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519A - Light Scattering Films for Direct and Incandescent Backlight Modules - Google Patents
Light Scattering Films for Direct and Incandescent Backlight Modu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1519A KR20070091519A KR1020060116253A KR20060116253A KR20070091519A KR 20070091519 A KR20070091519 A KR 20070091519A KR 1020060116253 A KR1020060116253 A KR 1020060116253A KR 20060116253 A KR20060116253 A KR 20060116253A KR 20070091519 A KR20070091519 A KR 200700915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ayer
- scattering film
- light scattering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1 polymal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UKGYYKBILRGFE-UHFFFAOYSA-N benz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1=CC=CC=C1 QUKGYYKBILRGF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83 poly(ethyl meth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68 poly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7550 benz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0 electrostatic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6 polymethylpen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5 semifinishe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수의 광원이 구비되는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서 사용되는 광산란 필름은 두 개의 반대 면을 갖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측 면에 형성된 확산층과,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갖는 항정전 점착방지층을 포함한다. 상부 면은 상기 기재층의 다른 반대 면에 형성되고 바닥 면에는 광원 배치와 일치하도록 적치된 다수의 광로 조정 유니트를 갖는다.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직접 입사되거나 일부가 광로 조정 유니트에서 산란/반사된 후에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입사되어, 상기 기재층과 확산층을 통해 방출된다.The light scattering film used in the direct light type and the immersion type backlight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es a substrate layer having two opposite surfaces, a diffusion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n antistatic adhesive lay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prevention layer. The top face is formed on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base layer and the bottom face has a plurality of light path adjusting units stacked to match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directly incident to the antistatic adhesion layer or partially scattered / reflected by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and then incident to the antistatic adhesion layer, and is emitted through the base layer and the diffusion lay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의 전체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rect backlight module;
도 2는 도 1의 광원들 사이의 위치와 출광 휘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FIG. 2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osition and light emission luminance between light sources of FIG. 1;
도 3은 종래의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의 전체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mmersion light backlight modu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산란 필름의 전체 단면도,4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scatter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산란 필름에 적치된 광로 조정유니트의 전체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deposited on the light scatter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산란 필름을 이용한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의 전체 단면도,6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 light type backlight module using a light scatter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산란 필름을 이용한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의 전체 단면도.7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sensitive backlight module using a light scatter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기재층 20 : 확산층10: base material layer 20: diffusion layer
12 : 항정전 점착방지층 111 : 접착물12: antistatic adhesive layer 111: adhesive
112 : 유기 투광산란입자 113 : 무기 미세입자112: organic light scattering particles 113: inorganic fine particles
121 : 접착물 122 : 유기 투광산란입자121: adhesive 122: organic light scattering particles
123 : 광로 조정 유니트123: optical path adjusting unit
본 발명은 광산란 필름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장치(LCD)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직하광식 또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backlight module)에 사용되는 광산란 필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catter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scattering film used in a direct light type or a back light type backlight module of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ill be.
최근 들어 무겁고 사이즈가 큰 종래의 음극관(CRT) 표시장치는 점차적으로 평판 표시장치(FPD)로 대체되고 있으며, 저소비 전력, 풀컬러(full-color), 경량화, 휴대성의 장점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LCD)가 시장의 주류가 되었다. 통상적으로 액정 자체가 발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원을 갖는 백라이트 모듈이 액정 패널의 배면에 적치된다. 백라이트 모듈은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액정 패널로 균일하게 도입되게 하며, 빛이 액정을 통과한 후에 LCD 상에 영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시청자의 눈에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Recently, a large and large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CRT) display device is gradually replaced by a flat panel display (FP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full color, light weight, and portability ( LCD)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market. Typical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iquid crystal itself does not emit light, a backlight module having a light source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backlight module uniformly introduc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quid crystal panel. After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the backlight module is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LCD to transmit data to the eyes of the user / viewer.
