브의 손등, 또는 발 커버의 상부 몸체), 한편 다른 한 부분은 모노리식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예: 손바닥 및 손가락, 또는 발바닥). 몇몇 변형에서, 예를 들면, 발 커버링의 발바닥처럼 글러브의 손바닥 및 손가락 영역은 종종 마모성 또는 단단한 표면에 대한 많은 마멸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생물적 위험에 노출될 것이고, 따라서 그들은 웨어를 보호하기 위해 탄력성 및 불투과성일 필요가 있다. 이와 반대로, 손등 및 발 커버의 상부 몸체는 상대적으로 가혹한 처리 사용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더 통기성인 필름이 더 적합하다. 이러한 필름의 예는 맥코맥(McCormack) 등의 WO 96/19346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또, 마모에 노출되기 때문에, 글러브의 손바닥 및 손가락은 배리어층을 강화하거나 또는 글러브 또는 발 커버의 하위의 부직포 라미네이트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의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오버코트를 가질 수 있다.
유연성 시트 물질은 넓은 스펙트럼의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지만, 이하에서는 예시의 목적으로 부직포 웹 및 중합체 필름이 이용된다. 기계 방향 인장력이 탄성 필름 시트에 적용될 때, 이 힘은 탄성 필름 시트가 기계 방향으로 스트레치되거나 또는 늘어나게 할 것이다. 필름 시트가 탄성이기 때문에, 인장력이 제거 또는 이완될 때, 필름은 원래의 기계 방향 길이로 수축될 것이다. 필름이 기계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또는 더 짧아질 때, 탄성 필름의 면 또는 면들에 결합된 제 1 섬유상 부직포 웹 및(또는) 제 2 섬유상 부직포 웹은 굽어지거나 또는 개더를 형성할 것이다. 개더는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의 개방된 말단부 둘레에 커프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탄성 라미네이트 물질은 섬유상 부직포 웹 또는 웹들의 개더 또는 굽어진 부분이 다시 당겨져서 편평하게 될 수 있고 탄성 필름이 늘어나게 할 수 있는 정도까지 기계 방향으로 스트레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러브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단일 조각의 직물로부터 단위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다수의 부분품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부분품은 다른 부분품들보다 더 스트레치될 수 있고, 몇몇 영역에서는 더 탄력성이 있어서 다른 영역들보다 더 강하다. 글러브의 원하는 특성에 의존해서, 각 부분품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2 개 이상의 동일하지 않은 부분품으로부터 형성되고, 이 경우, 한 부분품은 부직포 물질로부터 형성되고, 다른 부분품은 엘라스토머성 부직포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베이스 웹 물질의 2 개 이상의 부분품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솔기에 사용되는 물질의 유형 및 강도 요건에 의존해서,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은 뻣뻣하거나 또는 부드러운 플러쉬 솔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뻣뻣한 솔기"는 1 mm 초과의 폭을 갖는 솔기를 의미한다. 몇몇 예에서, 솔기 폭은 10 mm 정도로 넓을 수 있다. "플러쉬 솔기"는 약 1 mm 미만의 솔기 라인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플러쉬 솔기는 폭이 약 500 ㎛ 미만이고 높이가 약 500 ㎛ 미만이다. 종종, 솔기는 폭이 400 또는 300 ㎛ 미만이고 높이가 400 또는 300 ㎛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솔기는 폭이 100 ㎛ 미만이고 높이가 100 ㎛ 미만이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솔기 폭은 약 50 ㎛ 정도로 좁을 수 있다. 솔기의 폭 및 높이는 예를 들어 결합 혼 또는 결합 앙빌 또는 초음파 재봉 다이에서 손가락 글러브 패턴의 폭 및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뻣뻣한 유형의 솔기 및 플러쉬 유형의 솔기의 예가 각각 제 5 도 및 제 6 도에 예시된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제 5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기 라인은 글러브가 편평한 형상으로 놓여 있는 경우(2 개의 연결된 직물 사이의 각 (42)가 0°임) 폭 (41) 및 두께 (4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넓은 솔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뻣뻣함을 갖는 솔기를 생성한다. 따라서, 솔기가 넓을 수록, 솔기의 뻣뻣함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직물 사이의 각 (42)가 약 180 °이면, 솔기 라인은 2 개의 결합된 직물에 대해 수직이 되고, 제 5A 도 및 제 5B 도에서와 같은 솔기의 폭 (41)은 제 6 도에서는 솔기의 높이가 된다. 솔기의 높이 (41)은 z 방향에서 솔기의 돌출된 높이로 정의할 수 있다. 글러브 취급, 손 삽입 및 사용 동안 봉합을 더 증진하고 솔기 라인의 열림 가능성을 감 소시키기 위해,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한 결합 영역에 여분의 결합 지점 (44) 및 (45)가 있을 수 있다. 여분의 결합 지점 (44) 및 (45)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글러브를 손에 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든다.
다른 한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섬유 보강 일회용 글러브 또는 발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다른 공정을 기재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제 1 부직포 섬유 층 및 제 1 통기성 배리어 층을 갖는 베이스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베이스 물질을 금형 및 다이에 적용해서 부직포 섬유 층이 물품의 내부 라이닝이 되게 구성하는 단게; 속이 빈 몸체를 갖는 물품을 형성하고 솔기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중합체 엘라스토머 물질의 오버코트가 요구되는 경우, 부직포-웹-배리어 층 라미네이트 몸체를 손 또는 발 형상의 금형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일단 라미네이트 베이스 물질을 금형에 놓고 물품의 솔기를 봉합하면, 그 공정은 추가로 금형을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또는 다른 중합체 용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엘라스토머성 물질의 욕에 침지시켜서 물품의 적어도 일부 위에 불투과성 코팅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통상의 미세 분무 기술을 이용해서 속이 빈 몸체를 갖는 물품 위에 엘라스토머성 또는 다른 어떠한 코팅이라도 만들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코팅은 글러브의 손바닥 및 손가락 영역 위에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턴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치료 용도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에 다양한 첨가제를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부속기 병 및 부상이 사람들을 끊임없이 괴롭혀 왔다. 예를 들어, 손가락 및 발가락은 창상을 당하거나, 베이거나 또는 수포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및 발가락의 관절은 관절염 또는 손목굴증후군과 같은 많은 병을 앓을 수 있거나, 또는 끼이거나, 삐거나, 과신전되거나, 탈구되거나 또는 부러진다. 또, 손가락 및 발가락은 사마귀 또는 티눈으로 괴로움을 당할 수 있거나, 또는 발톱은 조갑백선이라 불리는 진균 감염을 앓을 수 있거나, 또는 단화 또는 장화 말단부와 발톱이 반복적으로 강하게 부딪힌 결과로 생기는 하이킹하는 사람, 운동 선수, 조깅하는 사람 및 그 밖의 다른 사람들의 장기 병인 "블랙토우"를 앓을 수 있다.
III 부 - 성분
본 발명은 글러브의 다양한 실시태양을 나타낸 첨부하는 제 1 도 내지 제 12 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글러브는 일회용품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글러브는 일회용 실시태양에만 반드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내구성 산업용 글러브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발 보호용 가먼트를 제작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물질 및 일반적인 구조 면에서, 사람 발의 윤곽에 더 잘 맞추기 위해서 발 커버와는 형상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발 커버는 손 글러브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4 도에서, 글러브 (28)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인 섬유를 갖는 부직포 섬유 웹 (17) 및 탄성 배리어 층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구조로부터 형성된 몸체를 갖는다. 임의로, 여분의 보호를 위해 천연 또는 합성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또는 수지의 오버코트 (19)를 손가락 (24) - (28) 및 손바닥 (23)에 적용할 수 있다. 손목 영역 (20) 둘레에, 우세한 일방향 스트레치를 갖는 넥킹된 섬유 메쉬로부터 제조된 탄성 영역 또는 밴드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글러브는 단일 조각의 부직포 직물로부터 단위적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글러브 착용자는 글러브가 편안하게 맞을 때까지 손 위에서 글러브를 조종할 수 있다. 손이 삽입될 수 있는 한 다른 어떠한 형상이라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글러브의 크기 및 길이는 손의 크기 및 글러브의 원하는 용도에 의존해서 달라질 수 있다.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몇 변형에서, 글러브는 약간 끝이 가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는 손가락 부분품의 말단이 더 좁아져서 손가락의 윤곽에 더 잘 순응한다.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몇몇 경우에서, 손에 꽉 끼게 맞는 맞음새, 특히 개방된 말단부에서 손가락에 꽉 끼게 맞는 맞음새는 손의 다른 부분으로 먼지 또는 오일과 같은 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봉쇄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 동안 글러브의 뻣뻣한 솔기의 감촉을 부드러워지게 하기 위해, 솔기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컷(cut)를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컷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는 컷은 솔기를 따라서 좁게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컷은 예를 들어 1 cm 미만씩 떨어져 있을 수 있고, 특히 약 0.5 cm 미만씩 떨어져 있을 수 있고, 더 특히는 약 1 mm 미만씩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컷은 솔기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컷의 길이는 특별한 응용에 의존해서 약 0.1 cm 내지 약 0.5 cm일 수 있다. 마이크로컷은 적당한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서도 솔기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컷은 컷팅 다이, 레이저 기술, 초음파 나이프 및 기타 등등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글러브는 또한 솔기가 글러브 내부에 있도록 뒤집을 수 있다. 게다가, 솔기는 또한 손에 더 많은 마찰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맞음새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실시태양에서, "뒤집힌" 상태는 글러브가, 특히 손가락 영역에서, 사용 동안 "편평해지는 것"에 대해 더 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A. 부직포 섬유 층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글러브는 다양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글러브는 베이스 웹으로부터 단위적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글러브는 동일 또는 상이한 베이스 웹으로부터 제조된 2 개의 부분품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웹"은 1 개 이상의 층의 섬유상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응용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글러브는 본 명세서에서 "탄성 부직포"라고 지칭하는 탄성 성분을 함유하는 부직포 웹으로 제작된다. 탄성 부직포는 비탄성 및 탄성 성분들을 갖거나 또는 탄성 성분만을 갖는 부직포 물질이다. 탄성 성분은 글러브의 분리된 한 부분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러브는 비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제 1 부분품 및 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제 2 부분품을 포함하는 2 개 이상의 부분품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별법으로, 글러브는 탄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일 조각의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성분은 라미네이트 구조로 혼입되는 필름, 스트랜드, 부직포 웹 또는 탄성 필라멘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탄성 물질은 전형적으로 부직포 웹 또는 필름을 포함한다. 부직포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카디드 웹 및 기타 등등일 수 있다. 웹은 합성 또는 천연 섬유와 같은 다양한 섬유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글러브를 제작하는 데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섬유는 용융방사 필라멘트, 스테이플 섬유, 용융방사 다성분 필라멘트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웹의 부직포 물질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는 합성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속이 비거나 또는 속이 꽉 찬, 곧거나 또는 크림핑된, 단일 성분, 컨쥬게이트 또는 이요소 섬유 또는 필라멘트, 및 이러한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적당한 모르폴로지이면 어느 것이라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 섬유는 다양한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열가소성 중합체"라는 용어는 열에 노출될 때는 부드러워지고 주변 온도로 냉각될 때는 원래 상태로 실질적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반복적으로는 일어나는 장쇄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대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등 및 그의 블렌드 및 변형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블렌드"라는 용어는 2 개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게다가,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면, "중합체"라는 용어는 분자의 모든 가능한 기학학적 형태를 포함할 것이다. 이들 형태는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열가소성 물질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플루오로카본,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알콜, 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예를 들어 탄성 폴리올레핀,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일반식 A-B-A' 또는 A-B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코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A-B-A-B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및 기타 등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많은 폴리올레핀이 섬유 제조를 위해 입수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우 케미칼 (Dow Chemical)의 PE XU 61800.4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25355 및 12350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과 같은 폴리에틸렌이 이러한 적당한 중합체이다. 섬유 형성 폴리프로필렌은 엑손 케미칼 컴파니(Exxon Chemical Company)의 에스코렌(등록상표)(Escorene™) PD 3445 폴리프로필렌 및 몬테일 케미칼 코(Monteil Chemical Co.)의 PF-304 및 PF-015를 포함한다. 많은 다른 통상의 폴리올레핀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폴리부틸렌 및 기타 다른 것들을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및 그의 합성 방법의 예는 던 이. 플로이드(Don E. Floyd)의 문헌[Polymer Resins(Library of Congress Catalog No. 66-20811, Reinhold Publishing, 뉴욕, 1966)]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상업적으로 유용한 폴리아미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및 나일론-12이다. 이들 폴리아미드는 그 중 에서도 엠서 인더스트리즈(Emser Industries)(미국 사우쓰캐롤라이나주 섬터 소재)(그릴론(등록상표)(Grilon™) 및 그릴아미드(등록상표)(Grilamid™) 나일론), 아토켐 인크. 폴리머즈 디비전(Atochem Inc. Polymers Division)(미국 뉴저지주 글렌 록 소재)(릴산(등록상표)(Rilsan™) 나일론), 닐텍(Nyltech)(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소재)(grade 2169, 나일론 6), 및 커스텀 레진즈(Custom Resins)(미국 켄터키주 헨더슨 소재)(나일렌(Nylene) 401-D)과 같은 많은 공급처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베이스 웹에 첨가되는 합성 섬유는 또한 베이스 시트의 강도, 벌크,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는 예를 들어 다양한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섬유, 면 섬유, 레이온 섬유, 비목질 식물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섬유는 전형적으로 펄프 섬유보다 더 길다. 예를 들어, 스테이플 섬유는 전형적으로 5 mm 이상의 섬유 길이를 갖는다. 스테이플 섬유는 최종 제품의 강도 및 부드러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웹에 사용되는 섬유는 컬링(curling)되거나 또는 크림핑될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어 섬유에 화학 작용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섬유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컬링 또는 크림핑될 수 있다. 컬링 또는 크림핑된 섬유는 웹에 더 많은 얽힘 및 공극 부피를 생성할 수 있고, 추가로 Z 방향으로 배향되는 섬유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웹 강도 성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베이스 웹에 첨가되는 합성 섬유는 이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성분 섬유는 병렬 배열, 코어 중합체가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매트릭스-피브릴 배열, 또는 코어-쉬쓰 배열로 두 물질을 함유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쉬쓰 섬유에서, 일반적으로 쉬쓰 중합체는 섬유의 열 결합을 촉진하기 위해 코어 중합체보다 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코어 중합체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고, 한편 쉬쓰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이러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이성분 섬유는 훽스트 셀라니즈 컴파니(Hoechst Celanese Company)에서 판매하는 "셀본드"(CELBOND) 섬유를 포함한다.
