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85802A -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고정 키트 - Google Patents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고정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802A
KR20070085802A KR1020077012727A KR20077012727A KR20070085802A KR 20070085802 A KR20070085802 A KR 20070085802A KR 1020077012727 A KR1020077012727 A KR 1020077012727A KR 20077012727 A KR20077012727 A KR 20077012727A KR 20070085802 A KR20070085802 A KR 20070085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element
armature
strip
li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438B1 (ko
Inventor
로렘 요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이조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이조베르 filed Critical 쌩-고벵 이조베르
Publication of KR2007008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1)을 라이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닝(1) 지지 요소(6)는 공간 요소(5) 위에 위치되고, 그러한 두 요소들은 서로 맞물려진다. 계속해서, 지지 요소(6)의 위치는 공간 요소(5) 위의 병진 운동에서 같이 움직이면서 조정되고, 상기 이동은 지지 요소(6)를 회전시킴으로써 막거나 막히지 않게 하는데, 이는 견고하게 연결되는 단일 레버(64)와, 최종 블로킹 위치에서, 라이닝(8)을 향한 굵은 쪽 끝(butt)을 사용하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지는 벽 라이닝(1) 및 결합된 고정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 고정 키트{WALL LINING METHOD, WALL LINING THUS OBTAINED AND ASSOCIATED FIXING KIT}
본 발명은 균일하게 매끄러운 외형뿐만 아니라 단열 또는 방음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빌딩 내부의 수직 벽의 라이닝(lining)에 관한 것이다. 벽은 2.40 내지 6 m 범위의 높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받침돌, 벽돌 또는 돌담, 또는 대안적으로 수직의 올곧은 목재를 구성하는 목재 골격을 갖는 칸막이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유럽특허공보 제 718,451 A1호 및 제 727,546 A1호는 단열될 벽에 고정된 나사형 로드(threaded rods)와, 광물면 매트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기재하는데, 광물면 매트는 나사형 로드 사이 또는 그 위에 고정되고 그 후 테핑형(tapped) 플레이트에 의해 나사형 로드에 고정된 금속 구획에 의해 벽을 향해 고정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매 회전의 절반의 회전마다 U-섹션의 리턴 플랜지와 맞물림이 가능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미 원래 위치의 섹션과 벽 사이의 거리가 정교하게 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프랑스특허공보 제 2,822,179호와 제 2,852,989호는 U-섹션의 고정과 잠김을 위한 핀이 회전하도록 장착되거나, 테핑형 플레이트 상에 죄어지는 상기 수단의 개 선을 기재한다.
섹션은 이들의 형태에 따라 C, I, L, U, W 또는 Z 섹션이라 불릴 수 있고, 또한 뼈대 스트립(furring strips)으로 불려 질 수 있다. 만일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 섹션은 pr-EN 14 195의 초안 기준에 따른다. 이들의 상단 및 하단은 각 또는 U 섹션에 삽입되고, 이것은 또한 스트링거(stringer)로 불리며, 바닥과 천정에 고정된다. 벽 라이닝은 석고판이 뼈대 스트립과 스트링거에 지탱되게 하고 이러한 뼈대 스트립에 끼워짐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뼈대 스트립은 종래에 수직으로 놓여지지만, 매우 드물게(Techical Note 9/03-759 the Centre Scientifique et Technique du Batiment의 참조), 수평으로 놓인 뼈대 스트립을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이들 두 경우는 전술한 벽 높이에 대한 것이다. 수직으로 장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뼈대 스트립은 1.30 m 내지 1.50 m 사이의 벽에 고정되며, 다시 앞서 말한 벽 높이와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질 표준 석고판 패널을 구비한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벽 라이닝의 유형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문제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 벽에 공간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
