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124A - Freezer - Google Patents
Free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7124A KR20070087124A KR1020077016300A KR20077016300A KR20070087124A KR 20070087124 A KR20070087124 A KR 20070087124A KR 1020077016300 A KR1020077016300 A KR 1020077016300A KR 20077016300 A KR20077016300 A KR 20077016300A KR 20070087124 A KR20070087124 A KR 20070087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compression
- refrigerant
- unit
- heat source
- source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2—Refrigeration systems for supermar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에 관해서, 그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에 접속되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Regarding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by the return side connecting pipe 19 from the outlets 24, 34, 44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s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heat source unit 11, Among the plurality of single-stage compression side using units 12, 13, 14, the value of the return side connecting pipe 19 connected to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ing unit 14 having the lowest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is the smallest. To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원유닛에 복수의 이용유닛이 병렬로 접속된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us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heat source unit.
종래, 1개의 열원유닛에 복수의 이용유닛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냉동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편의점 등에 설치되어 진열장 등의 냉장이나 냉동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동장치는, 열원유닛에 압축기와 열원측 열교환기가 구성되는 한편, 이용유닛에 각각 냉각열교환기와 팽창밸브가 구성되며, 열원유닛과 이용유닛은 연결배관으로 접속된다. 각 이용유닛에서는, 진열장 등의 저장고 내 설정온도에 따라 냉각열교환기의 냉매 증발온도가 설정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refrigeration apparatuses in which a plurality of use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one heat source unit have been known. For example, they are installed in convenience stores and the like and used for refrigeration or freezing of display cases. In such a refrigerating device, a compressor and a heat source side heat exchanger are configured in the heat source unit, while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n expansion valve are respectively configured in the use unit, and the heat source unit and the use unit are connected by connecting pipes. In each use unit,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such as a showcase.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종류의 냉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1에는, 열원유닛으로서의 1개 실외유닛에, 이용유닛으로서 3개의 실내유닛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냉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3개의 실내유닛은 2개의 냉장유닛과 1개의 냉동유닛으로 구성되며, 냉동유닛에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부스터유닛이 직렬로 접속된다.
[특허문헌 1 : 일본특개 2003-31490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14909]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 to Solve Inven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동장치가 편의점 등에 설치되는 경우, 열원유닛이나 이용유닛의 배치는, 주로 그 냉동장치가 설치되는 시설의 레이아웃이나 이용형태로 결정된다. 그리고 그 열원유닛이나 이용유닛의 배치에 따라, 각 이용유닛 출구에서 열원유닛 입구까지의 연결배관 길이가 정해진다.However, when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convenience store or the like, the arrangement of the heat source unit or the use unit is mainly determined by the layout and the use form of the facility where the refrigerating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 source unit or the use uni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exit of each use unit to the heat source unit inlet is determined.
따라서, 각 이용유닛의 출구에서 열원유닛 입구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높은 이용유닛보다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이용유닛 쪽이 길어질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 각 이용유닛의 출구에서 열원유닛 입구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도,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높은 이용유닛보다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이용유닛 쪽이 커질 경우가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let of each use unit to the inlet of the heat source unit may be longer for the use unit having a lower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than the use unit having a high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In such a case, when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caused by the return connection pipe from the outlet of each use unit to the inlet of the heat source unit is also greater, the use unit having a lower set temperature in the store than the use unit having a high set temperature in the store becomes larger. There is.
이 때, 각 이용유닛 출구의 냉매압력 및 각 이용유닛에서의 냉매 증발압력은,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높은 이용유닛보다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이용유닛 쪽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이용유닛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높은 이용유닛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보다 높아진다. 