종래의 백라이트 모듈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서 측광식(edge lighting), 직하광식(direct-in light), 감입광식(embedded light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측광식 백라이트 모듈은 광원이 측단에 설치되며, 가볍고 얇고 좁으며 소비전력이 낮아서 특히, 휴대폰, PDA, 노트북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측광식 백라이트 모듈에서 도광판 두께의 제한으로 인하여 측단에 적치되는 광원의 크기가 제한되어, 대형 LCD에서 충분한 광원을 제공할 수가 없으며 중형 사이즈나 소형 사이즈의 백라이트 모듈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은 액정 패널의 바로 아래에 다수 개의 광원들이 적치되며, 빛은 전방 상부로 방출된다. 비록 이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무게가 무겁기는 하나, 충분한 광원을 구비할 수 있어서 고휘도, 넓은 시야각, 높은 광이용 효율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와 LCD TV와 같은 큰 사이즈의 백라이트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Conventional backlight modules may be classified into edge lighting, direct-in light, and embedded light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The photometric backlight module has a light source installed at the side end, and is particularly used for mobile phones, PDAs, and notebooks because it is light, thin, narrow, and has low power consumptio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photometric backlight module, the size of the light source placed on the side end is limited, so that a sufficient light source cannot be provided in a large LCD and can be used only in a medium size or a small size backlight module. In the direct-type and sub-type backlight modul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stacked directly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light is emitted to the front upper part. Although it requires a large space and heavy weight, it can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light source has the advantages of high brightness, wide viewing angle, high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Therefore, it can generally be used for large sized backlight modules such as LCD monitors and LCD TVs.
도 1은 종래의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밑에서부터 위로 반사 시트(2), 다수 개의 광원(3), 도광판(4), 확산 시트(1) 및 증광 필름(brightness enhanced film)(5)이 적치된다. 이러한 모듈은 반사식 편광 시트(6) 및 액정 패널(7)과 결합되어 LCD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백라이트 모듈에서는 광원(3)이 선형 형상, U자 형상이거나 또는 다른 연속적으로 벤딩된 형상의 램프일 수 있으며, 적당한 공간 사이에 적치된다. 빛은 광원(3)으로부터 방출되며, 도광판(4)에 의해 휘도가 증대된다. 다음으로 빛은 확산 시트(1)로 방출되며, 빛은 확산 시트(1) 내의 확산 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굴절과 산란 효과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빛의 진행 방향을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프리즘 메커니즘인 증광 필름(5)을 사용하게 되며, 빛은 전방으로의 휘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굴절과 반사에 의해 모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빛은 액정 패널(7)로 들어가기 전에, 반사식 편광 시트(6)가 추가로 구비되어 전방에서의 휘도를 높이며 시야각을 넓게 한다. 가장 아래에 적치되는 반사 시트(2)는 확산 시트(1)를 통해 바닥으로 반사된 빛을 다시 확산 시트(1)로 반사시켜서 광원(3)에서의 광이용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rect-beam backlight module, from the bottom up to a
도 3은 종래의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밑에서부터 반사 시트(2), 복수 개의 광원(82)을 갖는 평판 광플레이트(8), 확산층(1)이 적치된다. 이러한 모듈은 반사식 편광 시트(6) 및 액정 패널(7)과 결합되어 LCD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백라이트 모듈에서 광원(82)은 선형이거나 도트 형태로 분포된 LED, 또는 다른 형태의 다른 광원일 수 있으며, 글래스 또는 아크릴 판의 서포트(81) 내에 적치된다. 빛은 광원(82)에서 직접 확산 시트(1)로 방출되며, 빛은 확산 시트(1) 내의 확산 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굴절과 산란 효과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 방출 방법은 빛을 직접 방출하기 때문에, 전면 휘도가 상당히 증가한다. 빛이 액정 패널(7)로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반사식 편광 시트(6)가 추가로 구비되어 전방에서의 휘도를 높이며 시야각을 넓게 한다. 가장 아래에 적치되는 반사 시트(2)는 확산 시트(1)를 통해 바닥으로 반사된 빛을 다시 확산 시트(1)로 반사시켜서 광원(82)에서의 광이용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immersion light backlight module, in which a
이와 같은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서, 액정 패널(7)은 광원(3)(82)의 수직 상방이 빛의 방출 방향이기 때문에 광원의 수직 상방에서 높은 휘도를 갖지만, 광원(3)(82)들 공간 사이의 상단에서는 휘도가 낮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현상은 액정 패널(7)에서 광원 배치로 의해 휘도 차이가 발생하여 다크존(light-dark zone)으로 나타난다.In such a direct-beam and sub-light backlight module,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게 두 가지 방안이 있다. 첫 번째는, 도 1을 참고하면, 광원(3)과 도광판(4) 또는 확산층(1) 사이에 거리를 길게 하여 다크존 현상을 줄일 수가 있다. 그러나, 광원(3)과 다른 요소들과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은 휘도만이 저감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따라서 백라이트 모듈 전체의 두께도 두꺼워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백라이트 모듈의 경량화, 박막화 및 광이용 효율의 증대라는 요구와는 배치된다.There are two main ways to solve this problem.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dark zone phenomenon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두 번째는, 도광판(4) 상에 요홈 또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거나, 도광판(4)을 사용하지 않고 형광물질을 확산 시트(1)에 균일하지 않게 직접 추가하여 빛의 산란에 의해 다크존 현상을 저감하는 것이다. Second, a dark zone phenomenon may be formed by scattering light by forming a recess or another pattern on the light guide plate 4 or by directly adding a fluorescent material to the
그러나 이러한 두 방안은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비록 기술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더라도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여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However, these two methods have a complicated proble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ven though they can be technically solved, the cost is increased so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mass production.
