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73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0735A KR20070080735A KR1020060012151A KR20060012151A KR20070080735A KR 20070080735 A KR20070080735 A KR 20070080735A KR 1020060012151 A KR1020060012151 A KR 1020060012151A KR 20060012151 A KR20060012151 A KR 20060012151A KR 20070080735 A KR20070080735 A KR 200700807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st
- sub
- mobile terminal
- block
- up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65)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기지국은 실시간 서비스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들을 소정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여, 각 그룹들에 대하여 소정 버스트 블록(Burst Block)을 할당하고,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는 과정과,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자신에게 상향링크 버스트가 할당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이 속한 그룹에 할당된 버스트 블록 내의 서브 버스트(Sub-Burst)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실시간 서비스는 자발적 그랜트 서비스(Unsolicited Grant Service), 실시간 폴링 서비스(Real-Time Polling Service) 및 확장 실시간 폴링 서비스(Extended Real-Time Polling Servic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실시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과정은,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서 서브 버스트를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TLV 인코딩은,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버스트 블록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 필드와, 해당 버스트 블록 그룹 내에서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 필드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해당 연결에 고정 크기로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듀레이션(Sub-Burst Duration) 필드와, 사용되는 코딩의 반복을 나타내는 반복 코딩 지시(Repetition Coding Indication) 필드와, 이동 단말기가 할당받은 서브 버스트로 데이터 전송시 사용할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을 나타내는 MCS 레벨(level) 또는 UIUC(Uplink Interval Usage Code) 필드를 포함하며, 하기와 같이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는 동일한 실시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에 하나의 버스트 블록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의 데이터 전송시 해당 버스트 블록을 지칭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은 이동 단말기에게 버스트 블록 내에서 할당되는 서브 버스트에 대한 식별자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듀레이션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슬롯 단위의 듀레이션(Duration)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미리 정의된 상기 MCS 레벨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상향링크 채널 디스크립트(UCD)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UIUC 값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MCS 레벨은 상기 TLV 인코딩에서 생략하고,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에 포함하여 전송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이동 단말기 자신에게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인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에게 주기적으로 고정적인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위해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기 기지국과 연결 설정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상기 버스트 블록을 할당하고,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서 서브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의 확장된 정보 엘리먼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Extended-2 UIUC 필드와, 해당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의 메시지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Length) 필드와,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된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를 나타내는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 필드와, 버스트 블록의 끝을 알려주는 블록 듀레이션(Block Duration) 필드와, 서브 버스트 비트맵(Sub-Burst bitmap)의 길이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길이(Length of Sub-Burst bitmap) 필드와, 동일한 블록 그룹 식별자를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어떤 이동 단말기에게 서브 버스트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Sub-Burst bitmap) 필드를 포함하며, 하기와 같이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듀레이션은, 버스트 블록의 위치 및 크기를 1D(Dimension) 또는 2D로 할당하고, 시스템 설정에 상응하여 생략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블록 듀레이션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슬롯 단위로 버스트 블록의 크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은,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된 버스트 블록 내의 서브 버스트에 대한 논리적 식별자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가 할당받은 서브 버스트로 데이터 전송시 사용하는 MCS 레벨은 생략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 내에서 마지막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들의 후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 내에서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과 함께 랜덤(random)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블록 그룹 식별자(Block Group ID) 및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을 할당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기지국은 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을 N으로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의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최상위 비트(MSB)로부터 N번째 비트를 할당하고,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N번째 비트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가 필요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해당 서브 버스트를 서브 버스트 오프셋 순서대로 할당하며, 서브 버스트 비트맵에서 상기 서브 버스트가 할당된 이동 단말기들의 해당 비트를 1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N번째 비트 확인 결과 해당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지국이 자신에게 해당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를 할당한 것으로 인지하는 과정과,해당 버스트 블록 내의 서브 버스트들 중 자신에게 할당된 서브 버스트를 상기 서브 버스트 비트맵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는 해당 비트 앞의 1인 비트를 카운트하는 과정과,상기 1인 비트의 카운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의 서브 버트스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일한 블록 버스트에 속하는 이동 단말기들은 동일한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일한 블록 버스트에 속하는 이동 단말기들은 동일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레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에 있어서,기지국은 상향링크 맵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추가하는 과정과,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정보의 추가가 완료되면, 해당 프레임에 스케줄링할 버스트 블록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결과 스케줄링할 버스트 블록이 존재하면, 상기 버스트 블록 내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 및 설정하는 과정과,상기 버스트 블록 내의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서브 버스트 할당의 필요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상기 해당 버스트 블록에 서브 버스트 할당이 필요한 경우, 해당 버스트 블록에 서브 버스트를 할당하는 과정과,상기 해당 버스트 블록에 서브 버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들의 오프셋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서브 버스트 할당 필요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상기 검사결과, 해당 이동 단말기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해당 버스트 블록에 서브 버스트를 할당하는 과정과,상기 검사결과, 이동 단말기들에 대해 더 이상 서브 버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정보는, 상향링크 버스트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들의 스케줄링을 위해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추가되는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UL-MAP IE)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버스트가 필요한 해당 이동 단말기에게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을 알리기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정보 추가 완료 판단은, 상향링크 버스트를 할당할 이동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상향링크 버스트를 할당할 이동 단말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정보 추가 완료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존재 확인 과정은, 해당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소정 그룹화된 이동 단말기들에게 할당된 버스트 블록 스케줄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한 정보 생성 및 설정 과정은, 버스트 블록 식별자(Burst Block ID), 이동 단말기들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 별로 서브 버스트 할당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인덱스 및 서브 버스트 할당 여부를 비트 형태로 나타내기 위한 서브 버스트 비트맵을 생성 및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할당 여부 체크 과정은,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이 N인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서브 버스트 할당 필요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해당 버스트 블록에 서브 버스트 할당 과정은,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서브 버스트 할당을 알리기 위해,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해당 서브 버스트 오프셋만큼 떨어진 해당 비트를 1로 설정하는 과정과,상기 해당 비트 설정 후, 다음 서브 버스트 오프셋에 대한 서브 버스트 할당 여부 파악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N으로 할당한 서브 버스트 오프셋 및 서브 버스트 비트맵 길이 증가에 따른 길이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 및 길이 파라미터 증가 후, 서브 버스트가 필요한 다음 서브 버스트 오프셋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오프셋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서브 버스트 할당 필요 여부 검사 과정은,서브 버스트 오프셋이 N인 이동 단말기의 서브 버스트 할당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브 버스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이 N+1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 최소한 서브 버스트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세팅하여 서브 버스트 비트맵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 업데이트 과정은,서브 버스트 오프셋이 N+1 이상인 이동 단말기들에 대해 서브 버스트를 할당할 필요가 없는 경우, 서브 버스트 비트맵 및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길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추가하는 과정은,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를 업데이트 하여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추가하는 과정과,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 추가 후, 다른 버스트 블록에 대한 스케줄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고, 상기 그룹에 하나의 버스트 블록을 할당하고,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한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를 생성하여 이를 상향링크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매 프레임마다 버스트 할당 정보를 통지하며, 상기 통지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포함하는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를 통해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버스트 할당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이동 단말기는 소정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맵(UL-MAP)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위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가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가 이동 단말기 자신을 위한 버스트 블록을 지시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가 자신을 위한 버스트 블록을 지시하면, 서브 버스트 할당여부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Sub-Burst bitmap)에서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을 위한 비트의 할당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판단결과 이동 단말기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과 매핑되는 비트가 존재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과 매핑되어 있는 비트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확인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과 매핑되어 있는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 이동 단말기를 위한 서브 버스트가 할당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이동 단말기는 해당 버스트 블록 내에서 해당 서브 버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상향링크로 상기 기지국의 설정에 상응하는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레벨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을 위한 정보는,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을 위한 버스트 블록인지 확인하는 과정은,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를 판별하여, 상기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가 이동 단말기 자신에게 할당된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을 위한 비트의 할당 여부 판단은,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 할당여부를 나타내는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 내의 상기 서브 버스트 비트맵에서 이동 단말기 자신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과 매핑되는 비트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버스트의 위치 판단은,상기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보다 작은 값의, 다른 이동 단말기의 서브 버스트 오프셋에 매핑되어 있는 비트 중에 1로 세팅되어 있는 비트의 개수를 카운트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전송 후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내에 또 다른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맵 메시지 내의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와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를 디코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실시간 서비스가 필요한 이동 단말기들을 소정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여, 각 그룹들에 대하여 소정 버스트 블록(Burst Block)을 할당하고, 상기 버스트 블록 내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는 기지국과,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상향링크 버스트가 할당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자신이 속한 그룹에 할당된 버스트 블록 내의 서브 버스트(Sub-Burst)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실시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버스트 블록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 필드와, 해당 버스트 블록 그룹 내에서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 버스트 오프셋(Sub-Burst Offset) 필드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해당 연결에 고정 크기로 사용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듀레이션(Sub-Burst Duration) 필드와, 사용되는 코딩의 반복을 나타내는 반복 코딩 지시(Repetition Coding Indication) 필드와, 이동 단말기가 할당받은 서브 버스트로 데이터 전송시 사용할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을 나타내는 MCS 레벨(level) 또는 UIUC(Uplink Interval Usage Code) 필드를 포함하는 TLV 인코딩을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포함하며, 하기와 같이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4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미리 정의된 상기 MCS 레벨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4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상향링크 채널 디스크립트(UCD)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UIUC 값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54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이동 단말기 자신에게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인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에게 주기적으로 고정적인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위해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Burst Block Allocation IE)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58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8항에 있어서,상기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는, 상향링크 맵 정보 엘리먼트의 확장된 정보 엘리먼트들을 구분하기 위한 Extended-2 UIUC 필드와, 해당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의 메시지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Length) 필드와, 이동 단말기 에게 할당된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를 나타내는 버스트 블록 그룹 식별자(Burst Block Group ID) 필드와, 버스트 블록의 끝을 알려주는 블록 듀레이션(Block Duration) 필드와, 서브 버스트 비트맵(Sub-Burst bitmap)의 길이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길이(Length of Sub-Burst bitmap) 필드와, 동일한 블록 그룹 식별자를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어떤 이동 단말기에게 서브 버스트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Sub-Burst bitmap) 필드를 포함하며, 하기와 같이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브 버스트 오프셋을 N으로 할당받은 이동 단말기에게 버스트 블록 할당 정보 엘리먼트의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최상위 비트(MSB)로부터 N번째 비트를 할당하고,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N번째 비트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은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가 필요한 해당 이동 단말기들에게 해당 서브 버스트를 서브 버스트 오프셋 순서대로 할당하며, 서브 버스트 비트맵에서 상기 서브 버스트가 할당된 이동 단말기들의 해당 비트를 1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브 버스트 비트맵의 N번째 비트 확인 결과 해당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지국이 자신에게 해당 버스트 블록 내에 서브 버스트를 할당한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버스트 블록 내의 서브 버스트들 중 자신에게 할당된 서브 버스트를 상기 서브 버스트 비트맵을 통해 확인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는 해당 비트 앞의 1인 비트를 카운트하고, 상기 1인 비트의 카운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자신의 서브 버트스의 위치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동일한 블록 버스트에 속하는 이동 단말기들은 동일한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동일한 블록 버스트에 속하는 이동 단말기들은 동일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레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2151A KR20070080735A (ko) | 2006-02-08 | 2006-02-08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US11/704,169 US20070206561A1 (en) | 2006-02-08 | 2007-02-08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2151A KR20070080735A (ko) | 2006-02-08 | 2006-02-08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0735A true KR20070080735A (ko) | 2007-08-13 |
Family
ID=3847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2151A Abandoned KR20070080735A (ko) | 2006-02-08 | 2006-02-08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06561A1 (ko) |
KR (1) | KR20070080735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57966A3 (en) * | 2007-10-30 | 2009-08-13 | Posdata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llaborate mim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0002180A3 (en) * | 2008-06-30 | 2010-04-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ocating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0120136A3 (ko) * | 2009-04-15 | 2011-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자원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WO2012150844A3 (en) * | 2011-05-05 | 201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WO2013154251A1 (ko) * | 2012-04-13 | 2013-10-17 | 한국과학기술원 | 그룹 기반 통신 기법을 이용한 기지국과 단말들 사이의 통신 방법 |
KR101426186B1 (ko) * | 2010-04-29 | 2014-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stid)할당 방법 및 장치 |
US8798087B2 (en) | 2007-12-03 | 2014-08-05 | Lg Electronics Inc. | Group scheduling method, method for selectively receiving information elements according to group schedul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US9532347B2 (en) | 2007-10-18 | 2016-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99024B2 (en) * | 2007-02-28 | 2011-03-01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VoIP calls in an IEEE 802.16 interface |
TWI360316B (en) * | 2007-04-05 | 2012-03-11 | Inst Information Industry | Relay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angible m |
EP2156582A4 (en) * | 2007-04-09 | 2011-09-21 | Lg Electronics Inc | PROVISION AND USE OF INFORMATION ABOUT VIDEO WITH REGARD TO TRANSPORT SITUATIONS |
US7787418B2 (en) * | 2007-06-08 | 2010-08-31 | Inte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VoIP calls for mobile subscriber stations |
US8265029B2 (en) * | 2007-06-15 | 2012-09-11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
US8130780B2 (en) | 2007-06-15 | 2012-03-0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with multiple regions |
US20080310359A1 (en) * | 2007-06-15 | 2008-12-18 | Mcbeath Sean Michael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
US8614985B2 (en) * | 2007-06-15 | 2013-12-24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group resource in a wireless SDMA system |
KR20080067316A (ko) * | 2007-06-21 | 2008-07-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 |
US20090010243A1 (en) * | 2007-07-03 | 2009-01-08 | Motorola, Inc. | EXTENDED REAL-TIME POLLING SERVICE (ertPS) SCHEDULING SERVICE |
US9544911B2 (en) * | 2007-08-10 | 2017-01-10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ommunications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US8717979B2 (en) * | 2007-10-25 | 2014-05-0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ultiplexing multiple unsolicited grant service (UGS) users onto a same radio resource |
JP5167761B2 (ja) * | 2007-10-26 | 2013-03-21 | 富士通株式会社 |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送信方法 |
KR101366285B1 (ko) * | 2007-11-20 | 2014-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받는 단말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
US8254942B2 (en) * | 2007-11-27 | 2012-08-28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US8244265B2 (en) | 2007-11-28 | 2012-08-14 | Motorola Mobility Llc | Techniques for aligning application output and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KR100914321B1 (ko) * | 2007-12-03 | 2009-08-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중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방법 |
US8532025B2 (en) * | 2008-02-01 | 2013-09-10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overhead reduction methods and systems using SUB-DL-UL-MAP and HARQ-MAP in mobile WiMAX |
US8259662B2 (en) * | 2008-02-19 | 2012-09-04 | Futurewei Technologies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persistent resources dynamicall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208433B2 (en) * | 2008-02-19 | 2012-06-26 | Broadcom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0977297B1 (ko) | 2008-03-11 | 2010-09-07 |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 상향링크 구간의 간섭 완화방법 및 장치 |
US8165096B2 (en) * | 2008-05-19 | 2012-04-2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of improved success rate for decoding downlink map and uplink map IES in mobile WIMAX mobile |
KR20090122862A (ko) * | 2008-05-26 | 2009-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프로파일 인덱스 전송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방법 |
JP5077080B2 (ja) * | 2008-06-02 | 2012-11-21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US8483041B2 (en) * | 2008-06-12 | 2013-07-0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sticky region allocation in OFDMA communication systems |
US8526390B2 (en) | 2008-06-12 | 2013-09-03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ticky region allocation in map-based communication systems |
KR100987458B1 (ko) | 2008-06-24 | 2010-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
KR101455781B1 (ko) * | 2008-06-30 | 2014-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ap 송수신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
KR20100008322A (ko) * | 2008-07-15 | 2010-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변 포맷의 메시지를 이용한 대역 요청 방법 |
KR101036482B1 (ko) | 2009-02-03 | 201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
US8310921B2 (en) | 2008-09-04 | 2012-11-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random access in a wireless system |
KR20100089728A (ko) | 2009-02-03 | 2010-08-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인 응답 전송 및 수신 방법 |
US8385308B2 (en) * | 2008-11-10 | 2013-02-26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extensible extended information element mapping |
KR101495292B1 (ko) * | 2008-11-28 | 2015-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저 대역 모뎀에서 재 양자화를 이용한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01772171B (zh) * | 2009-01-06 | 2015-07-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组资源分配方法 |
KR101216074B1 (ko) * | 2009-03-06 | 2012-1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대역폭요청프리엠블 시퀀스 선택방법 및 임의접속방법 |
WO2010117206A2 (ko) * | 2009-04-07 | 2010-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
KR101670745B1 (ko) * | 2009-04-07 | 2016-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
KR101638899B1 (ko) * | 2009-04-08 | 2016-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인 응답 전송 및 수신 방법 |
KR101645490B1 (ko) | 2009-05-07 | 2016-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
WO2010137847A2 (ko) * | 2009-05-25 | 2010-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를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1639620B1 (ko) * | 2009-05-29 | 2016-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의 스케쥴링 정보 공유 프로토콜 |
US8411610B2 (en) * | 2010-05-11 | 2013-04-02 | Sparkmotion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 unicast information within broadcasted information |
US8335157B2 (en) * | 2010-05-17 | 2012-12-18 | Cisco Technology, Inc. | Adaptive queue-management |
KR20110135571A (ko) * | 2010-06-11 | 2011-1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US9049748B2 (en) * | 2010-12-02 | 2015-06-0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radio access system that supports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
KR20140012645A (ko) * | 2011-01-25 | 2014-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전 리포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CN103718590A (zh) * | 2011-05-09 | 2014-04-09 | 英特尔公司 | 用于机器对机器装置管理的技术 |
EP2856807B1 (en) * | 2012-05-25 | 2016-07-0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 a radio access network to transi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tes |
WO2014109683A1 (en) * | 2013-01-10 | 2014-07-17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Over-the-air signaling for coordination of time-division duplexing |
US20150124786A1 (en) * | 2013-11-06 | 2015-05-07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coding scheme selection for response frames |
KR102626743B1 (ko) * | 2015-07-07 | 2024-01-19 | 소니그룹주식회사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07808B1 (en) * | 2000-03-17 | 2004-03-1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system for fast access to an uplink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US6891810B2 (en) * | 2001-01-19 | 2005-05-10 | Raze Technologies, Inc. | Wireless acces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ing multiple modulation formats in TDD frames according to subscriber service type |
US7177275B2 (en) * | 2002-07-26 | 2007-02-13 | Kenneth Stanwood |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systems that offer multiple classes of service |
KR101053610B1 (ko) * | 2004-06-25 | 2011-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fdm/ofdma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
US7693125B2 (en) * | 2004-12-27 | 2010-04-06 | Lg Electronics Inc. |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radio access system |
GB0501973D0 (en) * | 2005-01-31 | 2005-03-09 | Nokia Corp | A communication system |
US7586890B2 (en) * | 2005-05-19 | 2009-09-08 | Intel Corporation | Airlink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
US7623443B2 (en) * | 2005-07-26 | 2009-11-24 | Intel Corporation | Time spread multicarrier burst maps |
US20070047553A1 (en) * | 2005-08-25 | 2007-03-01 | Matusz Pawel O | Uplink scheduling in wireless networks |
US8295818B2 (en) * | 2005-09-15 | 2012-10-23 |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 Broadcasting in wireless systems |
US7746896B2 (en) * | 2005-11-04 | 2010-06-29 | Intel Corporation | Base station and method for allocating bandwidth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with reduced latency |
US7653087B2 (en) * | 2006-01-06 | 2010-01-26 | Fujitsu Limited | Methods of synchronizing subscriber stations to communications networks |
-
2006
- 2006-02-08 KR KR1020060012151A patent/KR20070080735A/ko not_active Abandoned
-
2007
- 2007-02-08 US US11/704,169 patent/US20070206561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32347B2 (en) | 2007-10-18 | 2016-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0924967B1 (ko) | 2007-10-30 | 2009-11-04 |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mimo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09057966A3 (en) * | 2007-10-30 | 2009-08-13 | Posdata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llaborate mimo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798087B2 (en) | 2007-12-03 | 2014-08-05 | Lg Electronics Inc. | Group scheduling method, method for selectively receiving information elements according to group schedul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1443620B1 (ko) * | 2007-12-03 | 2014-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그룹 스케줄링 방법, 그룹 스케줄링에 따른 정보요소의선택적 수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 |
WO2010002180A3 (en) * | 2008-06-30 | 2010-04-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ocating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305977B2 (en) | 2008-06-30 | 2012-11-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ocating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0120136A3 (ko) * | 2009-04-15 | 2011-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자원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US8730893B2 (en) | 2009-04-15 | 2014-05-20 | Lg Electronics Inc. | Group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KR101426186B1 (ko) * | 2010-04-29 | 2014-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stid)할당 방법 및 장치 |
US9037176B2 (en) | 2010-04-29 | 2015-05-1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evice identifiers (STID) in a wireless access system |
US9119176B2 (en) | 2011-05-05 | 2015-08-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WO2012150844A3 (en) * | 2011-05-05 | 201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US9629121B2 (en) | 2011-05-05 | 2017-04-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
WO2013154251A1 (ko) * | 2012-04-13 | 2013-10-17 | 한국과학기술원 | 그룹 기반 통신 기법을 이용한 기지국과 단말들 사이의 통신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206561A1 (en) | 2007-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8073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 |
KR101274900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 스케줄링 | |
KR10122541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스케줄링 | |
KR10089142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특수 송신의 표시 | |
KR100856248B1 (ko) | 아이피 망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에서 상향링크스케줄링 방법 | |
CN108029120B (zh) | 用于为低复杂度窄带终端指示对随机接入过程中的harq消息分配的资源的方法 | |
CN113348718A (zh) |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以及方法 | |
KR101366285B1 (ko) |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받는 단말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 |
JP2008533805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張リアルタイムポーリングサービスの上りリンク資源割り当て要請方法 | |
US2013011449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burst in wireless connection system | |
KR101019713B1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무선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 |
KR20090039520A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영역 할당방법 | |
TWI472250B (zh) | 傳輸資料的方法及主要站 | |
KR20080104518A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그룹 기반 상향링크 자원 요청 장치 및방법 | |
JP5430584B2 (ja) |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張リアルタイムポーリングサービスの再開要請装置及び方法 | |
US9026159B2 (en) | Method and devices for bandwidth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KR20090003086A (ko) | 신호 전송 방법,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상향링크 맵구성 방법 | |
US20110098071A1 (en) | