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731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310A
KR20070087310A KR1020060017577A KR20060017577A KR20070087310A KR 20070087310 A KR20070087310 A KR 20070087310A KR 1020060017577 A KR1020060017577 A KR 1020060017577A KR 20060017577 A KR20060017577 A KR 20060017577A KR 20070087310 A KR20070087310 A KR 2007008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upport member
printed circuit
suppor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310A/ko
Priority to US11/498,690 priority patent/US7633746B2/en
Publication of KR2007008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3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호 결합된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지지 부재,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동하는 구성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인쇄 회로 기판 44 : 가요성 인쇄 회로막
50 : 표시 패널 60 : 제1 지지 부재
70 : 제2 지지 부재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지지 부재들을 포함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하여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평판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패널(lig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uminesecent display panel) 등의 표시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유기 화합물을 발광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패널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와 같은 별도의 광 공급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도 함께 수납 지지하여야 하므로 지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반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한 표시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더욱 박형 단소화된 표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 구조를 간소화시켜 더욱 박형 단소화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호 결합된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uminesecent display panel)이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을 일부 드러내는 표시창을 갖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외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측벽부와 상호 결합하는 내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내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수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제 3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수지(resin)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표시 패널의 측면 및 배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부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측벽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과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 회 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벽부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에는 구동 집적 회로칩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과 이웃하는 타측에는 구동 집적 회로칩을 실장한 추가의 가요성 인쇄 회로막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를 더욱 박형 단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 표시 패널(50)의 전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60), 그리고 표시 패널(50)의 배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7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50)과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42), 인쇄 회로 기판(42)과 표시 패널(50)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44), 그리고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과 연결된 표시 패널(50)의 일측과 이웃한 타측에 부착된 제2 가요성 인쇄 회로막(43)을 더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 및 제2 가요성 인쇄 회로막(43)은 각각 구동 집적 회로칩(441, 431)을 실장하며, 칩 온 필름 패키지(chip on film package, COF)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로 형성된다.
표시 패널(50)은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uminesecent display panel)이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유기층이 형성된 제1 표시판(51)과, 제1 표시판(51)을 덮는 제2 표시판(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유기층은 화면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인 화소를 형성한다.
제1 지지 부재(60)는 표시 패널(50)의 전면에 접하며 표시 패널(50)의 전면 일부를 드러내는 표시창(65)을 갖는 전면부(61)와, 전면부(6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외측벽부(62)를 포함한다.
제2 지지 부재(70)는 표시 패널(5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71)와, 배면부(7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1 지지 부재(60)의 외측벽부(62)와 상호 결합하는 내측벽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벽부(72)는 외측벽부(62)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지지 부재(70)의 배면부(71)와 표시 패널(50)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50)을 제2 지지 부재(70)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60) 및 제2 지지 부재(70)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진 섀시(chassis)로 형성된다.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42)은 제2 지지 부재(70)의 배면부(72) 외면에 배치되며,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은 제1 지지 부재(60)의 외측벽부(62)와 제2 지지 부재(70)의 내측벽부(72)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과 인접한 제2 지지 부재(70)의 내측벽부(72)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75)를 가지며, 절개부(75)는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표시 패널(50)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42), 가요성 인쇄 회로막(43, 44) 등을 간단하게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더욱 박형 단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 표시 패널(50)의 전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60), 표시 패널(50)의 배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70), 그리고 제1지지 부재(60) 및 제2 지지 부재(70) 내부에 표시 패널(50)과 함께 수납되어 표시 패널(50)의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제3 지지 부재(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60) 및 제2 지지 부재(70)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진 섀시(chassis)로 형성되며, 제3 지지 부재(8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resin) 소재로 만들어진 몰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제3 지지 부재(80)는 표시 패널(50)의 측면과 접하며, 표시 패널(50)을 단단히 고정시켜 표시 패널(50)이 제1 지지 부재(60) 및 제2 지지 부재(70)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표시 패널(50)을 제2 지지 부재(70)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70) 및 제3 지지 부재(80)는 각각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과 인접한 측벽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75, 85)를 가진다. 이에,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의 배치가 용이해지며, 제1 가요성 인쇄 회로막(44)이 안정적으로 표시 패널(50)과 인쇄 회로 기판(42)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표시 패널(50)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42), 가요성 인쇄 회로막(43, 44) 등을 간단하게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더욱 박형 단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5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3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 표시 패널(50)의 전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60), 그리고 표시 패널(50)의 배면에 접하여 표시 패널(50)의 측면 및 배면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 부재(60)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진 섀시(chassis)로 형성 되며, 제2 지지 부재(90)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resin) 소재로 만들어진 몰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제2 지지 부재(90)는 표시 패널(50)의 측면 및 배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 지지 부재(60)와 결합하므로,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표시 패널(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와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2개의 지지 부재(60, 90)만으로도 표시 패널(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90)는 일부 영역에서 표시 패널(50)의 배면을 드러냄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구비된 표시 패널(50)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며, 표시 패널(display panel)(50) 및 이에 연결된 주사 구동부(400)와 데이터 구동부(50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제어부(400)는 인쇄 회로 기판(42) 상에 형성되고, 데이터 구동부(500) 및 주사 구동부(400)는 각각 가요성 인쇄 회로막(43, 44)에 실장된 구동 집적 회로칩(431, 441)에 형성된다.