- 절연 및/또는 방음재를 공간 요소 사이 또는 그 위에 고정하는 단계,
- 각각의 공간 요소를 구비한 외장재를 지지하는 뼈대 스트립을 고정하는 요소를, 벽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면서 맞물리는 단계,
- 필요시, 이러한 평행 이동의 자유도를 벽에 수직인 축에 대해 유지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그고 나서, 역회전에 의해 이것을 푸는 단계,
- 이들의 평행 이동이 풀어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와 접촉한 뼈대 스트립을 가져오는 단계,
- 뼈대 스트립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 유지 요소의 평행 이동을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 라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평행 이동의 상기 잠금 또는 풀림은 유지 요소에 고정된 단일 레버(lever)에 의해 수행되고, 최종 잠금 위치에서 이러한 레버가 유지 요소에 의해 고정된 뼈대 스트립에 대향하여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특징 및 두께에 따라서, 단열 및/또는 방음은, 공간 요소로부터 탈착되는 경향이 있는 유지 요소 위에서 압력의 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개의 요소의 상대적 평행 이동을 잠근 다음에, 공간 요소로부터의 방출을 예방하기 위해, 뼈대 스트립이 유지 요소와 접하게 된 이후에만 평행 이동을 푸는 것을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뼈대 스트립의 한 측부에 위치된 단일 레버가 작동함으로써 중간 부분에서 뼈대 스트립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의 상단 및 하단의 위치는 일반적인 측정 방법에 따라 미리 고정된다. 레버는 유지 요소에 고정되고, 이를 스패너와 같은 보충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해준다.
공간 요소 상에서 유지 요소의 상대적 평형 이동이 잠겨진 위치는, 레버가 뼈대 스트립을 향해 중단되는 사실에 의해 쉽게 확인되고; 이러한 중단은 벽에 수직인 레버의 편평한 부분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벽은 2.40 내지 6 m의 범위의 높이로 수직이고, 각각의 뼈대 스트립은 수직으로 위치된다.
설치의 용이함에 대한 이점이 있는 특징에 따라, 단일 유지 요소는 각각의 뼈대 스트립과 관련된다. 단일 요소는 벽의 높이의 중간 반, 즉 총 높이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25%인 중간-높이에 고정된다. 그런 다음 이들의 단일 유지 요소의 평행 이동의 풀림 위치에서 뼈대 스트립의 곧음을 체크한 다음, 단일 레버를 작동함으로써 올바른 위치에서 뼈대 스트립을 고정시키는 것이 간단한 문제이다.
그러나 또한 뼈대 스트립의 길이, 벽의 높이, 벽의 구성 재료 및 이들의 불활동(inertia)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와 뼈대 스트립을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두 개의 유지 요소가 대략 1.30 m 떨어져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각각의 뼈대 스트립의 두 개의 단부는 미리 바닥 및 천정에 고정된 스트링거에 위치되고; 특히 각각의 뼈대 스트립은 벽에 대해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잠기기 위해 스트링거에 맞춰지고;
- 뼈대 스트립의 위치 조정은 단단한 직선 자(straightedge)를 사용하여 뼈대 스트립의 곧음을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러한 작업은 공간 요소에서 평행 이동에 대해 풀려진 유지 요소와 맞물리는 뼈대 스트립에, 단단한 직선 자에 의한 충분한 힘을 적용하는 것을 구성하고; 뼈대 스트립이 광물면의 압력 하에서 볼록면을 나타내는 경우, 단단한 직선 자는 하부 및 상부에 스트링거를 지탱할 때까지 뼈대 스트립에 적용되고, 평행 이동이 잠긴 후에 뼈대 스트립의 배열 또는 곧음이 마찬가지로 달성되고; 및
- 두 개의 인접한 뼈대 스트립 사이의 공간은, 120 ㎝ 너비의 패널로 이루어진 외장재에 대해 40 ㎝, 또는 바람직하게 60 ㎝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기재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벽 라이닝에 관한 것으로, 공간 요소는 나사산이 적어도 하나의 각도 단편(angular fraction)에서 챔퍼되는 나사형 로드를 포함하고, 뼈대 스트립의 유지 요소는 나사형 로드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테핑(tapping)을 포함하고 나사산의 챔퍼되지 않은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단편에서 보링되는데, 이는 나사형 로드의 나사형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이 테핑의 보링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을 향하는, 두 개의 요소가 나사형 로드의 축을 따라 서로 자유롭게 비교적 평행 이동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나사선의 챔퍼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은 테핑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을 향한다.
