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619A -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 Google Patents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2619A KR20070092619A KR1020070020974A KR20070020974A KR20070092619A KR 20070092619 A KR20070092619 A KR 20070092619A KR 1020070020974 A KR1020070020974 A KR 1020070020974A KR 20070020974 A KR20070020974 A KR 20070020974A KR 20070092619 A KR20070092619 A KR 200700926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ishing
- tape
- head pin
- substrate
-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135309 Proces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테이프 연마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apparatus b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 에 나타낸 테이프 연마 유닛에 포함되는 연마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ishing head included in the tape polishing unit shown in FIG. 1. FIG.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유리 기판의 구성 및 리브 상부에 발생한 돌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ck glass substrat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ribs.
도 4는 기판 표면에 수직한 Z좌표와, 헤드핀이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 coordinat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force that the head pin presses the protrusions.
도 5는 테이프 연마 방법 전체를 설명하는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entire tape polishing method.
도 6은 돌기부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protrusion height measurement process.
도 7은 돌기부 조(rough)연마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ough polishing process.
도 8은 조연마 후 가공면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achining surface height measuring process after rough polishing;
도 9는 돌기부 마무리 연마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jection finish polishing step.
도 10은 기판 표면의 돌기부에 대한 헤드핀 선단부의 위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head pin tip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on the substrate surface.
도 11은 경사각도 조정 부재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The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an inclination-angle adjustment memb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기판 2 : XY 테이블1: substrate 2: XY table
3 : Z테이블 4 : 관찰 광학계3: Z table 4: observation optical system
5 : 테이프 연마 유닛 6 : 모니터5: tape polishing unit 6: monitor
7 : 컨트롤러 8 : 절삭분 배출기구7
9 : 연마 테이프 10 : 헤드핀 9: polishing tape 10: head pin
11 : 접동 부재 12 : 헤드부 케이스 11: sliding member 12: head case
13 : 급기로 14 : 배기로13: air supply 14: exhaust
15 : 뚜껑 부재 16 : 연결봉15: lid member 16: connecting rod
17 : 변위 센서 18 : 급기로17: displacement sensor 18: air supply
19 : 기판 20 : 리브 19: substrate 20: rib
21 : 정상인 톱면 22 : 돌기부21: normal top surface 22: protrusion
23 : 조(rough)연마 범위 24 : 마무리 연마 범위23: rough polishing range 24: finish polishing range
25 : 정상인 톱면의 Z좌표를 검출하는 동작25: Motion to detect Z coordinate of normal top surface
26 : 정상인 톱면의 Z좌표26: Z coordinate of normal top surface
27 : 돌기부 정점 28 : 돌기부 정점의 Z좌표를 검출하는 동작27: projection vertex 28: operation of detecting the Z coordinate of the projection vertex
29 : 돌기부 정점의 Z좌표 29: Z coordinate of protrusion vertex
30 돌기부 정점으로부터 Z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거리(h)만큼 기판에서 떨어지는 위치의 Z좌표, Z coordinate of the position away from the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 along the Z direction from the projection apex,
3l : 테이프 연마 유닛을 빨리 보내는 동작,3l: the operation of sending the tape polishing unit quickly,
32 : 돌기부를 조연마하는 동작 32: operation of polishing the protrusions
33 :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의 Z좌표를 검출하는 동작33: Motion to detect Z coordinate of machining surface after finishing polishing
34 :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의 Z좌표34: Z coordinate of the machining surface after finishing polishing
35 :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서 Z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거리(h)만큼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의 Z좌표35: Z coordinate of the position away from the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 along the Z direction from the machining surface after finishing polishing
36 : 테이프 연마 유닛을 녹화나 빨리 보내는 동작36: recording or fast forwarding of the tape polishing unit
37 : 돌기부를 마무리 연마하는 동작37: operation to finish polishing the projection
38 : 공급 릴 39 : 권취 릴38: supply reel 39: reel reel
40a, 40b : 보조 릴 41a, 41b : 너트40a, 40b:
42a, 42b : 조정 나사 43 : 조정 축 42a, 42b: adjusting screw 43: adjusting shaft
본 발명은, 테이프 연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표면의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테이프 연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rojection on a substrate surface using an abrasive tape.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종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이물의 부착 등에 의하여 컬러 필터의 표면에 생 기는 돌기부를 테이프 연마에 의해 수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 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method of correct | amending the protrusion part which arises on the surface of a color filter by adhesion of a foreign material in a manufacturing process by tape grinding | polishing is discl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이 수정 방법으로는, 테이프 연마 유닛에 에어 마이크로 센서를 설치하고, 테이프 연마 유닛을 윗측으로부터 내려, 헤드핀의 선단부에 접합된 연마 테이프의 표면을 컬러 필터 표면의 정상인 톱면에 접촉시켰던 상태에서 에어 마이크로 센서와 컬러 필터 표면까지의 거리 a 를 측정한다. 다음에, 테이프 연마 유닛의 위치를 바꾸고 연마 테이프의 표면을 돌기부 정점의 부근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에어 마이크로 센서와 컬러 필터 표면까지의 거리 b를 측정한다. b-a 에 의해 돌기부의 높이를 연산하고, 구한 돌기부의 높이에 근거하여, 연마 테이프를 돌기부에 가압하여 연마하고 있다. In this correction method, the air microsensor is attached to the tape polishing unit, the tape polishing unit is lowered from above, and the air microsenso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color fil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bonded to the tip of the head pin. Measure the distance a between the sensor and the color filter surface. Next, the distance b between the air microsensor and the color filter surface is measur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tape polishing unit is changed and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is positioned near the projection apex.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s calculated by b-a, and the polishing tape is pressed against the projection to polish based on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9-23466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34660
기판 표면에 생기는 돌기부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산형상이고, 돌기부의 기판 표면에 평행한 단면적은, 정점으로는 작고,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top face)에 근접할 수록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할 때,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일정하게 하여 연마하면, 돌기부 정점으로는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이 커진다. 그 때문에, 돌기부 정점의 붕괴, 돌기부의 부근으로의 응력 집중에 의한 기판 표면으로의 균열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가공 정밀도에 악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정상인 톱면에 근접할 수록 단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연마 능률이 저하된다. The shape of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generally in the shape of a mountai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parallel to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small at its apex and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top face of the top of the substrate surface. For this reason, when processing a projection part using an abrasive tape, when a head pin makes grinding with the force which presses a projection part constant through an abrasive tape, since a cross-sectional area is small in a projection part vertex, it is per unit area applied to a projection part. The force to pressurize becomes large. For this reason, problems such as collapse of the apex of the protrusion, crack generation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protrusion, and so on, adversely affect the processing accuracy. In addition, the closer to the normal top surface, the larger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the protrusions becomes smaller. As a result, the polish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가공 대상의 기판의 변형 등에 의해, 기판이 재치되고 있는 테이블 표면과 기판과의 문에 극간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연마시의 헤드핀의 압부에 의해 기판에 탄성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연마 종료시에 정상인 톱면과 가공 면에 고르지 않음이 생기고, 돌기부를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은 곤란하다. In addition, when the gap between the table surface on which the substrate is placed and the door between the substrate is generated due to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or the like, elastic deformation occurs on the substrate due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head pin during polishing. Unevenness occurs in the normal top surface and the processing surface, and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protrusions with high precis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기판 표면의 돌기부의 연마 가공을 고정밀도로,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는 테이프 연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can perform the grinding | polishing process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of the surface of a board | substrate with high precision and efficiently.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task)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연마 장치는, 기판 표면의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테이프 연마 장치로서, 테이프 연마 유닛과, 측정기구와,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테이프 연마 유닛은,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의 이면에 접합되고 기판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좌표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핀을 포함하고, 연마 테이프의 표면에 의해 돌기부를 연마한다. 측정 기구는, 돌기부의 높이를 측정한다. 제어 수단은, 돌기부의 높이를 2단 이상의 가공 범위로 분할하고,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가변으로 한다. A tape po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polish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projection on a substrate surface using an abrasive tape, and includes a tape polishing unit, a measuring mechanism, and a control means. The tape polishing unit includes a head pin tha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and movable along a coordinate axis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surface, and the projection is polished by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The measuring mechanism measures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The control means divides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part into two or more steps of processing ranges, and makes the variable force of the head pin pressing the projection parts through the polishing tape for each processing range.
