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95600A -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600A
KR20070095600A KR1020060025964A KR20060025964A KR20070095600A KR 20070095600 A KR20070095600 A KR 20070095600A KR 1020060025964 A KR1020060025964 A KR 1020060025964A KR 20060025964 A KR20060025964 A KR 20060025964A KR 20070095600 A KR20070095600 A KR 2007009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radio access
access b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452B1 (ko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25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4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와, 접속된 모든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접속 중인 모든 서비스들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보조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무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METHOD OF ENTERING PRESERVAT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N TERMINAL DURING 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WCDMA 무선 프로토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접속후 하나의 무선 접근 베어러(RAB)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의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 진입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310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WCDMA망에서의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Multi Radio Access Bearer) 서 비스에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규격에서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Multi Radio Access Bearer) 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종래의 3GPP의 WCDMA 규격에서는 PS(packet Switched) 데이터 호를 기본적으로 3개까지 열어서 동시 서비스(concurrent Service)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라고 약칭함)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받으면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ystem, 이하 "MMS"로 약칭함)에 접속하여 멀티 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고, 멀티팩(MULTIPACK)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응용 서비스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이하 "RAB"라 약칭함) 또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이하 "RB"라 약칭함) 에 대응된다. 각각의 RAB또는 RB들은 고유의 식별자(ID)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각각의 RAB또는 RB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제(release)가 가능하다.
무선망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패킷 세션의 전송이 없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와는 상관없이 보존(preservation) 모드로 진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존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RF) 단을 오프(off)시키고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만을 활성화시킨다.
종래에는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해서 이동통신망측에서 주관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적으로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보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보존 타이머(preservation timer)에 의한 RB(Radio Bearer) 해제 메시지를 놓쳤을 때, 이동통신 가입자가 복수의 서비스에 동시에 접속한 후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보존 타이머(preservation timer)에 의한 RB 해제 메시지를 놓쳤을 때, 이동통신 가입자가 복수의 서비스에 동시에 접속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서비스들 모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자원이 낭비되고 보존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RF) 단을 계속 켜 놓음으로써, SAR 노출 및 배터리의 소모를 가져올 수 있다. 무선 자원 낭비는 결국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망과의 호 접속률 및 호의 QoS(Quality of Service)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보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와, 접속된 모든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에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타이머를 종료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트래픽량 임계치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동안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측정한 트래픽량이 상기 트래픽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한 트래픽량이 상기 트래픽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제2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소정 시간후 상기 제2 타이머가 종료된 후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해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보존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등의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WCDMA 무선 프로토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모뎀부(110), 무선(RF) 송신부(120), 무선(RF) 수신부(130), 듀플렉서 및 안테나(150)을 포함한다. 모뎀부(110)은 모뎀 제어부(112), 업링크를 위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114), 송신 데이터 처리부(114)의 출력을 확산시키고 변조하는 변조기(115), 무선(RF) 수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역확산시키고 복조하는 복조기(117) 및 복조기(117)의 출력을 디인터리브(deinterleave)하여 디코딩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무선(RF) 송신부(120)는 변조기(115)의 출력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주파수 상향 컨버팅(upconverting)하여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업링크 신호는 듀플렉서(140)을 통하여 라우팅되어 안테나(15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된다. 무선(RF) 수신부(130)는 안테나(150) 및 듀플렉서(14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주파수 하향 컨버팅(downconverting)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WCDMA 무선 프로토콜은 물리 (physical) 계층(210),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220), RLC(Radio Link Control) 계층(230),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240), MM(Mobility Management) 계층(250), GMM(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Mobility Management) 계층(252), CC(Call Control) 계층(260) 및 SM(Session Management) 계층(262)을 포함한다.
물리 (physical) 계층(210)의 기능에는 RF 신호 처리, 확산, 변조(modulation), 코딩(coding), 디코딩(decoding), 파워 컨트롤 및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등이 있다. 상위 계층에서는 물리 계층(210)으로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220)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며, RLC(Radio Link Control) 계층(230)에 의해 RLC 연결 설정 및 RLC 연결 해제 등이 수행된다.
사용자로부터 또는 사용자로의 모든 제어 시그널링(signaling)은 RRC 계층(240)을 통하여 전달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240)은 어떤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이 사용자에게 할당되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무선 자원의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RRC 계층(240)은 무선 자원의 할당과 관리를 목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 사이에 초기 시그널링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초기 RRC 연결을 설정하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RB(radio bearer)를 단말기로 할당하고, 호가 핸드오프될 시점을 결정하고,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어떤 것이 언제 측정될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보고될지를 결정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행한다.