챔퍼된(champered) 및 보링된(bored)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기계 금속부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언급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각각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의 주형을 주입함으로써 생성된, 챔퍼된 형상 또는 공동을 가진 형상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도, 나사형 로드의 단부에 대향하는 뼈대 스트립의 유지 요소의 부분은 고체여서, 후자가 충격을 받는 경우, 이러한 단부가 뼈대 스트립 및 가능한 외장재에 구멍을 뚫는 것을 예방해준다.
벽 라이닝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단열 및/또는 방음재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이 10 내지 100 ㎏/㎥ 범위인 광물면 매트, 예를 들어 유리면 또는 석면이고;
- 뼈대 스트립은 0.2 내지 2 ㎝4 범위의 관성을 갖는 금속이거나, 이들의 구성 물질의 영계수(Young's modulus)와 이들의 단면도 탄성의 곱이 60 내지 600 N·㎡ 범위인 비-금속이고;
- 각 뼈대 스트립의 유지 요소는 주사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 폴리 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비닐 폴리클로라이드, 폴리아마이드, 그리고 스티렌 플라스틱, 홀로 또는 이들 중 다른 것들과 혼합, 필요하다면 충전물들과 함께(유리 섬유 또는 다른 물질의 형태로), 예를 들면, 그들의 기계적인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성하며;
- 나사형 로드는 커팅 펜치로 잘려질 수 있는 주입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고; 유지 요소에 대해 전술한 것과 같은 물질이 인용될 수 있으며;
- 외장재는 석고판 패널로 구성되고, 특히 NF P72-302 또는 ISO 6308 기준을 따른다. 그래서, 이러한 패널들은 회반죽과 물의 혼합물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어느 하나가 세로 가장자리 위에 접혀지고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카드의 두 시트 사이에서, 거품 형성제, 섬유 등과 같은 약품제가 더해질 수 있다. 12.5mm의 두께, 8.5 내지 12 kg/m2 범위의 단위 면적 당 중량, 1.20m 너비, 그리고 2.5 내지 3m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패널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벽 라이닝 고정 키트에 관한 것으로, 유지 요소와 유지 요소를 공간 요소로 고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간 요소를 포함하고, 유지 요소가 잠긴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그리고 차례로 역으로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고정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하기의 기재에 의해 예시되는데;
- 도 1은 전체적인 벽 라이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 도 2와 도 3은 상대적인 병진 운동의 위치에서 유지 요소와 공간 요소 및 이 병진 운동 각각의 잠금을 분해사시도.
- 도 4는 최종 조정의 위치에서 벽으로의 뼈대 스트립의 완벽한 연결을 보여주는 도.
도 1은 상기에서 언급된 특정 타입의 석고판 외장재 패널(3)에 의해 덮여진 광물면(2)의 패널을 포함하는 피복에 의해 형성되는 벽 라이닝(1)을 도시한다.
외장재 패널(3)은 설치와 공간 요소(5)와 유지 요소(6)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 프레임(4) 위의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라이닝 된 벽(1)은 지시된 벽돌 또는 받침돌(7)로 형성된다. 틀은 두 리턴 플랜지 또는 하부 스트링거(9)와 상부 스트링거(10) 사이에 수직적으로 위치된 뼈대 스트립(8)을 가지는 U 섹션으로 구성되고, 그들은 벽(1)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 으로 고정되고 유지된다.
