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7712A -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712A
KR20070087712A KR1020050057906A KR20050057906A KR20070087712A KR 20070087712 A KR20070087712 A KR 20070087712A KR 1020050057906 A KR1020050057906 A KR 1020050057906A KR 20050057906 A KR20050057906 A KR 20050057906A KR 20070087712 A KR20070087712 A KR 2007008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iction pad
pickup roller
contac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택
신상엽
조용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712A/ko
Priority to US11/371,097 priority patent/US7481423B2/en
Publication of KR2007008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급지 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급지대; 용지 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픽업 롤러와의 접촉닙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지분리대; 및 접촉닙 앞쪽으로하여 용지 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찰 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각종 용지에 대응하는 급지력을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찰 패드가 픽업 롤러와 접촉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찰 패드의 마모율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찰 패드의 사이즈를 줄여 재료비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급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PAPER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전사 사진 방식 화상 형성장치의 용지 공급부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지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용 급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A~5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급지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급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급지 완료 및 중송 방지 부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분리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의 Ⅵ표시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분리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30 : 용지 공급부 131 : 녹업 플레이트
135 : 픽업 롤러 133 : 탄성 부재
210 : 용지분리대 211 : 접촉면
213 : 안착홈 214 : 경사면
230 : 중송 방지 부재 250 : 마찰 패드
본 발명은 급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 매체 급지시 중송을 방지하는 급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형성 장치는 데이터가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이를 인쇄하거나 스캐닝(Scanning)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복사기, 인쇄장치, 팩시밀리(Facsimile), 스캐너(Scanner) 등이 있다. 이들 이미지 형성 장치는 그 자체, 혹은 외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용지에 출력하거나 입력받기 위해 용지를 급지하는 자동 급지 장치가 적용된다.
자동 급지 장치에는 적재된 용지가 한꺼번에 여러 장씩 급지되지 않도록 낱장으로 분리하여 급지하기 위한 낱장 분리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사 사진 방식 화상 형성장치(1)의 용지 공급부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지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로 하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1)와 녹업 플레이트(1)의 상면에 접촉되어 녹업 플레이트(1)의 상면에 접촉된 용지(3)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5)를 포함한다. 녹업 플레이트(1)의 일측으로 하여 상기 픽업 롤러(5)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마찰 패드(7)가 설치된다. 마찰 패드(7)는 픽업 롤러(5)와 접촉되어 용지(3)가 낱장으로 분리되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도 2는 상술한 마찰 패드(7)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찰 패드(7)를 지지하는 마찰 패드 지지대(9)가 마련되고, 마찰 패드 지지대(9)의 상면에 마찰 패드(7)가 안착된다. 여기서, 마찰 패드(7)는 픽업 롤러(5)와 접촉되어 접촉닙을 이룬다.
마찰 패드(7) 및 픽업 롤러(5)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는 특정 용지만이 통과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용지가 통과하게 된다. 이때, 마찰 패드(7)는 상술한 다양한 용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정한 마찰 계수를 갖는 최적의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마찰 패드(7)는 픽업 롤러(5)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급지되는 다양한 용지의 재질적인 특성에 따른 용지의 마찰력에 대처하지 못하므로 낱장 분리 작용을 원활하게 실시하지 못하여 중송 또는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픽업 롤러(5)가 마찰 패드(7)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마찰 패드(7)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마찰 패드(7)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재료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 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다양한 용지에 대응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패드 구조를 마련하여 용지의 중송 및 슬립 발생률을 줄이는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마찰 패드의 마모율을 줄이는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마찰 패드의 재료비를 