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7887A -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887A
KR20070087887A KR1020060005322A KR20060005322A KR20070087887A KR 20070087887 A KR20070087887 A KR 20070087887A KR 1020060005322 A KR1020060005322 A KR 1020060005322A KR 20060005322 A KR20060005322 A KR 20060005322A KR 20070087887 A KR20070087887 A KR 2007008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evice
connecting member
rotation axis
wall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인기
Original Assignee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887A/ko
Priority to CNA2007800030950A priority patent/CN101375513A/zh
Priority to PCT/KR2007/000274 priority patent/WO2007083916A1/en
Publication of KR2007008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87A/ko
Priority to US12/175,765 priority patent/US76724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상기 제2 연결부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캠면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는 상기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축선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180도 이상 연장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를 갖는 외측벽면을 구비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힌지장치,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탄성부재, 하우징, 외측벽면, 제1 평면, 제2 평면, 곡면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SMALL SIZED HINGE DEVICE FOR USE IN RADIO TELEPHON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로서, 제1 케이스 유닛, 제2 케이스 유닛 및 힌지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고 힌지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의 (a)와 (b)는 도1의 힌지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2에 도시한 제1 연결부재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 유닛 14 : 제2 유닛
20 : 힌지장치 30 : 하우징
40 : 제2 연결부재 60 : 제1 연결부재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상기 두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형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는 힌지장치로 결합된 두 개의 케이스 유닛을 구비한다. 두 케이스 유닛 중 하나에는 키패드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키패드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펼쳐서 사용한다. 힌지장치는 이 두 케이스 유닛 사이를 결합해줌과 동시에 두 부재를 원활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힌지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와, 하우징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부재는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한다.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에는 각각 서로 상호작용하는 캠면과 캠종동부가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회전부재는 하우징부재 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일부분이 하우징부재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부를 형성한다. 탄성부재는 하우징부재 내에서 상기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도록 힘을 가한다. 하우징부재 내에서 회전하지 않는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며, 하우징부재의 회전축을 따라 직선운동한다.
최근 휴대전화기와 같은 폴더형 휴대장치가 더욱 슬림화되면서 두 케이스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도 소형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최적의 형상을 갖는 두 유닛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상기 제2 연결부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캠면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는 상기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축선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180도 이상 연장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를 갖는 외측벽면을 구비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두 평면부는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대체로 접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은 상기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연결부는 상기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와 만나도록 이어진 제3 평면부일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체로 180도까지 연장되며,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평면부의 연장길이와 제2 평면부의 연장길이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의 제1 평면부의 연장길이와 제2 평면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곡면부까지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180도보다 크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가 서로 만나도록 이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체로 270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단부벽과,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폴더형 휴대 전화기(10)는 키패드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 유닛(12)과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 유닛(14)을 구비한다. 제1 케이스 유닛(12)과 제2 케이스 유닛(14) 사이에는 결합부 양 측면에 각각 힌지장치(20)가 장착된다. 제1 케이스 유닛(12)의 장착구멍(13)에 힌지장치(20)의 후술하는 하우징부재(30)가 삽입된다. 제2 케이스 유닛(14)의 결합구멍(17)에는 힌지장치(20)의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40)의 결합부(22)가 삽입된다. 장착구멍(13)의 형상은 하우징부재(30)와 일치하며 그 크기는 하우징부재(30)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정해져 제1 케이스 유닛(12)과 하우징부재(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결합구멍(17)도 그 형상은 힌지장치(20)의 결합부(22)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며, 그 크기는 결합부(22)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정해져 제2 케이스 유닛(14)과 결합부(22)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힌지장치(20)는 하우징부재(30)와, 제1 연결부재 (60)와, 제2 연결부재(40)와, 탄성부재(80)와, 결합부재(90)를 구비한다. 하우징부재(30)는 기다란 통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0)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힌지장치(20)의 회전축선(100)이 된다. 하우징부재(3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단부벽(32)과, 단부벽(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34)을 구비한다. 단부벽(32)의 형상은 제1 연결부재(60)의 후술하는 외측벽면(62)의 형상과 대체로 같다. 상기 단부벽(32)의 반대편은 개방되어있다. 단부벽(3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33)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33)의 통해 후술하는 결합부재(90)의 끝단이 돌출되어 E-링(99)에 의해 결합된다. 측벽(34)은 편평한 제1 벽부(35)와, 제1 벽부(35)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편평한 제2, 제3 벽부(36, 37)와, 제2 벽부(36)와 제3 벽부(37)를 연결하는 반원형의 제3 벽부(38)를 구비한다. 편평한 제1, 제2, 제3 벽부(35, 36, 37)는 휴대 전화기(10)의 제1 케이스 유닛(12)에 끼워 넣어 조립하였을 때, 키 역할을 하여 하우징(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연결부재(6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하우징(30)은 금속(예를 들면, 황동판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딥드로우잉(drawing)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플라스틱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60)는 외측벽면(62)과, 제2 연결부재(4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캠면(64)과, 캠면(64)의 반대편에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보스(66)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재(60)에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캠면(64)으로부터 보스(66)를 관통하는 관통구멍(68)이 마련된다. 관 통구멍(68)으로 결합부재(90)가 지나간다. 도2와 도4를 참조하면, 외측벽면(62)은 상기 하우징(30)의 측벽(34)의 형상과 같이 원호형의 곡면부(621)와, 곡면부(621)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각각 접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평면부(622) 및 제2 평면부(623)와, 제1 평면부(622)와 제2 평면부(623)를 연결하는 연결부(624)를 구비한다. 곡면부(621)는 회전축선(100)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180도까지 연장된다. 제3 연결부(624)는 제1 평면부(622)와 제2 평면부(624)와 이어지는 제3 평면부(624)이다. 