합성 섬유 이외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부속기 슬리브를 제작하는 데 펄프 섬유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웹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펄프 섬유는 평균 섬유 길이가 길이 가중 평균(length weighted average) 기준으로 1 mm 초과, 특히 약 2 내지 5 mm인 연질 목재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는 노던 연질목재 크라프트 섬유, 레드우드 섬유 및 파인(pine)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물질로부터 얻어지는 이차적인 섬유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유칼립투스 섬유와 같은 경질목재 펄프 섬유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섬유 이외에, 열기계적 펄프 섬유도 또한 베이스 웹에 첨가할 수 있다.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열기계적 펄프는 펄프화 공정 동안 통상의 펄프보다 더 적은 정도로 쿠킹(cooking)되지 않은 펄프를 의미한다. 열기계적 펄프는 뻣뻣한 섬유를 함유하는 경향이 있고, 더 높은 수준의 리그닌을 갖는다. 개방된 기공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베이스 웹에 열기계적 펄프를 첨가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벌크 및 흡수성을 증가시키고 습윤 붕괴에 대한 내성을 개선한다. 열기계적 펄프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은 베이스 웹의 층에 함유된 섬유의 약 3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미만의 양으로 베이스 웹의 층에 첨가될 수 있다. 펄프의 양이 적을수록, 착용자 피부로부터의 수분 위킹이 더 좋다. 열기계적 펄프를 사용할 때, 웹 형성 동안 습윤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제는 섬유의 약 1 중량% 미만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고, 한 실시태양에서는 술폰화 글리콜일 수 있다.
베이스 웹을 형성하는 데 펄프 섬유가 사용될 때, 내부 섬유-대-섬유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웹을 화학적 탈결합제로 처리할 수 있다. 베이스 웹이 펄프 섬유를 함유할 때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탈결합제는 지방 디알킬 사차 아민염, 모노 지방 알킬 삼차 아민 염, 일차 아민 염, 이미다졸린 사차 염 및 불포화 지방 알킬 아민 염과 같은 양이온 탈결합제를 포함한다. 다른 적당한 탈결합제는 카운(Kaun)의 미국 특허 5,529,665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참고로 본원에 혼입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탈결합제는 유기 사차 암모늄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 탈결합제는 퍼니쉬(furnish) 내에 존재하는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섬유 슬러리에 첨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베이스 웹은 또한 추가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수력학적으로 엔탱글링(entangling)시킬 수 있다(히드로엔탱글링). 스펀레이스 웹이라고도 알려진 히드로엔탱글링된 웹은 웹의 섬유들이 엔탱글링하게 하는 유체의 주상 분출로 처리된 웹을 의미한다. 웹의 히드로엔탱글링은 전형적으로 웹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웹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베이스 웹이 히드로엔탱글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베이스 웹은 연속 필라멘트 물질로 수력학적으로 엔탱글링된 70 중량%의 펄프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 복합 직물인 히드로니트(등록상표)(HYDROKNIT™)를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니트(등록상표)는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미국 위스콘신주 니나 소재)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수력학적 엔탱글링은 예를 들어 에반스(Evans)의 미국 특허 3,485,706, 에버하르트(Everhart) 등의 미국 특허 5,389,202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통상의 수력학적 엔탱글링 장비를 이용해서 달성할 수 있고, 이들 특허의 개시 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응용에서, 글러브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부직포 웹은 합성 섬유를 함유할 것이다. 실질적인 양의 합성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 웹의 경우, 웹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웹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통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웹을 결합시키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한센(Hansen) 등의 미국 특허 3,855,04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쓰루 에어 결합 및 열 포인트 결합을 포함하고, 이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추가로, 오븐 결합, 초음파 결합, 히드로엔탱글링과 같은 다른 통상의 결합 수단들은 이러한 기술의 조합이고, 몇몇 예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섬유들을 패턴에 따라서 함께 결합하는 열 포인트 결합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열 포인트 결합을 위한 결합 영역들은 패턴 언본디드 직물이든 패턴 본디드 직물이든 간에 50 % 총 결합 영역 또는 그 미만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웹의 결합 영역은 40 % 총 결합 영역 또는 그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훨씬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결합 영역은 30% 총 결합 영역 또는 그 미만의 범위일 수 있고, 약 15% 총 결합 영역 또는 그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약 10% 이상의 결합 영역이 본 발명의 베이스 웹을 생성하는 데 허용될 수 있지만, 최종 제품에 요구되는 특별한 특성에 의존해서 다른 총 결합 영역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부직포 물질을 형성하는 데 적당한 % 결합 영역의 하한치는 섬유 풀-아웃(pull-out)이 그 물질의 표면 완전성 및 내구성을 과다하게 감소시키는 지점이다. % 결합 영역은 부직포 웹이 단층 섬유 구조이든 다층 섬유 구조이든 간에 부직포 웹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의 유형(들)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여 많은 인자들에 의해 영향받을 것이다. 약 1 %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15 % 내지 50 % 범위의 결합 영역이 미국 특허 5,858,515에 기재된 것과 같은 패턴 또는 포인트 언본디드 웹(PUB)에 적당한 것으로 발견되었고, 이 특허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B. 배리어 층 및 엘라스토머성 성분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부직포 또는 비탄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글러브는 또한 엘라스토머성 성분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글러브는 손 둘레에, 특히 손가락 및 발가락에서 더 잘 맞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 3 도에는 1 개 이상의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갖는 베이스 웹으로부터 제조된 글러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글러브는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 웹으로부터 단위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의 한쪽 면 또는 글러브의 일부가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성분이 글러브에 존재할 때,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베이스 웹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또는 랜덤하게 분배된 탄성 스트랜드 또는 부분품일 수 있다. 별법으로,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탄성 필름 또는 탄성 부직포 웹일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단층 또는 다층 물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성 특성을 가지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물질이라도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필름, 발포체, 부직포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엘라스토머성 수지는 일반식 A-B-A' 또는 A-B (여기서, A 및 A'는 각각 폴리(비닐 아렌)과 같은 스티렌 부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블록이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 중합체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중간블록임)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A 및 A' 블록의 블록 공중합체, 및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 분지쇄 및 방사상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이 점에서, 방사상 블록 공중합체는 (A-B)m-X(여기서, X는 다관능성 원자 또는 분자이고, 각 (A-B)m은 X로부터 A가 말단블록인 방식으로 방사 상을 퍼짐)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방사상 블록 공중합체에서, X는 유기 또는 무기 다관능성 원자 또는 분자일 수 있고, m은 X에 원래 존재하는 관능기와 동일한 값을 갖는 정수이다. 그것은 보통 3 이상이고, 4 또는 5인 경우가 빈번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 및 특히 "A-B-A" 및 "A-B" 블록 공중합체라는 표현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이러한 고무질 블럭 및 열가소성 블록을 갖는 모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이것은 압출될 수 있고(예: 멜트블로윙에 의해), 블록의 수에 관해서는 제한이 없다.
엘라스토머성 성분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성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성 공중합체의 상업적인 예는 예를 들어 크라톤(등록상표)(KRATON™) 물질 (크레이톤 폴리머 인크.(Krayton Polymer Inc.)(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함)로 알려진 것들이다. 크라톤(등록상표) 블록 공중합체는 몇 가지 상이한 제제로 입수가능하고, 이들 중 다수가 미국 특허 4,663,220, 4,323,534, 4,834,738, 5,093,442 및 5,304,599에서 확인되고, 이들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또한, 엘라스토머성 A-B-A-B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도 본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테일러(Taylor) 등의 미국 특허 5,332,613에서 논의되어 있다. 이러한 중합체에서, A는 열가소성 중합체 블록이고, B는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로 수소화되는 이소프렌 단량체 단위이다. 이러한 테트라블록 공중합체의 예는 크레이톤 폴리머 인크.(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크라톤(등록상표) G-1657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 한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또는 SEPSEP 엘라스토머성 블록 공중합체이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예를 들어 비.에프. 굿리치 앤드 코.(B.F.Goodrich & Co.)로부터 에스탄(등록상표)(ESTANE™) 또는 모톤 티오콜 코프.(Morton Thiokol Corp.)로부터 모탄(등록상표)(MORTHANE™)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것들과 같은 일반식 -(AB)n-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성 물질, 예를 들어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파니(E.I DuPont De Nemours & Company)로부터 하이트렐(등록상표)(HYTREL™)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것, 및 이전에는 악조 플라스틱스(Akzo Plastics)(홀랜드 앰헴)로부터 입수가능하였고 현재는 DSM(홀랜드 시타드)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아르니텔(등록상표)(ARNITEL™)이라고 알려진 것들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는 에틸렌 및 1 개 이상의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및 이러한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공중합체 및 이러한 엘라스토머성 공중합체로부터 엘라스토머성 부직포 웹의 형성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803,117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코폴리에스테르 물질의 상업적인 예는 예를 들어 이전에는 악조 플라스틱스(홀랜드 앰헴)로부터 입수가능하였고 현재는 DSM(홀랜드 시타드)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아르니텔(등록상표)이라고 알려진 것, 또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파니(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하이트렐(등록상표)이 라고 알려진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성 물질로부터 엘라스토머성 부직포 웹의 형성은 모르만(Morman) 등의 미국 특허 4,741,949 및 보그스(Boggs)의 미국 특허 4,707,398에 기재되어 있다.
엘라스토머성 올레핀 중합체는 엑손 케미칼 컴파니(Exxon Chemical Company)(미국 텍사스주 베이타운 소재)로부터 폴리프로필렌 기반 중합체인 비스타맥스(등록상표)(VISTAMAXX™) 또는 어취브(등록상표)(ACHIEVE™) 및 폴리에틸렌 기반 중합체인 익잭트(등록상표)(EXACT™) 및 익시드(등록상표)(EXCEED™)라는 상표로 입수가능하다. 다우 케미칼 컴파니(Dow Chemical Company)(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기반 엘라스토머인 엔게이지(등록상표)(ENGAGE™) 뿐만 아니라 버서파이(등록상표)(VERSIFY™)라는 상표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를 가지고 있다. 다수의 반응 부위를 갖는 전통적인 지글러-나타 촉매와 구별하기 위해, 엑손모빌(ExxonMobil)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메탈로센 촉매 기술을 "단일 부위" 촉매라고 지칭하고, 한편 다우는 그들의 기술을 인사이트(등록상표) (INSIGHT™)라는 명칭으로 "구속 기하"(constrained geometry) 촉매라고 지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본 발명의 베이스 웹에 혼입할 때, 엘라스토머성 물질은 발포체, 필름, 틈이 형성된(apertured) 필름 및(또는) 부직포 웹과 같은 1 개 이상의 다른 층들과 탄성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종종 있다. 탄성 라미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층들 중 1 개 이상이 탄성 중합체의 특성을 갖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는 층들을 함유한다. 탄성 라미네이트의 예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및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넥 본디드 물질, 스트레치-본디드 물질,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및 다른 유사한 라미네이트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는 다공성 필름과 같은 필름, 멜트블로운 섬유로부터 제조된 웹과 같은 섬유상 웹 또는 발포체로 형성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은 충전된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를 압출하고 이어서 그것을 스트레치하여 그것이 미세다공성이 되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섬유상 탄성 웹은 압출된 중합체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실시태양에서, 섬유상 웹은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섬유는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다. 멜트블로운 직물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중합체 물질을 다이를 통해 압출시켜서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한다. 용융 중합체 섬유가 다이를 빠져 나올 때, 가열된 공기 또는 스팀과 같은 고압 유체가 용융된 중합체 필라멘트를 어테뉴에이션하여 미세한 섬유를 형성한다. 둘러싸는 차가운 공기를 뜨거운 공기 스트림 내로 도입시켜서 섬유를 냉각 및 고화시킨다. 이어서, 섬유를 유공 표면 상에 랜덤하게 침착시켜서 웹을 형성한다. 웹은 완전성을 갖지만, 원한다면, 추가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멜트블로운 웹 이외에, 다른 섬유상 웹도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는, 또한 탄성 스펀본드 웹을 형성할 수 있다. 스펀본드 웹은 전형적으로 열가소성 중합체 수지를 그의 연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킨 후, 그것을 방사구를 통해 압출시켜서 연속 섬유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것을 섬유 연신 유닛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제조한다. 섬유 연신 유닛으로부터 섬유가 유공 표면 상으로 퍼져 나오고, 여기서 그들은 웹으로 형성된 후, 화학적, 열 또는 초음파 수단 같은 것에 의해 결합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탄성 부재는 네키드 스트레치드 본디드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네키드 스트레치드 본디드 라미네이트는 네키드 본디드 라미네이트 및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라미네이트로 정의된다. 네키드 스트레치드 본디드 라미네이트의 예는 미국 특허 5,114, 781 및 5,116,662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참고로 본원에 혼입한다. 특별한 이점 중에서도, 네키드 스트레치드 본디드 라미네이트는 기계 방향 및 횡방향으로 스트레치될 수 있다.