즉, 종래의 냉동장치에서는, 이용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따른 냉매 증발온도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pressure at each outlet of the use unit and the refrigerant evaporation pressure at each use unit are higher in the use unit having a lower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than in the use unit having a high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For this reason,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in the use unit with a low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becomes higher than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in the use unit with a high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ing device, there is a case where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is not used in any of the use unit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이용유닛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화하며, 냉동장치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is point, Comprising: It aims at making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in a use unit suitable for the preset temperature in a storage, and aiming at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a refrigerating apparatu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제 1부터 제 4의 각 발명은,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를 냉각하는 냉각열교환기(21, 31, 41)를 갖는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을 복수 구비하는 한편, 압축기(29)를 갖는 열원유닛(11)을 1개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이 상기 열원유닛(11)에 대해 연결배관(18, 19)으로 병렬로 접속된 냉매회로(20)에서, 상기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과 상기 열원유닛(11) 사이를 냉매가 순환하여 1단압축 냉동주기가 행해지는 냉동장치(30)를 대상으로 한다.Each of the first to fourth inventions has a single stage compression unit using units (12, 13) having cooling heat exchangers (21, 31, 41)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reservoir in orde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reservoir at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 units (11) having a compressor (29), and a plurality of said first 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s (12, 13, 14)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said heat source unit (11). In the
그리고 제 1 발명의 냉동장치(30)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에 접속되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값이 최소가 된다.And in the refrigerating
제 2 발명의 냉동장치(30)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상기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In the refrigerating device (30) of the second invention, the return side from the outlet (24, 34, 44) of each of the first 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s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heat source unit (11).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by the connecting
제 3 발명의 냉동장치(30)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에 접속되는 회송측 연결배관이 가장 짧다.In the refrigerating device (30) of the third inven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let (24, 34, 44) of each one-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heat source unit (11) Is the shortest return side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lowest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among the plurality of single-stage compression-
제 4 발명의 냉동장치(30)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상기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짧게 된다.In the refrigerating device (30) of the fourth inven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ipe from the outlet (24, 34, 44) of each of the first 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s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heat source unit (11) The lower the set temperature in the reservoir of the first stage compression-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와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를 연결하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이 가장 하류쪽에 접속된다.In the fifth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e fourth, the
제 6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서, 상기 열원유닛(11)의 출구(71)와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입구(23, 33, 43)를 연결하는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이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In the sixth invention, in the fifth invention, an
제 7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서,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를 냉각하는 냉각열교환기(51)를 갖는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과 부스터압축기(46)가 직렬로 접속된 2단압축 쪽 회로(47)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회로(20)에서는 상기 2단압축 쪽 회로(47)가 상기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과 함께 상기 열원유닛(11)에 대해 연결배관으로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과 상기 열원유닛(11) 사이를 냉매가 순환하여 2단압축 냉동주기가 행해진다.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two-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 (15) having a cooling heat exchanger (51)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reservoi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reservoir at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 And a
제 8 발명은, 상기 제 7 발명에서,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24, 34, 44, 54)와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를 연결하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는,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In the eighth invention, in the seventh invention, the
제 9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출구(71)와 상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입구(23, 33, 43, 53)를 연결하는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는,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In the ninth invention, in the eighth invention, the heat source unit (11) outlet (71), the first stage compression side using unit (12, 13, 14) and the inlet (23) of the two stage compression circuit (47) In the sending
