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95163A -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 Google Patents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163A
KR20070095163A KR1020060060318A KR20060060318A KR20070095163A KR 20070095163 A KR20070095163 A KR 20070095163A KR 1020060060318 A KR1020060060318 A KR 1020060060318A KR 20060060318 A KR20060060318 A KR 20060060318A KR 20070095163 A KR20070095163 A KR 2007009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cid
viscous
external preparation
subj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유키 후루타
츠토무 이노우에
히로우미 카네코
Original Assignee
니시하라 이치요우
후쿠다 카요미
나카노 타카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하라 이치요우, 후쿠다 카요미, 나카노 타카노리 filed Critical 니시하라 이치요우
Publication of KR2007009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6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그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부직포 또는 스폰지에 흡수되고, 그 흡수율이 변동되는 것에 기인하여,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농도, 또한 효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증점제를 함유하고 점성물인 세리신을 배합한 알칼리성 물질에, 산과 물을 함유하고 크산탄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성물이 함침되고,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와, 주제의 사용시에 주제와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탄산염 및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의 반응제로 이루어지고, 주제와 반응제의 적어도 한쪽에 게르마늄 입자가 배합되어 있고, 주제와 반응제의 혼합시에 있어서 양자의 점성물이, 이산화탄소의 기포화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혼합 상태에 있는 이들 점성물 중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기포상태로 용해시키는,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공한다. 이산화탄소 외용제로서의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부직포 또는 스폰지 등에 함침시킬 필요가 없어져, 직접 손바닥 위에서 조합함으로써,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르마늄은 면역활성을 의도해서 배합된다.

Description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CARBON DIOXIDE EXTERNAL APPLICATION OF GERMANIUM COMBINATION}
본 발명은,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특히 게르마늄 배합에 의한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기포상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점성 조성물인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이, 무좀, 충자증, 아토피성 피부염, 화폐상 습진, 건피증, 지루성 습진, 심마진, 양진, 주부습진, 심상성 좌창, 농가진, 모포염, 옹, 절, 봉와직염, 농피증, 건선, 어린선, 장척각화증, 태선, 비강진, 창상, 열상, 균열, 미란, 동창 등의 피부점막 질환 혹은 피부점막 장해에 따른 가려움, 욕창, 창상, 열상, 구각염, 구내염, 피부궤양, 균열, 미란, 동창, 괴흔 등의 피부점막 손상; 이식 피부편, 피판 등의 생착부전; 치내염, 치조농루, 의치성 궤양, 흑색화 치은, 구내염 등의 치과질환; 폐색성 혈전혈관염, 폐색성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말초순환 장해, 하지정맥류 등의 말초순환 장해에 기초한 피부궤양이나 냉감, 마비감; 만성관절 류머티즘, 경견완증후군, 근육통, 관절통, 요통증 등의 근골격계 질환; 신경통, 다발성 신경염, 스몬병 등의 신경계 질환; 건선, 계안, 못, 어린선, 장척각화증, 태선, 비 강진 등의 각화이상증; 심상성 좌창, 농가진, 모포염, 옹, 절, 봉와직염, 농피증, 화농성 습진 등의 화농성 피부질환; 제모 후의 재발모억제(필요없는 모처리); 주근깨, 피부거칠음, 피부의 거무칙칙함, 피부의 당김이나 피부의 윤기의 쇠퇴, 머리의 윤기의 쇠퇴 등의 피부나 모발 등의 미용상의 문제 및 부분 비만에 유효한 것이, 하기 문헌1에서 명확하다.