비탄성 성분 또는 탄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글러브는 본 발명의 베이스 웹 내에 혼입되거나 또는 그에 적층되는 수분 배리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분 배리어는 액체 불침투성 층 또는 액체 흡수성 층일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는 글러브로부터 그 안에 있는 손가락으로 액체가 통과하는 것에 대한 배리어를 확립함으로써 글러브 밖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러브의 외부 층과 손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수분 배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물질 또는 필름의 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 배리어는 글러브의 양쪽의 라이너일 수 있다는 점도 또한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수분 배리어는 한 부분은 그렇지 않도록 글러브에 비대칭적으로 또는 불균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수분 배리어는 베이스 웹의 층으로서 또는 베이스 웹의 외부 라이닝으로써 글러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수분 배리어는 그것이 분리된 라이닝을 구성하지 않도록 베이스 웹 구조 내에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글러브가 다층 글러브이면 1 개 초과의 배리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배리어층은 블로운 필름으로서 압출되는 탄성 필름 시트일 수 있다. 블로운 필름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어서,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을 것이다. 간략하게 말하면, 블로운 필름의 제조는 환상 다이로부터 용융 중합체를 압출시킨 후 용융 압출된 중합체의 기포를 팽창시키는 데 공기와 같은 기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로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랠리(Raley)의 미국 특허 3,354,506, 쉬퍼즈(Schippers)의 미국 특허 3,650,649, 및 쉬렝크(Schrenk) 등의 미국 특허 3,801,419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모두 전체를 참고로 본원에 혼입한다. 팽창비(blow up ratio)(필름 다이의 내부 원의 원주에 대한 블로운 필름의 원주의 비)는 압출되는 중합체의 양 및 기포를 팽창하는 데 사용되는 기체의 양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적층될 이용가능한 섬유상 부직포 웹의 폭에 붕괴되는 필름 시트의 폭이 매칭하도록 팽창비를 조절함으로써, 한 물질이 다른 한 물질의 폭을 지나는 오버랩 및 따라서 연관된 트림 폐기물을 급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별법으로, 이용가능한 섬유상 부직포 웹 및 최종 제품 형태에 사용될 탄성 라미네이트 물질의 원하는 폭에 적합하도록 붕괴되는 필름 시트의 폭을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는 탄성 라미네이트 자체를 최종 제품에 맞도록 트리밍해야 할 때 종종 생기는 폐기물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최종 부직포 필름 라미네이트 물질 중의 탄성 필름 시트는 약 5 gsm 이하 내지 약 100 gsm 이상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성 필름 시트는 약 5 gsm 내지 약 68 gsm,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gsm 내지약 34 gsm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물질은 종종 제조하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탄성 필름 시트는 여전히 탄성 라미네이트 물질에 원하는 스트레치 및 회복 성질을 제공하면서 가능한 한 기초 중량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는 섬유, 발포체 및 필름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탄성 블로운 필름을 형성하는 데 유용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탄성 폴리에스테르, 탄성 폴리우레탄, 탄성 폴리아미드, 에틸렌 및 1 개 이상의 비닐 단량체의 탄성 공중합체, 블럭 공중합체 및 탄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당한 엘라스토머성 섬유 또는 필름 형성 수지로 알려져 있는 탄성 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을 어느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예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일반식 A-B-A' 또는 A-B (여기서, A 및 A'는 각각 폴리(비닐 아렌)과 같은 스티렌 부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블록이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 중합체와 같은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중간블록임)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테일러(Taylor) 등의 미국 특허 5,332,613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A-B-A-B 테 트라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도 포함된다. 이러한 테트라블록 공중합체의 한 예는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또는 SEPSEP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들 A-B-A' 및 A-B-A-A 공중합체는 크라톤 폴리머즈(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크라톤(등록상표)이라는 상표로 몇 가지 상이한 제제로 입수가능하다.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블록 공중합체는 쿠라레이 컴파니, 엘티디.(Kuraray Company, Ltd.)(일본 오카야마 소재)로부터 셉톤(등록상표)(SEPTON®)이라는 상표로 입수가능한 SEPS 또는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탄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탄성 폴리올레핀의 예는 "단일 부위" 또는 "메탈로센" 촉매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들과 같은 초저밀도 탄성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다우 케미칼 컴파니(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엔게이지(등록상표)라는 상표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레이(Lai) 등의 미국 특허 5,278,272 및 5,272,236(발명의 명칭: 탄성이고 실질적으로 선형인 올레핀 중합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 전체를 참고로 혼입한 양(Yang) 등의 미국 특허 5,539,056 및 레스코니(Resconi) 등의 미국 특허 5,596,05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몇몇 엘라스토머성 폴리프로필렌 및 다우 케미칼(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의 어피니티(등록상표)(AFFINITY®) EG 8200과 같은 폴리에틸렌 뿐만 아니라 엑손(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으로부터의 이그잭트(등록상표) 4049, 4011 및 4041, 뿐만 아니라 블렌드가 유용하다.
탄성 필름 층을 포함하여 필름 층 또는 시트는 일반적으로 액체, 증기 및 기 체의 통과에 대한 배리어로 작용한다. 그러나, 탄성 필름 시트 층이 통기성인 것, 즉 수증기 및(또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기성이기도 한 탄성 필름 시트 층은 수증기의 통과를 허용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증가된 사용중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과다한 피부 수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더 시원한 감촉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통기성 탄성 라미네이트 물질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되는 열가소성 탄성 물질은 수성 액체의 통과에 대해 배리어로 작용하고 수증기 및 공기 또는 다른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기성 모노리식 또는 미세다공성 배리어 필름일 수 있다. 모노리식 통기성 필름은 그것이 예를 들어 폴리우레판,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미드, EMA, EEA, EVA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양호한 수증기 투과율 또는 확산률을 고유적으로 갖는 중합체를 포함할 때 양호한 통기성을 나타낼 수 있다. 탄성 통기성 모노리식 필름의 예는 본원에 전체를 참고로 혼입한 잉(Ying) 등의 미국 특허 6,245,401에 기재되어 있고, 열가소성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와 같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기성 탄성 라미네이트 물질이 요구되는 경우 또한 미세다공성 탄성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미세다공성 통기성 필름은 예를 들어 탄산칼슘 입자와 같은 충전제 물질을 보통은 필름의 약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어서, 충전제 함유 필름(또는 "충전된 필름")을 스트레치 또는 배향하여 필름 내의 충전제 입자 둘레에 미세한 공극을 개방하고, 이 미세한 공극은 공기 및 수증기가 필름을 통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충전제를 함유하는 통기성 미세다공성 탄성 필름은 예를 들어 맥코맥(McCormack) 및 해프너(Haffner)의 미국 특허 6,015,764, 모르만 및 밀리세빅(Milicevic)의 미국 특허 5,932,497, 및 테일러 및 마틴(Martin)의 미국 특허 6,461,457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모두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결합제를 갖는 다른 통기성 필름은 맥코맥 등의 미국 특허 5,855,999 및 5,695,868에 기재되어 있고, 이 두 문헌은 참고로 전체를 본원에 혼입한다. 추가로, 맥코맥 등의 미국 특허 5,997,981에 기재된 다층 통기성 필름이 유용할 수 있고, 이 문헌은 참고로 전체를 본원에 혼입한다. 다른 적당한 통기성 필름 및 필름 조성물은 맥코맥 및 쇼버(Shawver)의 공동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10/646,978(출원일 2003년 8월 22일; 발명의 명칭: "미세다공성 통기성 탄성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제한된 사용 또는 일회용 제품 응용")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는, 통기성 탄성 라미네이트가 요구되는 경우 통기성을 제공하기 위해 셀형 탄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통기성 셀형 탄성 필름은 분해 또는 반응하여 기체를 방출하고 탄성 필름에 셀을 형성하는 셀 개방제와 탄성 중합체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셀 개방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플루오로카본, 저비점 용매,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물, 또는 필름 다이 압출 공정에서 경험하는 온도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셀 개방제 또는 발포제라고 당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은 다른 작용제일 수 있다. 셀형 탄성 필름은 토마스(Thomas) 등의 PCT 출원 PCT/US99/31045(WO 00/39201, 2000년 7월 6일자로 공개됨)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다른 한 예로서, 배리어 성질이 특별히 중요하지 않거나 또는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라미네이트에 통기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증기 또는 기체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탄성 필름 시트 자체 또는 전체 탄성 라미네이트가 틈이 형성되거나 또는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 또는 틈은 예를 들어 슬릿 애퍼춰링(aperturing) 또는 가열되거나 또는 주위 온도 핀을 이용하는 핀 애퍼춰링과 같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수분 배리어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은 기체 및 수증기, 뿐만 아니라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완전 액체 불투과성인 필름은 글로브의 외부로부터 손으로 액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액체 및 증기 불투과성 배리어의 사용은 가끔씩 상대적으로 불편한 수준의 습도가 글러브 내에 유지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통기성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몇몇 적당한 통기성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는 브라운(Braun) 등의 미국 특허 4,828,556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브라운 등의 통기성 배리어는 3 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다층 천 유사 배리어이다. 제 1 층은 다공성 부직포 웹이고, 제 1 층의 한쪽에 접합되는 제 2 층은 PVOH의 연속 필름을 포함하고, 제 2 층 또는 제 2 층과 접합되지 않은 제 1 층의 다른 한쪽 면에 접합되는 제 3 층은 다른 다공성 부직포 웹 을 포함한다. 제 2 층의 PVOH의 연속 필름은 미세다공성이 아니고, 이것은 그것이 필름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연결하는 공극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경우에서는, 통기성을 제공하기 위해 미세기공을 갖는 다양한 통기성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미세기공은 종종 필름을 통하는 구불구불한 경로라고도 지칭하는 것을 형성한다. 필름의 한쪽 면과 접촉하는 액체는 필름을 통해 곧장 나아가는 통로를 갖지 않는다. 대신, 필름의 미세다공성 채널의 망상구조가 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지만 수증기는 통과하게 한다.
몇몇 경우에서, 통기성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는 탄산칼슘과 같은 적당한 어떠한 물질이라도 함유하는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제조된다. 이 필름은 충전된 필름을 스트레치하여 스트레치하는 동안 중합체가 탄산칼슘으로부터 이탈할 때 미세다공성 통로를 생성함으로써 통기성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통기성 필름 층은 약 0.01 mil 내지 약 5 mil,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약 0.01 mil 내지 약 1.0 mil의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통기성이면서 유체 침투 저항성을 갖는 물질의 한 예는 정커(Junker) 등의 미국 특허 5,591,510에 기재되어 있다. 정커 등에 의해 기재된 직물 물질은 종이 스톡의 통기성 외부 층 및 통기성 유체 저항성 부직포 물질의 층을 포함한다. 또, 이 직물은 그를 통한 유체의 직접 흐름에 저항하면서 필름이 통기성이 되게 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기성 필름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의 한 유형은 비다공성 연속 필름이고, 이것은 그의 분자 구조 때문에 증기 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 해당하는 다양한 중합체 필름 중에는 그들이 통기성을 갖도록 충분한 양의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알콜, 폴리우레탄,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메틸 아크릴산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별한 작동 메카니즘을 고수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이러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필름이 물 분자를 가용화하고 필름의 한 표면에서부터 다른 표면으로의 이들 분자의 수송을 허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은 그것을 액체 불투과성이 되게 하지만 여전히 증기 투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연속일 수 있고, 즉 비다공성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액체 불투과성 배리어는 미국 특허 출원 08/928,787(발명의 명칭: 통기성 액체 불투과성 틈이 형성된 필름 /부직포 라미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예를 들어, 통기성 필름 및(또는) 틈이 형성된 필름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라미네이트 구조 내에 제조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통기성 액체 불투과성 틈이 형성된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 물질은 부직포 층, 틈이 형성된 필름 층 및 통기성 필름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층들은 틈이 형성된 필름 층 또는 통기성 필름 층이 부직포 층에 부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탄산칼슘 충전 필름을 포함하는 어떠한 열가소성 필름으로부터도 제조되는 틈이 형성된 필름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틈이 형성된 필름 층을 얻는 데 이용되는 특별한 애퍼춰링 기술은 달라질 수 있다. 이 필름은 틈이 형성된 필름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틈이 형성되지 않은 연속 필름으로서 형성된 후 기계적 애퍼춰링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수분 배리어 라미네이트는 예를 들어 멜트블로윙 방법, 스펀본딩 방법, 코포밍 방법, 스펀본딩/멜트블로윙/스펀본딩 방법(SMS), 스펀본딩/멜트블로윙 방법(SM) 및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과 같은 많은 방법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수분 배리어의 부직포 층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및(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 (SM) 물질이다. SMS 물질은 브록(Brock) 등의 미국 특허 4,041,203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체를 참고로 본원에 혼입한다. 다른 SMS 생성물 및 방법들은 티몬스(Timmons) 등의 미국 특허 5,464,688, 콜리어(Collier) 등의 미국 특허 5,169,706 및 브록 등의 미국 특허 4,766,029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들은 모두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일반적으로, SMS 물질은 2 개의 외부 스펀본드 웹 사이에 삽입된 멜트블로운 웹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SMS 라미네이트는 스펀가드(등록상표)(Spunguard™) 및 에볼루션(등록상표)(Evolution™)과 같은 상표로 킴벌리 클라크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SMS 라미네이트의 스펀본디드 층은 내구성을 제공하고 내부의 멜트블로운 배리어 층은 다공성 및 추가의 천 유사 감촉을 제공한다. SMS 물질과 유사하게, SM 라미네이트는 멜트블로운 층에 적층된 스펀본드 층이다.