-작용--Action-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 출구(44)의 냉매압력이 가장 낮아진다.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매 증발압력은, 이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출구(24, 34, 44)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 즉,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 있어서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는, 이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출구(24, 34, 44)의 냉매압력이 낮을수록 낮아진다. 이로써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의 냉매 증발온도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에서 가장 낮아진다.In the first invention, the refrigerant pressure of the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출구(24, 34, 44)의 냉매압력은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아진다. 이로써,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 있어서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도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아진다.In the second invention, the refrigerant pressures of the
연결배관에 의한 압력손실은, 대략 연결배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에 접속되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값이 최소가 되기 쉽다.The pressure loss due to the connecting pipe i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ipe. Therefore, in the third invention, the return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상기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은 값이 되기 쉽다.In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side connecting pipes (19) from the outlets (24, 34, 44)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s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heat source unit (11).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caused by the refrigerant tends to be smaller as the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 가장 하류쪽, 즉 열원유닛(11)에서 가까운 쪽에 접속된다.In the fifth invention, the first-stage compression-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 가장 하류쪽, 즉 열원유닛(11)에서 가까운 쪽에 접속되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 가장 상류쪽, 즉 열원유닛(11)에서 가까운 쪽에 접속된다. 바꾸어 말하면,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 냉매가 열원유닛(11)으로 회송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되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 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된다. 이로써, 다른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에 비해 높은 냉각능력이 필요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다른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에 비해 다량의 액냉매가 유입하기 쉬워진다.In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stage compression-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열원유닛(11)으로부터 유출한 냉매 중,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으로 유입한 냉매는 각 냉각열교환기(21, 31, 41)에서 증발한 후에 열원유닛(11)으로 돌아가는 한편,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으로 유입한 냉매는 냉각열교환기(51)에서 증발하여 부스터압측기(46)에서 압축된 후에 열원유닛(11)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으로부터의 냉매는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에 이르는 사이에 부스터압측기(46)에서 압력이 높여지므로,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은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를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heat source unit (11),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one-stage compression-side use unit (12, 13, 14) is evaporated in each cooling heat exchanger (21, 31, 41). While returning to the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부스터압축기(46)가 접속된 2단압축 쪽 회로(47)가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 2단압축 쪽 회로(47)에서 열원유닛(11)에 이르는 사이의 냉매 압력손실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서 열원유닛(11)에 이르는 사이의 냉매 압력손실보다 커진다. 그러나 2단압축 쪽 회로(47)에서는,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에서 증발한 냉매가 부스터압축기(46)에서 압축된 후, 송출된다. 이로써,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에서의 증발온도는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아진다.In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stage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이 접속된 2단압축 쪽 회로(47)가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 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 이로써,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를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 가능한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으로, 액냉매가 유입하기 쉬워진다.In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stag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기 제 1 발명에 의하면,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는,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에서 가장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의 냉각열교환기(41)으로의 냉매 증발온도를,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해지도록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in the first stage compressor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냉각열교환기(21, 31, 41)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각각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해지도록,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the refrigerant evaporation temperature in each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의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를 규정함으로써,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상기 복수의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에 접속되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값이 최소가 되기 쉽게 된다. 이로써,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데 유리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by defin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outlet (24, 34, 44) of each one-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12, 13, 14) to the inlet (61) of the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의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를 규정함으로써,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열원유닛(11)의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서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은 값이 되기 쉽게 된다. 