뼈대 스트립(8)은 그들 사이에 60cm의 공간을 가지고, 벽으로부터의 거리가 사용된 단열 패널(2)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위치된다. 광물면 패널의 가능한 두께는 예를 들면, 65, 75, 85 또는 100mm 이다.
벽(1)의 높이는 2.50m이다. 전술한 뼈대 스트립(8)과 동일한 (그러나 다를 수도 있는) 뼈대 스트립(11)은 중간-높이에서 벽(1)에 수평적으로 고정된다. 공간 요소(5)는 이 뼈대 스트립(11)에 삽입되는데, 예를 들면, 가위질 또는 스냅-피팅(snap-fitting)에 의해, 60cm의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10 내지 100kg/m3범위의 단위 부피 당 중량를 갖는 광물면의 단열 패널(2)은 공간 요소(5) 위에 맞추어진다.
그리고 나서, 뼈대 스트립(8)을 위한 유지 요소(6)는 하기의 도 2 내지 도4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각 공간 요소(5)에 맞춰진다. 유지 요소(6)는 공간 요소(5) 위의 병진 운동에 관하여 잠가질 수 있어, 단열 패널(2)을 가볍게 압착한다.
뼈대 스트립(8)은 하부 스트링거(9)와 상부 스트링거(10)에 맞춰지고, 유지 요소(6)를 마주한다.
그 후, 두 작동은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 뼈대 스트립(8)은 유지 요소(6)와 접촉하게 하고, 그리고 그들은 예를 들면, 스냅-피팅에 의해 서로 맞물려 지고,
- 유지 요소(6)의 공간 요소(5)에 관한 병진 운동은 벽(1)에 직각을 이루는 축에 대해 공간 요소 위에 유지 요소가 회전함으로써 풀려진다. 이 작동은 오직 이 병진 운동이 사전에 잠겨졌을 때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지 공간 요소(5)만이 고정된다. 유지 요소(6)와 뼈대 스트립(8)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뼈대 스트립 위로 미끄러져 나간다. 이것이 도달했을 때, 유지 요소(6)는 전술한 회전의 반대 회전을 하게 되고, 이는 공간 요소(5)와 뼈대 스트립(8)에 관해서 맞물림이 계속 된다.
공간 요소(5), 유지 요소(6) 및 뼈대 스트립(8)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은 지금부터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공간 요소(5)는 커팅 집게로 잘려질 수 있는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는 폴리아마이드이다. 그래서, 이것의 길이는 단열 패널의 두께에 적용될 수 있다. 공간 요소(5)는 두 정반대로 나사형 각도 단편들(51), 및 상기 단편(51)과 상보적인 및 또한 정반대의 두 각도 단편들(52)을 가지는 로드(rod)를 포함하는데, 나사는 홈이 파져있다.
또한 두 홈(53)을 구비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단부를 포함하며, 뼈대 스트립(11)으로 이를 스냅-피트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도 1 참조.
유지 요소는 또한 인젝션에 의해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공간 요소(5)의 나사에 대응하는 태핑(tapping)을 포함한다. 태핑은 공간 요소(5)의 적어도 두 나사형 각도 단편(51)에 대응하는 두 각도 단편(61)에서 도려내어 진다. 태핑은 단평(61)과 상보적인 두 각도 단편(62)을 생성한다.
도 2에서 도시된 위치처럼, 공간 요소(5)의 나사형 각도 단편(51)이 유지 요소(6) 태핑의 도려내진 각도 단편(61)과 중심점이 맞춰질 때, 요소(5 및 6)는 나사의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병진운동을 한다.
반대로,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중복되었을때, 심지어는 부분적으로, 공간 요소(5)의 나사형 각도 단편(51)과 유지 요소(6)의 태핑된 각도 단편(62) 사이에서 중복 될 때, 이 자유 병진 운동은 잠가진다.