이 경우는,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각각 의 가공 범위에 따른 최적인 힘으로 조정하고, 돌기부 높이 방향의 전 범위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보다도,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jections are adjusted more than the case where the head pin presses the projections through the polishing tape to an optim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processing range, and the pressures applied in the entire range of the projection height direction are the same.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pressuriz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can be suppressed small. Therefore, the processing precision of a projection part can be raised.
바람직하게 제어 수단은, 하나의 가공 범위내에 있어서의 가압하는 힘을 일정한 설정치로 유지하고,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가변으로 한다. 이 경우는,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변경하면 좋으며,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의 조정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maintains the pressing force in one processing range at a constant set value, and makes the setting value of the pressing force for each processing range variable. In this case, it is good to change the setting value of the force which a head pin presses a projection part through each grinding | polishing tape for each processing range, and adjustment of the press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a projection part can be implement | achieved easily. Therefore, the control can be simplified, and furth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 수단은, 돌기부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가공 범위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의 값을,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의 위치를 포함하는 가공 범위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의 값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한다. 이 경우, 돌기부의 정점으로는,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이 극단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정점의 붕괴, 돌기부의 부근으로의 응력 집중에 의한 기판 표면으로의 균열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하는 일 없이, 돌기부를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의 위치를 포함하는 가공 범위에서는, 단면적의 증대에 따라 가압하는 힘을 크게 하여 연마 능률을 높일 수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sets the value of the force to be pressed in the processing rang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apex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orce to be pressed in the processing rang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top surface that is normal to the substrate surface. In this case, since the press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the protrusion is prevented from becoming extremely large as the apex of the protrusion, problems such as collapse of the apex and cracking of the substrate surfac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near the protrusion are caused. The protrusions can be processed with high accuracy without generating. Moreover, in the processing range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top surface which is the top of a board | substrate surface, the grinding | poli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force to press according to increase of a cross-sectional area.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 수단은, 탄성체와 압축 기체와의 적어도 어느 쪽이나 한편을 이용하고, 가압하는 힘을 제어한다. 이 경우는, 돌기부의 재질·경도 등에 맞춘 최적인 가압하는 힘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탄성체 또는 압축 기체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핀과 기판과의 접촉시에 생기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헤드핀과 기판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compressed gas to control the pressing force. In this case, it can adjust with the optimal press force according to the material, hardness, etc. of a projection part. Moreover, by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body or a compressed gas, the impact which arises at the time of a contact of a head pin and a board | substrate can be absorbed, and it can prevent that a head pin and a board | substrate are destroyed.
또 바람직하게 측정 기구는, 헤드핀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상기 좌표축에 따라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또는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는 것을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이 경우는, 헤드핀의 이동 또는 헤드핀에 받는 힘을 센서로 검출함으로서 실제로 가공하는 연마 테이프가 기판 표면에 접촉한 때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표면의 높이 측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Moreover, preferably a measuring mechanism is a sensor which can detect that a head pin moves in the direction which falls away from a board | substrate, or receives the force of the direction which falls from a board | substrate according to the said coordinate axis rather than the reference position of a polishing head. In this cas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ead pin or the force applied to the head pin with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eight when the polishing tape actually processed contacts the substrate surface. Therefore, the height measurement of the surface of a board | substrate can be performed correctly.
또 바람직하게 제어 수단은,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으로 향하고 테이프 연마 유닛을 이동시키고, 헤드핀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상기 좌표축에 따라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시작하거나 또는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기 시작한 것을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정상인 톱면의 상기 좌표축 방향의 좌표를 설정할 때에,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정상인 톱면을 가압하는 힘과, 정상인 톱면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돌기부를 연마하면서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같게 설정한다. 이 경우는, 정상인 톱면의 좌표를 검출한 때와 돌기부를 마무리 연마할 때와의 기판의 탄성 변형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종료시의 가공면을 정상인 톱면에 정확하게 갖출 수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moves the tape polishing unit toward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surface normal, and the head pin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bstrate and starts or moves away from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coordinate axis rather tha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olishing head. When using the sensor to detect the start of reception of the sensor and setting the coordinates in the coordinate axis direction of the normal saw surfac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force of the head pin pressing the normal saw surface through the polishing tape and the polishing tape on the normal saw surface While the protrusions are polished using, the head pin is set to the same set value of the force that presses the protrusions through the polishing tape.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can be made the same as when the coordinates of the normal top surface are detected and when the finish is polished, the machining surface at the end of polishing can be accurately provided on the normal top surface.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테이프 연마 장치는, 헤드핀의 기판 표면에 대향 하고 있는 단면의, 기판 표면에 대한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경사각도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는, 헤드핀의 기판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단면이 기판 표면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헤드핀의 경사각도를 미조정할 수 있다. 헤드핀의 단면을 헤드핀과 동축으로 설치된 접동 부재 외형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도록 제작해 두면, 헤드핀 단면을 기판에 평행하게 각도 조정하면, 헤드핀은 기판에 수직으로 되다. 따라서, 가공시의 부하의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할 수 있고, 또 기울어진 헤드핀에 의해 가압된 연마 테이프가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까지 연마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도의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헤드핀의 이동 또는 헤드핀에 가해지는 힘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정상인 톱면 및 돌기부 정점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돌기부의 높이를 측정한 경우에는, 정상인 톱면 및 돌기부 정점의 좌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recording tape polishing apparatus includes an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cross section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head pin.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d pin can be finely adjusted so that the cross section facing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head pin is parallel to the substrate surface. If the cross section of the head pin is made to b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member outer surface provided coaxial with the head pin, the head pin becomes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when the head pin cross section is angled in parallel to the subst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igh accuracy of the load at the time of processing, and to prevent the polishing tape pressed by the inclined head pin from polish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which is normal. It can be realized. When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s measured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ead pin or the force applied to the head pin by setting the coordinates of the normal top surface and the projection vertex, the coordinates of the normal top surface and the projection vertex are more accurate. Can be detected. Therefore,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또 바람직하게 헤드핀은, 돌기부의 최대 길이 이상의 직경의 선단부를 갖는다. 이 경우는, 돌기부를 연마할 때, 헤드핀을 돌기부로 향하고 한번만 이동시킴으로서, 돌기부를 전부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가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연마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헤드핀의 이동 또는 헤드핀에 가해지는 힘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돌기부 정점의 좌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돌기부로 향하고 테이프 연마 유닛을 이동시킨다면 반드시 돌기부 정점이 헤드핀의 단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돌기부 정점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Moreover, preferably, the head pin has a tip of a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protrusion. In this case, when the projection is polished, by moving the head pin toward the projection only once, all the projections can be processed, so that the time required for polishing can be shortened and the poli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ead pin or the force applied to the head pin by setting the coordinates of the projection vertex, the projection vertex alway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head pin when the tape polishing unit is moved toward the projection. In this case, the projection peak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연마 방법은, 기판 표면의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테이프 연마 방법이고, 돌기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한 돌기부의 높이에 근거하고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가공하는 공정에 있어서, 돌기부의 높이를 2단 이상의 가공 범위로 분할하고,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의 이면에 접합되고 기판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좌표축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가변으로 한다.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tape grinding | polishing method of processing the processus | protrusion part of a board | substrate surface using an abrasive tape, Comprising: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height of a processus | protrusion part, and the processus | protrusion part using an abrasive tape based on the height of the measured processus | protrusion part A process to process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par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teps of processing ranges, and for each processing range, the head pin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and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a coordinate axis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surface. The force which presses a projection part through an abrasive tape is made variable.