그런데, 이 조성물은 이산화탄소를 기포상으로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 미용 혹은 의료효과를 얻는데에 필요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두께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해서 미용 혹은 의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효과가 약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탄산가스(기체상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에 의한 혈행촉진 효과를 얻기 위한 십(ship)제가 문헌2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 십제는, 탄산염과 유기산을 함유한 천에, 물을 함유한 천을 포개서 탄산가스를 발생시키고, 천에 함유된 물에 녹여서 용존 탄산가스로서 이용하는 것이지만, 탄산염과 유기산의 반응은 통상 매우 급격하고, 물에의 용해량보다 대기중에의 발산량이 많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의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문헌3이 존재한다. 즉,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는, 고분자입체 메시구조체에 적어도 산과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이 함침되고,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와, 사용시에 상기 주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점성물에 실질적으로 비기포상태로 용해되는 적어 도 탄산염을 함유하는 반응제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의 사용시는, 우선 고분자 입체 메시구조체에 점성물의 주제를 바르고, 이 상태에서 피부에 미리 발라져 있던 반응제에 덧칠하거나, 혹은 점성물의 주제를 바른 고분자 입체 메시구조체에, 다시 반응제를 덧칠하여, 이 상태로 피부에 바르는 것으로 된다.
[특허문헌]
일본 특허공개 2000-319187호 ···문헌1
일본 특허공개 소 62-286922호···문헌2
일본 특허 제 3633930호······문헌3
그러나, 그 고분자 입체 메시구조체는, 주제를 함침, 즉 바르는 것이 가능한 소재라는 점에서, 동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직포 또는 스폰지로 된다. 이 부직포 또는 스폰지에 주제의 성분인 산 및 물이 침투, 즉 흡수되기 때문에, 부직포 또는 스폰지의 재질에 따라, 산 및 물의 흡수율이 변동되고, 산 및 물이 흡수된 후의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농도, 또한 효능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부직포 또는 스폰지에 흡수되고, 그 흡수율의 변동에 기인해서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어, 이산화탄소의 발생농도, 또한 효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증점제를 함유하고 점성물인 세리신을 배합한 알칼리성 물질에, 산과 물을 함유하고 크산탄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성물이 함침되고,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와, 이 주제의 사용시에 주제와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탄산염 및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의 반응제로 이루어지고, 주제와 반응제의 적어도 한쪽에 게르마늄 입자가 배합되어 있고, 주제와 반응제의 혼합시에 있어서, 양자의 점성물이, 발생된 이산화탄소의 기포화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혼합상태에 있는 이들 점성물 중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기포상태로 용해시키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외용제로서의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부직포 또는 스폰지 등에 함침시킬 필요가 없어져, 직접 손바닥 위에서 조합함으로써,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르마늄의 배합은, 면역활성을 의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입자가 유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이 산성 점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및 세리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이 산, 물, 유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액 또는 점성물 겔, 크림 또는 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알칼리성 물질을 PH 7.5~9.5로 하고, 반응제의 탄산염을 PH 5.5~6.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이, 사과산, 숙신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며, 주제의 점성물이, 겔, 크림 또는 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이, 사과산, 숙신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이며, 주제의 점성물이, 겔, 크림 또는 유액이며, 또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의 배합량이 점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제의 탄산염의 배합량이 반응제 전체량에 대해서 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입자가 주제에만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입자가 반응제에만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게르마늄 입자가 주제와 반응제의 양쪽에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의 주제는, 증점제를 함유하고 점성물인 세리신을 배합한 알칼리성 물질에, 산과 물을 함유하고 크산탄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성물이 함침되어 있다.
반응제는, 탄산염 및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로 이루어져 있고, 주제의 사용시에 상기 주제와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그 이산화탄소의 기포화를 제어한다.
주제 및 반응제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면역활성을 의도하여, 게르마늄 입자가 배합된다. 이 게르마늄으로서는 유기 게르마늄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카르복시에틸게르마늄·세스퀴옥시드[(GeCH2CH2COOH)2O3]n(n은 1이상)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게르마늄 입자의 배합량으로서는, 이산화탄소 외용제 전체에 대해서, 0.0001중량%~2중량%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주제의 증점제로서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세리신의 1종이 선택된다.
또한, 반응제의 증점제로서는,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선택된다.