뼈대 스트립(8)을 이루는 U섹션의 두 리턴 플랜지는 스냅-피팅을 가지고 유지 요소(6)에 형성되는 홈(63)을 꿰뚫을 수 있다. 이 홈(63)은, 요소(5) 위에서의 잠금과 열림의 병진 운동을 위한 공간 요소(5)와 뼈대 스트립(8)에 관하여 유지 요소(6)의 모든 회전을 위해, 유지 요소(6)는 뼈대 스트립(8)과 맞물려 유지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유지 요소(6)는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는, 설치 위치에서 벽(1)에 직각을 이루며 돌출하고 레버(64)를 형성하는 신장을 포함한다.
레버(64)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또는 필요하다면 다른 손가락에 의해 작동을 쉽게 하도록 약간 둥글다. 레버(64)의 형태는 레버가 뼈대 스트립(8) (도 4 참조)을 향해 멈춰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공간 요소(5)의 병진 운동이 잠겨지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은 특히 사용하기에 간단하다. 뼈대 스트립(8)은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고; 상부 스트링거(10)와 하부 스트링거(9)의 단부와 유지요소(6)의 단부에 맞 춰지면, 여러 가지 이유로 일직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공간 요소(5) 위의 뼈대 스트립(8)과의 맞물림에서 유지 요소(6)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매우 쉽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최대 몇 초 내로, 유지 요소(6)가 고정되어야 하는 공간 요소(5) 위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법은 뼈대 스트립(8) 위에 눌려지는 굳은 직선자가 사용된다.
공간 요소(5)의 나사형 단부를 마주하는, 보여지지 않은 후자 요소(6)의 일부는 밀어 넣어지고, 이 나사형 단부가 뼈대 스트립, 그 후, 후자가 강력한 충돌을 당해야 한다면, 석고판 패널을 꿰뚫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고체이다
또한, 광물면(2)과 접촉하는 유지 요소(6)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오직 극도로 제한된 돌출부(projection)(65)만을 갖는다. 이것은 매우 유리한데, 특히 증기 장벽 표면 또는 다른 것을 구비한다면,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그리고 단열재 및/또는 방음재 효과를 위하여, 광물면(2)을 압착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공간 요소와 함께 다수의 고정 포인트가 사용된다면, 조정은 꼭 예전처럼 간단하다: 열린 위치에서 모든 유지 요소와 더불어, 곧음은 상기에서 기재된 것처럼 조정되고, 그리고 모든 지지 요소들은 약간 빠른 이동의 연속으로 레버를 흔들면서 성공적으로 잠겨진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균일하게 매끄러운 외형뿐만 아니라 단열 또는 방음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빌딩 내부의 수직 벽의 라이닝(lining)에 이용 된다.

Claims (14)

  1. 벽(1)을 라이닝하는 방법으로서,
    - 벽(1)에 공간 요소(5)를 고정하는 단계;
    - 단열재 및/또는 방음재(2)를 공간 요소(5)에 또는 사이에 맞추는 단계;
    - 벽(1)에 실질적으로 수직적인 방향에서의 병진운동에 의해, 각 공간 요소(5)와 외장재(3)를 지지하기 위한 뼈대 스트립(8)을 유지하기 위한 요소(6)를 맞물리는 단계,
    - 필요하다면, 벽(1)에 수직적인 축에 대해 유지 요소(6)를 회전시킴으로써, 그리고 나서, 그 반대 회전에 의해 그것을 잠금 해제하여 이 병진운동의 자유를 잠그는 단계.