이 경우는,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각각의 가공 범위에 따른 최적인 힘으로 조정하고, 돌기부의 높이 방향의 전 범위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보다도,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an the case where the head pin adjusts the force which presses the protrusion part through the polishing tape to an optimal force according to each processing range, and makes the force which presses in the whole range of the height direction of a protrusion part equal,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press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a projection part can be suppressed small. Therefore, the processing precision of a projection part can be raised.
바람직하게 가공하는 공정은, 이동 공정과 연마 공정을 포함한다. 이동 공정이란, 헤드핀을 포함하고 연마 테이프의 표면에 의해 돌기부를 연마하는 테이프 연마 유닛을, 돌기부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좌표축에 따라 소정의 거리만 기판에서 떨어지는 위치로 헤드핀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좌표축에 따라 돌기부로 향하여 이동하는 공정이다. 연마 공정이란, 이동 공정 후, 상기 테이프 연마 유닛을, 상기 좌표축에 따라 기판 표면으로 향하여 또한 이동하여,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이동 공정에 있어서 테이프 연마 유닛의 이동 속도는, 연마 공정에 있어서 테이프 연마 유닛의 이동 속도보다도 크다. 이 경우는, 테이프 연마 유닛을 돌기부로 신속하게 접근할 수있기 때문에, 소비되는 테 이프의 낭비를 막고, 가공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processing includes a moving step and a polishing step. The moving step means that the tape polishing unit including the head pin and polishing the protrusion by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tape reaches the tip portion of the head pin from a vertex of the protrusion to a position in which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by the coordinate axis. , Moving toward the protrusion along the coordinate axis. The polishing step is a step of moving the tape polishing unit further toward the substrate surface along the coordinate axis after the moving step to polish the protrusions using the polishing tape. And the movement speed of a tape polishing unit in a movement process is larger than the movement speed of a tape polishing unit in a polishing process. In this case, since the tape polishing unit can be quickly approached by the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the consumed tape and to shorten the processing time.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테이프 연마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이 테이프 연마 장치는, 가공 대상으로 된 기판(1)이 그 표면에 재치되고, 기판(1)의 표면과 평행한 XY 방향으로 이동한다 XY 테이블(2)과, 기판(1)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Z방향으로 이동하는 Z테이블(3)을 구비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apparatus by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FIG. 1, the tape polishing apparatus includes a substrate 1 serving as a processing target, moun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moving in the XY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 Z table 3 moving in the Z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Z테이블(3)에는, 기판(1)의 표면을 관찰하는 관찰 광학계(4)와, 기판 표면의 돌기부를 가공하는 테이프 연마 유닛(5)이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연마 유닛(5)은, XY 테이블(2) 및 Z테이블(3)의 이동에 의해 기판(1)에 대하여 상대적인 임의의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The Z table 3 is provided with the observation optical system 4 which observes the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1, and the
또한, 이 테이프 연마 장치는, 그 밖에 관찰 광학계(4)에 의한 관찰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6)와, 장치 전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7)와, 연마시에 발생한 절삭분을 배출한 절삭분 배출기구(8) 등을 구비한다. The tape polish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onitor 6 for displaying an observation image by the observation optical system 4, a
도 2는,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된 연마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에 있어서,이 연마 헤드는,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9)의 이면에 접합되고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핀(10)과, 헤드핀(10)과 동축에 설치되고 하면 중앙에 헤드핀(10)의 상단이 고정되는 접동 부재(11)와, 접동 부재(11)를 지지하는 헤드부 케이스(12)를 갖는다. 접동 부재(11)는, 헤드부 케이스(12)의 가와베내에 수용되고 있다. 이 홈부 바닥은, 접동 부재(11)를 Z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실린더(cylinder)상에 형성되고 있다. 헤드부 케이스(12)의 바닥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헤드핀(10)의 선단부는 그 관통공을 통하여 헤드부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ishing head included in the
헤드부 케이스(12)에는, 급기로(13)와 배기로(14)가 형성되고 있다. 압축 공기는, 급기로(13)와, 헤드부 케이스(l2)의 내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작은 구멍을 경유하여 접동 부재(11)의 외주면에 공급되고, 접동 부재(11)의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된 홈과 배기로(14)를 경유하여 배기된다. 이 압축 공기는, 베어링의 역할을 이루고, 접동 부재(11)를 Z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킨다. The
또, 헤드부 케이스(12)의 상단의 개구부는, 뚜껑 부재(15)로 닫혀지고 있다. 뚜껑 부재(15)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그 원통공에는 연결봉(16)이 삽입되고 있다. 연결봉(16)은, 하단이 접동 부재(11)의 윗면 중앙에 고정되고, 상단이 변위 센서(17)에 결합되고 있다. Moreover, the opening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또, 뚜껑 부재(15)에는 급기로(18)가 형성되고 있고, 접동 부재(11)의 윗면과 뚜껑 부재(15)의 하면과 헤드부 케이스(12)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공간에, 외부로서 급기로(18)를 경유하여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 압축 공기는, 접동 부재(11)의 윗면과 헤드부 케이스(12)의 내주면과의 간극으로 교축되면서 배기로(14)를 경유하여 배기됨과 동시에, 연결봉(16)의 외주면과 뚜껑 부재(15)의 관통공의 내주면과의 간극으로 교축되어 배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에 공기압이 생기고, 이 압력에 의해, 접동 부재(11)를 아래측으로 밀어 누르는 힘이 발생한다. 