줄이는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술한 급지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용지가 수납되는 용지 급지대; 상기 용지 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와의 접촉닙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지분리대; 상기 접촉닙 앞쪽으로 하여 상기 용지 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지분리대는 몰드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 분리대는 픽업 롤러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마찰 패드가 삽입되는 마찰 패드 안착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안착홈의 경 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마찰 패드의 상면과 상기 접촉면은 소정의 갭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녹업 플레이트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를 통해 이송된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 유닛; 상기 픽업 롤러와의 접촉닙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픽업 롤러를 통해 픽업된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지분리대; 및 상기 접촉닙 앞쪽으로하여 상기 용지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지분리대는 몰드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 분리대는 픽업 롤러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마찰 패드가 삽입되는 마찰 패드 안착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안착홈의 경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마찰 패드의 상면과 상기 접촉면은 소정의 갭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내부 바닥에는 용지 공급부(111)가 마련되고, 용지공급부(111)에는 그 상면에 다수 매의 용지(101)를 적재시키는 용지 급지대로 녹업 플레이트(131)가 설치된다. 녹업 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적재된 용지(101)는 픽업 롤러(135)가 회전하면서 용지분리대(137)와의 마찰력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되어 상 형성 유닛(150)인 감광드럼(153) 및 전사 롤러(159)의 사이[이하 "전사닙(P1)”이라 칭함]로 공급된다.
그와 동시에 대전 롤러(155)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153)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드럼(153)의 표면은 광 주사유닛(170:Laser Scanning Unit)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L)에 의해 주어진 패턴으로 노광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정전 잠상 (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이후, 감광드럼(153)의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 롤러(157)가 회전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전사 롤러(159)가 감광드럼(153)을 가압함과 아울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53)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된 용지(101)에 전사시킨다.
그후, 용지(101)는 계속 이송되어 정착유닛(180)의 가열롤러(181:Heating Roller) 및 가압롤러(183: Pressing Roller)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됨과 아울러서 가압되어 분말상태의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 롤러(191) 및 아이들 롤러(193)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된 후 배출구(117)를 통해 배출되어 배지대(118)에 적재됨으로써 인쇄를 마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용지 급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 상면에 용지(101)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131)가 탄성 부재(133)에 의해 상향 지지된다. 녹업 플레이트(131)의 상면에는 용지(101)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135)가 설치되고, 녹업 플레이트(131)의 일측으로 하여 픽업 롤러(135)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용지 분리대(210)가 설치된다. 또한, 용지 분리대(210)의 양측에는 용지의 낱장 분리 보조 역할을 하는 중송 방지 부재(230)가 추가로 설치된다.
픽업 롤러(135)는 용지(101)를 낱장씩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량 회전한 후,다음 용지가 급지되기 까지 일정시간 동안 정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어장치로 픽업 롤러(13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픽업축(136)에는 픽업 기어(138)가 연결되고, 그 일측에는 픽업 기어(138)와 선택적으로 접촉되거나 이탈되어 픽업 기어(138)에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유닛(141)이 사용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유닛(141)이 연결된 픽업축(136)의 타측에는 캠(143)이 연결되고, 녹업 플레이트(131)에는 캠(143)과 접촉하는 돌출부(131a)가 마련되고, 그 돌출부(131a)에는 캠(143)과 접촉하는 아이들 롤러(145)가 설치된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146)는 픽업 롤러(135)와 접촉되어 용지 픽업력을 제공하는 마찰 부재를 나타낸다.
도 5A ~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공급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들로서, 도 5A는 급지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급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급지 완료 및 중송 방지 부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녹업 플레이트(131)는 캠(143)에 의해 눌려져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녹업 플레이트(131)를 적재한 후 인쇄 명령을 입력하면, 솔레노이드 유닛(141)이 동작하여 픽업 기어(138)에 동력이 전달된다(도 4참조). 따라서, 픽업 롤러(135)가 회전하여 녹업 플레이트(131)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한다.