이로써, 각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데 유리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by defin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from the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다른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에 비해 높은 냉각능력이 필요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회송측 연결배관(19)에서는 냉매가 열원유닛(11)으로 회송되기 쉬운 상태로,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는 열원유닛(11)으로부터의 액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되며, 다른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에 비해 다량의 액냉매가 유입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은,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stage compression-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에서의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를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해도,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54)에 이르기 전에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으로부터의 냉매를 부스터압축기(46)에서 압축하여 냉매압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의 증발온도 및 증발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일없이,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에 비해 높은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In the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even if the evaporation pressure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two-stage compression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를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 가능한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이, 송출측 연결배관(18)에서 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2단압축 쪽 이용유닛(15)은 다량의 액냉매가 유입하기 쉬우므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를 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해도,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는데 충분한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stage compression-
도 1은,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ing device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1 : 실외유닛(열원유닛)11: outdoor unit (heat source unit)
12 : 제 1 냉장 진열장(1단압축 쪽 이용유닛)12: 1st refrigeration showcase (single-side compression unit)
13 : 제 2 냉장 진열장(1단압축 쪽 이용유닛)13: second refrigerated display case (single-side compression unit)
14 : 제 3 냉장 진열장(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14: 3rd refrigerated display case (unit using the first stage compression unit with the lowest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15 : 냉동 진열장(2단압축 쪽 이용유닛)15: freezing showcase (two-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18 : 액측 연결배관(송출측 연결배관)18: liquid side connection pipe (outgoing side connection pipe)
19 : 가스측 연결배관(회송측 연결배관)19: gas side connection pipe (return side connection pipe)
20 : 냉매회로20: refrigerant circuit
21 : 제 1 냉장 진열장의 냉장열교환기(냉각열교환기)21: Refrigerated heat exchanger (cold heat exchanger) of the first refrigerated showcase
23 : 제 1 냉장 진열장의 입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입구)23: inlet of the first refrigerated showcase (in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24 : 제 1 냉장 진열장의 출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출구)24: Outlet of the first refrigerated showcase (out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29 : 압축기 30 : 냉동장치29
31 : 제 2 냉장 진열장의 냉장열교환기(냉각열교환기)31: Refrigerated heat exchanger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second refrigerated showcase
33 : 제 2 냉장 진열장의 입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입구)33: entrance of the second refrigerated display case (in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34 : 제 2 냉장 진열장의 출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출구)34: outlet of the second refrigerated display case (out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41 : 제 3 냉장 진열장의 냉장열교환기(냉각열교환기)41: Refrigerated heat exchanger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third refrigerated showcase
43 : 제 3 냉장 진열장의 입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입구)43: inlet of the third refrigerated display case (in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44 : 제 3 냉장 진열장의 출구(1단압축 쪽 이용유닛의 출구)44: Exit of the 3rd refrigerated display case (outlet of the first-stage compression side use unit)
46 : 부스터압축기 47 : 2단압축 쪽 회로46: booster compressor 47: two-stage compression circuit
51 : 냉동열교환기(냉각열교환기)51: refrigeration heat exchanger (cooling heat exchanger)
53 : 2단압축 쪽 회로의 입구 54 : 2단압축 쪽 회로의 출구53: Inlet of two stage compression circuit 54: Outlet of two stage compression circuit
61 : 실외유닛의 입구(열원유닛의 입구)61: inlet of the outdoor unit (inlet of the heat source unit)
71 : 실외유닛의 출구(열원유닛의 출구)71: outlet of the outdoor unit (exit of the heat source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냉동장치(30)는, 편의점 등에 설치되어 진열장 내의 냉각을 행하는 것이다.Th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동장치(30)는, 열원유닛인 실외유닛(11)과, 4개의 진열장(12, 13, 14, 15)과, 부스터유닛(16)을 구비한다. 4개의 진열장(12, 13, 14, 15)은, 냉장고로서의 제 1 냉장 진열장(12), 제 2 냉장 진열장(13) 및 제 3 냉장 진열장(14)과, 냉동고로서의 냉동 진열장(15)으로 구성된다. 실외유닛(11)은 옥외에 설치된다. 한편, 4개의 진열장(12, 13, 14, 15)은 모두 편의점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ing
4개의 진열장(12, 13, 14, 15)은, 각각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정해진다.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설정온도는 10℃, 제 2 냉장 진열장(13)의 설정온도는 5℃, 제 3 냉장 진열장(14)의 설정온도는 2℃, 냉동 진열장(15)의 설정온도는 -20℃로 정해진다.The four showcases 12, 13, 14, and 15 are each set in a storage temperature. The set temperature of the first
실외유닛(11)에는 실외회로(28)가, 제 1 냉장 진열장(12)에는 제 1 냉장회로(25)가, 제 2 냉장 진열장(13)에는 제 2 냉장회로(35)가, 제 3 냉장 진열장(14)에는 제 3 냉장회로(45)가, 냉동 진열장(15)에는 냉동회로(55)가, 부스터유닛(16) 에는 부스터회로(65)가 각각 배치된다.The
부스터회로(65)에는 부스터압축기(46)가 설치된다. 냉동회로(55)와 부스터회로(65)는 직렬로 접속된다. 냉동회로(55)의 입구(53)에서 부스터회로(65) 출구(54)까지는, 2단압축 쪽 회로(47)를 구성한다.The