    - 뼈대 스트립(8)을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6)와 접촉하게 하는 단계,
    뼈대 스트립(8)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 유지 요소(6)의 병진 운동을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병진 운동의 상기 잠금과 잠금 해제로 유지 요소(6)에 고정된 단일 레버(64)을 통해 실행되고, 최종 잠금 위치에서, 이 레버(64)는 유지 요소(6)에 의해 고정된 뼈대 스트립(8)을 향해 멈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벽(1)은 실질적으로 수직적이고, 2.40 내지 6m 범위의 높 이를 가지며, 각 뼈대 스트립(8)은 수직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 뼈대 스트립(8)은 단일 유지 요소(6)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뼈대 스트립(8)의 두 단부가 바닥(9)과 천정(10)에 미리 고정된 스트링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뼈대 스트립(8)의 위치의 조정은 뼈대 스트립(8)에 강성 직선자의 적용에 의해 그것의 직선성을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0cm 너비의 패널로 구성되는 외장재(3)를 위한, 두 이웃하는 뼈대 스트립(8) 사이의 공간이 40cm, 또는 바람직하게는 6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라이닝하는 방법.
  7. 제 1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벽 라이닝에 있어서,
    공간 요소(5)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단편(52)에서 나사선이 챔퍼된(chamfered) 나사형 로드를 포함하고, 뼈대 스트립(8)의 유지 요소(6)는 로드의 나사에 상응하는 태핑을 포함하며, 나사의 챔퍼되지 않은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5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단편(61)에서 보링되는데(bored), 이는 나사형 로드의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51)은 태핑의 보링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61)을 향할 때, 두 요소(5, 6)는 로드의 축을 따라 서로에 비해 자유롭게 병진 운동 하는 방식인, 나사의 챔퍼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52)은 태핑된 각도 단편 또는 단편들(62)을 향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8. 제 7항에 있어서, 나사형 로드의 단부와 마주보는 뼈대 스트립(8)의 유지 요소(6)의 일부가 고체이고, 이는 이 단부가 뼈대 스트립(8)을, 그리고 외장재가 충격을 받을 때, 가능하다면 외장재(3)를 뚫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단열재 및/또는 방음재(2)가 10 내지 100kg/m3 범위의 단위 부피 당 중량을 갖는 광물면 매트, 예를 들면, 유리솜 또는 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뼈대 스트립(8)이 금속성이고 0.2 내지 2cm4 범위의 관성을 갖거나;
    - 또는 뼈대 스트립(8)이 비금속성이고 이들 구성물질의 영률(Young's modulus)과 뼈대 스트립(8)의 단면의 관성의 곱이 60 내지 600N.m2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11. 제 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뼈대 스트립(8)의 유지 요소(6)는 주입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12. 제 7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형 로드가 커팅 펜치로 잘려질 수 있는 주입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장재(3)가 석고판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14. 벽 라이닝(1)을 위한 고정 키트로서, 유지 요소(6)와 공간요소(5)를 포함하고 공간요소(5)로 유지 요소(6)를 공간 요소(5)위로 잠그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 벽 라이닝을 위한 고정 키트에 있어서,
    유지 요소(6)가, 잠긴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까지 그리고 그 역으로 회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허용하는 단일 고정 레버(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라이닝.
KR1020077012727A 2004-12-06 2005-12-06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 고정 키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2876 2004-12-06
FR0452876A FR2878876B1 (fr) 2004-12-06 2004-12-06 Doublage de paroi a installation ergonomique
PCT/FR2005/051038 WO2006061538A1 (fr) 2004-12-06 2005-12-06 Procede de doublage de paroi, doublage de paroi obtenu par ce procede et kit de fixation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802A true KR20070085802A (ko) 2007-08-27
KR101268438B1 KR101268438B1 (ko) 2013-06-04

Family

ID=3495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438B1 (ko) 2004-12-06 2005-12-06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 고정 키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880066B1 (ko)
KR (1) KR101268438B1 (ko)
ES (1) ES2430828T3 (ko)
FR (1) FR2878876B1 (ko)
PL (1) PL1880066T3 (ko)
RU (1) RU2378465C2 (ko)
UA (1) UA90119C2 (ko)
WO (1) WO2006061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52B1 (ko) * 2012-11-02 2013-09-02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929B1 (fr) * 2007-12-28 2017-01-27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comportant des machoires de pincement d'une membrane isolante et dispositif de doublage de paroi comportant un tel accessoire
ITNA20080036A1 (it) * 2008-06-06 2009-12-07 Prebit S P A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un tetto portante ventilato preassemblato.