따라서,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에서는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듈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며 비용이 상승하지도 않으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다크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Therefore, in the direct backlight modul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dark zone problem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grading the optical performanc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odule, and increasing the cost.
본 발명의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This requi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 광산란, 광확산, 집광 및 혼광의 효과를 가지며, 광원이 위치한 곳에 해당하는 액정 패널 위치에서 다크존이 형성되지 않으며 빛이 균일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출광 휘도를 높일 수 있는 광산란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s of light reflection, light scattering, light diffusion, condensing, and mixing, and the dark zone is not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corresponding to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so that the light is uniformly emitted to increase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It is to provide a light scattering fil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반사, 광산란, 광확산, 집광 및 혼광 효과를 갖는 상술한 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지며 추가 제조 비용이 없이도 종래 제조 공정 중에 쉽게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described wah film having light reflection, light scattering, light diffusion, condensing, and converging effect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be easily intro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반사, 광산란, 광확산, 집광 및 혼광 효과를 갖는 상술한 와 필름이 구비된 백라이트 모듈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제조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상기의 산란 필름을 채용하므로, 상기 백라이트 모듈의 부피와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출광 휘도를 가져서 이에 의해 제조된 표시장치는 보다 우수한 출력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module with the above-described film having light reflection, light scattering, light diffusion, condensing, and mixing effects, an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thereby. Since the backlight module employs the scattering film,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backlight module has excellent light emission luminance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and cost of the backlight module, and thus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backlight module can obtain more excellent output effect.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르면, 최소한 하나의 광원이 구비되어 직하광식 또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 사용되는 와 필름은, 두 개의 반대 면을 갖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측 면에 형성된 확산층과; 상기 기재층의 다른 반대 면에 형성되는 제1표면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광원의 배치와 관련되어 적치되는 최소한 하나의 광로 조정 유니트를 갖는 제2표면을 포함하는 항정전 점착방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직접 입사되거나 상기 최소한 하나의 광로 조정 유니트에 의해 빛의 일부 광로가 조정되어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입사되어, 상기 기재층과 확산층을 통해 방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and film used in the direct-beam or immersion type backlight modul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ght source, the base film having two opposite sides; A diffusion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And an antistatic adhesive layer comprising a first surface formed on the other opposit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t least one optical path adjustment unit deposited in association with the arrangement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directly incident on the antistatic adhesion layer, or a part of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is adjusted by the at least one optical path adjustment unit to enter the antistatic adhesion layer, and is emitted through the base layer and the diffusion layer. .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직하광식 또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서 사용되는 상기의 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재층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층의 두 반대 면에 각각 확산층과 항정전 점착방지층을 형성하되,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은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가지며, 제1표면은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층에 연결되는 단계와, 항정전 점착방지층의 제2표면에 최소한 하나의 광로 조정 유니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 and the film used in the direct light or immersion type backlight module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yer as the substrate layer, and two opposite sides of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yer Respectively forming a diffusion layer and an antistatic adhesive layer, wherein the antistatic adhesive layer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is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yer, and the second antistatic adhesive layer Forming at least one optical path adjustment unit on the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광산란 필름을 백라이트 모듈에 사용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cattering film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the backlight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광산란 필름을 사용한 백라이트 모듈을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light scattering film as described above to the display device.