특히, RRC 계층(240)은 상위 계층의 요청에 응하여 RB를 설정하고, 변경하고, 해제할 수 있다. RRC 계층(240)은 VOD 스트리밍 서비스, MMS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과 같은 동시 서비스(concurrent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하여 동 시에 하나 이상의 RB를 설정할 수 있다. 즉, RRC 계층(240)은 동시에 각각의 서비스별로 RB를 설정(set) 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는 각각의 RB에 대응되며, 각각의 RB들은 고유의 식별자(ID)를 가지고 있다.
MM 계층(250)과 CC 계층(260)은 사용자가 이동하며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UE)의 이동성(mobility) 관리와 호 셋업(call setup) 및 호 해제(call release)등의 호 제어(call control) 서비스를 담당한다.
GMM 계층(252) 및 SM 계층(262)은 PS(Packet Switched) 관련 이동성 관리 및 PDP 컨텍스트(context) 활성화(activation), 비활성화(deactivation) 및 수정(modification)등의 세션 관리 서비스를 수행한다.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RRC 계층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dom Access Network 또는 UMTS Terrestrial RAN)의 RRC 계층이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 받을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는 RRC 연결모드 상태에 있게 되며,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는 대기 모드(idle mode) 상태에 있게 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규격에서는 무선망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패킷 세션의 전송이 없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WCDMA망에 의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와는 상관없이 보존(preservation) 모드로 진입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WCDMA망으로부터의 보존 타이머(preservation timer)에 의한 RB 해제(Radio Bearer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복수의 서비스에 동시에 접속한 후 모든 서비스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존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무선 자원이 낭비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WCDMA망으로부터의 보존 타이머(preservation timer)에 의한 RB 해제(Radio Bearer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가입자가 복수의 서비스에 동시에 접속한 후 모든 서비스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들의 RB를 해제시키고 보존 모드로 진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 서비스에 접속한 후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보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접속후 하나의 무선 접근 베어러(RAB)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이동통신망은 WCDMA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12), 기지국 제어기(314) 및 교환기(3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312) 및 기지국 제어기(314)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dom Access Network 또는 UMTS Terrestrial RAN, 310)를 구성한다.
이하, 예를 들어 VOD 스트리밍 서비스(서비스 A), MMS 서비스(서비스 B), 무선 인터넷 서비스(서비스 C)의 3개의 서비스를 위하여 PS RAB를 3개 설정(setup)한 상태라고 했을 때,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해서 비활성 타이머(Inactivity Timer) A, B, C를 둔다.
RRC 계층(240)은 상위 계층의 요청에 응하여 RB를 설정하고, 변경하고, 해제할 수 있다. RRC 계층(240)은 VOD 스트리밍 서비스, MMS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과 같은 동시 서비스(concurrent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하여 동시에 하나 이상의 RB를 설정할 수 있다. 즉, RRC 계층(240)은 동시에 각각의 서비스별로 RB를 설정(set) 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는 각각의 RB에 대응되며, 각각의 RB들은 고유의 식별자(ID)를 가지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세 개의 서비스 A, B, C가 동시에 활성화되어 PS 연결(Packet Switched connection) 상태가 된다(단계 401). 각각의 서비스 A, B, C는 각각의 RB에 대응되며, 각각의 RB들은 고유의 식별자(ID) RAB_id A, RAB_id B, RAB_id C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A 서비스를 더 이상 동작시키지 않으면(단계 403) 그때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비활성 타이머 (Inactivity Timer) A1를 구동시킨다(단계 405). 비활성 타이머 A1가 종료(expire)되기 전에 A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07). A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사용자로부터의 해당 키 이벤트(key event) 등이 발생하여 해당 서비스 A를 계속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비활성 타이머 A1가 종료(expire)되기 전에 A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비활성 타이머 A1을 다시 0으로 리셋시키고 해당 서비스 A를 계속 수행한다(단계 409).
만약 비활성 타이머 A1이 종료될 때까지 서비스 A 상태에 변화가 없으면, 비활성 타이머 A1을 종료시킨다(단계 411).
비활성 타이머 A1이 종료된 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3GPP에서 정의한 RB Release 절차에 따라서 해당 RAB A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ID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활성 타이머 A1이 종료된 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으로 RAB A에 대한 RB Release Request 메시지(message)를 전송한다(단계 413). RB Release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에서는 RB Release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415). RB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RB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으로 전송한다(단계 417).
그 결과, RAB A는 해제(release)된 상태이고, RAB B 및 C는 계속 PS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419).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B 및 C 서비스들도 도 4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 비활성 타이머를 종료시키고 각각 무선 베어러(RB)를 해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각각의 서비스를 해제한다.