회전축선(100)으로부터 제3 평면부(624)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는 회전축선(100)으로부터 곡면부(621)까지의 반경방향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제1, 제2 제3 평면부(622, 623, 624)는 하우징부재(30)의 측벽(34)의 편평한 제2, 제3, 제1 벽부(36, 37, 35)와 각각 상호작용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62)는 하우징부재(30) 내에서 직선이동은 가능하되 회전은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외측벽면(62)의 형상은 힌지장치(10)의 작동시 유효한 캠면(64)의 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크기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하우징부재(30)를 비롯한 전체 힌지장치(20)의 크기를 작게 해준다. 제1 연결부재(60)는 하우징부재(3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이때, 캠면(64)은 제2 연결부재(40)의 두 캠종동돌기(42, 46)를 향한다. 캠면(64)은 산부(641)와, 골부(642)와, 경사부(643)를 구비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40)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로부터 연장된 두 캠종동돌기(42, 46)를 구비한다. 결합부(22)는 제1 연결부재(60)의 외측벽면(62)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2 연결부재(40)에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구멍(23)이 마련된다. 이 통로구멍(23)으로 후 술하는 결합부재(90)가 지나간다. 통로구멍(23)의 입구 쪽은 후술하는 결합부재(90)의 머리(92)가 수용되도록 확장되어 수용부(231)를 형성한다. 두 캠종동돌기(42, 46)는 각각 결합부(22)의 뒤편에 회전축선(100)을 가운데에 두고 직경방향 양쪽에 마련된다. 두 캠종동돌기(42, 46)의 각 끝단이 제1 연결부재(60)의 캠면(64)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421, 461)가 된다. 제2 연결부재(40)는 하우징부재(3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부(22)는 하우징(30) 밖으로 돌출되고 두 캠종동돌기(42, 46) 부분은 하우징부재(30) 내부에 수용된다. 캠종동부재(40)는 결합부재(90)에 의해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하우징부재(3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80)는 제1 연결부재(60)를 제2 연결부재(40) 쪽으로 민다. 탄성부재(8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80)의 일측 안으로 캠부재(60)의 보스(60)가 들어간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결합부재(90)는 머리(92)와, 머리(92)로부터 회전축선(100)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몸통(94)을 구비한다. 몸통(94)의 끝 부분에는 고리형의 결합홈(941)이 마련된다. 머리(92)는 제2 연결부재(40)의 통로구멍(23) 입구 쪽에 마련된 수용부(231)에 수용된다. 몸통(94)은 제2 연결부재(40)의 통로구멍(23)과 제1 연결부재(60)의 관통구멍(68)과 탄성부재(80)의 내부를 차례로 지나서 끝단이 하우징부재(30)의 단부벽(32)에 마련된 관통구멍(33)을 통해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몸통(94)의 끝 부분에 마련된 결합홈(941)도 하우징부재(30)의 단부벽(32) 밖으로 돌출되는데, 이 결합홈(941)에 E-링이라고 불리는 멈춤링(99)을 결합하여 결합부재(90)와 하우징부재(30)을 결합시킨다. 제2 연결부재(40)는 결합부재(90)의 몸통(9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40)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소재를 소결하거나 냉간단조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 연결부재(40)가 하우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연결부재(40)의 캠종동부(421, 461)와 제1 연결부재(60)의 캠면(64)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 연결부재(40)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도3의 (a)에는 제1 연결부재(60)가 제2 연결부재(4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3의 (b)에는 제1 연결부재(60)가 제2 연결부재(40)와 가장 멀게 위치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40)의 제1, 제2 제3 평면부(622, 623, 624)에 의해 제1 연결부재(40)는 하우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축선(100)을 따라 직선이동은 가능하되 회전은 하지 않게 된다.
도5의 (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a)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a)에 도시한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제1 연결부재(60a)가 도시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60a)의 제3 평면부(624a)는 도4에 도시한 제3 평면부(624)보다 회전축선(도2의 100)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다. 하우징부재(30a)와 제2 연결부재(40a)의 형상은 제1 연결부재(60a)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2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의 (a)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b)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a)에 도시한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제1 연결부재(60b)가 도시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60b)의 연결부(624b)는 회전축선(도2의 1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면(625b)을 구비한다. 하우징부재(30b)와 제2 연결부재(40b)의 형상은 제1 연결부재(60b)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2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의 (a)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c)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a)에 도시한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제1 연결부재(60c)가 도시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60c)의 곡면부(621c)는 원주방향으로 대체로 270도까지 연장되며, 제1 평면부(622c)와 제2 평면부(623c)가 서로 이어지도록 만난다. 하우징부재(30c)와 제2 연결부재(40c)의 형상은 제1 연결부재(60c)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2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축을 중심으로 서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두 개의 유닛을 구비한다면 상기 힌지장치가 장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장치가 원활한 작동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갖는 캠면이 마련되는 동시에 직선이동을 위한 최소한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작동이 원활하여 보다 작고 슬림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상기 제2 연결부재 쪽으로 미는 탄성부재와,
    상기 두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캠면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는 상기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축선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180도 이상 연장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를 갖는 외측벽면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두 평면부는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 대체로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장치.
  3. 제2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은 상기 제1 평면 부와 제2 평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힌지장치.
  4. 제3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연결부는 상기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와 만나도록 이어진 제3 평면부인 힌지장치.
  5. 제4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체로 180도까지 연장되며, 상기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의 상기 제1 평면부의 연장길이와 제2 평면부의 연장길이는 대체로 동일한 힌지장치.
  6. 제5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의 원주방향 양끝으로부터의 제1 평면부의 연장길이와 제2 평면부의 연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곡면부까지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한 힌지장치.
  7. 제3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면을 더 구비하는 힌지장치.
  8. 제2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180도보다 크게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가 서로 만나도록 이어지는 힌지장치.
  9. 제8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곡면부는 상기 회전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체로 270도까지 연장된 힌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힌지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단부벽과,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12. 제11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힌지장치.
  13. 제12항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외측벽면의 형상과 대체로 동일한 힌지장치.
KR1020060005322A 2006-01-18 2006-01-18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KR20070087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322A KR20070087887A (ko) 2006-01-18 2006-01-18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CNA2007800030950A CN101375513A (zh) 2006-01-18 2007-01-17 用于无线电话的小尺寸的铰接装置
PCT/KR2007/000274 WO2007083916A1 (en) 2006-01-18 2007-01-17 Small sized hinge device for use in radio telephone
US12/175,765 US7672451B2 (en) 2006-01-18 2008-07-18 Small sized hinge device for use in electronic handhel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322A KR20070087887A (ko) 2006-01-18 2006-01-18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59U Division KR200414036Y1 (ko) 2006-01-19 2006-01-19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87A true KR20070087887A (ko) 2007-08-29