직하광식 또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 사용되는 광산란 필름은, 기재층, 확산층, 항정전 점착방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측 면에 형성된다.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의 일측 표면은 상기 기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다.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의 다른 표면에는 백라이트 모듈에서 사용되는 최소한 하나의 광원 배치와 대략 대응되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광로 조정 유니트가 구비된다. 작동 시에, 백라이트 모듈 내의 최소한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직접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입사될 수 있으며, 또는 빛의 일부는 최소한 하나의 광로 조정 유니트에 의해 산란된 후에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 입사될 수 있 다. 다음으로, 빛은 상기 기재층과 확산층을 빠져 나와서 균일한 분포를 갖는다.The light-scattering film used for a direct light type or a immersion type backlight module includes a base material layer, a diffusion layer, and an antistatic adhesion prevention layer. The diffusion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One surface of the antistatic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layer. The other surface of the antistatic adhesive lay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ght path adjusting unit installed to roughly correspond to at least one light source arrangement used in the backlight module. In operation, light emitted from at least one light source in the backlight module can be incident directly into the antistatic anti-stick layer, or some of the light is incident to the anti-static anti-stick layer after being scattered by at least one optical path control unit. Can be. Next, light exits the substrate layer and the diffusion layer and has a uniform distribution.
상기 기재층은 폴리머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이 포함될 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확산층은 폴리머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집광 기능(즉, 고광학 휘도를 제공)을 가지며, 미세한 표면 조조도(粗造度)와 균일한 광산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PMBA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은 폴리머 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PMMA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모듈의 조립 공정 중에 오염물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조정 유니트는 스크린 도트 인쇄될 수 있으며, 항자외선 잉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layer may be made of a polymer film, but may include P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ffusion layer may be made of a polymer resin, and may include a PMBA having a light condensing function (ie, providing high optical brightness) and providing fine surface roughness and uniform light scattering effect. It is not limited. The antistatic adhesion layer may be made of a polymer resin, and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MMA,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sticking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module.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may be screen dot printed, and anti-ultraviolet ink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모듈에서 사용되는 광산란 필름(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광산란 필름(1')은 기재층(10), 확산층(11) 및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을 포함한다. 확산층(11)은 기재층(10)의 일측 면에 형성되며, 항정전 점착방지층은 기재층(10)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다.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상부 표면은 기재층(10)과 접합되며, 바닥 면에는 다수 개의 광로 조정 유니트(123)가 구비된다.4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10)의 재료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수지 필름일 수 있으며, PET, TAC, PEN, 폴리말로네이트(polymal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민(polyami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olyvinylalcohol) 또는 이 등가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는 25 ∼ 300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200㎛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확산층(11)은 유기 투광산란입자(112) 및 무기 미세입자(113)로 대부분이 이루어진 확산 입자와, 이 확산 입자를 기재층(10)에 고정하는 접착물(111)로 이루어진다.The