또한, 주제에는 게르마늄 입자가 배합되어 있다. 특히 주제의 알칼리성 물질을 PH 7.5~9.5, 반응제의 탄산염을 PH 5.5~6.0으로 하면 최적인 수치가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합작용 점성물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작용이 협동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화가 강하게 억제된다. 물에 용해되기 쉬운 이산화탄소는, 발생 후 기포화되지 않으면 즉시 비기포 상태로 점성물에 용해되지만,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피부에 적용된 상태로에서, 점성물에 완전히 용해될 수 없는 이산화탄소는, 수분을 함유하여 이산화탄소가 용해되기 쉬운 피부나 혈관 등의 조직에 용이하게 이행하여, 낭비없이 경피 경점막에 흡수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강한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진다.
게르마늄 배합에 의한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증점제는 피부와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해서 점성물을 조제함으로써, 미용 및 의료목적으로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얻어진다.
또한, 주제의 점성물이, 적어도 산, 물, 유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액 또는 크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제와 반응제를 접촉시켜서 얻어지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보습성과 미백효과가 한층 강해져, 미용목적으로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반응제가 또한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제가 또한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이면, 대응되는 주제과 접촉시켰을 때에, 탄산염이 서서히 주제로 이행하여 산과의 반응이 한층 서서히 일어나고, 이산화탄소는 한층 서서히 발생하여, 비기포상태로 한층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용해된다. 또한,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대기에 면하는 측이, 반응제의 점성물로 덮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대기중에의 발산이 보다 한층 강하게 억제된다. 그 결과,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피부에 적용된 상태에서는, 이산화탄소는 한층 낭비없이 경피 경점막에 흡수되어, 한층 단시간에 보다 강한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 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합이면, 비기포상태의 이산화탄소가 보다 한층 효율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용해되어, 특히 강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상기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상기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그 점성물에 함유되는 산이, 사과산, 숙신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또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합이면, 주제의 점성물 복합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작용과 반응제의 점성물에 의한 점성물 복합작용과 더불어 보다 한층 강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의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이산화탄소가 실질적으로 비기포상태로 점성물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외용제가 얻어지고, 이러한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의하면, 이산화탄소의 경피 경점막 흡수에 의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가 한 층 강하게 얻어진다.
상기 주제의 점성물은, 점도가 20℃에서 20cps이상이면, 액체이여도 반고체이여도 좋다. 점성물의 점도가 20℃에서 20cps미만이면, 상기 점성물을 함유하는 주제와 반응제를 접촉시킬 때, 점성물 복합작용과 고분자 기포화 억제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기포화되어, 대기중에 발산해서 경피 경점막 흡수에 충분히 이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주제의 점성물 제형으로서는, 점성액, 연고, 크림, 페이스트,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등의 제제를 들 수 있고,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단, 어느 것에 대해서나 반응제의 탄산염이 이행하기 어려운 정도의 고점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점성물의 점도가, 반응제의 탄산염이 이행하기 어려운 정도의 고점도이면, 주제와 반응제가 접촉했을 때,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발생되지 않거나, 상기 고분자 입체 메시구조체의 표면상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어 버려, 대기중에 발산되어 경피 경점막 흡수에 충분히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주제의 점성물으로서 점성액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어도 산과 물과 증점제를 사용해서, 수용액이나 현탁액, 혹은 팽윤액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성액의 제조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주제의 점성물을 연고로 하는 경우는, 공지의 연고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중 하나로 산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산과 탄산염의 반응 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을 물에 용해할 수 있는 친수연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의 점성물을 크림으로 하는 경우는, 공지의 크림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 중 하나로 산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페이스트상의 점성물은, 상기 산 및 물에 또한 페이스트가 형성되는 농도의 증점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상의 점성물은, 상기 산 및 물에 하이드로겔 형성원료를 더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형성 원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알긴산, 아밀로오스, 카제인, 카라기난, 크산탄검, 카라야검, 덱스트란, 키틴, 전분, 피브린, 풀루란, 젤라틴, 만난 등의 천연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아크릴산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주제의 점성물에 이용하는 증점제로서는, 천연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이용된다.