FR2950637B1 (fr) 2009-09-30 2011-09-09 Jean Christophe Valdebouze Paroi isolee a elements de maconnerie pre-perces
FR2970493B1 (fr) 2011-01-13 2013-02-08 Lr Etanco Atel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revetement isolant de batiment.
FR2970532B1 (fr) 2011-01-13 2014-05-02 Lr Etanco Atel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revetement isolant de batiment.
FR2970531B1 (fr) * 2011-01-13 2014-01-10 Lr Etanco Atel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revetement isolant de batiment.
FR2977601A1 (fr) 2011-07-07 2013-01-11 Saint Gobain Isover Paroi
FR2989134B1 (fr) * 2012-04-05 2014-12-26 Lr Etanco Atel Dispositif de fixation de panneaux a distance d'une structure.
FR3002256B1 (fr) * 2013-02-19 2015-03-13 Electricite De France Kit de fixation d'un doublage de paroi, adapte pour le maintien de panneaux piv et profile de support associe
FR3002255B1 (fr) * 2013-02-19 2015-08-21 Electricite De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doublage de paroi, adapte pour le maintien de panneaux piv et kit de fixation associe
FR3027326A1 (fr) 2014-10-16 2016-04-22 Knauf Insulation Dispositif d'entretoisement pour la fixation d'un profile de support d'une cloison de doublage d'une paroi a isoler
DE102015106286A1 (de) 2015-04-23 2016-10-27 Saint-Gobain Isover G+H Ag System für die Innendämmung von Gebäuden, insbesondere von Schrägdächern, sowie Montageverfahren für eine solche Innendämmung
DE102015106285A1 (de) 2015-04-23 2016-10-27 Saint-Gobain Isover G+H Ag System für die Innendämmung von Gebäuden, insbesondere von Schrägdächern, sowie Montageverfahren für eine solche Innendämmung
CN105507537B (zh) * 2015-07-03 2019-04-05 陆星但 自由装拆、大小自由组合的建筑装饰面板干挂结构
FR3045084B1 (fr) * 2015-12-14 2017-12-08 Inovame Structure de cloison
FR3046617B1 (fr) 2016-01-11 2018-01-19 Saint-Gobain Isover Systeme d'etancheite pour membrane
RU169020U1 (ru) * 2016-04-15 2017-03-01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Прохоров Пластмассовая насадка для крепёжного элемента типа саморез
RU2669689C2 (ru) * 2017-02-08 2018-10-12 Игорь Викторович Прохор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FR3082543B1 (fr) 2018-06-19 2021-02-12 Saint Gobain Isover Dispositif d'entretoisement pour la fixation d'un parement
IT201900019283A1 (it) * 2019-10-18 2021-04-18 Dakota Group S A S Di Zeno Cipriani & C Distanziale per isolante
FR3103204B1 (fr) 2019-11-18 2021-11-26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FR3110924B1 (fr) 2020-05-27 2022-07-22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FR3110923B1 (fr) 2020-05-27 2022-10-21 Saint Gobain Isover Accessoire d'entretoisement pour le doublage d'une paroi
FR3120101B1 (fr) 2021-02-24 2023-03-03 Zifort Dispositif de fixation de panneaux à distance d’une structure
FR3133221B1 (fr) 2022-03-04 2024-04-12 Mafigop Dispositif d’entretoisement pour la fixation d’une ossature de doublage de paroi
FR3140389B1 (fr) 2022-10-03 2024-11-15 Zifort Système d’étanchéité pour membrane réaliser une étanchéité au moins à l’air le long d’un mu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25830B (de) * 1973-04-16 1975-11-10 Fischer Artur Befestigungselement zur abstandsbefestigung von verkleidungselementen oder bauteilen an einer wand od. dgl.