접착물의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머 수지일 수 있으며, (메타)크릴레이트((meta)acry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메틸 펜틴(polymethyl pentene) 또는 그 등가물의 모노머 또는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meta)acrylate)의 모노머 또는 폴리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hyl(meth)acrylate) 또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meth)acrylate)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polyester)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propylene terephthalate)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11) 내의 접착물(111)의 중량 백분비는 10 ~ 90 중량%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중량%이다.The material of the adhesive may be a thermoplastic polymer resin, and may be (meth) acrylate, polyester, polycarbonate, polystyrene or polymethyl pentene or equivalents thereof. I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monomers or polymers. The monomer or polymer of the (meth) acrylate is selected from polymehyl (meth) acrylate (polymehyl (meth) acrylate) or polyethyl (meth) acrylate (polyethyl (meth) acrylate), etc. Preferably, the polyester (polyest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The weight percentage of the adhesive 111 in the
유기 투광산란입자(112)의 재료는 PMMA, 폴리메톡시 벤질 아세테이트(polymethoxy benzyl acetate: PMBA), 또는 PVC이거나 그 등가물이 바람직하다. 확산층(11) 내의 유기 투광산란입자(112)의 중량 백분비는 10 ~ 90 중량%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중량%이다.The material of the organic
무기 미세입자(113)의 재료로는 SiO2, Al2O3, 또는 실리콘이나 그 등가물에 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11) 내의 무기 미세입자(113)의 중량 백분비는 30 ~ 90 중량%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90 중량%이다.The material of the inorganic
본 실시예에서, 접착물(111)은 확산층(11)에서 10 ~ 30 중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와, 확산층(11)에서 10~3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te)로 이루어진다. 유기 투광산란입자(112)는 확산층(11)에서 15 ~ 40 중량%의 PMMA와 확산층(11)에서 10 ~ 30 중량%의 PMBA로 이루어진다. 무기 미세입자(113)는 확산층(11)에서 10 ~ 40 중량%의 SiO2와 확산층(11)에서 10 ~ 30 중량%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확산층(11)의 두께는 15 ~ 4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111 is 10 to 3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 acrylate in the
항정전 점착방지층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확산층과 유사하며, 주로 유기 투광산란 입자(122)로 이루어진 다수의 확산 입자와 기재층(10)에 다수의 확산 입자를 고정하는 접착물(121)을 포함한다. 차이점은 확산입자와 접착물의 비율과,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두께와,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저면에 구비되는 광로 조정 유니트(123)에 있다.The structure of the antistatic adhesive layer is basically similar to the diffusion lay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ffusion particles mainly composed of organic
그리고,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은 접착물(121)의 표면에서 돌출된 확산 입자들로 형성된다.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이 다른 구성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돌출된 확산 입자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항정전 점착방지층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구성 사이에는 갭이 발생되어 항정전 점착방지층으로의 기능을 한다.The
항정전 점착방지층(12)에서 접착물(121)의 중량비는 60 ~ 95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90 중량%이다. 유기 투광산란 입자(122)의 중량비는 5 ~ 4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이다.The weight ratio of the adhesive 121 in the
본 실시예에서, 접착물(121)은 항정전 점착방지층(12) 내에서 10 ~ 70 중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와, 항정전 점착방지층(12) 내에서 10 ~ 5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다. 유기 투광산란입자(122)는 항정전 점착방지층(12) 내에 10 ~ 30 중량%를 갖는 PMMA로 이루어진다.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두께는 10 ~ 2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121 is 10 to 70% by weight of polymethyl (meth) acrylate in the
광로 조정 유니트(123)는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바닥 면에 부착되어 대개는 백라이트 모듈 광원의 공간 분포와 일치한다. 이러한 공간 분포는 본 발명의 산란 필름(1')을 이용한 백라이트 모듈에 부착된 광원에 근거하여 얻어진다. 일례로는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도 1)을 살펴보면, 광원(3)은 먼저 반사 시트(2)와 도광판(4) 사이의 적절한 공간 사이에 배열되어 설치되며, 다음으로 광원으로부터 도광판(4)을 투과한 영상은 전하결합소자(CCD) 또는 색도 분광계(Chroma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고해상도로 노출되어 현상하게 되며, 따라서 다크존을 갖는 공간 분포 그래프, 즉 휘도 공간 분포 그래프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광로 조정 유니트(123)의 배치도를 설계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포토샵 등과 같은)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미러(mirrored) 그림 파일로 변환한다. 광로 조정 유니트(123)는 상기의 배치도에 따라서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바닥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의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
방법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자외선 잉크를 이용한 도트 인쇄를 이 용하여 비투광 또는 부분투광 광로 조정 유니트(123)를 만든다.Method 1: As shown in Fig. 4, dot printing using anti-ultraviolet ink is used to make a non-light-permeation or partial-light optical
방법 2: PC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PC를 포함하는 반투명 재료를 사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 진공 증착, 이온 스퍼터링 등과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다른 표면 형태의 광로 조정 유니트(123)를 만들며, 이때 표면의 형태는 불규칙한 V 형상의 광로 조정 유니트(1231)이거나 불규칙한 R 형상의 광로 조정 유니트(1232)일 수 있다.Method 2: The optical
방법 3: 상술한 방법 1과 방법 2를 조합하여 광로 조정 유니트(123)를 만든다.Method 3: The optic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광 살란 필름(1')을 제작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재층(10)으로 사용되는 투명 기재를 용기에 위치시킨 후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고 기재층(10)을 가열하여 청결하게 한다. 다음으로, 기재층(10)을 코팅 스테이션(coating station)에 위치시킨 후에 확산층(11)을 구성하는 재료를 상기 코팅 스테이션에 놓는다. 스테이션이 작동하여 상기 투명 기재의 일측에 대해 재료가 부착된다. 다음으로, 코팅 작업 후에 반제품은 일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오븐 안에서 75 ~ 125 ℃에서 약 1 내지 15분 동안 건조가 이루어진다. 두께와 물성이 만족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기재(10)의 반대 면에 대해서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즉, 기재층(10)이 코팅 스테이션에 위치되고,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을 구성하는 재료를 상기 코팅 스테이션에 놓고 상기 투명 기재의 반대 면에 재료를 부착한다. 생성된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은 두 표면을 가지며, 바닥 면에는 나중에 광로 조정 유니트(123)가 적층된다. 상기 반제조된 광 산란 필름은 건조를 위하여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갖는 오븐 내에 있게 된다. 두께와 물성이 만족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코팅 공정들은 정전 분사로 대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methods can be used to produce the light scattering film 1 'in this embodiment. First, after plac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used as the
그 다음으로, 다수의 스크린 도트로 이루어진 광로 조정 유니트(123)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배치도에 따라서 항자외선 잉크가 상기 반제품 상태인 항정전 점착방지층(12)의 바닥 면에 인쇄된다.Next, anti-ultraviolet ink is pri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마지막으로 사이 광학 필름은 자외선 드라이어 내에서 250 ~ 500℃ 온도에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완성된 제품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광산란 필름(1')이 된다.Finally, the optical film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250 to 500 ° C. in an ultraviolet dryer. The finished product becomes the light scattering film 1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산란 필름(1')은 종래의 확산 시트(도 1의 확산 시트(1))를 직접 대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백라이트 모듈을 추가 보정할 필요 없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LCD 장치의 직하광식 또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과 같은 다양한 종래의 표시장치에 백라이트 모듈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대표 실시예는 광원(3)이 구비된 직하광식 백라이트 모듈에 본 발명의 광산란 필름(1')을 직접 응용한 것을 보여준다. 작동 중에는 광원(3)(실선으로 표시)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12)에 직접 입사되거나 광원(3)(점선으로 표시)에서 방출된 빛 일부는 광로 조정 유니트에 의해 산란/반사된 후에 상기 항정전 점착방지층(12)으로 입사되어 기재층(10)과 확산층(11)을 통해 방출된다. 따라서 최종 빛은 균일하면서도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대표 실시예에서는 광원(82)을 갖는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에 본 발명의 광산란 필 름(1')이 직접 응용한 것을 보여주며, 그 작동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도 7은 추가적으로 광로 조정 유니트(123)를 통해 부분적으로 산란/반사된 빛은 서포터(81)의 표면에서 산란/반사된 후에 항정전 점착방지층(12)으로 입사될 수 있다.The
실제 시험에서는 본 발명의 광산란 필름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은 균일한 휘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두께, 제조 공정상의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휘도의 증가를 얻을 수 있었다.In the actual test, the backlight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scatter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uniform brightness, and the brightness was increased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hickness, manufacturing process complexity, and cost did not increa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개선이 있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예시된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유지하는 모든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들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illustrated, and all embodiments that reta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광산란 필름은, 광반사, 광산란, 광확산, 집광 및 혼광의 효과를 가지며, 광원이 위치한 곳에 해당하는 액정 패널 위치에서 다크존이 형성되지 않으며 빛이 균일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최종 휘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ight scatter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s of light reflection, light scattering, light diffusion, condensing, and mixing, and the dark zone is not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corresponding to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so that light is uniformly emit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brightness.
또한 본 발명의 광산란 필름은, 우수한 호환성을 가지며 추가 제조 비용이 없이도 종래 제조 공정 중에 쉽게 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catter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compatibilit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troduced during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without additional manufacturing cost.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광산란 필름은, 광반사, 광산란, 광확산, 집광 및 혼광 효과를 가지므로, 백라이트 모듈에 적용 시에 백라이트 모듈의 부피와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출광 휘도를 가져서 이에 의해 제조된 표시장치는 보다 우수한 출력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scatter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ight reflecting, light scattering, light diffusing, condensing and converging effects, and thus has excellent outgoing luminance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and cost of the backlight module when applied to the backlight module.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can obtain more excellent output effect.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095107348A TW200734755A (en) | 2006-03-06 | 2006-03-06 | Light scattering film for direct-in and embedded backlight module, method of making the film, an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film |
TW95107348 | 2006-03-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1519A true KR20070091519A (en) | 2007-09-11 |
Family
ID=3858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6253A KR20070091519A (en) | 2006-03-06 | 2006-11-23 | Light Scattering Films for Direct and Incandescent Backlight Module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7241272A (en) |
KR (1) | KR20070091519A (en) |
TW (1) | TW200734755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7298B1 (en) * | 2007-12-14 | 2012-06-1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Optic complex member |
KR101158691B1 (en) * | 2010-07-26 | 2012-06-22 |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 Reflective Sheet for Backlight Unit |
KR101233533B1 (en) * | 2007-12-14 | 2013-02-1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Assembly Comprising Light Diffusion member |
KR20160070714A (en) * | 2014-12-10 | 2016-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6222A (en) * | 2008-07-18 | 2010-02-04 | Jiroo Corporate Plan:Kk | Base sheet for optical sheet |
JP2010026231A (en) * | 2008-07-18 | 2010-02-04 | Jiroo Corporate Plan:Kk |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
TWI473318B (en) * | 2011-08-25 | 2015-02-11 | Ind Tech Res Inst | Optical film and illuminating device |
KR102091601B1 (en) * | 2013-04-01 | 2020-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creen for refleting type projector |
CN109085719B (en) * | 2018-08-10 | 2021-03-16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Direct type LED backlight source |
WO2022222402A1 (en) * | 2021-04-23 | 2022-10-2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Scattering film,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
CN113204064B (en) * | 2021-05-08 | 2023-11-07 | 广东湾区智能终端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 Backlight film group,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CN114578465B (en) * | 2022-04-08 | 2022-08-26 | 绍兴翔宇绿色包装有限公司 | PET-based diffusion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15061311B (en) * | 2022-06-20 | 2023-06-02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Back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3812A (en) * | 1998-02-09 | 1999-08-17 | Canon Inc |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
JP2001159703A (en) * | 1999-12-03 | 2001-06-1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Light diffusion film, surface light source syste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2005107553A (en) * | 2005-01-06 | 2005-04-21 | Minoru Yoshida | Optical diffusion sheet and back 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
-
2006
- 2006-03-06 TW TW095107348A patent/TW200734755A/en unknown
- 2006-11-23 KR KR1020060116253A patent/KR2007009151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2-21 JP JP2007041122A patent/JP2007241272A/en active Pend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7298B1 (en) * | 2007-12-14 | 2012-06-1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Optic complex member |
KR101233533B1 (en) * | 2007-12-14 | 2013-02-1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Backlight Unit Assembly Comprising Light Diffusion member |
KR101158691B1 (en) * | 2010-07-26 | 2012-06-22 |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 Reflective Sheet for Backlight Unit |
KR20160070714A (en) * | 2014-12-10 | 2016-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734755A (en) | 2007-09-16 |
JP2007241272A (en) | 200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91519A (en) | Light Scattering Films for Direct and Incandescent Backlight Modules | |
US7973880B2 (en)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7857471B2 (en) | Optical sheet having bonded prism and polarizer sheets and display device | |
US7914179B2 (en) | Optical plate with V-shaped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 |
US20080266902A1 (en) | Backlight module | |
US10634948B2 (en) |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 |
US10317610B2 (en) |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 |
JP2007304553A (en) | Prism sheet, backlight unit hav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TWI674461B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13296312A (en) | Display device | |
JP2007256910A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backlight unit with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with backlight unit | |
CN111913320A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US20090046370A1 (en) |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838681B1 (en) |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100793091B1 (en) | Luminance enhancement sheet and backlight device including same | |
KR100790497B1 (en) | Direct type backlight unit | |
KR20210004032A (en) | Display appartus and diffuser plate thereof | |
CN1210603C (en) | Reflection-type LCD | |
US20090052036A1 (en) |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20060203347A1 (en) | Light reflection-diffus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CN205028004U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JP2010250987A (en) | Light uniforming element,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CN112180497A (en) | Glass light guide plate and glass diffusion plate fuse structure in a poor light | |
KR100880217B1 (en) | Backlight | |
CN214375370U (en) | Glass light guide plate and glass diffusion plate fuse structure in a poor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8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