즉, 픽업 롤러(1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픽업 롤러(135)와 같이 회전하는 캠(143)이 녹업 플레이트(131)에서 이탈되므로 녹업 플레이트(131)가 탄성 부재(133)의 탄력으로 인해 위로 상승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 급지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픽업 롤러(135)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픽업 롤러(135)와 용지분리대(210)의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된다.
이후, 급지가 완료시점에 도달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43)의 모서리부에 접촉되어 녹업 플레이트(131)는 도 5B의 상태보다 더 하강되어 용지분리대(210) 및 중송 방지 부재(230)의 하단(215(도 7참조),233)부가 녹업 플레이트(131)의 하단부와 접촉된다. 여기서, 용지분리대(210)는 가이드 리브(219)를 통해 하강하며, 중송 방지 부재(230)는 그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톱니부(231)가 형성 된 상단부가 픽업 롤러(135)쪽으로 순간 회전한다. 용지분리대(210)의 일측에는 상술한 가이드리브(219)와 대응하는 레일(218)이 마련된다.
용지분리대(2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강하는 이유는 픽업 롤러(135) 다음 단계에 위치하는 이송 롤러 예컨대, 도 3의 감광드럼(153) 및 전사 롤러(159)의 마찰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중송 방지 부재(230)의 상단부가 픽업 롤러(135)쪽으로 순간 회전하는 이유는 용지가 중송 상태로 될 경우 상부 용지에 붙어 있는 하부 용지를 급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낱장 공급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분리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의 Ⅵ표시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지 분리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픽업 롤러(135)와 1차 접촉닙(N)을 이루는 용지 분리대(210)가 마련된다. 용지 분리대(210)는 몰드물로 이루어진다. 접촉닙(N)의 앞쪽에 위치하는 용지 분리대(210)의 상면에는 마찰 패드(250)가 설치된다. 마찰 패드(250)는 용지 분리대(210)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종래에 비하여 그 폭이 대략 절반으로 줄어든 크기를 갖는다.
용지 분리대(210)는 픽업 롤러(135)와 1차 접촉되는 접촉닙(N)을 이루는 접촉면(211)과, 상기 마찰 패드(250)가 삽입되는 마찰 패드 안착홈(213)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211) 및 상기 안착홈(213)의 경계면(214)은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213)에 설치된 마찰 패드(250)의 상면과 상기 접촉면(211)은 소정의 갭(G)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픽업 롤러(135)를 통해 녹업 플레이트(131)로부터 픽업된 용지(101)는 용지분리대(210)의 접촉면(211) 및 픽업 롤러(135)의 접촉닙(N)을 통해서 이송된다. 이때, 이송되는 용지(101)는 마찰 패드(250)와 거의 접촉되지 않아 마찰 패드(250)의 마찰력은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01a),(101b)가 중송 상태로 급지될 경우 용지(101b)는 마찰 패드(250)와 접촉되어 마찰력이 작용하여 이송되지 않고 상측의 용지(101a)만 분리되어 원활하게 공급된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기록하는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용지를 공급을 필요로 하는 스캐너, 팩시밀리 등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급지 장치에 의하면,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각종 용지에 대응하는 급지력을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찰 패드가 픽업 롤러와 접촉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찰 패드의 마모율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찰 패드의 사이즈를 줄여 재료비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급지대;
    상기 용지 급지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와의 접촉닙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지분리대; 및
    상기 접촉닙 앞쪽으로하여 상기 용지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분리대는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분리대는 픽업 롤러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마찰 패드가 삽입되는 마찰 패드 안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안착홈의 경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마찰 패드의 상면과 상기 접촉면은 소정의 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6.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녹업 플레이트를 상향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를 통해 이송된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 유닛;
    상기 픽업 롤러와의 접촉닙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픽업 롤러를 통해 픽업된 용지를 낱장 분리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용지 분리대; 및
    상기 접촉닙 앞쪽으로하여 상기 용지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분리대는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분리대는 픽업 롤러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마찰 패드가 삽입되는 마찰 패드 안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안착홈의 경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마찰 패드의 상면과 상기 접촉면은 소정의 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57906A 2005-06-30 2005-06-30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070087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06A KR20070087712A (ko) 2005-06-30 2005-06-30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11/371,097 US7481423B2 (en) 2005-06-30 2006-03-09 Print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06A KR20070087712A (ko) 2005-06-30 2005-06-30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712A true KR20070087712A (ko) 2007-08-29