냉동장치(30)에서는, 이들 냉장회로(25, 35, 45) 및 2단압축 쪽 회로(47)가 실외회로(28)에 대해, 액측 연결배관(18)과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해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냉매회로(20)가 구성된다.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은 1단압축 쪽 이용유닛을 구성하며, 냉동 진열장(15)은 2단압축 쪽 이용유닛을 구성한다.In the refrigerating
실외회로(28)에는, 압축기(29)와 실외 열교환기(17)가 설치된다. 압축기(29)는 전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스크롤 압축기이다. 이 압축기(29)에서는,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 실외 열교환기(17)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며, 열원측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이 실외 열교환기(17)에서는 냉매와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외유닛(11)에서는, 압축기(29) 입구의 냉매압력이 실외유닛(11) 입구(61)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으며, 실외 열교환기(17) 출구의 냉매압력이 실외유닛(11) 출구(71)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In the
상기 각 냉장회로(25, 35, 45)에는, 그 액측 끝부터 가스측 끝을 향하여 차례로 냉장팽창밸브(22, 32, 42)와 냉장열교환기(21, 31, 41)가 배치된다. 냉장열교환기(21, 31, 41)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로서, 냉각열교환기를 구성하며,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를 냉각한다. 이들 냉장열교환기(21, 31, 41)에서는 각각, 냉매와 저장고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 이 이루어진다. 한편, 냉장팽창밸브(22, 32, 42)는 전자 팽창밸브로 구성된다.In each of the refrigerating
제 1 냉장 진열장(12)에서는, 냉장팽창밸브(22) 입구의 냉매압력이 제 1 냉장 진열장(12) 입구(23)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으며, 냉장열교환기(21) 출구의 냉매압력이 제 1 냉장 진열장(12) 출구(24)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 또, 제 2 냉장 진열장(13)에서는, 냉장팽창밸브(32) 입구의 냉매압력이 제 2 냉장 진열장(13) 입구(33)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으며, 냉장열교환기(31) 출구의 냉매압력이 제 2 냉장 진열장(13) 출구(34)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 또, 제 3 냉장 진열장(14)에서는, 냉장팽창밸브(42) 입구의 냉매압력이 제 3 냉장 진열장(14) 입구(43)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으며, 냉장열교환기(41) 출구의 냉매압력이 제 3 냉장 진열장(14) 출구(44)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In the first refrigerating
냉동회로(55)에는, 그 액측 끝부터 가스측 끝을 향하여 차례로 냉동팽창밸브(52)와 냉동열교환기(51)가 배치된다. 냉동열교환기(51)는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형 열교환기로서, 냉각열교환기를 구성하며,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를 냉각한다. 이 냉동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와 저장고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냉동팽창밸브(52)는 전자 팽창밸브로 구성된다.In the refrigerating
부스터유닛(16)의 부스터압축기(46)는 전밀폐형이며 고압 돔형의 스크롤 압축기이고, 그 입구가 냉동회로(55)의 냉동열교환기(51) 출구에 접속된다. 이 부스터압축기(46)는 냉동열교환기(51)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The
냉동 진열장(15)의 입구(53)에서 부스터유닛(16) 출구(54)에 이르는 2단압축 쪽 회로(47)에서는, 냉동팽창밸브(52) 입구의 냉매압력이 2단압축 쪽 회로(47) 입구(53)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으며, 부스터압축기(46) 토출구의 냉매압력이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의 냉매압력과 대략 같다.In the two-stage compression-
액측 연결배관(18)은, 연결배관이 2개로 분기되는 분기점(72, 73, 74)이 3개 구성되며, 분기된 연결배관이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입구(23, 33, 43, 53)에 접속된다. 여기서, 각 분기점을 실외유닛(11)에 가까운 쪽부터 제 1 분기점(72), 제 2 분기점(73), 제 3 분기점(74)으로 한다.The liquid
액측 연결배관(18)은, 실외유닛(11)의 출구(71)에서 제 1 분기점(72)까지의 본배관(1), 제 1 분기점(72)에서 제 2 분기점(73)까지의 제 1 접속배관(2a), 제 2 분기점(73)에서 제 3 분기점(74)까지의 제 2 접속배관(2b), 제 1 분기점(72)에서 2단압축 쪽 회로(47) 입구(53)까지의 제 1 분기배관(3a), 제 2 분기점(73)에서 제 3 냉장 진열장(14) 입구(43)까지의 제 2 분기배관(3b), 제 3 분기점(74)에서 제 2 냉장 진열장(13) 입구(33)까지의 제 3 분기배관(3c), 및 제 3 분기점(74)에서 제 1 냉장 진열장(12) 입구(23)까지의 제 4 분기배관(3d)으로 구성된다. 즉, 실외유닛(11) 출구(71)로부터의 송출측 연결배관인 액측 연결배관(18)에서는,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상류에 접속되며,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 중에서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이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The liquid
가스측 연결배관(19)에는, 2개의 연결배관이 합류하는 합류점(65, 66, 67)이 3개 구성되며, 합류한 연결배관이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24, 34, 44, 54)에 접속된다. 여기서, 각 합류점을 실외유닛(11)에 가까운 쪽부터 제 1 합류점(65), 제 2 합류점(66), 제 3 합류점(67)으로 한다.The gas
가스측 연결배관(19)은, 제 1 합류점(65)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주 배관(4), 제 1 합류점(65)에서 제 2 합류점(66)까지의 제 3 접속배관(5a), 제 2 합류점(66)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4 접속배관(5b),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1 합류배관(6a), 제 3 냉장 진열장(14) 출구(44)에서 제 1 합류점(65)까지의 제 2 합류배관(6b), 제 2 냉장 진열장(13) 출구(34)에서 제 2 합류점(66)까지의 제 3 합류배관(6c), 및 제 1 냉장 진열장(12) 출구(24)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4 합류배관(6d)으로 구성된다. 즉, 실외유닛(11)의 입구(61)로 향하는 회송측 연결배관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는,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상류에 접속되며,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 중에서는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이 가장 하류쪽에 접속된다.The gas
여기서,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출구(2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를 L1로 한다. 이 길이(L1)는, 주 배관(4)과 제 3 접속배관(5a)과 제 4 접속배관(5b)과 제 4 합류배관(6d)과의 길이 합계이다. 제 2 냉장 진열장(13)의 출구(3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를 L2로 한다. 이 길이(L2)는, 주 배관(4)과 제 3 접속배관(5a)과 제 3 합류배관(6c)과의 길이 합계이다. 제 3 냉장 진열장(14)의 출구(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를 L3으로 한다. 이 길이(L3)는, 주 배관(4)과 제 2 합류배관(6b)과의 길이 합계이다.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 의 연결배관 길이를 L4로 한다. 이 길이(L4)는, 주 배관(4)과 제 3 접속배관(5a)과 제 4 접속배관(5b)과 제 1 합류배관(6a)과의 길이 합계이다.Her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ipe from the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24, 34, 44, 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짧은 순으로, L3, L2, L1, L4로 구성된다. 즉,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의 길이는,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짧게 구성된다. 또,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19) 중 어느 것보다 길게 구성된다.The lengths of the connecting pipes from the