수분 배리어를 갖는 본 발명의 글러브를 형성함에 있어서, 배리어는 많은 다 양한 방법으로 글러브의 다른 층들과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열 결합, 접착제 결합, 초음파 결합, 압출 코팅 및 기타 등등은 글러브의 섬유상 층에 수분 배리어를 부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기술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양상에서, 엘라스토머성 배리어 필름은 몇몇 화학물질 또는 용매와 접촉할 때 실질적으로 용해하지 않는 화학적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화학적 보호층은 1 개 이상의 가교되고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개질된 실리콘"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골격에 부착된(펜던트 및(또는) 말단) 유기기를 갖는 반복적인 규소-산소 골격을 갖는 합성 중합체의 넓은 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몇몇 적당한 실리콘은 페닐 개질 실리콘, 비닐 개질 실리콘, 메틸 개질 실리콘, 플루오로 개질 실리콘, 알킬 개질 실리콘, 알콕시 개질 실리콘, 알킬아미노 개질 실리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적당한 페닐 개질 실리콘은 디메틸디페닐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및 메틸페닐, 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페닐 함량(약 50 mole% 미만)을 갖는 페닐 개질 실리콘이 본 발명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닐 개질 실리콘은 디페닐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디페닐 개질 실리콘일 수 있다.
대부분의 응용의 경우, 페닐 개질 실리콘은 약 0.5 mole% 내지 약 50 mole% 의 양,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25 mole% 미만의 양,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15 mole% 미만의 양의 페닐 단위를 함유한다. 특별한 한 실시태양에서는, 디페닐실록산 단위를 약 5 mole% 미만의 양, 특히 약 2 mole% 미만의 양으로 함유하는 디페닐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이용될 수 있다. 디페닐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디페닐실록산을 디메틸실록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루오로 개질 실리콘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적당한 플루오로 개질 실리콘은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트리플루오로프로필 개질 폴리실록산이다.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메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을 디메틸실록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플루오로 개질 실리콘은 약 50 mole% 내지 약 95 mole%의 플루오로기,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단위와 같이 약 40 mole% 내지 약 60 mole%의 플루오로기를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50 mole%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개질 디메틸폴리실록산이 사용된다.
상기 개질 실리콘 엘라스토머 이외에, 또한 다른 개질 실리콘 엘라스토머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적당한 비닐 개질 실리콘은 비닐디메틸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메틸,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비닐디메틸 말단 비닐메틸,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디비닐메틸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모노 비닐, 모노 n-부틸디메틸 말단; 및 비닐페닐메틸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사용될 수 있 는 몇몇 메틸 개질 실리콘은 디메틸히드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히드로,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메틸히드로 말단 메틸옥틸 실록산 공중합체; 및 메틸히드로, 페닐메틸 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요구되는 경우, 화학적 보호층은 2 개 이상의 분리된 성분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용되는 경우, 분리된 성분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유형의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화학적 보호층은 본 명세서에서 "A" 부분 및 "B" 부분이라고 표시하는 2 개의 성분을 함유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A 부분은 비닐 및 메틸 말단을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한다. 백금과 비닐 함유 올리고실록산의 착물(활성 백금의 전형적인 수준이 5 내지 50 ppm인 백금 및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의 착물)을 함유하는 백금 촉매도 포함된다. B 부분은 그것이 또한 가교제 및 가교 억제제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A 부분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가교제는 예를 들어 흔히 메틸 히드로겐이라고 부르는 수소를 실록산 사슬에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가교제 농도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질량 100 부 당 약 0.3 내지 약 4 부로 다양할 수 있다. 가교 억제제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성 알콜로 알려진 화합물 부류의 비닐 함유 치환체를 고농도로 갖는 올리고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가지 적당한 가교 억제제는 테트라비닐 테트라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다. 억제제는 100 부 당 0.02 부 정도의 낮은 농도 내지 100 부 당 0.5 부 정도의 높은 농도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층 (36)을 형성할 때, A 부분 및 B 부분을 1:1 중량비로 침지 전에 함께 혼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몇몇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디페닐 개질 디메틸실리콘은 누실 테크놀로지즈(NuSil Technologies)로부터 MED 6400, MED 10-6400, MED 6600, MED 10-6600, MED 6640 및 MED10-6640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표명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개질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콤프톤(Compton) 등의 미국 특허 4,309,557; 크리스톤슨(Kristonsson) 등의 미국 특허6,136,039; 콤프톤 등의 미국 특허 6,160,151; 루브레크트(Lubrecht)의 미국 특허 6,243,938, 및 WO 01/41700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믿어지며, 이들 문헌은 모든 목적으로 전체를 본원에 참고로 혼입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보강 실리카; 가공 조제; 첨가제; 안료;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을 부식성 화학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리어 필름에 내화학성 작용제를 적용할 수 있다. 원하는 내화학성을 달성하기 위해 화학적 보호층의 고형물 함량 및(또는) 점도를 일반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적 보호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들)는 약 5 % 내지 약 40 %,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10 % 내지 약 35 %의 고형물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고형물 함량을 낮추기 위해, 예를 들어, 추가량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화학적 보호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들)의 점도는 약 300 센티포이즈 내지 약 7000 센티포이즈의 범위,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600 내지 약 4000 센티포이즈의 범위일 수 있다. 화학적 보호층의 고형물 함량 및(또는) 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글러브에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존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수준의 내화학성을 갖는 글러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층에 사용되는 개질된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형성 공정 동안 그 층에 더 높은 백분율의 실리콘이 혼입되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고형물 함량 및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화학적 보호층의 두께도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는 약 0.001 mm 내지 약 0.4 mm,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0.01 mm 내지 약 0.30 mm,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약 0.01 mm 내지 약 0.20 mm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섬유층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 보호제로 처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특별한 색을 갖는 베이스 웹 또는 수분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층들 및(또는) 물질들 중 어느 것이라도 염색 또는 착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태양에서, 수분 배리어에는 착색된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술, 착색된 술 및(또는) 백색 산화티탄 백그라운드가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가 파손될 때 누출을 알려주는 지시자로서 염료를 층들 중 하나에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용매 또는 수성 생물학적 유체와 접촉할 때 색 변화를 줄 수 있는 염료가 이용된다.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은 약 0.3 osy 내지 약 1.0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약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수분 배리어 층은 탄산칼슘 충전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일 수 있다. 이 필름은 액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채로 있으면서 필름을 통기성이 되게 하기 위한 기공을 생성하기 위해 스트레치될 수 있다. 수분 배리어 층은 약 0.2 osy 내지 약 1.0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약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네키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은 수분 배리어 층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외부층은 병렬 배열의 이성분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스펀본드 또는 쓰루 에어 본디드 웹일 수 있다. 외부층은 약 1.0 osy 내지 약 5.0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약 2.0 osy 내지 약 4.0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외부층 자체가 층상 또는 라미네이트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작은 섬유의 층 위에 직경이 더 큰 섬유의 층이 형성되는 2-뱅크 방법(two-banked process)이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포인트 언본디드 패턴 방법과 같은 열 포인트 결합 방법을 이용해서 다른 층들에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러브는 탄성 라미네이트로부터 완전히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러브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는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 사이에 삽입된 엘라스토머성 물질로부터 제조된 탄성 쓰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쓰레드는 예를 들어 크레이톤 폴리머 컴파니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G2740과 같은 스티렌-에틸렌 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는 약 1.0 osy 내지 약 5 osy, 특히 약 1.5 osy 내지 약 2.5 osy, 더 특히는 약 2.0 osy 내지 약 3.0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 대신, 글러브는 또한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는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 사이에 삽입된 메탈로센 촉매 탄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본드 층은 스트레치되기 전에 약 0.4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 필름은 약 0.5 osy 내지 약 1.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글러브는 초음파 결합, 재봉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2 개의 분리된 탄성 라미네이트를 함께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량의 물질을 트리밍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어떠한 컷팅 방법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은 워터 나이프(water knife)라고 불리는 물의 고압 분출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거나, 또는 컷터 또는 전단기와 같은 통상의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를 그것이 제조되는 물질들을 동시에 함께 결합시키고 그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단계로 물질을 결합 및 절단하는 데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보호용 물품의 다른 변형에서는, 네키드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충전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물질과 같은 미리 스트레치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을 적용해서 탄성 스트레치성 기재를 생성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구조는 비탄성 필름 물질을 탄성 물품을 생성하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적층에서, 예를 들어 네키드 스펀본드는 확장성 스트레치를 가능하게 하고, 한편 부착된 필름 층은 라미네이트 에 신장 및 수축(즉, 압축력) 성질을 모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보호용 물품의 특이한 치수는 글러브 또는 발 웨어가 사용될 특별한 응용 및 목적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글러브는 성인 손 또는 어린이 손 둘레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다.
C. 치료적 적용
손 또는 발에 치료적 이익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 물질을 본 발명의 글러브 또는 글러브의 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상, 베인 상처, 멍, 수포, 건조 피부 등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글러브 전체 또는 글러브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치유제 또는 진통 작용제로서 흔히 사용되는 어떠한 첨가제라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현재 통상의 부속기 붕대에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는 항생제, 항미생물제, 소염제, 네오스포린, 보습제, 양이온 중합체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양이온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음전하를 띤 박테리아 및 유해한 산성 부산물에 대해 강한 인력을 가지기 때문에 그들은 창상을 깨끗이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양이온 중합체의 한 예는 키토산(폴리-N-아세틸글루코사민, 키틴의 유도체) 또는 키토산염이다. 키토산 및 그의 염은 지혈 및 정균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천연 생체중합체이다. 따라서, 키토산은 출혈 및 감염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키토산 및 키토산염에 추가하여, 양이온 전분(예: 코본드(COBOND), 내셔날 스타치(National Starch) 제조) 또는 올리고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양이온 중합체를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 서, 양이온 물질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관절염, "블랙 토우", "방아쇠 수지증" 또는 끼이거나, 삐거나, 과신전되거나, 좌위되거나 또는 부러진 부속기와 같은 다른 병을 치료하기 위한 글러브로서 이용될 때, 본 발명의 부속기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병을 치료하는 데 흔히 사용되는 어떠한 첨가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는 국소 진통제(예: 벤-게이), 소염제, 혈관확장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디메틸 술폭시드(DMSO), 캡사이신, 멘톨, 메틸 살리실레이트, DMSO/캡사이신, 양이온 중합체, 살진균제,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소염제는 시클로옥시게나제-1(COX-1)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 어느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화학 첨가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많은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글러브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는 클리블랜드(Cleveland) 등의 미국 특허 5,486,38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침윤 시스템을 사용하여 글러브에 적용할 수 있고, 이 문헌은 참고로 본원에 혼입한다.
게다가, 첨가제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프린트, 블레이드, 롤, 분무 건조, 발포, 브러쉬 처리 적용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방법에 의해 적용할 수 있다. 첨가제는 추가로 용융 고형물의 혼합물로서 적용할 수 있거나 또는 글러브 상에 공압출시킬 수 있다. 추가로,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 화학 첨가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조하는 동안 물질에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글러브에 코팅될 때, 첨가제는 베이스 웹을 스탬핑 또는 결합해서 본 발명의 부속기 슬리브를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베이스 웹에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원 하다면, 다양한 첨가제, 용액 및 화학 물질은 소비자가 사용 직전에 부속기 슬리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는, 첨가제를 캡슐화한 후 글러브 또는 발 커버에 적용할 수 있다. 캡슐화는 한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을 다른 한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로 코팅하거나 또는 그 안에 갇히게 하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흔히 사용된다. 코팅되거나 또는 갇히는 물질은 보통 액체이지만, 그것은 또한 고체 또는 기체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코어 물질이라고 지칭한다. 코팅을 형성하는 물질은 캐리어 물질이라고 지칭한다. 분무 건조, 분무 냉각 및 냉장, 코아세르베이션, 유동층 코팅, 리포좀 봉입, 회전 현탁 분리, 및 압출을 포함하는 다양한 캡슐화 기술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분무 건조를 위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 물질을 수용액에 용해한다. 이 용액에 코어 성분들을 첨가하고 철저하게 혼합한다. 캐리어 대 코어 물질의 전형적인 로드는 4 : 1이지만, 훨씬 높거나 낮은 로드도 사용될 수 있다. 혼합물을 균질화한 후, 분무 건조기에 공급하고, 여기에서 그것은 미립화(atomization)되어 뜨거운 공기의 스트림 안으로 방출된다. 물이 증발되어, 캐리어 매트릭스 내에 갇힌 코어 물질을 포함하는 건조된 입자들이 남는다.
적당한 캐리어 물질은 검, 아라비아 검, 개질된 전분, 젤라틴,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당한 코어 물질은 상기한 다른 다양한 첨가제 이외에도 향미제, 천연 오일, 첨가제, 감미 제, 안정화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글러브에 화학 첨가제를 적용하는 데 이용되는 메카니즘과 상관 없이, 첨가제는 수용액, 비수성 용액, 오일, 로션, 크림, 현탁액, 겔 등을 이용해서 적용할 수 있다. 이용될 때, 수용액은 다양한 용매 및(또는) 물과 같은 다양한 액체를 어느 것이라도 함유할 수 있다. 게다가, 용액은 종종 1 개 초과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수용액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적용되는 첨가제는 글러브의 약 80 중량% 미만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글러브의 충분한 흡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제를 글러브의 약 5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또한 비용을 줄이고 글러브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첨가제를 글러브에 비대칭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러브를 스탬핑 및 결합한 후, 손가락 영역에 특별한 코팅제로 비대칭적으로 코팅한다.