이 공기압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서, 헤드핀(10)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공 대상의 재질·경도 등에 맞추었던 최적인 힘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공기압이나 탄성 부재(도시생략)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핀(10)과 기판(1)과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헤드핀(10)과 기판(1)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로서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된 용수철, 또는 수지 등의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를, 예를 들면 접동 부재(11)의 윗면 상부에 배치하고, 해당 탄성 부재에 의해 접동 부재(11)를 가압하도록 해 두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이어서, 본원 발명에 의해 가공된 돌기부의 예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리브에 발생하는 돌기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유리 기판(19)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향하는 2 매의 유리 기판(전면 유리 기판과 배면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유리 기판(19) 위에는, 폭이 40 내지 80μm 정도의 리브(격벽)(20)이 수백 μm 피치로 형성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공정에 있어서, 배면 유리 기판(19) 위에 리브(20)를 형성한 때, 이물의 혼입이나 제작 공정상의 이상에 의해, 리브(20)상부에 돌기부가 발생하는 것이 있다.Next, as an exampl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part processed by this invention, the processus | protrusion part which arises in a rib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plasma display panel is demonstrated.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의 (B)는, 리브(20) 상부에 발생하는 돌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여 돌기와 파인 것 모두 존재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갖는 리브(20) 상부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에 대하여, 정상인 톱면(21) 보다도 고조된 돌기부(22)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브(20)에 돌기부(22)가 있으면, 전면 유리 기판과 배면 유리 기판을 서로 붙였던 때에 간극이 생기거나, 돌기부(22)가 눌러 부셔지는 이상이 생기는 일이 있다.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유리 기판을 서로 붙이기 전에, 돌기부(22)를 정상인 톱면(21)과 동일한 높이까지 깎아내어 수정할 필요가 있다.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rusions generated on the
이하, 본 실시 형태 1의 특징으로 되는 헤드핀이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가변으로 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기판 표면에 수직인 Z좌표와,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에 있어서, 종축은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을 나타내고, 횡축은 기판 표면에 수직인 Z 축이고, 돌기부(22)의 높이 방향 위치의 Z좌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돌기부(22)를 높이 방향으로, 돌기부 정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조연마 범위(23)와,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의 위치를 포함한 마무리 연마 범위(24) 라는, 2단의 가공 범위로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돌기부 정점이란, 연마 대상으로 된 돌기부(22)의 표면중 Z방향으로 따라 가장 정상인 톱면(2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 조연마 범위(23)와 마무리 연마 범위(24)의 경계로서 설정된 돌기부(22)의 연마 도중의 가공면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으로 한다. 정상인 톱면, 돌기부 정점 및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의 Z좌표를 각각 Z1, Z2 및 Z3 이라고 한다면, Z2 내지 Z3의 범위가 조연마 범위(23), Z3-Z1의 범위가 마무리 연마 범위(24)이다.Hereinafter, the control which makes the force which the head pin which is the feature of Embodiment 1 pressurize a protrusion part variable is demonstrate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 coordinat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surface of a board | substrate, and the force which the
도 4의 (A)는, 조연마 범위(23)와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의 제어 함수를 변화시키는 예의 모식도이다. 산형상의 돌기부(22)가 정점으로부터 정상인 톱면 (21) 로 향하여 연마됨에 따라, 돌기부(22)의 기판 표면에 평행한 단면적은 증가한다. 이 단면적의 증가에 따라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을 증대시킴으로서, 돌기부(22)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의 변동을 작게 억제한다. 이 때, 조연마 범위(23)에 있어서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의 최대치를,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의 최소치 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 정점으로는, 돌기부(22)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이 극단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돌기부 정점의 붕괴, 돌기부의 부근으로의 응력 집중에 의한 기판 표면으로의 균열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하는일 없이, 돌기부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수 있다. 또,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의 부근에서는, 단면적의 증가에 따라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연마 능률을 높일 수 있다. 4A illustrates a control function of a force for the
도 4의 (B)는, 조연마 범위(23)와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 하나의 가공 범위내에 있어서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을 일정한 설정치로 유지하고, 각각의 가공범위 마다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가변이라고 한 예이다. 여기에서는, 조연마 범위(23)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의 설정치보다도 작게 한다. 이 예로는,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헤드핀이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변경하면 좋기 때문에,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B, in the
여기에서, 정상인 톱면(21)의 Z좌표 Z1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면이 헤드 핀(10)에 접합된 연마 테이프(9)를 정상인 톱면(21)에 접촉시키는 것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지만, 그 때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정상인 톱면(21)을 가압하는 힘과, 정상인 톱면(21)에 있어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마무리 연마하면서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같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공 대상의 기판(1)의 변형 등에 의해 기판이 재치되고 있다 XY 테이블(2)의 표면과 기판(1)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는 경우라도, 정상인 톱면(21)을 검출한 때와 돌기부(22)를 마무리 연마할 때의 헤드핀(10)의 압부에 의한 기판(1)의 탄성 변형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종료시의 가공면을 정상인 톱면(21)에 정확하게 갖추는 것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A) 예로는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의 최대치를, 또한 도 4의 (B) 예로는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서 가압하는 힘의 소정의 설정치를, 각각, Z좌표 Z1 검출시에 헤드핀(10)이 정상인 톱면(21)을 가압하는 힘과 같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러한 예에 한하지 않고, 조연마 범위(23) 또는 마무리 연마 범위(24)에 있어 임의가 가압하는 힘을 설정한 경우에 있어도, 정상인 톱면(21)에 있어 연마 테이프(9)를 이용하고 돌기부(22)를 연마하면서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Z좌표 Z1 검출시에 헤드핀(10)이 정상인 톱면(21)을 가압하는 힘과 같아지도록 설정하면, 연마 종료시의 가공면을 정상인 톱면(21)에 정확하게 갖출수 있는 효과가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Here, although the Z coordinate Z1 of the normal
다음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판 표면의 돌기부를 연마 테이프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테이프 연마 방법 대하여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5-10,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method of processing the processus | protrusion part of a board | substrate surface using an abrasive tape is demonstrated.