그 무기물로서는,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 무수규산, 콜로이달 알루미나, 벤토나이트, 라포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의 배합량은, 상기 점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5~30중 량%가 바람직하고, 0.5~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05중량% 미만이면, 이것과 반응하는 탄산염의 양이 어느 정도 많아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미용이나 혹은 의료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30중량%를 넘으면, 이것과 반응하는 탄산염의 양이 많아,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주제의 점성물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무기산으로서는, 염산, 질산, 황산,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산성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산성 헥사메타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칼륨, 술파민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유기산으로서는, 포름산, 초산, 프로피온산, 낙산, 길초산 등의 직쇄지방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콜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유산,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낙산, 글리세린산, 타르트론산, 살리실산, 갈산, 트로파산, 아스코르빈산, 글루콘산 등의 옥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반응제는, 주제와 접촉시켰을 때, 그 주제에 함유되는 점성물로 탄산염이 이행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고형물, 반고형물,혹은 액체 등의 형상으로 사용된다. 제형으로서는, 고형물인 경우, 과립, 세립, 분말 등이, 반고형물인 경우, 연고, 크림, 페이스트, 하이드로겔 등이, 액체인 경우, 통상의 수용액, 혹은 점성액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단, 하이드로겔의 경우는, 경도가 너무 높으면, 주제와 접촉했을 때에, 상기 반응제 중에 함유되는 탄산염이 주제의 점성물로 이행하는데에 시간이 너무 걸려,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너무 늦어져서 충분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이 바람직하다.
반응제에 사용하는 탄산염으로서는, 산과 반응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세스퀴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세스퀴 탄산나트륨, 탄산리튬, 탄산수소리튬, 세스퀴 탄산리튬, 탄산세슘, 탄산수소세슘, 세스퀴 탄산세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산화마그네슘, 탄산바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이상이 사용된다.
탄산염의 배합량은, 반응제 전체량에 대하여 0.05~30중량%가 바람직하고, 0.5~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산염의 배합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이것과 반응하는 산의 양이 어느 정도 많아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에, 미용 혹은 의료효과는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30중량%를 넘으면, 이것과 반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산의 양이 많아져,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사용시간은, 목적과 개인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반응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1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5분 이상 이 보다 바람직하다. 1분 미만에서는 충분한 미용 혹은 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는 장시간의 사용에 조금도 지장은 없지만, 통상은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종료되면, 그 이상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효과는 특별히 얻어지지 않는다.
반응제를 반고형물로 하는 경우는, 통상의 연고나 크림 등의 반고형물의 원료 중 하나로 탄산염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제를 액체로 하는 경우는, 단순히 수용액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점성액으로 함으로써, 주제와 접촉시켰을 때, 산과 탄산염의 반응이 더욱 억제되어, 이산화탄소가 한층 서서히 발생하는 동시에, 표면장력도 높기 때문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기포화와 발산을 더욱 억제하여, 비기포상태로 용해되는 것을 한층 촉진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점성액으로서는, 적어도 탄산염과 증점제와 물을 사용해서, 수용액이나 현탁액, 혹은 팽윤액 등으로 한 점성액(이하 「탄산염 증점제 함유 점성반응제」라고도 말한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있어서, 주제 및 반응제에는, 상기 필수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통상의 외용제나 화장료 등에 이용되는 원료, 예를 들면 향료, 색소, 방부제, 계면활성제, 유분, 보습제, 알코올류,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방지제, 자외선흡수·산란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멜라닌 색소합성 억제제, 영양제, 항염증제, 혈관확장제, 호르몬제, 수렴제, 항히스타민제, 피지억제제, 각질박리·용해제, 항지루제, 진양제 등을 배합할 수 있어, 화장료 혹은 의약 외용제로서 한층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사과산 1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중량부, 물로서 정제 수 96중량부를 이용해서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상의 점성물을 조제했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탄화수소나트륨 1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9중량부를 이용해서 액상의 반응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시켜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로 했다.