멀티 서비스 시에 모든 서비스 A, B 및 C에 대해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없어 모든 서비스 A, B 및 C에 대해 무선 베어러(RB) 해제가 된 경우 이후 소정 조건하에서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이 모두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없어 무선 베어러(RB) 해제가 된 경우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이 모두 서비스 상태에 변화가 없어 무선 베어러(RB) 해제가 된 경우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의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 진입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멀티 서비스를 수행 도중에 모든 서비스들에 대해 도 4의 절차에 따라 무선 베어러(RB) 해제가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패킷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보존 모드로 진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3GPP 규격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로부터 측정 제어 메시지(Measurement Control)를 수신한다(단계 501).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는 이벤트 4A 관련 파라미터 및 트래픽량의 임계치(Reporting thresho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3GPP 규격에 따라 데이터 호 접속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패킷 데이터의 전송량, 즉 트래픽량을 측정한다(단계 50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한 패킷 데이터의 전송량, 즉 트래픽량 측정값이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트래픽량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0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트래픽량 측정값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 트래픽량 측정 치(Traffic Volume Measurement)를 포함한 측정 보고 메시지(Measurement Report)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로 전송한다(단계 507). 측정 보고 메시지에는 이벤트 4A 관련 파라미터 및 트래픽량 측정치(Traffic Volume Measur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트래픽량 측정값이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트래픽량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 503로 되돌아가서 트래픽량 측정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트래픽량 측정값이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트래픽량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측정 보고 메시지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타이머(preservation Timer) A2를 구동시킨다(단계 509).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타이머 A2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종료(expire)된다(단계 511).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30초 또는 60초 등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타이머 A2가 종료된 후에 3GPP 규격에 따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로 진입한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RRC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 request)를 이동통신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로 전송한다(단계 513).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에서는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 비활성화(UE-Inactivity)에 기인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를 단말에 전송한다(단계 515).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해제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로 전송한다(단계 517).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10)는 RRC 연결 해제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보존 모드 상태로 진입한다(단계 519).
보존모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RF) 송수신부가 오프(off)되고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만이 활성화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 모드 진입후 이동통신망에서 호출(paging)을 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데이터 호 접속을 위해서 키(key) 등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시 RRC 연결(connection)을 통해서 정상적인 데이터 호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 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 서비스에 접속한 후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가 감지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를 해제시킨 후, 멀티 서비스들 모두의 무선 베어러가 해제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보존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접속 중인 모든 서비스들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보조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무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존 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RF) 송수신단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 및
    접속된 모든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에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타이머를 종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서비스의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트래픽량 임계치를 포함하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제어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동안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측정한 트래픽량이 상기 트래픽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보존 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한 트래픽량이 상기 트래픽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제2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소정 시간후 상기 제2 타이머가 종료된 후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연결 해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보존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Multi Radio Access Bearer Servic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모드 진입 방법.
KR1020060025964A 2006-03-22 2006-03-22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KR10089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64A KR100897452B1 (ko) 2006-03-22 2006-03-22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64A KR100897452B1 (ko) 2006-03-22 2006-03-22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600A true KR20070095600A (ko) 2007-10-01
KR100897452B1 KR100897452B1 (ko) 2009-05-14

Family

ID=3880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64A KR100897452B1 (ko) 2006-03-22 2006-03-22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4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32B1 (ko) * 2007-11-21 2010-01-13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변경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44196A (ko) * 2012-10-04 2014-04-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3423144A (zh) * 2021-05-11 2021-09-21 翱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lte上下行并发吞吐率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352B (fi) * 2000-02-24 2002-12-31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yhteyksien uudelleenmuodostamisen optimoi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joka tukee reaaliaikaista ja ei-reaaliaikaista tiedonsiirtoa
KR20050119407A (ko) * 2004-06-16 200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엠티에스시스템의 세션절차해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32B1 (ko) * 2007-11-21 2010-01-13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변경에 따른 패킷 데이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44196A (ko) * 2012-10-04 2014-04-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3423144A (zh) * 2021-05-11 2021-09-21 翱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lte上下行并发吞吐率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452B1 (ko)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518B2 (en) Method for transition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user equipment to idle state, system therefor, and the same user equipment
CN102625472B (zh) 向小区专用信道的直接转变
CN102763484B (zh) 用于状态/模式转换的方法和设备
KR1008462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존 모드 진입 방법
KR100924953B1 (ko) 무선 장치에서 원하지 않는 패킷들의 수신에 대한 영향을완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8327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ing excessive transmitter message signaling
EP1991024B1 (en) Method of transmitting pag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KR20090004520A (ko) 효과적인 호의 설정을 위한 호출 정보 전송 방법
TWI413428B (zh) 無線通訊系統管理佇列功能的方法及其相關裝置
CN101272619A (zh) 提升无线资源控制程序的数据传输效率的方法及相关装置
CA2843404C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call setup from a pch or fach state
KR100897452B1 (ko)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보존 모드 진입 방법
JP4978472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の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方法
US9094976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utility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0184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 페이징 수신을 큐잉 동작 안에 도입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
JP4900844B2 (ja) Hsdpa対応携帯端末における干渉除去方法
CA28434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call setup from a pch or fach state
JP2018152908A (ja) プロトコルモード切り替えのためのモバイル端末、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3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