도 5는, 테이프 연마 방법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공정(S100)에 있어서, 관찰 광학계(4)를 이용하고 기판(1)의 표면을 관찰하고, 기판(1) 표면상에 존재하는 돌기부를 찾는다. 다음에 공정(S200)에 있어서, 돌기부 높이 계측을 실시한다. 다음에 공정(S300)에 있어서, 돌기부 조연마를 실시한다. 다음에 공정(S400)에 있어서,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높이 계측을 실시한다. 다음에 공정(S500)에 있어서, 돌기부 마무리 연마를 실시한다. 이들 공정(S200), (S300), (S400), (S500)에 관하여서는, 자세한 내용을 후술한다. 다음에 공정(S600)에 있어서, 후처리로서, 기판(l)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Z테이블(3)을 이동시키고, 다음 돌기부를 가공하는 준비를 실시한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entire tape polishing method. First, in step S100, the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1 is observed using the observation optical system 4, and the protrusion part which exists on the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1 is found. Next, in step S200,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measured. Next, in step S300, projection roughening is performed. Next, in step S400, the machining surface height measurement is performed after finishing polishing finishes. Next, in step S500, the projection finish polishing is performed. These steps (S200), (S300), (S400) and (S5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Next, in step S600, the Z table 3 is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bstrate 1 as a post-treatment to prepare for processing the next protrusion.
도 6은, 돌기부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기판 표면의 돌기부에 대한 헤드핀 선단부의 위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돌기부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공정 공정(S201)에 있어서, 헤드핀(10) 선단부의 XY 좌표를, 관찰 광학계(4)에 의해 관찰된 연마 대상의 돌기부(22) 부근의 정상인 톱면(21)의 XY 좌표에 맞추도록, XY 테이블(2)을 이동하는 위치 결정을 실시한다. 다음에 공정(S202)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 XY 좌표상에서, 도 10의 화살표(25)에 나타내는 대로,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으로 향하여 Z방향에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Z테이블(3)의 이동에 수반하고, Z테이블(3)에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연마 유닛(5)도 이동한다. 테이프 연마 유닛(5)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되어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9)의 이면에 접합된 헤드핀(10)이, 기판 표면에 접근한다. 다음에 공정(S203)에 있어서, 연 마 테이프(9)의 표면을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에 접촉시키고, 그 때 헤드핀(l0)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Z방향으로 따라 경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변위 센서(17)에 의해 검출하고, Z테이블(3)을 그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헤드핀(10)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조건하에 있어서 헤드핀(10)의 연마에 도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 위치라고 한다. 다음에 공정(S204)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에 접촉시키는 때의, 연마 테이프(9)의 표면 위치의 Z좌표(26)를, 이 때의 Z테이블(3)의 위치 ZT1에 의해 검출하고, Z좌표(26)를 정상인 톱면의 Z좌표 Z1으로서 설정한다. 이하, Z테이블(3)의 위치 ZT1을, 정상인 톱면(2l)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라고 부른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trusion height measuring step.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head pin tip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on the substrate surface. The projection height measure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10. First, in process step S201, the XY coordinates of the tip of the
여기에서, Z좌표(26)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수법을 이용해도 좋다. 즉,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 Z테이블(3)의 위치(예를 들면 Z테이블(3) 부근에 설치된 리니어 스케일의 원점 위치, 또는 테이블 스트로크 단에 설치된 원점 센서의 위치 )를 Z좌표의 원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Z테이블(3)을 공정(S202)에 있어서 Z방향으로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이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에 당접(접촉)한다. 그리고, 정상인 톱면(21)에, 헤드핀(10)의 선단부에 이면이 접합된 연마 테이프(9)가 접촉하면, 변위 센서(17)가 헤드핀(10)의 변위를 검출하고, Z테이블(3)의 이동( 즉, 테이프 연마유닛(5)의 이동)이 정지한다. 이 때의 Z테이블(3)의 Z방향에서의 원점으로부터의 이동량 ZT1을, 정상인 톱면(21)에 연마 테이프(9)가 접촉하는 때의 Z테이블(3)의 위치라고 한다. 그리고, 헤드핀(10)과 Z테이블(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해 결정된 특정한 값(예를 들면, 헤드핀(10)에 응력이 추가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Z테이블(3) 원점의 기준으로 된 위치에서 헤드핀(10)의 선단부에 접합된 연마 테이프(9)의 표면(기판에 대향하는 면)까지의 Z방향으로서의 거리) 을 상기 Z테이블(3)의 위치 ZT1에 가함으로서, 상술한 Z좌표(26)를 얻을 수 있다.Here, as the detection method of the Z coordinate 26, you may use the following method, for exampl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Z table 3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origin position of the linear scale provided near the Z table 3, or the position of the origin sensor provided at the table stroke end) is called the origin of the Z coordinate. . The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다음에 공정(S205)에 있어서,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Next, in step S205, the Z table 3 is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bstrate 1.
다음에 공정(S206)에 있어서, 헤드핀(10) 선단부의 XY 좌표를, 연마 대상으로 된 돌기부 정점(27)의 XY 좌표에 맞추도록, XY 테이블(2)을 이동하는 위치 결정을 실시한다. 다음에 공정(S207)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 XY 좌표상에서, 도 10의 화살표(28)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22)로 향해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공정(S208)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돌기부 정점(27)에 접촉시키고, 그 때 헤드핀(10)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Z방향으로 따라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변위 센서(17)에 의해 검출하고, Z테이블(3)을 그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다음에 공정(S209)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돌기부 정점(27)에 접촉시키는 때의, 연마 테이프(9)의 표면 위치의 Z좌표(29)를, 이 때의 Z테이블(3)의 위치 ZT2 에 의해 검출하고, Z좌표(29)를 돌기부 정점(27)의 Z좌표 Z2로서 설정한다. 이하, Z테이블(3)의 위치(ZT2)를, 돌기부 정점(27)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Z좌표(29)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상술하는 Z좌표(26)의 검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 용할 수 있다. Next, in step S206, positioning to move the XY table 2 is performed so that the XY coordinates of the tip of the
다음에 공정(S210)에 있어서, Z좌표 Z1와 Z좌표 Z2 라는 차이의 절대치를 돌기부(22)의 높이로서 산출한다. 또한, 돌기부(22)의 높이의 산출에 있어서는, 공정(S204)에 있어서 Z테이블(3)이 이동하는 위치 ZT1과, 공정(S209)에 있어서 Z테이블(3)이 이동하는 위치 ZT2 라는 차이의 절대치를, 돌기부(22)의 높이로 하여도 좋다. 또, 돌기부(22)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술 한 Z좌표 Z1와 Z좌표 Z2에 관하여, 그 상대적인 차이를 구 할 수 있으면,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Z좌표 Z1의 위치)를 원점이라고 하는 좌표계를 이용할 수 있다. Next, in step S210,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Z coordinate Z1 and the Z coordinate Z2 is calculated as the height of the
다음에 공정(S211)에 있어서,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Next, in step S211, the Z table 3 is moved along the Z direc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bstrate.