이 냉매회로(20)에서는,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 각 부분(4∼6)의 관 지름이, 각 부분의 냉매 유량(流量)에 따라 정해진다. 이로써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어느 연결배관에서도 단위 길이 당의 값이 거의 동등하다. 그 결과,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의 길이가 짧을수록 작아지며,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진다. 또,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 중의 어느 것보다 크다.In this
-운전동작-Operation operation
본 실시형태의 냉동장치(30)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냉동장치(30)에서는, 실외유닛(11)과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며,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냉각열교환기(21, 31, 41)를 증발기로 하여 1단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되고, 또, 실외유닛(11)과 2단압축 쪽 회로(47)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며, 냉동 진열장(15)의 냉각열교환기(51)를 증발기로 하여 2단압축 냉동주기가 실행된다.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실외유닛(11)의 압축기(29)를 운전하면, 이 압축기(29)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회로(28)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7)로 유입한다. 실외 열교환기(17)에서는 냉매가 실외공기에 방열하여 응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7)에서 응축한 냉매는, 실외유닛(11)을 나와, 액측 연결배관(18)을 구성하는 주 배관(1)으로 유입한다. 그리고 주 배관(1)으로 유입한 냉매는, 각 분기점(72, 73, 74)으로부터 각 냉장회로(25, 35, 45) 및 냉동회로(55)로 유입한다.When the
각 냉장회로(25, 35, 45)로 유입한 냉매는, 각 냉장팽창밸브(22, 32, 42)에서 감압된 후, 각 냉장열교환기(21, 31, 41)로 도입된다. 각 냉장열교환기(21, 31, 41)에서는 냉매가 저장고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제 1 냉장 진열장(12)에서는, 냉장열교환기(21)에서 냉각된 저장고 공기가 저장고로 공급되며, 저장고 온도가 대략 설정온도(10℃)로 유지된다. 제 2 냉장 진열장(13)에서는, 냉장열교환기(31)에서 냉각된 저장고 공기가 저장고로 공급되며, 저장고 온도가 대략 설정온도(5℃)로 유지된다. 제 3 냉장 진열장(14)에서는, 냉장열교환기(41)에서 냉각된 저장고 공기가 저장고로 공급되며, 저장고 온도가 대략 설정온도(2℃)로 유지된다. 각 냉장열교환기(21, 31, 41)에서 증발한 냉매는 제 2부터 제 4의 각 합류배관(6b, 6c, 6d)으로 유입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each refrigeration circuit (25, 35, 45) is depressurized by each refrigeration expansion valve (22, 32, 42), and then introduced into each refrigeration heat exchanger (21, 31, 41). In each refrigeration heat exchanger (21, 31, 41), the refrigerant absorbs heat from the reservoir air and evaporates. In the first refrigerating
냉동회로(55)로 유입된 냉매는, 냉동팽창밸브(52)에서 감압된 후, 냉동열교환기(51)로 도입된다. 냉동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가 저장고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증발한다. 냉동 진열장(15)에서는 냉동열교환기(51)에서 냉각된 저장고 공기가 저장고로 공급되며, 저장고 온도가 대략 설정온도(-20℃)로 유지된다. 냉동열교환기(51)에서 증발된 냉매는, 냉동회로(55)로부터 부스터회로(65)로 유입한다. 부스터회로(65)로 유입한 냉매는 부스터압축기(46)로 흡입되며, 이 부스터압축기(46)에서 압축되어 토출된다. 부스터압축기(46)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합류배관(6a)으로 유입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제 3 냉장 진열장(14)으로부터의 연결배관에 의한 값이 가장 작으며, 그 다음으로 제 2 냉장 진열장(13),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순으로 된다. 따라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는, 제 3 냉장 진열장(14), 제 2 냉장 진열장(13),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순으로 낮게 설정되므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에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유지된다.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by the return
또, 냉동 진열장(15)은 냉매의 증발온도가 냉장 진열장(12, 13, 14)에 비해 낮게 설정되지만, 냉동 진열장(15)으로부터의 냉매를 2단압축 쪽 회로(47) 출 구(54)에 이르기 전에 부스터압축기(46)에서 압축시켜 냉매압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증발온도 및 증발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일없이, 냉동 진열장(15)에서 높은 냉각능력을 발휘시켜 저장고의 냉각을 행할 수 있다.In the freezing
각 합류배관(6a, 6b, 6c, 6d)으로 유입한 냉매는, 각 합류점(65, 66, 67)에서 합류하며, 주 배관(4)을 유통하여 실외회로(28)로 유입한다. 실외회로(28)로 유입한 냉매는 압축기(29)로 흡입되며, 이 압축기(29)에서 압축되어 다시 토출된다. 냉매회로(20)에서는, 이와 같은 냉매의 순환이 반복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제 1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19)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진다. 이로써,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냉각열교환기(21, 31, 41)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각각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온도가 되도록,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by the return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다른 제 1 및 제 2 냉장 진열장(12, 13)에 비해 높은 냉각능력이 필요한,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은,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는 냉매가 실외유닛(11)으로 회송되기 쉬운 상태로, 송출측인 액측 연결배관(18)에서는 실외유닛(11)으로부터의 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되며, 다른 제 1 및 제 2 냉장 진열장(12, 13)에 비해 다량의 냉매가 유통하기 쉽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 3 냉장 진열장(14)은, 저장고 내를 소정의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냉동 진열장(15)에 있어서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를 냉장 진열장(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해도, 냉동 진열장(15)으로부터의 냉매를,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54)에 이르기 전에 부스터압축기(46)에서 압축시켜 냉매압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증발온도 및 증발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일없이, 냉동 진열장(15)은 냉장 진열장(12, 13, 14)에 비해 높은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1st Embodiment, even if the evaporation pressure and evaporation temperature of a refrigerant | coolant in the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냉매의 증발압력 및 증발온도가 냉장 진열장(12, 13, 14)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 냉동 진열장(15)이, 송출측인 액측 연결배관(18)에서 냉매가 유입하기 쉬운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냉동 진열장(15)에는 다량의 액냉매가 유입하기 쉬우므로, 저장고 내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는데 충분한 냉각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Modification Example 1 of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장 진열장(12) 및 제 2 냉장 진열장(13)의 설정온도와, 제 4 접속배관(5b) 및 제 4 합류배관(6d)의 굵기(안지름)를 변경한 것이다.Modification Example 1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is modified example 1 is the set temperature of the 1st