[실시예 2]
(주제의 조제)
산으로서 숙신산 1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중량부를 이용해서 유동성이 있는 하이드로겔상의 점성물을 조제하고, 상기 점성물을 함침시켜, 주제를 조제했다.
(반응제의 조제)
탄산염으로서 세스퀴 탄산나트륨 1중량부, 증점제로서 알긴산나트륨 3중량부,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0.1중량부, 물로서 정제수 95.9중량부를 이용해서 점성 액상의 반응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와 반응제를 조합시켜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로 했다.
(비교예)
일본 특허공개 2000-319187호 공보의 실시예 109에 따라 이하와 같이 제조했다.
(산성 조성물의 제조)
구연산 25중량%, 에틸셀룰로오스 25중량%,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50중량%를 이용해서, 습식 압출 조립법에 의해 길이 약 4mm, 지름 약 1mm인 다공성 기둥상 과립을 제조했다.
(염기성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89.6중량%에 탄산수소나트륨 2.4중량%를 녹이고, 60℃까지 서서히 가온하면서 알긴산나트륨 4.0중량%, 에틸셀룰로오스 2.0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중량%를 서서히 첨가해서 교반하면서 녹이고, 용해 후 하룻밤 방치하고, 실온까지 냉각해서 점성 조성물을 제조했다.
그리고, 얻어진 산성 조성물과 염기성 조성물에 의해 기포상 이산화탄소 함유 조성물인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로 했다.
(평가시험)
이렇게 해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대해서, 100예의 치험을 행하여,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047069602-PAT00001
Figure 112006047069602-PAT00002
Figure 112006047069602-PAT00003
<비고>
윤기있고 팽팽함이 생긴 사람: 80인
(1) 치험 100증례 후의 앙케이트에 의한 의견
·얼굴에 피막형성 효과: 피막이 덮여져 있지만 위화감 없다.
·피부에의 친화성이 좋다.
·사용한 후에 겔(팩)을 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
·피부에 투명감이 생기는 듯하다.
(2) 효과
·겔(팩) 후, 따끈따끈해서 혈행이 좋아진 느낌.
·목이 가벼워졌다.
·어깨가 가벼워졌다.
·머리가 상쾌한 느낌.
상기 비교예의 이산화탄소 경피·경점막 흡수용 조성물에 대해서도 치험을 행했지만, 그 결과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만큼 양호하지는 않고, 상기의 각 항목에 있어서 「무효」가 많았다.
또한, 면역활성을 의도해서 0.0001~2%의 2-카르복시에틸게르마늄의 입자를 주제의 점성물에 배합하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이산화탄소 외용제를 제조했다. 이들 이산화탄소 외용제에 대해서도 치험을 행한 결과, 그 결과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이산화탄소 외용제의 치험결과와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용 및 의료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부직포 또는 스폰지 등에 함침시키지 않고, 직접 손바닥 위에서 조합함으로써, 주제의 점성율, 또한 반응제와의 비율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면역활성을 의도하는 게르마늄 배합에 의해, 신체로의 미약전류가 흘러, 생체전류의 밸런스를 맞추고, 그것으로써 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혈행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근육의 결림, 피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상승 효과가 있다.
게르마늄 입자를 유기성으로 함으로써, 무기성에 비해, 보다 사용자의 신뢰감을 높일 수 있어, 불필요한 걱정을 없앨 수 있다.
점성물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함유시킴으로써, 유화입자나 안료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도와, 점성, 피막형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크산탄검은, 미생물을 발효시켜 만드는 점성의 액체로서, 유액이나 크림류의 유화를 안정시켜, 피부표면에서 보호막을 만들어, 보온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세리신은, 피부의 보습성분으로서의 작용을 갖는다.