여기에서, 종래의 테이프 연마 장치에서는, 도 2 중에 D로서 나타내는 헤드핀(10) 선단부의 직경은, 돌기부(22)의 최대 길이보다 작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돌기부(22)의 최대 길이란, 기판(19)에 형성된 리브(20)의 상면(정상인 톱면(21))의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부(22)의 길이의 최대치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돌기부 정점(27)에 대응하는 Z테이블의 위치(ZT2)를 검출하는 공정(S209)에 있어서, 헤드핀(10)의 선단부가 돌기부 정점(27)의 XY 좌표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위치 제어할 필요가 있다. 헤드핀(10)의 선단부가 돌기부 정점(27)의 XY 좌표로부터 벗어나고 있으면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의 돌기부(22)로의 Z방향 접촉 위치를 검출해도 돌기부 정점의 Z좌표(29)와는 다르고, 돌기부(22)의 높이 계측을 정확하게 행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고정밀의 위치 제어가 요구된다. 또한, 헤드핀(10) 선단부의 직경보다도 큰 돌기부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헤드핀(10)을 주사하면서 돌기부(22)를 연마하며, 복수회 반복하여 헤드핀(10)을 돌기부(22)에 가압하는 등의 연구를 할 필요가 있으며, 연마가공에 필요한 작업시간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생긴다. Here, in the conventional tape grinding | polishing apparatus, the diameter of the tip part of the
그래서, 이 한 실시 형태로는, 선단부가 돌기부(22)의 최대 길이 이상의 직경 D를 갖는 헤드핀(10)을 사용한다. 헤드핀(10)의 직경 D(φ0.1 ∼ 5.0mm) 은 돌기부(22)의 최대 길이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22)의 최대 길이가 2.5mm 정도라고 예측된 때에는, 직경 D=φ3.0mm이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22)로 향해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켰던 때 반드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은 돌기부 정점(27)에 접촉하기 때문에, 돌기부(22)의 높이 측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2)를 연마할 때, 헤드핀(10)을 돌기부(22)로 향해 한번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돌기부(22)를 전부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가공에 필요로 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연마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So, in this one embodiment, the
이 경우, 헤드핀(10) 의 움직임을 연마 헤드에 헤드핀(10)과 동축상에 설치한 변위 센서(17) 로 직접 검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마 중에 돌기부(22)로부터 헤드핀(10)에 부여받는 반력에 의해, 헤드핀(10)이 연마 헤드에 있어서 기준 위치에서 Z방향으로 따라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의 검출에 즈음하여, 아베의 원리 등에 의한 오차가 생기는 일없이 정확하게 헤드핀(10)의 이동량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1 종류의 센서에 의해 돌기부(2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변위계 등 돌기부(22)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필요로 하고 있던 종래의 테이프 연마 장치와 비교하여, 계량기에 의한 오차가 제외되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의 높이 측정을 실현할 수 있고, 사고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측정 결매에 근거하여 가공을 행함으로서, XY 테이블(2)의 직진성 등의 악영향도 없고, 돌기부(22) 부근의 정상인 톱면(21)에 가공 면을 갖출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movement of the
단, 돌기부 정점(27)의 Z좌표 Z2를 Z테이블(3)의 위치 XT2 에 의해 검출하는 공정(S209)에 있어서는, 헤드핀(10)의 선단부에 접합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돌기부 정점(27)에 접촉시키고 그 때의 Z테이블(3)의 위치(ZT2)를 검출하기 때문에, 헤드핀(10)의 기판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단면이 기판(1) 에 대하여 정확하게 평행일 필요가 있다. 이 단면이 기판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돌기부 정점(27)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2의 정확한 측정은 곤란하다. 그러면, 이한 실시 형태로는, 상기 기록 헤드핀(10)의 기판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단면의 기판 표면에 대한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경사각도 조정 부재를 설치한다. 도 11의 (A), (B)는, 경사각도 조정 부재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However, in the step (S209) of detecting the Z coordinate Z2 of the
도 11의 (A)를 참조하여, 공급 릴(38), 권취 릴(39)은, 임의로 조정된 소정의 회전 속도로 동전 구동되고, 보조 릴(40a, 40b)과 함께 연마 테이프(9)를 헤드핀(10)의 선단부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보낸다. 너트(41a, 41b)와 함께, 도 1에 나타낸 Z테이블(3)에 고정되고 있고, 조정 나사(42a, 42b)는 각각 너트(41a, 41b) 에 조여져 있으며, 그 단부가 조정 축(43)을 협지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테이프 연마 유닛(5)은, 도 1에 나타냈다 Z테이블(3)에 경사각도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1A, the
너트(41a, 41b), 조정 나사(42a, 42b) 및 조정 축(43)은 경사각도 조정 부재를 구성한다. 테이프 연마 유닛(5)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나 기판(1)이 재치된 XY 테이블(2)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등, 기판(1)에 대하여 헤드핀(10)의 기판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단면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라도, 조정 나사(42a, 42b) 각각의 너트(41a, 41b)로의 나사 결합량을 조정하고, 조정 축(43)의 경사각도를 조정함으로서, 헤드핀(10)의 기판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단면이 기판(1)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테이프 연마 유닛(5)의 경사각도를 미조정할 수 있다(도 11의 (B) 참조). 또, 헤드핀의 단면을 헤드핀과 동축에 설치되는 접동 부재 외형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도록 제작한다. 따라서 헤드핀 단면을 기판에 평행하게 각도 조정하면, 헤드핀은 기판에 수직으로 되고, 가공시 부하의 고정밀도의 측정이나, 돌기부 정점의 Z좌표(29)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울어진 헤드핀(10)에 의해 가압된 연마 테이프(9)가 기판 표면의 정상인 톱면(21) 까지 연마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도의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The nuts 41a and 41b, the adjustment screws 42a and 42b, and the
도 7은, 돌기부 조연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돌기부 조연마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돌기부 정점의 Z좌표(29)로부터 Z방향으로 따라 도 10중에 나타내는 소정의 거리(h)(예를 들면 10 내지 20μm) 만큼 기판(1)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의 Z좌표(30)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2a 를 설정한다. 즉, 돌기부 정점(27)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2로부터 Z방향에 따라 소정의 거리(h)만큼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를, ZT2a로 설정한다. 돌기부 조연마 공정은, 헤드핀(10)의 선단부가 Z좌표 30으로 도달할 때까지, 즉 Z테이블(3)이 ZT2a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돌기부(22)로 향하여 이동하는 이동 공정과, 이동 공정의 후,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기판 표면으로 향하여 더 이동하여 돌기부(22)를 연마 테이프(9)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연마 공정를 포함한다.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jection roughening process. The process of roughening the protrus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10. First, from the Z coordinate 29 of the projection apex in the Z direction, it corresponds to the Z coordinate 30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 (for example, 10 to 20 μm) shown in FIG. 10. The position ZT2a of the Z table 3 is set. That is, the position away from the board | substrate 1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h along the Z direction from the position ZT2 of the Z table 3 corresponding to the
공정(S301)에 있어서, 도 10의 화살표(31)에 나타내는 대로,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돌기부(22)로 향하여 이동 속도 Vo로 이동시킨다. Z테이블(3)의 이동에 수반하여, Z테이블(3)에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연마 유닛(5)도 이동한다. 테이프 연마 유닛(5)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되어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9)의 이면에 맞닿는 헤드핀(10)은, 돌기부 정점(27)에 접근한다. 이어서, 공정(S302)에 있어서, Z테이블(3)이 ZT2a 위치로 도달하는 위치, 즉 헤드핀(10)의 선단부가 Z좌표(30)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연마 테이프(9)를 구동한다. 다음에 공정(S303)에 있어서, 도 10의 화살표(32)에 나타내는 대로,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돌기부(22)로 향하여 이동 속도(V)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공정(S304)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돌기부 정점(27)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공정(S305)에 있어서, 돌기부를 연마한다. 다음에 공정(S306)에 있어서, Z테이블(3)이, 조연마 범위(23)와 마무리 연마 범위(24)라는 경계로서 미리 설정된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3b에 도달할 때까지, Z테이블(3)을 이동한다. 여기에서,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설정 위치의 Z좌표는, 예를 들면, 정상인 톱면(21)의 Z좌표(Z1)에 대하여 30 내지 40μm 기판 표면에서 떨어지는 위치로 설 정되고, 이 Z좌표의 설정치를 Z3b로 한다. 즉, 정상인 톱면(21)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1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30 내지 40μm)만큼 기판 표면에서 떨어지는 위치를,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설정 위치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 ZT3b로 설정한다. 다음에 공정(S307)에 있어서, ZT3b 위치에서 Z테이블(3)을 정지한다. 다음에 공정(S308)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를 정지한다. 다음에 공정(S309)에 있어서,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In step S301, as shown by the