스트레치성 통기성 부직포 물질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는 글러브는 글러브의 특이한 형태 또는 디자인에 의존해서 작업 또는 의료 검사 글러브 뿐만 아니라 화장 또는 치료 응용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발 커버링은 단화 또는 장화 커버, 슬리퍼 또는 양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 목적으로 글러브 또는 발 커버링에 관하여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및 구조에 따라서 기재된 물질로부터 다른 종류의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다른 물품은 임상 또는 의료 검사, 산업용 또는 청정실 작업, 및(또는) 본 발명의 추가된 강도, 편안함, 피부 보호, 및 무분말이라는 양상과 같은 특성들이 요구되는 경우와 같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보호용 가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마스크, 머리 커버링(예: 부팡 캡(bouffant cap), 수술용 캡 및 후드), 커버롤, 실험실용 코트, 앞치마 및 쟈켓, 가운, 드레이프, 창상 드레싱, 붕대, 멸균 랩, 화장용 패드, 환자 침구, 들것 및 유모차 시트,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의료 또는 치료 지향적 물품을 포함한다.
IV 부 - 실시태양의 실시예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을 기술하였기 때문에, 이제는 가능한 실시태양의 다음 실시예를 언급할 것이다.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글러브를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글러브는 다음 실시예에 기재한 다양한 물질로 제조하였다. 특이한 물질들에 의존해서, 글러브는 물질들로부터 초음파 용접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솔기가 있거나 또는 없도록 형성하였다. 다음 각 실시예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각 글러브는 약 3 인치 내지 약 14 인치의 길이를 갖는 금형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글러브 형태의 본 발명의 보호용 물품을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로부터 제조된 제 1 부분품을 브랜슨(Branson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사용해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S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글러브의 손바닥 쪽 또는 앞쪽을 형성하고, SBL 시트는 글러브의 손등을 형성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 통기성 필름 시트 및 이성분 스펀본드 웹을 함께 열 결합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통기성 필름 시트를 스펀본드 웹들 사이에 놓았다.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은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이성분 스펀본드 웹은 병렬 배열 관계의 폴리에틸렌 성분 및 폴리프로필렌 성분을 갖는 이성분 필라멘트로부터 제조하였다. 이성분 스펀본드 웹은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통기성 필름 시트는 탄산칼슘 충전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미세다공성 필름을 생성하기 위해 필름을 스트레치하였다. 필름은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이성분 스펀본드 웹을 텍스처를 형성하는 포인트 언본디드 패턴을 이용해서 필름 라미네이트에 열 결합시켰다. 특히, 라미네이트의 이성분 스펀본드 웹 쪽에 원형 술을 형성하였다. 결합하는 동안, 포인트 언본디드 패턴을 갖는 상부 결합 롤을 127 ℃ (260 ℉)으로 가열하고, 한편 저부 결합 롤을 116 ℃ (240 ℉)로 가열하였다.
SBL 시트는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물질의 쓰레드를 포함하였다. 사용된 탄성 물질은 크레이톤 폴리머 인크.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G2740 S-EB-S 블록 공중합체이었다. SBL 시트는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각인된 마그네슘 결합 플레이트가 SBL 시트를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결합시키기 위한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SBL 시트에 인접해서 놓았고, 이것은 SBL 시트에 텍스처화된 마디(nub)가 생기게 하였다.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가장자리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글러브를 뒤집어서 내부에 솔기, 외부에 텍스처화된 마디가 놓이게 하였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를 제작하지만,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의 이성분 스펀본드 시트가 3.6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포인트 언본디드 공정 동안, 상부 결합 롤은 132 ℃ (270 ℉)로 가열하였고, 저부 결합 롤은 116 ℃ (240 ℉)로 가열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기재된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 실시태양에서는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의 이성분 스펀본드 시트가 1.8 osy의 기초 중량을 갖는 쓰루 에어 본디드 이성분 섬유상 웹이었다. 이성분 필라멘트는 병렬 관계의 폴리에틸렌 성분 및 폴리프로필렌 성분을 함유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공정 동안, 상부 결합 롤은 127 ℃ (260 ℉)로 가열하였고, 저부 결합 롤은 116 ℃ (240 ℉)로 가열하였다. 글러브를 형성한 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텍스처화된 마디가 외부에 놓이도록 글러브를 뒤집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기재된 글러브를 제작하였지만, 쓰루 에어 본디드 이성분 섬유상 웹은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글러브를 제작하였지만,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물질로 대체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1.0 osy의 총 기초중량을 가졌다. 라미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부터 제조된 0.4 osy 멜트블로운 내부 층을 포함하였다. 2 개의 스펀본드 페이싱도 또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제조하였다.
이 결과 얻은 다층 물질을 실시예 1에 기재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층이 스트레치-본디드 층에 인접하여 있도록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를 제작하고, 화장 메이크업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코폼 시트로 대체하였다. 코폼 시트는 50% 펄프 섬유 및 50 중량%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함유하는 멜트블로운 웹이었다. 코폼 시트는 1.2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코폼 시트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글러브를 뒤집지 않았다. 게다가, 코폼 시트로부터 제조된 글러브의 부분품이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부분품보다 더 길어서 잡아당겨 끼는 손잡이(pull on tab)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글러브를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와 유사하게 제작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함유된 이성분 스펀본드 웹은 3.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포인트 언본디드 공정 동안, 상부 결합 롤은 132 ℃ (270 ℉)로 가열하였고, 하부 결합 롤은 121 ℃ (250 ℉)로 가열하였다. 실시예 1과는 대조적으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는 대신,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 사이에서 15 gsm 폴리우레탄 필름을 접착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접착제는 핀들레이, 인크.(Findley, Inc.)로부터 얻은 핀들레이(Findley) H2525A 접착제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들을 그의 원래 폭의 30%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용접한 후, 텍스처화된 마디가 글러브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글러브를 뒤집었다.
실시예 8
글러브를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와 유사하게 제작하였고, 동일한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탄성 물질로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는 대신,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35 gsm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별법으로, 라미네이트는 약 20 - 45 gsm의 메탈로센 촉매 폴리올레핀과 크레이톤-G 중합체의 블렌드일 수 있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을 원래 폭의 45 %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용접한 후, 다시 텍스처화된 마디가 글러브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글러브를 뒤집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와 유사한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15 gsm 폴리에테르 아미드 탄성 필름 (페박스(PEBAX)-2533 필름, 엘프 아토켐(Elf Atochem)으로부터 얻음)을 1 쌍의 마주보는 이방향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접착제로 결합시킴으로써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3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탄성 필름에 부착될 때,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0%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된 후, 길이를 50% 감소시키는 양만큼 크림핑되었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글러브를 뒤집고, 페퍼민트 오일로 처리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시트가 2 개의 치수에서 탄성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는 2.75 osy의 총 기초 중량을 가졌다. 게다가,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용접하는 대신,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엘라스토머성 멜트블로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아르니텔 EM 400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DSM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로부터 얻음)에 접착제로 고정시켰다. 멜트블로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웹은 약 2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는 2.75 osy의 총 기초 중량을 가졌고,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를 기저귀에서 다리 탄성체로 흔히 사용되는 탄성 물질의 얇은 스트립에 접착제로 결합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용접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1.0 osy의 총 기초 중량을 가졌고, 여기서 멜트블로운 내부 층은 0.4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탄성 스트립을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접착제로 결합시켰다. 탄성 스트립은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 사이에 삽입된 탄성 쓰레드를 포함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시트에 용접함으로써 제조한 글러브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부착된 탄성 스트립 때문에 탄성이었다. 탄성 스트립은 균일한 탄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글러브는 손에 삽입한 후 성인 글러브의 제 1 손가락 관절과 제 2 손가락 관절 사이에 탄성 필름이 있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글러브의 다른 한 실시태양을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글러브는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제 2 부분품에 용접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제 1 부분품을 포함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글러브의 앞쪽을 형성하였고,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뒤쪽을 형성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하였고, 0.8 osy의 총 기초 중량을 가졌다.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그것이 더 무거운 중량의 필름 및 더 무거운 중량의 페이싱을 가졌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에 기재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와 유사하였다. 게다가, 페이싱은 원래 폭의 40%가 되는 폭으로 넥킹하였다. 라미네이트는 4.2 osy의 전체 기초 중량을 가졌다.
2 개의 면을 손가락이 있는 손 형상으로 함께 열 결합시키고, 과량의 물질을 와이프(wipe)의 가장자리로부터 트리밍하였다. 이어서, 솔기가 내부에 있도록 와이프를 뒤집었다. 글러브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부분품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부분품보다 더 길어서 손가락에 와이프를 놓기 쉽게 하는 잡아당겨 끼는 손잡이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의 길이는 약 5 cm이고,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의 길이는 약 4 cm이었다. 글러브를 편평하게 했을 때, 와이프의 저부의 폭은 약 2.4 cm이었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글러브의 다른 한 실시태양을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글러브는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제 2 부분품에 용접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제 1 부분품을 포함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글러브의 앞쪽을 형성하였고,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뒤쪽을 형성하였다.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하였고, 0.8 osy의 총 기초 중량을 가졌다.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그것이 더 무거운 중량의 필름 및 더 무거운 중량의 페이싱을 가져서 4.2 osy의 전체 기초 중량을 가졌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에 기재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와 유사하였다. 게다가, 페이싱은 원래 폭의 40%가 되는 폭으로 넥킹하였다.
2 개의 부분품을 열 결합시키고, 과량의 물질을 와이프(wipe)의 가장자리로부터 트리밍하였다. 이어서, 솔기가 내부에 있도록 와이프를 뒤집었다. 글러브의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부분품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부분품보다 더 길어서 와이프를 놓기 쉽게 하는 잡아당겨 끼는 손잡이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의 길이는 약 5 cm이고, 한편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의 길이는 약 4 cm이었다. 글러브를 편평하게 했을 때, 와이프의 저부의 폭은 약 2.4 cm이었다.
실시예 14
탄성 물질을 손가락 형상 디자인을 갖는 텍스처화된 표면에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탄성 물질로 사용하는 대신,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추가로,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텍스처화된 물질은 포인트 언본디드 부직포가 아니라, 약 3 내지 4 mm 길이의 루프형 강모를 갖는 편직 나일론 물질이었다. 이 편직 물질은 약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강모는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성분을 가졌고, 상대적으로 높거나 또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방향, 즉 결 방향 및 결 반대 방향으로 스크러빙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루프형 강모는 크기 및 분포가 꽤 균질하였고, 일반적으로 표면으로부터 3 mm 내지 4 mm 뻗어 있었다. 강모 루프는 다수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졌다. 편직 물질을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시예 15
탄성 물질을 손가락 형상 디자인을 갖는 텍스처화된 표면에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탄성 물질로 사용하는 대신,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 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추가로,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텍스처화된 물질은 포인트 언본디드 부직포가 아니라, 약 3 mm 길이의 루프형 강모를 갖는 편직 나일론 물질이었다. 편직 물질은 약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고, 통기성 필름 라미네이트(1.0 osy)의 주변 둘레에 초음파 용접하여, 루프형 강모 및 수분 배리어를 함유하는 부직포/편직물 라미네이트를 제공하였다. 강모가 있는 부직포/편직물 라미네이트는 루프형 강모가 NBL에 인접하도록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강모는 외부에 놓이게 하였다. 강모는 세정 목적을 위한 마모 브러쉬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추가로,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텍스처화된 물질은 나일론 및 스판덱스로 이루어진 통상의 루프 패스너인 벨크로 메드-플렉스 테이프(VELCRO Med-Flex Tape) 9399이었다. 이 물질은 탄성이었다. 루프형 강모는 모노필라멘트이고, 스트레치 되지 않을 때는 일반적으로 표면으로부터 0.5 mm 내지 3 mm 뻗어 있었고, 인장력을 적용할 때 일부는 10 mm까지 뻗었다. 편직 물질을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의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탄성 물질로 사용하는 대신,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추가로,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텍스처화된 물질은 통기성 필름 라미네이트(1.0 osy)에 접착제로 적층된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루프 패스너인 벨크로 루프 002 테이프 0599 (약 2.5 osy)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이었다. 텍스처화된 물질을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의 글러브와 유사하게 글러브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를 탄성 물질로 사용하는 대신,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so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 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추가로,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텍스처화된 물질은 니들펀칭된 부직포 기재이었고, 기초 중량은 약 0.5 - 5 osy이었다. 텍스처화된 물질을 넥-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실시예 19
메트로니다졸 및 페퍼민트 오일 (20 ㎕)로 항궤양 성분을 함유하는 치료용 글로브를 제조할 수 있다. 메트로니다졸은 갤더마(Galderma)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메트로겔(METROGEL)이라 불리는 국소용 겔의 형태로 얻었다. 비스무쓰 서브살리실레이트(200 ㎕의 펩토-비스몰(PEPTO-BISMOL)), 메트로니다졸(50 mg의 메토로겔 로션), 테트라사이클린(10 mg의 서미신(SUMYCIN)) 및 페퍼민트 오일(20 ㎕)의 현탁액을 적어도 3 층 라미네이트 글러브 몸체의 외부 부직포 층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러브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로부터 제조된 제 1 부분품을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SBL)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글러브의 앞쪽을 형성하였고, 한편 SBL 시트는 글러브의 뒤쪽을 형성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는 제 1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 통기성 필름 시트 및 제 2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을 함께 열 결합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통기성 필름 시트를 스펀본드 웹들 사이에 놓았다.