주제의 알칼리성 물질을 PH 7.5~9.5로 하고, 또한 반응제의 탄산염을 PH 5.5~6.0으로 함으로써, 피부의 PH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피부에의 친화성이 양호하게 된다.

Claims (14)

  1. 증점제를 함유하고 점성물인 세리신을 배합한 알칼리성 물질에 산과 물을 함유하고 크산탄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성물이 함침되고,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주제; 및
    주제의 사용시에 주제와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탄산염 및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점성물의 반응제로 이루어지고,
    주제와 반응제의 한쪽 이상에 게르마늄 입자가 배합되어 있고,
    주제와 반응제의 혼합시에 있어서, 양자의 점성물이 이산화탄소의 기포화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혼합상태에 있는 이들 점성물 중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기포상태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게르마늄 입자가 유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산성 점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및 세 리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산, 물, 유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액 또는 점성물 겔, 크림 또는 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6.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알칼리성 물질을 PH 7.5~9.5로 하고, 반응제의 탄산염을 PH 5.5~6.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7.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이 사과산, 숙신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이며, 주제의 점생물이 겔, 크림 또는 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8. 제 1항에 있어서,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턴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9.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점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이, 사과산, 숙신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연산, L-아스코르빈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이며, 주제의 점성물이 겔, 크림 또는 유액이며, 또한, 상기 반응제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카라기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점제와, 물을 함유하는 동시에, 상기 탄산염이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주제의 점성물 중의 산의 배합량이 점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1. 제 1항에 있어서, 반응제의 탄산염의 배합량이 반응제 전체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2. 제 1항에 있어서, 게르마늄 입자가 주제에만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3. 제 1항에 있어서, 게르마늄 입자가 반응제에만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14. 제 1항에 있어서, 게르마늄 입자가 주제와 반응제의 양쪽에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KR1020060060318A 2006-03-20 2006-06-30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Ceased KR20070095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3850 2006-03-20
JP2006113850A JP2007254443A (ja) 2006-03-20 2006-03-20 ゲルマニウム配合の二酸化炭素外用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63A true KR20070095163A (ko) 2007-09-28

Family

ID=3862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318A Ceased KR20070095163A (ko) 2006-03-20 2006-06-30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54443A (ko)
KR (1) KR200700951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40A (ja) * 2008-06-03 2009-12-17 Pola Chem Ind Inc 血行促進用の化粧料
JP2011026249A (ja) * 2009-07-27 2011-02-10 Kanae Technos:Kk 機能性シート
JP2015107928A (ja) * 2013-12-04 2015-06-11 株式会社タイキ 炭酸発生シート
JP2016098197A (ja) * 2014-11-20 2016-05-30 株式会社タイキ 皮膚貼付用炭酸ガス発生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4443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2401B (zh) 用于增强酸性有益剂的局部施用的组合物及方法
ES2719575T3 (es)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mejorar la aplicación tópica de un agente beneficioso básico
KR101092709B1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JP4823296B2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JP2000319187A (ja)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JP2001522804A (ja) 浸透増強および刺激減少システム
JP6082381B2 (ja) 二酸化炭素含有組成物の調製用キット
JP3199705B2 (ja) 変化する剪断速度を有する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組成物
KR20070095163A (ko) 게르마늄 배합의 이산화탄소 외용제
JP2003160465A (ja) 経皮吸収促進用プレトリートメント剤及びそのプレトリートメント剤を用いた化粧方法
JPS5869806A (ja) 安定なコラ−ゲン含有化粧用ロ−シヨン
JP2003073281A (ja) 皮膚外用剤
JP4194264B2 (ja) 肛門用の皮膚外用剤
WO2013157034A1 (ja) 皮膚外用剤調製用組成物
KR20050024510A (ko) 이산화탄소 외용제 및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재료
JP4130181B2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