표시 패널(5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G1-Gn, D1-Dm), 그리고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주사 신호(Vg1∼Vgn)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 신호선(G1-Gn)과 데이터 신호(Vd)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복수의 화소는 각각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발광부와, 발광부를 구동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발광부는 다이오드 특성을 가져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불리며, 이는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과,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 및 이들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 유기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각 전극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를 발광 유기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광 유기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유기층은 하나의 발광층으로 형성된 단일층 구조이거나, 발광층과 발광층 주위에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정공 저지층(hole block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ong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그리고 전자 저지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중에서 하나 이상의 층이 더 형성된 복수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는 두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 이상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포함한다.
회로부에 포함된 여러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하나는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의 발광부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선택된 발광부의 발광층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 소자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발광하고자 하는 화소들을 선택하여 빛을 발생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간소화된 지지 구조를 통해 더욱 박형 단소화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 가요성 인쇄 회로막 등을 간단하게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방열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Claims (12)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호 결합된 제2 지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uminesecent display panel)인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접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을 일부 드러내는 표시창을 갖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외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과 접하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측벽부와 상호 결합하는 내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내부에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수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제 3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수지(resin) 소재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수지 소재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표시 패널의 측면 및 배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부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외측벽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과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과 인접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벽부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된 표시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막에는 구동 집적 회로칩이 실장된 표시 장치.
  12. 제9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과 이웃하는 타측에는 구동 집적 회로칩을 실장한 추 가의 가요성 인쇄 회로막이 부착된 표시 장치.
KR1020060017577A 2006-02-23 2006-02-23 표시 장치 Ceased KR2007008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77A KR20070087310A (ko) 2006-02-23 2006-02-23 표시 장치
US11/498,690 US7633746B2 (en) 2006-02-23 2006-08-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77A KR20070087310A (ko) 2006-02-23 2006-02-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310A true KR20070087310A (ko) 2007-08-28

Family

ID=3847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577A Ceased KR20070087310A (ko) 2006-02-23 2006-02-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33746B2 (ko)
KR (1) KR200700873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63B1 (ko) * 2008-01-16 2009-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138166A (ko) * 2018-06-04 2019-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7171A1 (en) * 2007-11-22 2009-07-0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90138695A1 (en) * 2007-11-22 2009-05-28 Samsung Sd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system using virtualization
KR100927723B1 (ko) * 2008-04-10 2009-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18016B (zh) * 2015-01-07 2017-02-22 河北大学 自由空间光通信apt系统及其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8659A (en) 1980-08-25 1984-08-28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ssembly
JP2662427B2 (ja) 1988-10-11 1997-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8146897A (ja) 1994-11-22 1996-06-07 Katsumi Kimura 多重表示装置
JP2001290434A (ja) * 2000-04-04 2001-10-19 Nec Corp 表示装置
JP2001343906A (ja) * 2000-05-31 2001-12-1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接続方法
JP4210423B2 (ja) * 2000-11-01 2009-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該表示装置を用いた画像端末装置
KR100793729B1 (ko) 2001-09-27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488308B2 (en) * 2003-02-12 2013-07-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ed force-based touch sensor
JP4461869B2 (ja) * 2004-03-25 2010-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227095B (en) * 2004-06-17 2005-01-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6017977A (ja) * 2004-07-01 2006-01-19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63B1 (ko) * 2008-01-16 2009-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7999465B2 (en) 2008-01-16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KR20190138166A (ko) * 2018-06-04 2019-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6127A1 (en) 2007-09-06
US7633746B2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8265B (zh) 拼接显示装置
KR10091691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EP218053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6989571B2 (e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panel
US7397656B2 (en) Flat display panel suppor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upport
KR20060018762A (ko) 발광 표시장치
KR10108424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6483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having opening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70087310A (ko) 표시 장치
KR2018006252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0646935B1 (ko) 발광 표시장치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KR20170080746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118222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636506B1 (ko) 발광 표시장치
KR100922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72899B1 (ko)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표시장치
KR2012007967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19656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0000991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80014426A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