제 1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은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제 2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은 2.8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고, 평균 섬유 직경은 7.05 데니어였다. 통기성 필름 시트는 탄산칼슘 충전제를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미세다공성 필름을 생성하기 위해 필름을 스트레치하였다. 필름은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을 텍스처를 생성하는 포인트-언본디드 패턴을 이용하여 열 결합시켰다. 특히, 라미네이트의 제 2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 쪽에 원형 술을 형성하였다. 결합 동안, 포인트-언본디드 패턴을 갖는 상부 결합 롤은 177 ℃(350 ℉)로 가열하였고, 저부 결합 롤은 149 ℃(300 ℉)로 가열하였다.
다른 한편, SBL 시트는 2 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물질의 쓰레드를 포함하였다. 사용된 탄성 물질은 크레이톤 폴리머 인크.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G2740 S-EB-S 블록 공중합체였다. SBL 시트는 2.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각인된 마그네슘 결합 플레이트를 사용해서 SBL 시트를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에 결합시켰다.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물질의 제 2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층을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SBL 시트에 인접해서 배치하였고, 이는 SBL 시트에 텍스처화된 마디를 생기게 하였다. 초음파 용접 후, 가장자리 둘레에서 과량의 물질을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이렇게 하여 얻은 결합된 와이프는 상부에 둥근 영역 및 바깥쪽으로 향해서 끝이 가늘어지는 곧은 측면을 가지며, 상부로부터 1 cm 되는 곳의 결합 패턴의 폭은 2.3 cm이고, 상부로부터 4.5 cm 되는 곳의 결합 패턴의 폭은 2.8 cm이었다.
이어서, 손가락 글러브에 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페퍼민트 오일(20㎕)을 첨가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는 애포테콘(Apothecon)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Bristol-Myers Squibb)의 자회사)으로부터 서미신으로 판매되는 약물 형태로 얻었다. 테트라사이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를 물 중의 40 mg 서미신/ml 용액 100 ㎕를 함유하는 용액 형태로 손가락 글러브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20
바람직한 수준의 결합 및 텍스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결합 압력, 라인 속도 및 온도로 3 개의 물질, 즉 이성분 스펀본드 웹(PE/PP, 병렬 배열, 0.45 osy), 필름(0.0007" 캐탈로이(CATALLOY) 필름, 플라이언트 코포레이션(Pliant Corporation)에서 공급), 및 쓰루 에어 본디드 웹 (PE-PP, 병렬 배열, 3.5 osy)을 열 융합시켜서(포인트-언본디드 패턴 이용)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이 경우, 상부 패턴화된 롤은 124 ℃(256 ℉)로 가열하였고, 저부 결합 롤은 120 ℃(248 ℉)로 가열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스테인리스 스틸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1
바람직한 수준의 결합 및 텍스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결합 압력, 라인 속도 및 온도로 3 개의 물질, 즉 이성분 스펀본드 웹(PE/PP, 병렬 배열, 0.45 osy), 필름(0.0007" 캐탈로이(CATALLOY) 필름, 플라이언트 코포레이션(Pliant Corporation)에서 공급), 및 쓰루 에어 본디드 웹 (PE-PP, 병렬 배열, 3.5 osy)을 열 융합시켜서(포인트-언본디드 패턴 이용)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이 경우, 상부 패턴화된 롤은 124 ℃(256 ℉)로 가열하였고, 저부 결합 롤은 120 ℃(248 ℉)로 가열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스테인리스 스틸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칫솔을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2
바람직한 수준의 결합 및 텍스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결합 압력, 파워 및 라인 속도로 2 개의 물질, 즉 필름(0.0007" 캐탈로이 필름, 플라이언트 코포레이션에서 공급), 및 쓰루 에어 본디드 웹 (PE-PP, 병렬 배열, 3.5 osy)을 초음파 융합시켜서(2" 회전 초음파 앙빌에서 포인트-언본디드 패턴 이용)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결합 공정 동안 쓰루-에어 본디드 웹이 패턴화된 앙빌에 이웃해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29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스테인리스 스틸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 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페퍼민트 오일을 손가락 글러브에 첨가하였고, 이어서 이것을 성인의 입안을 세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23
바람직한 수준의 결합 및 텍스처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결합 압력, 라인 속도 및 온도로 2 개의 물질, 즉 통기성 필름 시트(LLDPE/CaCo3)/폴리프로필렌, 1.0 osy) 및 쓰루 에어 본디드 웹 (PE-PP, 병렬 배열 섬유, 3.5 osy)을 초음파 융합시켜서(2" 회전 초음파 앙빌에서 포인트-언본디드 패턴 이용)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스테인리스 스틸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 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4
2 개의 쓰루-에어 본디드 웹을 초음파 융합함으로써(2 " 회전 초음파 앙빌에서 포인트-언본디드 패턴을 이용함)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을 형성하였다. 두 웹은 이성분 PE/PP 병렬 배열 섬유로 이루어졌다. 결합 동안 패턴화된 앙빌에 인접한 상부 웹은 오각형(pentalobal) 형상을 가진 섬유로 이루어졌고, 3.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저부 웹은 통상의 둥근 섬유로 이루어졌고, 3.8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충분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 압력 (60 psi) 및 라인 속도 (80 fpm)를 설정하였지만, 파워 조정으로 거의 동등한 결합을 제공하는 다른 셋팅을 허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마그네슘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5
2 개의 쓰루-에어 본디드 웹을 초음파 결합함으로써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을 형성하였다. 두 웹은 이성분 PE/PP 병렬 배열 섬유로 이루어졌다. 패턴화된 앙빌에서 둥근 원(언본디드 영역에 상응함)의 깊이는 0.060"이었다. 결합 동안 패턴화된 앙빌에 인접한 상부 웹은 오각형(pentalobal) 형상을 가진 섬유로 이루어졌고, 3.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저부 웹은 통상의 둥근 섬유로 이루어졌고, 3.8 osy의 중량을 가졌다. 충분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 압력 (60 psi) 및 라인 속도 (80 fpm)를 설정하였지만, 파워 조정으로 거의 동등한 결합을 제공하는 다른 셋팅을 허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마그네슘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안 텍스 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6
2 개의 쓰루-에어 본디드 웹을 초음파 결합함으로써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물질을 형성하였다. 두 웹은 이성분 PE/PP 병렬 배열 섬유로 이루어졌다. 패턴화된 앙빌에서 둥근 원(언본디드 영역에 상응함)의 깊이는 0.0120"이었다. 결합 동안 패턴화된 앙빌에 인접한 상부 웹은 오각형(pentalobal) 형상을 가진 섬유로 이루어졌고, 3.5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저부 웹은 통상의 둥근 섬유로 이루어졌고, 3.8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다. 충분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 압력 (60 psi) 및 라인 속도 (80 fpm)를 설정하였지만, 파워 조정으로 거의 동등한 결합을 제공하는 다른 셋팅을 허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 시트를 브랜슨 920 IW 초음파 용접기를 이용해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시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넥-본디드 라미네이트는 1 쌍의 마주보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페이싱에 적층된 1.0 osy 메탈로센 촉매 폴리에틸렌 필름을 함유하였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스트레치 또는 넥킹되기 전에 0.5 osy의 중량을 가졌다. 스펀본드 페이싱은 원래 폭의 42%에 상응하는 폭으로 넥킹되었다.
각인된 마그네슘 결합 플레이트가 손가락 형상 결합 패턴을 만들기 위한 초음파 앙빌로서 역할을 하였다. 포인트 언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드 물질의 이성 분 스펀본드 층은 초음파 용접 공정 동안 NBL에 인접하였다(이것은 용접 동안 텍스처화된 마디가 SBL 시트에 정면으로 향하고 그와 마주 대하여 가압됨을 의미함). 초음파 용접 후, 과량의 물질을 에지 둘레에서 트리밍하고, 손가락 글러브를 뒤집어서 솔기는 내부에, 텍스처화된 마디는 외부에 놓았다.
실시예 27
실시예 1에 기재된 글러브를 제작하고, 기저귀 교체 중에 유아에게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를 적용하는 데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포인트 언본디드 스펀본드 라미네이트를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라미네이트로 대체하였다. 라미네이트는 1.4 osy의 기초 중량을 가졌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전부 제조하였다. 라미네이트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에 초음파 용접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글러브를 뒤집었다. 이어서, 글러브를 기저귀 교체 중에 유아에게 적용되는 페트롤리움 젤리에 침지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해서 일반적으로 그리고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양한 실시태양의 양상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교환할 수 있고, 기재된 특이한 용어, 장치 및 방법은 오직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다. 사용된 낱말은 제한적인 낱말이 아니라 설명적인 낱말이다. 당업계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기재한 실시태양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현재 알려지거나 또는 개발될 다른 균등한 성분들을 포함하여 다음 특허 청구의 범위 또는 그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변형 및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변화가 다른 점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그 변화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 및 통기성이 있으며 몸의 3 차원적 구조에 꼭 맞는 맞음새를 제공하는 보호용 물품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Claims (42)

  1. 적어도 제 1 배리어 층 및 적어도 제 1 부직포 섬유 웹이 적층된 라미네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층이 액체 불투과성이지만 증기 투과성이고, 적어도 한쪽 면이 적어도 상기 부직포 섬유 웹으로 보강되고, 상기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섬유 웹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방향 탄성을 나타내는 것인 통기성 보호용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부려져서 갑갑함 또는 움직임 제한이 없이 착용자의 몸의 3 차원적 부분에 꼭 맞게 순응하도록 적합하게 된 보호용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 섬유 층이 실질적으로 연속인 섬유를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층이 모노리식(monolithic) 또는 미세다공성인 중합체 필름인 보호용 물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층이 극성 또는 비극성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보호용 물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섬유 층의 다수의 적층을 더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적층에서 배리어 층 및 부직포 섬유 층이 번갈아 있는 보호용 물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적용되는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 기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오버코트를 추가로 갖는 보호용 물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가 천연 라텍스 고무, 니트릴, 비닐,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중합체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물질로 제조되는 보호용 물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 층이 분리층으로 역할하고, 수분을 위킹하는 데 적합하게 된 것인 보호용 물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 층이 소수성 물질인 보호용 물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이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보호용 물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 웹이 엘라스토머성 부직포 웹인 보호용 물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 웹이 스트레치성 본디드 라미네이트,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디드 웹,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 웹,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 웹, 에어 본디드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웹을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 층의 약 75% 이상의 개별 섬유가 약 1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보호용 물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가 제 1 부직포 웹과 제 2 부직포 웹 사이에 위치하는 수분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17. 제 1 항에 있어서, 1) 글러브, 발 웨어, 안면 마스크 또는 머리 커버링의 군; 2) 가운, 드레이프, 커버롤, 실험실용 코트, 앞치마 및 자켓의 군; 3) 화장용 패드, 환자용 침구, 들것 및 유모차 시트의 군; 또는 4) 창상 드레싱, 붕대 및 멸균 랩의 군 중 하나의 군의 1 종인 보호용 물품.
  18. 적어도 분리층 및 통기성 배리어 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층이 사람 피부로부터 수분을 위킹하도록 적합하게 된 다방향 탄성 및 스트레치성 부직포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성 배리어 층이 중합체 필름이고, 상기 적층된 구조가 착용자의 몸의 일부에 꼭 맞게 순응하도록 적합하게 된 것인 보호용 비흡수성 물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이 수분 배리어 층인 보호용 물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이 내화학성 작용제로 코팅된 보호용 물품.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배리어 층에 부착되는 제 2 부직포 웹 또는 제 2 배리어 층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직포 층 또는 상기 제 2 배리어 층이 텍스처화된 표면을 갖는 보호용 물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화된 표면이 부직포 층이고, 상기 표면이 루프형 강모, 또는 포인트 언본디드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 언본디드 물질이 결합된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융기된 술을 갖는 것인 보호용 물품.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직포 층이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연속인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코팅에 의해 보강된 보호용 물품.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직포 층이 1) 패턴화되고 연속이거나, 2) 패턴화되고 불연속이거나, 또는 3) 랜덤하고 불연속인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코팅에 의해 보강된 보호용 물품.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직포 섬유 층이 착색된 안료 또는 색상 변화 염료를 누출 지시자로 함유하는 보호용 물품.
  27. 제 20 항에 있어서, 글러브인 보호용 물품.
  28. 제 20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개방된 말단부를 갖는 보호용 물품.
  29. 제 25 항에 있어서, 화학적 보호 제제가 상기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코팅 위에 적용된 보호용 물품.
  30. 제 2 패널에 부착되어 손 또는 발을 수용하도록 적합하게 된 속이 빈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제 1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이 배리어 층이 부직포 섬유 웹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다방향 탄성 부직포 섬유 웹에 적층되는 통기성 엘라스 토머성 중합체 배리어 층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널이 탄성 부직포 섬유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이 솔기를 형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2 패널에 부착된 손 또는 발 보호용 물품.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직포 섬유 웹이 스트레치성 본디드 라미네이트, 넥 본디드 라미네이트, 스펀본디드 웹,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 웹,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 웹, 에어 본디드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인 보호용 물품.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패널의 상기 부직포 섬유 웹이 실질적으로 연속인 섬유를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직포 섬유 웹 중의 약 75% 이상의 개별 섬유가 약 1 mm 초과의 길이를 갖는 보호용 물품.
  34. 제 30 항에 있어서, 일회용품인 보호용 물품.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적용되는 천연 라텍스 고무, 니트릴, 비닐,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중합체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물질로 제조된 오버코트 를 더 포함하는 보호용 물품.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이 약 1 mm 내지 약 5 mm의 솔기 폭을 갖는 솔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2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솔기가 상기 물품의 내부 쪽을 향하게 뒤집힌 보호용 물품.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이 1 mm 미만의 솔기 폭을 갖는 플러쉬 솔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 2 패널에 연결된 보호용 물품.