이 변형예 1에서는,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설정온도는 5℃, 제 2 냉장 진열장(13)의 설정온도는 10℃로 정해진다. 또, 제 4 접속배관(5b) 및 제 4 합류배관(6d)은, 이 제 4 접속배관(5b) 및 제 4 합류배관(6d)에 의한 냉매 압력손실의 합 계가 제 3 합류배관(6c)에 의한 값보다 작아지도록 굵기가 정해진다. 이로써 제 1 냉장 진열장(12)의 출구(2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제 2 냉장 진열장(13)의 출구(3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 값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연결배관(19)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In this modified example 1, the set temperature of the 1st
본 변형예 1에 의하면,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회송측 연결배관(19) 길이는, 이 연결배관(19)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짧게 구성되지 않으나, 이 연결배관(19)의 굵기를 조절함으로써,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이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이, 이 연결배관(19)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외유닛(11)이나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배치에 관계없이,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을 조정하면,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냉각열교환기(21, 31, 41)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각각의 저장고 내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온도가 되도록,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 을 효율적으로 행하기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Modification example 2 of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 2의 냉동장치(30) 개략 구성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냉동장치(30)는,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냉동 진열장(15)과 부스터유닛(16)이 구성되지 않는다.Modification 2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구체적으로, 이 변형예 2의 냉동장치(30)는, 실외유닛(11)과,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외유닛(11) 출구(71)로부터의 송출측 연결배관인 액측 연결배관(18)에서는,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이 가장 상류쪽에 접속된다. 또, 실외유닛(11)의 입구(61)로 향하는 회송측 연결배관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는,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이 가장 하류쪽에 접속된다.Specifically, the refrigerating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장치(30)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냉동장치(30)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하류에 접속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가스측 연결배관(19)은, 제 1 합류점(65)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주 배관(4), 제 1 합류점(65)에서 제 2 합류점(66)까지의 제 3 접속배관(5a), 제 2 합류점(66)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4 접속배관(5b),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에서 제 1 합류점(65)까지의 제 1 합류배관(6a), 제 3 냉장 진열장(14) 출구(44)에서 제 2 합류점(66)까지의 제 2 합류배관(6b), 제 2 냉장 진열장(13) 출구(34)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3 합류배관(6c), 및 제 1 냉장 진열장(12) 출구(24)에서 제 3 합류점(67)까지의 제 4 합류배관(6d)으로 구성된다. 즉, 실외유닛(11)의 입구(61)로 향하는 회송측 연결배관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는, 2단압축 쪽 회로(47)가 가장 하류에 접속되며, 3개의 냉장 진열장(12, 13, 14) 중,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제 3 냉장 진열장(14)이 가장 하류쪽에 접속된다.The gas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짧게 구성된다. 또,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 길이는,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 연결배관(19) 중의 어느 것보다 짧다.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iping from the
이 냉매회로(20)에서는,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있어서, 각 부분(4∼6)의 관 지름이, 각 부분의 냉매 유량에 따라 정해진다. 이로써,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어느 연결배관에서도 단위 길이 당의 값이 거의 동등해진다. 그 결과,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의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의 길이가 짧을수록 작아지며,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진다. 또,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 압력손실의 어느 것보다 작아진다.In this
-제 2 실시형태의 효과-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이 연결배관이 접속되는 냉장 진열장(12, 13, 14)의 설정온도가 낮을수록 작아진다. 이로써,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냉각열교환기(21, 31, 41)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를, 각각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에 대해 적정온도가 되도록,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가 낮은 순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에 의한 저장고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turn-side connecting pipe from the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24, 34, 44, 5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에 이르는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냉동 진열장(15)에 접속되는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 의한 값이 최소가 되므로, 상기 냉장 진열장(12, 13, 14) 및 2단압축 쪽 회로(47)의 출구(24, 34, 44, 54) 중, 2단압축 쪽 회로(47) 출구(54)의 냉매압력이 가장 낮아진다. 이로써, 냉동 진열장(15) 출구(54)의 냉매압력, 즉 부스터압축기(46)의 토출압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부스터압축기(46)의 출입구 압력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터압축기(46)에서의 소비전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송출측인 액측 연결배관(18)이나 회송측인 가스측 연결배관(19)에서, 냉동 진열장(15)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가장 상류나 가장 하류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냉장 진열장(12, 13, 14)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liquid
또,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냉장 진열장(12, 13, 14)끼리의 저장고 내의 설정온도는 동일해도 된다. 이 때, 상기 각 냉장 진열장(12, 13, 14) 출구(24, 34, 44)에서 실외유닛(11) 입구(61)까지의 회송측 연결배관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은, 거의 동등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bout the said embodiment, the set temperature in the storage cabinet of the refrigerated showcases 12, 13, and 14 may be the same. At this time,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caused by the return-side connection pipe from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냉장 진열장은 냉매회로(20)에 4대 이상 설치해도 되며, 실외유닛(11)에 대해 4대 이상 병렬로 접속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four or more refrigerated showcases may be provided in the