SU775269A1 (ru) * 1978-12-04 1980-10-30 Управление П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Жилищно-Гражданского И Коммуналь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оспроект-1 Распорна закрепа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BR9505916A (pt) * 1994-12-23 1997-12-23 Saint Gobain Isover Sistema para montagem e fixação de um revestimento
FR2730515B1 (fr) * 1995-02-14 1997-04-04 Saint Gobain Isover Systeme de montage et de fixation de revetements notamment pour l'isolation thermique et/ou acoustique des batiments
KR200155748Y1 (ko) * 1996-12-13 1999-09-01 조정태 건축용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장치
FR2785312A1 (fr) * 1998-11-02 2000-05-05 Poliglas Sa Dispositif d'appui intermediaire vertical intervenant dans la realisation de doublages en plaques de parois verticales voire inclinees ou horizontales avec isolation incorporee en laine minerale
FR2809125B1 (fr) * 2000-05-19 2003-01-31 Placoplatre Lambert Dispositif de liaison a pince et tige filetee, pour fourrures appartenant a des ossatures differentes, et pince pour un tel dispositif
FR2822179B1 (fr) * 2001-03-14 2003-05-23 Saint Gobain Isover Element pour maintenir et regler la distance a une paroi d'un profile destine a recevoir un parement
FR2826390B1 (fr) * 2001-06-21 2003-10-03 Pflerdere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revetement isolant de batiment
FR2852989B1 (fr) * 2003-03-26 2005-05-06 Saint Gobain Isover Systeme de maintien et reglage rapide de la distance a une paroi d'un profile destine a l'appui d'un parement
KR200321381Y1 (ko) 2003-04-17 2003-07-31 이동희 벽판용 결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52B1 (ko) * 2012-11-02 2013-09-02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8876B1 (fr) 2007-02-09
ES2430828T3 (es) 2013-11-21
UA90119C2 (ru) 2010-04-12
EP1880066A1 (fr) 2008-01-23
PL1880066T3 (pl) 2013-12-31
KR101268438B1 (ko) 2013-06-04
RU2378465C2 (ru) 2010-01-10
WO2006061538A1 (fr) 2006-06-15
FR2878876A1 (fr) 2006-06-09
RU2007125462A (ru) 2009-01-20
EP1880066B1 (fr)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438B1 (ko) 벽 라이닝 방법, 이와 같이 획득된 벽 라이닝 및 관련된 고정 키트
TWI768065B (zh) 建築物的壁結構、安裝裝置以及板材的施工方法
CA2958987C (en) Building exterior insulation structure
EP2078121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CA2412130A1 (en) Insulated poured wall system
JPH10102641A (ja) 間仕切壁の壁体構造及び施工方法
JP6555737B2 (ja) 外断熱建物の施工方法
JPH0953285A (ja) 二重壁構造及び二重壁施工方法
JP7461128B2 (ja) パネルと留め具のセット
EP0088177B1 (en) An insulation panel and a vertical and horizontal tie means for use with the panel
RU223852U1 (ru) Углово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з гипсосодержащего материала
JPH055351A (ja) 建築用パネル
JP5204540B2 (ja) 断熱壁の施工構造
RU281373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ных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со встроенным усилительно-монтажным профилем
JPH01235764A (ja) 壁構造
JP3059518B2 (ja) 構築物の開口下部構造
JP2526111B2 (ja) 不燃性間仕切りパネル
JP4187349B2 (ja) 間仕切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204541B2 (ja) 断熱壁
JP3929682B2 (ja) レベル調整器具及び下地組工法、並びに、下地
JP2017082577A (ja) 内装壁装置、内装壁構造及び内装壁施工方法
JP3059509B2 (ja) 構築物の開口下部構造
JP3017292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RU59654U1 (ru) Термо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ая фасадная плита (варианты)
JPS5921412B2 (ja) 建築用板材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