Family

ID=3828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322A KR20070087887A (ko) 2006-01-18 2006-01-18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2451B2 (ko)
KR (1) KR20070087887A (ko)
CN (1) CN101375513A (ko)
WO (1) WO2007083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87522Y (zh) * 2008-03-10 2009-01-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00113100A1 (en) * 2008-11-04 2010-05-06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US9729766B2 (en) * 2014-05-19 2017-08-08 Ricoh Imaging Company, Ltd. Hinge structure, support structure and electr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619B2 (ja) *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20030094474A (ko) 2002-06-04 2003-12-12 포스텍전자주식회사 스톱퍼를 구비한 힌지장치
KR200342536Y1 (ko) * 2003-11-15 2004-02-18 (주)나노텍 휴대폰 힌지 어셈블리
KR100605044B1 (ko) * 2004-01-13 2006-07-2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KR200399015Y1 (ko) * 2005-08-02 2005-10-18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2451B2 (en) 2010-03-02
WO2007083916A1 (en) 2007-07-26
CN101375513A (zh) 2009-02-25
US20090019668A1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581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US7200224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20070039135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866000B2 (en)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20070101541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40261224A1 (en) Hinge assembly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444715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974085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03044974A1 (en) Hinge device
US6865778B2 (en) Hinge mechanism
US20040196403A1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70087887A (ko)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US7401382B2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414036Y1 (ko) 휴대 전화기용 소형 힌지장치
US7334294B2 (en) Hing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inge
KR200304979Y1 (ko) 힌지장치
US20100064478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678627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KR100975710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4525516B2 (ja) 折畳み型携帯端末
KR10063017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JP2002330206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131

Appeal identifier: 2007101002873

Request date: 20070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4

Effective date: 200801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2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314

Decision date: 20080131

Appeal identifier: 2007101002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