Family

ID=3758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906A KR20070087712A (ko) 2005-06-30 2005-06-30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81423B2 (ko)
KR (1) KR20070087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76B1 (ko) * 2007-09-22 2007-11-22 장승준 인쇄기의 용지 분리장치
KR101276058B1 (ko) * 2007-12-18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7158B2 (en) * 2004-05-14 2008-08-05 Seiko Epson Corporation Sheet feeding device with variable faced roller and integrated sheet guides
KR100561441B1 (ko) * 2004-08-09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픽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TWI253391B (en) * 2005-05-13 2006-04-21 Benq Corp A paper pick-up module of a printer of the like
TWM308943U (en) * 2006-05-12 2007-04-01 Lite On Technology Corp Paper grabbing assembly
KR101351096B1 (ko) * 2006-10-20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7665724B2 (en) * 2007-03-08 2010-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icker
JP2008308314A (ja) * 2007-06-18 2008-12-2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826812B2 (ja) * 2007-06-20 2011-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送装置、記録装置
JP4952923B2 (ja) * 2007-07-13 2012-06-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給送方法
JP2009173397A (ja) * 2008-01-24 2009-08-06 Oki Data Corp 給紙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521076B1 (ko) * 2008-12-19 2015-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JP5321394B2 (ja) * 2009-09-30 2013-10-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11121765A (ja) * 2009-12-14 2011-06-2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5895664B2 (ja) * 2012-03-30 2016-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6070043B2 (ja) 2012-03-30 2017-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38184B2 (ja) * 2013-06-27 2016-0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JP2015024909A (ja) * 2013-07-29 2015-02-05 船井電機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80182B2 (ja) * 2015-03-19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US10112789B2 (en) * 2016-10-18 2018-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ct interface
JP2022164342A (ja) * 2021-04-16 2022-10-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6424A (ja) * 1985-03-29 1986-10-08 Canon Inc 給送装置
JP2966054B2 (ja) * 1990-07-13 1999-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2943415B2 (ja) * 1991-03-19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5358230A (en) * 1992-04-24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US5316285A (en) * 1993-04-30 1994-05-31 Hewlett-Packard Company Sheet media realignment mechanism
JP3521102B2 (ja) * 1996-02-27 2004-04-19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US5934664A (en) * 1996-06-25 1999-08-10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ing apparatus and printer
KR100345879B1 (ko) 1999-04-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 급지 장치
JP4127604B2 (ja) 2001-07-13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原稿自動分離装置
KR20050019416A (ko) 2003-08-19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76B1 (ko) * 2007-09-22 2007-11-22 장승준 인쇄기의 용지 분리장치
KR101276058B1 (ko) * 2007-12-18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1423B2 (en) 2009-01-27
US20070001376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23B2 (en) Print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6915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EP1918230A2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004626B2 (ja) 自動給紙装置
KR20090076547A (ko) 화상형성장치
KR100393402B1 (ko) 급지 장치
US7356302B2 (en) Pa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JP2018002317A (ja)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6135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CN110392661B (zh) 利用压力的片材分离器
US7699306B2 (en)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595703B2 (ja)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70000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eet feed-out from an automatic sheet feeder into a receiving tray
JP4143860B2 (ja) 記録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5371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KR100419225B1 (ko) 사무기기의 자동급지 장치
JP201104245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535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JP2018127300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64674B2 (ja) 給紙装置
KR100500247B1 (ko) 용지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23069375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3012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16176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920

Appeal identifier: 2006101009364

Request date: 2006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20

Effective date: 200709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9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1020

Decision date: 20070920

Appeal identifier: 2006101009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