또,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냉매회로(20)에 공조유닛을 설치해도 된다. 이 때, 공조유닛은, 실외유닛(11)에 대해 액측 연결배관(18)과 가스측 연결배관(19)이 다른 연결배관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an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여기에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bove embodiments are essentially preferred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thereof, or the scope of use there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원유닛에 복수의 이용유닛이 병렬로 접속된 냉동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a refrigera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us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heat source unit.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381015 | 2004-12-28 | ||
JPJP-P-2004-00381015 | 2004-12-28 | ||
JP2005303502A JP3894222B2 (en) | 2004-12-28 | 2005-10-18 | Refrigeration equipment |
JPJP-P-2005-00303502 | 2005-10-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7124A true KR20070087124A (en) | 2007-08-27 |
KR100865842B1 KR100865842B1 (en) | 2008-10-29 |
Family
ID=3661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6300A KR100865842B1 (en) | 2004-12-28 | 2005-12-22 | Refriger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110199A1 (en) |
EP (1) | EP1835241A4 (en) |
JP (1) | JP3894222B2 (en) |
KR (1) | KR100865842B1 (en) |
CN (1) | CN101076696B (en) |
AU (1) | AU2005320723A1 (en) |
TW (1) | TWI274132B (en) |
WO (1) | WO200607068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0272B1 (en) * | 2018-05-15 | 2018-09-19 | 주식회사 이수에어텍 | Gas Engine Driven Heat Pump Apparatus having Multiple Function of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reezing |
CN110878995A (en) * | 2019-12-10 | 2020-03-1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Showcase refrig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7632363B2 (en) | 2022-03-22 | 2025-02-19 | 株式会社デンソー | Heat Exchang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5296B2 (en) * | 1998-12-25 | 2000-09-0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EP1162413B1 (en) * | 1999-03-02 | 2007-01-03 | Daikin Industries, Ltd. | Refrigerating device |
EP1162412A4 (en) * | 1999-03-02 | 2003-03-12 | Daikin Ind Ltd | REFRIGERATION DEVICE |
JP2003172553A (en) * | 2001-12-06 | 2003-06-20 | Denso Corp | Refrigerating cycle device and vehicular air-conditioner |
JP2003207220A (en) * | 2002-01-11 | 2003-07-25 | Sanyo Electric Co Ltd | Cooling device |
JP2003314909A (en) * | 2002-04-22 | 2003-11-06 | Daikin Ind Ltd | Refrigeration equipment |
DE10260350B4 (en) * | 2002-07-04 | 2015-11-26 | Lg Electronics Inc. | A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dual evaporator cooling system |
JP3775358B2 (en) * | 2002-07-12 | 2006-05-1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Refrigeration equipment |
US7010936B2 (en) * | 2002-09-24 | 2006-03-14 | Rin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y efficient compact vapor compression cooling |
-
2005
- 2005-10-18 JP JP2005303502A patent/JP389422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2 CN CN2005800424436A patent/CN10107669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2 AU AU2005320723A patent/AU20053207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12-22 US US11/794,319 patent/US200801101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12-22 KR KR1020077016300A patent/KR1008658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2-22 EP EP05819439A patent/EP183524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5-12-22 WO PCT/JP2005/023585 patent/WO200607068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12-28 TW TW094147040A patent/TWI274132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35241A1 (en) | 2007-09-19 |
AU2005320723A1 (en) | 2006-07-06 |
JP3894222B2 (en) | 2007-03-14 |
KR100865842B1 (en) | 2008-10-29 |
JP2006207991A (en) | 2006-08-10 |
WO2006070684A1 (en) | 2006-07-06 |
TWI274132B (en) | 2007-02-21 |
EP1835241A4 (en) | 2013-03-06 |
CN101076696A (en) | 2007-11-21 |
US20080110199A1 (en) | 2008-05-15 |
TW200624738A (en) | 2006-07-16 |
CN101076696B (en) | 201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4310B1 (en) | Refrigeration device | |
CN100373112C (en) | Freezer | |
EP1848934B1 (en) | Refrigeration circuit with improved liquid/vapour receiver | |
US7331196B2 (en) |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 |
JP2007139225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CN102016457A (en) | Refrigeration device | |
US11402134B2 (en) | Outdoor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764734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CN101198831A (en) | freezer | |
JP6253370B2 (en) |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
JP3998035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KR100865842B1 (en) | Refrigerating apparatus | |
JP2018040547A (en) | Refrigeration system and refrigerator | |
JP2021032441A (en) | Refrigeration unit and intermediate unit | |
JP5764735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5764736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2006098044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7477431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7542579B2 (en) |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
KR20150000158A (en) | A combined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JP4454324B2 (en) | Booster unit | |
JP4798884B2 (en) | Refrigeration system | |
JP7229256B2 (en) | Freezer and heat source side unit | |
JP2016014490A (en) | Refrigeration system | |
JP5938727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