이 경우, 상기 이동 공정에 있어서 Z테이블(3)의 이동 속도(Vo)는, 연마 공정에 있어서의 Z테이블(3)의 이동 속도(V) 보다도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을 돌기부(22)에 신속하게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비되는 연마 테이프의 낭비를 막고, 가공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ving speed Vo of the Z table 3 in the moving step is larger than the moving speed V of the Z table 3 in the polishing step. As a result, the
도 8은,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높이 계측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공정(S401)에 있어서, 도 l0의 화살표(33)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22)의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으로 향하고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Z테이블(3)의 이동에 따라서, Z테이블(3)에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연마 유닛(5)도 이동한다. 테이프 연마유닛(5)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되는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9)의 이면에 맞닿는 헤드핀(10)이,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근한다. 다음에 공정(S402)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촉시키고, 그 때 헤드핀(10)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Z방향으로 따라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변위 센서(17)에 의해 검출하고, Z테이블(3)을 그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다음에 공정(S403)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촉시키는 때의 연마 테이프(9)의 표면 위치의 Z좌표(34)를, 이때의 Z테이블(3)의 위치(ZT3)에 의해 검출하고, Z좌표(34) 를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의 Z좌표(Z3)로서 설정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Z좌표(34)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Z좌표(26)의 검출 방법과 동일한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공정(S404)에 있어서,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Z방향으로 따라 Z테이블(3)을 이동시킨다.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achining surface height measuring step after finishing polishing is finished. Referring to FIGS. 8 and 10, the machining surface height measurement process after finishing polishing is explained. First, in step S401, as shown by
이 경우,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촉시키는 때의 헤드핀(10)의 이동을 변위 센서(17)에 의해 검출하고, 그 때의 Z테이블(3)의 위치 (ZT3)에 의해 연마 테이프(9)의 표면 위치의 Z좌표(34)를 검출하고, 그것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의 실제의 Z좌표(Z3)으로서 설정한다. 돌기부 조연마 공정에 있어서, 연마중에 돌기부(22)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헤드핀(10)이 연마 헤드의 기준 위치보다도 Z축에 따라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Z테이블(3)이 ZT3b 위치에 도달할 때의 조연마 종료후 가공 면의 Z좌표가, 미리 설정된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설정 위치의 Z좌표(Z3b)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 높이 계측 공정에 의해, 조연마 종료후가공면의 실제의 Z좌표(73)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근거하여 조연마 종 료후의 돌기부 실제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9는, 돌기부 마무리 연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돌기부 마무리 연마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조연마 종료후 가공 면의 Z좌표(34)로부터 Z방향으로 따라 도 10중 나타나는 소정의 거리(h)(예를 들면 10 내지 20μm)만큼 기판(1)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의 Z좌표(35)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ZT3a)를 설정한다. 즉,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ZT3)로부터 Z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거리(h)만큼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를 ZT3a로 설정한다. 돌기부 마무리 연마 공정은, 헤드핀(10)의 선단부가 Z좌표(35)에 도달할 때까지, 즉, Z테이블(3)이 ZT3a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이동 공정과, 이동 공정 후,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기판 표면으로 향하여 더 이동하여 돌기부(22)를 연마 테이프(9)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연마공정을 포함한다.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jection finish polishing step. 9 and 10, the process of finishing the protrusions will be described. First, the Z coordinate 35 at the position away from the substrate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 (for example, 10 to 20 μm) shown in FIG. 10 along the Z direction from the Z coordinate 34 of the processing surface after finishing polishing is finished. ), The position ZT3a of the Z table 3 is set. That is, the position away from the board | substrate 1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h along the Z direction from the position ZT3 of the Z table 3 corresponding to a process surface after completion of rough polishing is set to ZT3a. The projection finish polishing process moves the Z table 3 in the Z direction until the tip of the
공정(S501)에 있어서, 도 10의 화살표(36)에 나타내는 대로,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으로 향하여 이동 속도(Vo)로 이동시킨다. Z테이블(3)의 이동에 수반하여 Z테이블(3)에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 연마 유닛(5)도 이동한다. 테이프 연마 유닛(5)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되는 선단부가 연마 테이프(9)의 이면에 접합된 헤드핀(10)은,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근한다. 다음에 공정(S502)에 있어서, Z테이블(3)이 ZT3a위치로 도달하는 위치, 즉 헤드핀의 선단부가 Z좌표(35)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연마 테이프(9)를 구동한다. 다음에 공정(S503)에 있어서, 도 10의 화살표(37)에 나타내는 대로, Z테이블(3)을 Z방향으로 따라 돌기부(22)로 향하여 이동 속도(V)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공정(S504)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을 조연마 종료후 가공면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공정(S505)에 있어서, 돌기부를 연마한다. 다음에 공정(S506)에 있어서, Z테이블(3)이 정상인 톱면(21)에 대응하는 Z테이블(3)의 위치(ZT1)에 도달할 때까지, Z테이블(3)을 이동한다. 다음에 공정(S507)에 있어서, ZT1위치에서 Z테이블(3)을 정지한다. 다음에 공정(S508)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9)를 정지한다. In step S501, as indicated by the
이 경우, 돌기부 조연마 공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 공정에 있어서 Z테이블(3)의 이동 속도(Vo)는, 연마 공정에 있어서 Z테이블(3)의 이동 속도(V) 보다도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테이프 연마 유닛(5)을 돌기부(22)에 신속하게 접근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된 테이프의 낭비를 막고, 가송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공정(S506)에 있어서, Z테이블(3)이 정상인 톱면(21)에 대응하는 위치 (ZT1)에 도달할 때,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이용하여 돌기부를 연마하면서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정상인 톱면(21)을 가압하는 힘의 설정치를, 공정(S204)에 있어서 정상인 톱면(21)의 Z좌표(Z1)를 검출하는 때에 헤드핀(10)이 연마 테이프(9)를 개재시켜 정상인 톱면(21)을 가압하는 힘과 같게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XY테이블(2)의 표면과 기판(1)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인 톱면(21)의 Z좌표(Z1)를 검출하는 때와 돌기부(22)를 마무리 연마할 때와의 기판(1)의 탄성 변형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종료시의 가공면을 정상인 톱면(21)에 정확하게 갖출 수 있다.In this case, similarly to the projection roughening step, the moving speed Vo of the Z table 3 is larger than the moving speed V of the Z table 3 in the polishing step in the moving step. As a result, since the