  38. 적어도 제 1 부직포 섬유 웹 및 제 1 통기성 배리어 층을 갖는 베이스 물질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 물질을 금형 또는 다이에 상기 부직포 섬유 웹이 물품의 내부 라이닝이 되게 구성되도록 적용하고; 속이 빈 몸체를 갖는 물품을 형성하고 솔기를 봉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손 또는 발 보호용 물품 제조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웹 - 배리어 층 라미네이트 몸체를 위에 갖는 금형을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물질의 조에 침지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 위에 불투과성 엘라스토머성 코팅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몸체를 갖는 물품을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물질로 실크 스크리닝 또는 분무하여 물품의 적어도 일부 위에 코팅을 형성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물질이 천연 고무 또는 합성 라텍스, 니트릴, 비닐,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42. 넥킹된 부직포 페이싱에 적층된 미리 스트레치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탄성 스트레치성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에서 상기 넥킹된 부직포 페이싱이 확장성 스트레치를 허용하고 상기 필름이 신장 및 수축 성질을 제공하는 것인 비흡수성 보호용 물품.
KR1020077013248A 2004-12-14 2005-12-14 통기성 보호용 물품 Withdrawn KR20070095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11,716 2004-12-14
US11/011,716 US20060143767A1 (en) 2004-12-14 2004-12-14 Breathable protective 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896A true KR20070095896A (ko) 2007-10-01

Family

ID=3639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248A Withdrawn KR20070095896A (ko) 2004-12-14 2005-12-14 통기성 보호용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43767A1 (ko)
EP (1) EP1824678A2 (ko)
KR (1) KR20070095896A (ko)
CN (1) CN101080319A (ko)
AU (1) AU2005317159A1 (ko)
BR (1) BRPI0516185A (ko)
MX (1) MX2007007118A (ko)
WO (1) WO200606585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38Y1 (ko) * 2009-06-15 2011-05-24 이영원 기능성 고무장갑
KR20150023763A (ko) * 2012-06-22 2015-03-05 타미케어 리미티드 다중 층들 및 구역들을 포함하는 신축성 시트 및 이러한 생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0183B2 (en) * 2001-02-16 2015-02-24 Solar Solutions Llc Solar water pasteurizer
BRPI0412277A (pt) * 2003-07-02 2006-09-19 Ansell Healthcare Prod Llc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luva revestida de superfìcie texturizada e luva de superfìcie texturizada
US9731319B2 (en) * 2004-11-05 2017-08-15 Tamicare Ltd. Stretchable sheets comprising a variety of layers and zones and methods to produce such products
JP4242338B2 (ja) * 2004-12-17 2009-03-25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滑止め手袋
US7378043B2 (en) * 2005-01-12 2008-05-27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Latex gloves and articles with geometrically defined surface texture providing enhanced grip and method for in-line processing thereof
US7552501B2 (en) * 2005-04-29 2009-06-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ger wipe with improved seam structure
US7469427B2 (en) * 2005-06-30 2008-12-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nd permeable non-woven protective gloves
DE102005050730A1 (de) * 2005-07-01 2007-01-04 BLüCHER GMBH Handschuh mit verbesserter ABC-Schutzfunktion
US20070026028A1 (en) * 2005-07-26 2007-02-01 Close Kenneth B Appliance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WO2007033180A1 (en) * 2005-09-12 2007-03-22 Abela Pharmaceuticals, Inc. Materials f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of dimethyl sulfoxide (dmso) and related compounds
US7955418B2 (en) 2005-09-12 2011-06-07 Abela Pharmaceuticals, Inc. Systems for removing dimethyl sulfoxide (DMSO) or related compounds or odors associated with same
EP2324838A1 (en) * 2005-09-12 2011-05-25 Abela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Dimethyl Sulfoxide (DMSO)
US20070134303A1 (en) * 2005-12-14 2007-06-14 Ali Yahiaoui Protective and therapeutic article
USD569579S1 (en) * 2006-06-02 2008-05-27 Showa Glove Co. Work glove
CA121127S (en) * 2006-06-02 2008-01-22 Showa Glove Co Work glove
DE102006035615B4 (de) * 2006-07-31 2010-05-06 Roeckl, jun., Stefan Handschuh, insbesondere Fahrradhandschuh
US20080102093A1 (en) * 2006-10-31 2008-05-01 Close Kenneth B Appliance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he appliance having an elastic layer and a shielding layer
US20080103460A1 (en) * 2006-10-31 2008-05-01 Close Kenneth B Method for making an appliance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he appliance having an elastic layer and a shielding layer
US20080103461A1 (en) * 2006-10-31 2008-05-01 Johnson Kroy D Appliance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the appliance having an outer fibrous layer and inner liquid-impermeable layer
US20080116096A1 (en) * 2006-11-17 2008-05-22 Johnson Kroy D Liquid-permeable appliance for delivering a composition
US20090113766A1 (en) * 2007-11-07 2009-05-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Water Repelling Member
US20080178366A1 (en) * 2007-01-26 2008-07-31 Samir Daher Cleaning glove
DE102007021014A1 (de) * 2007-05-04 2008-11-06 Paul Hartmann Ag Bereichsweise mehrlagiger medizinischer Handschuh
US7883495B2 (en) * 2007-05-24 2011-02-08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polymer film having odor control and/or skin health agents
US20110077347A1 (en) * 2007-06-19 2011-03-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 blend films for chemically protective articles
US20090038052A1 (en) * 2007-07-16 2009-02-12 David Gellis Utility glove
US9555567B2 (en) 2007-07-16 2017-01-31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US9498009B2 (en) 2007-07-16 2016-11-22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US20090077724A1 (en) * 2007-09-26 2009-03-26 Courtney Mark J Protective Undergarment
CN102084053A (zh) * 2007-10-25 2011-06-01 陶氏环球技术公司 用于多孔基质的聚烯烃分散技术
WO2009094305A1 (en) 2008-01-22 2009-07-30 Baacke Dennis R Coated glove with multiple material layers
US10589134B2 (en) * 2008-01-30 2020-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and health and hygiene system for hand health and infection control
US20090199320A1 (en) * 2008-02-10 2009-08-13 Louis Yum Ming Ng Seamless headwea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for the same
US9949906B2 (en) * 2008-07-11 2018-04-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bstrates having formulations with improved transferability
US11234905B2 (en) * 2008-07-11 2022-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compatibility with nonwoven substrates
US8156576B1 (en) 2008-07-21 2012-04-17 Kappler, Inc. Flash fire and chemical resistant fabric and garments
US20100077533A1 (en) * 2008-09-29 2010-04-01 Munda Joseph P Thermal athletic glove
US20110203226A1 (en) * 2008-10-28 2011-08-25 Yael Bonneh Breathable insulation material, device and methods
BRPI0921494A2 (pt) 2008-11-03 2018-10-30 Prad Reasearch And Development Ltd método de planejamento de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método de contolar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de formação subterrânea, método de controlar uma operação de perfuração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e método de realizar uma amostragem durante a operação de perfuração.
US20100251466A1 (en) * 2009-04-07 2010-10-07 Kappler, Inc. Selectively permeable chemical protective films and composite fabrics
JP5373183B2 (ja) * 2009-04-08 2013-12-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不織布ウェブ(類)及び弾性フィルムの伸縮性ラミネート
MX2011010654A (es) 2009-04-08 2011-10-21 Procter & Gamble Laminares estirables de trama(s) de tela no tejida y pelicula elastica.
EP2416958B1 (en) * 2009-04-08 2014-07-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etchable laminates of nonwoven web(s) and elastic film
BRPI1015316A2 (pt) * 2009-04-08 2016-05-31 Procter & Gamble laminados extensíveis feitos de mantas de não-tecido e filme elástico
US20110047671A1 (en) * 2009-08-27 2011-03-03 Zhu Yuan-Sha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glove
MX353712B (es) 2009-10-30 2018-01-24 Abela Pharmaceuticals Inc Formulaciones de sulfoxido de dimetilo (dmso) y metilsulfonilmetano (msm) para tratar osteoartritis.
EP2555643A4 (en) * 2010-04-07 2014-04-02 Univ Delaware Puncture and/or cut resistant glove having maximized dexterity, tactility, and comfort
US9084444B2 (en) * 2010-05-25 2015-07-2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US20120090075A1 (en) * 2010-10-15 2012-04-19 Andrea Barbara Piesker Chemical resistant, mechanical resistant, anti-static glove
ES2537110T3 (es) * 2010-12-17 2015-06-02 Mondi Consumer Packaging Technologies Gmbh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material compuesto elástico con superficie textil
MX340412B (es) * 2010-12-17 2016-07-06 Tamicare Ltd Producto y método para producir un material no tejido de retención de forma.
EP2500454B1 (en) * 2011-03-16 2015-05-13 Autoliv Development AB A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n inflatable air-bag
DE102011018219A1 (de) * 2011-04-19 2012-10-25 PLS Solutions GmbH Dreischichtverbundpad
US20140059737A1 (en) * 2011-08-12 2014-03-06 Abbas M. Husain Indicator glove with cleaning portion
US20120266355A1 (en) * 2011-04-22 2012-10-25 Husain Abbas M Indicator gloves
US20150135401A1 (en) * 2011-04-22 2015-05-21 Abbas M. Husain Glove with cleaning surfaces
US9084445B2 (en) 2011-09-15 2015-07-2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US9131737B2 (en) 2011-09-15 2015-09-15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including a coloring agent
US8973162B1 (en) * 2011-09-23 2015-03-10 Joel H. Bretan Assistive and protective garments
US9707715B2 (en) 2011-10-31 2017-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rticles having a welded seam made from a multi-layer film
US8566965B2 (en) 2011-10-31 2013-10-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rticles having a welded seam that possess strength and elasticity
CN102505512B (zh) * 2011-11-05 2014-03-05 潮州市金山塑胶有限公司 一种丙烯基弹性体及聚丙烯共聚合成革的制造方法
US20140373250A1 (en) * 2012-01-04 2014-12-25 Idéexaction Inc. Glove with moisture abosrbent applicator layer
WO2013126727A1 (en) * 2012-02-22 2013-08-29 Anstey Paul Medical/dental/utility glove with anti-fatigue and ergonometric improvements
JP5951281B2 (ja) * 2012-02-28 2016-07-13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45201A1 (en) * 2012-03-16 2013-09-19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Lldpe-ldpe blown film blend
US10006743B2 (en) * 2012-04-22 2018-06-26 Mitnick Capital LLC Protective material
US10518056B2 (en) * 2012-05-30 2019-12-31 Infection Prevention Products, Inc. Cannula holders
KR20150027286A (ko) * 2012-06-29 2015-03-11 안셀 리미티드 상처 관리 물품
US11141966B2 (en) * 2012-07-26 2021-10-12 Warwick Mills, Inc. Method of laminating a performance-enhancing layer to a seamless three dimensional glove
US20140101824A1 (en) * 2012-10-15 2014-04-17 Nike, Inc. System Including Footwear and Sock Having Aligning Indicia
CN104994890B (zh) * 2012-12-11 2018-10-30 创新创伤护理公司 止血手套装置和使用止血手套装置的方法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CA2808848A1 (en) 2013-03-07 2014-09-07 Airboss-Defense Low burden protective glove
US11679319B2 (en) * 2013-06-20 2023-06-20 John Ramirez Sport gloves
US20160143379A1 (en) * 2013-07-22 2016-05-26 Summit Glove Inc. Glove having a widened cuff and with finger regions that include a flexible hinge region
US9380794B2 (en) 2013-07-22 2016-07-05 Summit Glove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glove failure
WO2015028905A2 (en) * 2013-08-12 2015-03-05 Dipped Products Plc Latex dipped articles embedded with natural herbs
AU2014334546B2 (en) * 2013-10-14 2018-05-10 Invista Textiles (U.K.) Limited Breathable composite film
WO2015077819A1 (en) 2013-11-26 2015-06-04 Ansell Limited Effervescent texturing
USD773744S1 (en) * 2013-12-13 2016-12-06 Covco (H.K.) Ltd. Glove former
US20170319375A1 (en) * 2014-11-11 2017-11-09 Nettforsk As Methods of Improving Hygiene, and Articles and Kits for Use in the Same
WO2016141408A1 (en) 2015-03-10 2016-09-15 Ansell Limited Supported glove having an abrasion resistant nitrile coating
ES2923705T3 (es) * 2015-03-11 2022-09-29 Ansell Ltd Materiales poliméricos texturizados y métodos de formación
CN107846997B (zh) * 2015-08-25 2020-11-03 安塞尔有限公司 具有增强体和冲击特征部的手套
US10278438B2 (en) 2015-08-31 2019-05-07 Grabbies Media, Llc Consumer usable device with redeemable member
USD789652S1 (en) 2015-09-30 2017-06-20 Madgrip Holdings, Llc Glove
USD783229S1 (en) 2015-09-30 2017-04-11 Madgrip Holdings, Llc Glove
US20170156421A1 (en) * 2015-12-07 2017-06-08 East Leading Chemical Co., Ltd. Water repellent glove
US20170231827A1 (en) * 2016-02-14 2017-08-17 Christina Goree Hand or Foot Compression Wound Bandage System
US10449093B2 (en) * 2016-04-21 2019-10-22 Fingertips Enterprise, Llc Fingertip cleaning apparatus
USD893129S1 (en) 2016-05-25 2020-08-18 Summit Glove Inc. Patterned glove with a flared cuff
USD894526S1 (en) 2016-05-25 2020-09-01 Summit Glove Inc. Patterned glove with a straight cuff
US10609968B2 (en) 2016-08-17 2020-04-07 Nike, Inc. Garment having selected stretch zones
EP3509551A1 (en) * 2016-09-07 2019-07-17 A&AT UK Limited Stretch nonwovens and films
US20180071612A1 (en) * 2016-09-12 2018-03-15 Eric D Marchewitz Enhanced Weight Lifting Workout Gloves
WO2018110927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패치형 센서모듈
ES2870489T3 (es) * 2017-01-23 2021-10-27 Munksjoe Ahlstrom Oyj Material textil de barrera transpirable para sala blanca
US10617162B2 (en) * 2017-10-11 2020-04-14 Medline Industries, Inc. Gown with moisture contact indicator
IT201800005140A1 (it) * 2018-05-08 2019-11-08 Giuseppe Leonardo Federico Tessuto per la realizzazione di indumenti e bendaggi di compressione ed indumento contenitivo realizzato con detto tessuto
WO2020080226A1 (ja) * 2018-10-17 2020-04-23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手袋
DE102018008583A1 (de) * 2018-10-31 2020-04-30 Ewald Dörken Ag Verbundfolie
US11026477B2 (en) 2019-03-14 2021-06-08 Allbirds, Inc. Shoes with knit upper portion
US11206899B2 (en) * 2019-05-01 2021-12-28 Allbirds, Inc. Knit shoes with elastic region
CN111068199A (zh) * 2020-01-18 2020-04-28 于燕 一种应用sfs无纺布制做的工业用限次使用防化服
US11793680B2 (en) 2020-03-12 2023-10-24 Anne J. Lumsdaine Compound (multi-layer) waterproof bandage
MX2022012691A (es) * 2020-04-13 2023-01-11 Kimberly Clark Co Tela protectora y prendas hechas a partir de la misma.
US20210392977A1 (en) * 2020-06-19 2021-12-23 Charles Stigger Safety Mitt
WO2022120071A1 (en) * 2020-12-02 2022-06-09 Moran Taylor J Impregnated glove
US20220192902A1 (en) * 2020-12-17 2022-06-23 Marvin Maaske Post-Operative Carpal Tunnel Surgery Glove
CN114311944B (zh) * 2021-12-08 2023-05-30 浙江彩蝶实业股份有限公司 防护服用透湿薄膜层压复合针织面料的制备方法
CN114318892B (zh) * 2021-12-27 2023-03-10 张家港思淇科技有限公司 带吸湿排汗功能的全浸手套
CN114633527A (zh) * 2022-04-02 2022-06-17 盟迪(中国)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四面弹性的复合无纺布及其制作方法
US20240138501A1 (en) * 2022-10-31 2024-05-02 Jeffrey D. Heyd Han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9892A (en) * 1931-04-29 1933-05-16 Daniel K Pope Method of making fabric reenforced rubber articles
US3338992A (en) *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US3884030A (en) * 1964-07-17 1975-05-20 Monsanto Chemicals Fibrillated foamed textile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01429A (en) * 1969-06-06 1974-04-02 Dow Chemical Co Multilayer plastic articles
DE1939528A1 (de) * 1969-08-02 1971-02-11 Barmag Barmer Maschf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Mehrschichtblasfolien
DE2048006B2 (de) *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GB1373523A (en) * 1970-11-20 1974-11-13 Nippon Kokan Kk Apparatus for rejecting off-length articles
US3740262A (en) * 1971-08-17 1973-06-19 Dart Ind Inc Dual finish surgeon's glov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69471A (en) * 1973-01-02 1976-07-13 Sun Research And Development Co. Process of manufacturing chromic acid treated foam fibrillated webs
US3830767A (en) * 1973-05-02 1974-08-20 Shell Oil Co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US4028452A (en) * 1973-11-12 1977-06-07 Sun Ventures, Inc. Additives to improve wettability of synthetic paper pulp
US4100324A (en) *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A1052966A (en) * 1974-08-23 1979-04-24 Herbert W. Keuchel Radial extrusion and stretching of foam to form fibrous networks
US4209563A (en) * 1975-06-06 1980-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random laid bonded continuous filament cloth
US4006116A (en) * 1975-11-26 1977-02-01 Shell Oil Company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US4188448A (en) * 1976-02-19 1980-02-12 The B. F. Goodrich Company Stereo reticulated polymeric lace-like structur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041103A (en) * 1976-06-07 1977-08-09 Shell Oil Company Blends of certai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US4185330A (en) * 1977-03-28 1980-01-29 Stager Phyllis H Disposable cosmetic glove
US4310928A (en) * 1979-07-30 1982-01-19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urgeon's glove and talc free process for forming same
US4264670A (en) * 1979-11-21 1981-04-28 Uniroyal, Inc. Non-woven fabric made from polybutadiene
US4323534A (en) * 1979-12-17 1982-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rusion process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fabric fibers with exceptional strength and good elasticity
US4340563A (en) *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511354A (en) * 1980-05-07 1985-04-16 Medical Research Associates, Ltd. Hydrocarbon block copolymer with dispersed polysiloxane
US4309557A (en) * 1981-02-12 1982-01-05 Nusil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and aryl substituted oligosiloxanes suitable for use as diffusion pump oils
JPS57167441A (en) * 1981-04-03 1982-10-15 Asahi Chemical Ind Laminate entangled body excellent in garment characteristics
JPS58132157A (ja) * 1982-01-31 1983-08-06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植毛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4499154A (en) * 1982-09-03 1985-02-12 Howard L. Podell Dipped rubber article
US4426420A (en) * 1982-09-17 1984-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unlaced fabric containing elastic fibers
DE3485397D1 (de) * 1983-05-13 1992-02-13 Kuraray Co Ineinandergreifendes faservlies mit guter elastizitaet und herstellung desselben.
US4519098A (en) * 1983-06-08 1985-05-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Wearing apparel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of wearing apparel
US4526828A (en) * 1983-06-27 1985-07-02 Pioneer Industrial Products Company Protective appare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795668A (en) * 1983-10-11 1989-01-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component fibers and webs made therefrom
US4818464A (en) * 1984-08-30 1989-04-04 Kimberly-Clark Corporation Extrusion process using a central air jet
US4597108A (en) * 1984-11-28 1986-07-01 Akira Momose Powderfree surgical gloves
US4660228A (en) * 1985-06-08 1987-04-28 Kanebo, Ltd. Glove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720415A (en) *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57802A (en) * 1985-07-30 1987-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elastic web
US4655760A (en) * 1985-07-30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423168A (en) * 1985-08-16 1995-06-13 Kolmes; Nathaniel H. Surgical glove and yarn
US4755158A (en) * 1985-09-16 1988-07-05 Tidal Control Pty. Ltd. Paddling glove
US4803117A (en) * 1986-03-24 1989-02-07 Kimberly-Clark Corporation Coformed ethylene-vinyl copolymer elastomeric fibrous webs
DE3630392C1 (de) * 1986-09-06 1988-02-11 Rhodi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festigten Vliesen
US4923742A (en) * 1986-10-15 1990-05-08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omeric polyether block amide nonwoven web
US4741949A (en) * 1986-10-15 1988-05-03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 polyetherester nonwoven web
US4724184A (en) * 1986-10-15 1988-0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omeric polyether block amide nonwoven web
US4820572A (en) * 1986-10-15 1989-04-1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polyether block amide nonwoven web
US4828556A (en) * 1986-10-31 1989-05-09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multilayered, clothlike barrier
US4834738A (en) * 1986-12-31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US4833733A (en) * 1987-03-09 1989-05-30 Wayne State University Method of making cut resistant surgical gloves
US4808467A (en) * 1987-09-15 1989-02-28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High strength hydroentangled nonwoven fabric
US4939016A (en) * 1988-03-18 1990-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entangled nonwoven elastomeric web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4918754A (en) * 1988-05-04 1990-04-24 William C. Heller, Jr. Flocked glove and plastic sleeve member bonded thereto
US4851266A (en) * 1988-05-31 1989-07-25 Akira Momose Surface treatment of powderfree surgical gloves
US4981747A (en) * 1988-09-23 1991-0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226992A (en) *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JP2682130B2 (ja) * 1989-04-25 1997-11-26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柔軟な長繊維不織布
US5108827A (en) * 1989-04-28 1992-04-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JPH03140231A (ja) * 1989-10-26 1991-06-14 Nissho Corp バイアル用ゴム栓
US5116662A (en) * 1989-12-15 1992-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US5114781A (en) *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036551A (en) * 1990-02-16 1991-08-06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composite fabric
US5093422A (en) * 1990-04-23 1992-03-03 Shell Oil Company Low stress relaxation extrudable elastomeric composition
US5407715A (en) * 1990-11-28 1995-04-18 Tactyl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tri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5112900A (en) * 1990-11-28 1992-05-12 Tactyl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tri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CA2048905C (en) *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277976A (en) * 1991-10-07 1994-01-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iented profile fibers
US5278272A (en) * 1991-10-15 1994-01-1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y linear olefin polymers
US5382400A (en) * 1992-08-21 1995-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multicomponent polymeric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IT1256260B (it) * 1992-12-30 1995-11-29 Montecatini Tecnologie Srl Polipropilene atattico
US5332613A (en) * 1993-06-09 1994-07-26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elastomeric nonwoven fibrous webs
US5422172A (en) * 1993-08-11 1995-06-06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Elastic laminated sheet of an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elastomeric film and method
US5409642A (en) * 1993-10-06 1995-04-25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lt blowing of tubular filters
US5499400A (en) * 1993-12-10 1996-03-19 Nankai Technart Corporation Work gloves and manufacture thereof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US5486381A (en) * 1994-04-22 1996-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Liquid saturation process
US5591510A (en) * 1994-06-14 1997-01-07 Tredegar Industries, Inc. Layered fabric material having angled capillaries
US5529665A (en) * 1994-08-08 1996-06-25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soft tissue using cationic silicones
US5636382A (en) * 1994-11-15 1997-06-10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systems for sensitive skin
US5539056A (en) * 1995-01-31 1996-07-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elastomers
US5591335A (en) * 1995-05-02 1997-01-07 Memtec America Corporation Filter cartridges having nonwoven melt blown filtration media with integral co-located support and filtration
US5858515A (en) * 1995-12-29 1999-01-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unbonded nonwoven web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249978C (en) * 1996-01-26 2002-03-12 Autotrol Corporation Adaptable control valve for fluid treatment system
US5766248A (en) * 1996-04-25 1998-06-16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issue pocket to receive an implantable device
US5740551A (en) * 1996-06-10 1998-04-21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layered barrier glove
US5789065A (en) * 1996-10-11 1998-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d fabric having cross-directional elastic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015764A (en) * 1996-12-27 2000-01-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elastomeric film/nonwoven breathable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39829A (en) * 1997-06-06 2000-03-21 French; Robert C. Method for making thermobonded gloves
US6420625B1 (en) * 1997-09-12 2002-07-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liquid-impermeable, apertured film/nonwoven laminat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045900A (en) * 1997-09-15 2000-04-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filled film laminate
US6057024A (en) * 1997-10-31 2000-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elastic material with ribbon-shaped filaments
US6243938B1 (en) * 1998-03-17 2001-06-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 silicone plastic prefillable syringe
US6245401B1 (en) * 1999-03-12 2001-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gmented conformable breathable films
ES2360999T3 (es) * 1998-10-20 2011-06-1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Laminados elásticos con capacidad de transpiración.
JP2000152803A (ja) * 1998-11-24 2000-06-06 Asics Corp 防滑部材の製造方法
JP2003506581A (ja) * 1999-07-28 2003-02-18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ェーシング材及びライナのための機械交差方向伸張性布状不織物
WO2001076521A2 (en) * 2000-04-06 2001-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US7012169B2 (en) * 2000-04-06 2006-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US6623837B2 (en) * 2000-12-27 2003-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FR2819152B1 (fr) * 2001-01-08 2003-03-14 Hutchinson Gant de protection a resistance mecanique renforc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BRPI0413819B1 (pt) * 2003-08-22 2016-12-13 Kimberly Clark Co “método para formação de um laminado de película/camada não tramada respirável, elástico, e, laminado obtido pelo mesmo ”
US20050127578A1 (en) * 2003-12-11 2005-06-16 Triebes Thomas G. Method of making fiber reinforced elastomeric articles
US20050130522A1 (en) * 2003-12-11 2005-06-16 Kaiyuan Yang Fiber reinforced elastomeric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38Y1 (ko) * 2009-06-15 2011-05-24 이영원 기능성 고무장갑
KR20150023763A (ko) * 2012-06-22 2015-03-05 타미케어 리미티드 다중 층들 및 구역들을 포함하는 신축성 시트 및 이러한 생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5854A2 (en) 2006-06-22
MX2007007118A (es) 2007-07-13
BRPI0516185A (pt) 2008-08-26
WO2006065854A3 (en) 2006-08-24
EP1824678A2 (en) 2007-08-29
AU2005317159A1 (en) 2006-06-22
CN101080319A (zh) 2007-11-28
US20060143767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896A (ko) 통기성 보호용 물품
US7012169B2 (en)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AU2001253177B2 (en)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AU2001253177A1 (en) Disposable finger sleeve for appendages
US7552501B2 (en) Finger wipe with improved seam structure
US6647549B2 (en) Finger glove
US7127771B2 (en) Dental wipe
RU2407410C2 (ru) Растяжимые и проницаемые нетканые защитные перчатки
US20070083980A1 (en) Polymer-coated protective garment
BRPI0615380A2 (pt) artigo ativado por estiramento para distribuir várias composições ou elementos funcionais
AU2001253192A1 (en) Finger glove
US7507047B2 (en) Finger wipe containing a composition in a rupturable reservoir
US6787490B2 (en) Glove donning delivery system
KR20020087479A (ko) 부속지용 일회용 손가락 슬리브
RU2280426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напальчник
AU2005209643A1 (en) Finger g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