또한, 이 한 실시 형태로는, 헤드핀(10)의 Z방향의 위치 변화를 변위 센서(17)로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연마 테이프(9)의 표면과 기판(1)과의 접촉 상태를 검출했지만, 변위 센서(17)대신에, 헤드핀(10)에 부여되는 기판으 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의 변화를 검출하는 로드 셀과 같은 반력 검출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Z테이블(3)의 이동중에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이 기판(1)에 접촉하면, 기판(1)에 의해 헤드핀(10)에 기판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주어지는 반력이 증가하기 시작되기 때문에, 반력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이 기판(1)에 접촉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Moreover, in this one embodiment, the position sensor of the Z-direction of the
또한, 이 한 실시 형태로는, 변위 센서(17)를 이용하여 연마 테이프(9)의 표면이 정상인 톱면(21) 및 돌기부 정점(27)에 접촉한 때의 Z좌표를 검출하고, 이들 Z좌표의 차이의 절대치에 의해 돌기부(22)의 높이를 산출했지만, 센서와는 다르게, 돌기부(22)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면, 레이저 변위계, 에어 마이크로 센서, 정전 용량 센서 등을 이용하여 돌기부(2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Moreover, in this one embodiment, the Z coordinate at the time of contacting the
또한,이 한 실시 형태로는,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그 팽창력을 이용해 헤드핀(10)을 돌기부(22)에 가압하고, 공기압의 조정에 의해 가압하는 힘을 제어했지만, 공기 이외의 압축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또, 압축 기체에 대신하여, 압축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고 헤드핀(10)을 돌기부(22)에 가압하는 힘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는, 테이프 연마 유닛(5)에 포함된 연마 헤드는, 탄성체와, 탄성체에 의한 가압하는 힘이 임의의 값이 되도록 제어하는 부재를 가지며, 이들은 헤드핀(10) 또는 헤드핀(l0)의 상단에 고정된 부재에 결합되고, 헤드핀(10)이 돌기부(22)를 가압하는 힘의 제어에 이용된다. 또한, 탄성체와 압축 기체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n this one embodiment, although compressed air wa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또한, 이 한 실시 형태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유리 기판(19)상에 형성된 리브(20) 상부의 돌기부(22)를 가공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의 기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판 표면에 발생한 돌기부를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although this case showed the case where the processus |
금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It is natural that the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considered to b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above-described not description but Claim, and it is intended that the meaning of a Claim and equality and all the changes within a range are inclu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연마 방법으로는, 돌기부의 높이를 2단 이상의 가공 범위로 분할하고, 각각의 가공 범위마다, 헤드핀이 연마 테이프를 개재시켜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가변으로 함으로서, 헤드핀이 돌기부를 가압하는 힘을 각각의 가공 범위에 따른 최적인 힘으로 조정하고, 돌기부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가압하는 힘의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를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mentioned above, in the tape grinding | polish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height of a processus | protrusion part is divided into 2 or more steps of processing ranges, and the force which presses a processus | protrusion part through a polishing tape by a head pin for each processing range is made variable. The head pin can adjust the force to press the protrusion to an optimum force according to each processing range, and the fluctuation of the pressing force per unit area applied to the protrusion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processed with high precision. Has the effect.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64165 | 2006-03-09 | ||
JP2006064165A JP2007237344A (en) | 2006-03-09 | 2006-03-09 | Method and apparatus of polishing ta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2619A true KR20070092619A (en) | 2007-09-13 |
Family
ID=3858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0974A Ceased KR20070092619A (en) | 2006-03-09 | 2007-03-02 |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7237344A (en) |
KR (1) | KR2007009261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5377A (en) * | 2015-03-09 | 2017-11-14 |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Polishing method of diamond surface and device for performing 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37281B1 (en) | 2007-09-13 | 2018-10-10 | Sysmex Corporation | Sample analyzer |
WO2011061884A1 (en) * | 2009-11-20 | 2011-05-26 | シャープ株式会社 | Method of abrading foreign object on workpiece surface, and foreign object abrasion device |
WO2011111136A1 (en) * | 2010-03-08 | 2011-09-15 | シャープ株式会社 | Foreign body polishing method and foreign body polishing device |
WO2011114399A1 (en) * | 2010-03-18 | 2011-09-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Foreign object grinding method and foreign object grinding device |
-
2006
- 2006-03-09 JP JP2006064165A patent/JP2007237344A/en not_active Withdrawn
-
2007
- 2007-03-02 KR KR1020070020974A patent/KR2007009261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5377A (en) * | 2015-03-09 | 2017-11-14 |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Polishing method of diamond surface and device for performing 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237344A (en) | 200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6523B2 (en) | Clamping mechanism for shear test equipment | |
US7685733B2 (en) | Micro force measurement device, micro force measurement method, and micro surface shape measurement probe | |
KR101732749B1 (en) | Cumulative-lead errors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for ball screw shaft | |
US5812407A (en) | Apparatus for correcting and holding front surface of sheet | |
WO2002039057A1 (en) | Portable surface shape measurer | |
US778882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acting a surface point on a workpiece | |
KR20070092619A (en) |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 |
US6280293B1 (en) | End face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olishing end face of ferrule | |
US7874893B2 (en) | Honing method and honing control device | |
US7353616B2 (en) | Shape measuring instrument | |
CN111829462B (en) | Flatness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 |
JP4302574B2 (en) | Burnishing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 |
JP4294451B2 (en) | Semiconductor bonding equipment | |
KR20070087480A (en) | Tape polishing method and apparatus | |
JP7125650B2 (en) | Wafer dividing apparatus and method | |
JP4998918B2 (en) | Tape polishing equipment | |
JP5690549B2 (en) | Measurement jig for long objects for measurement | |
JP5103775B2 (en) | Detector, shape measuring device, and shape measuring method | |
KR101782377B1 (en) | Cutting tools correctly installed equipment and installation normal method of using the same | |
JP6583439B2 (en) | Linear friction welding apparatus, jig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nd position adjusting method | |
CN113280776B (en) | Diameter measuring device | |
KR100523216B1 (en) | Roll arrangement method for pair cross mill | |
JP3523510B2 (en) | Linear guide device | |
CN219830277U (en) | Pneumatic loading test fixture | |
JP2001071245A (en) | Polish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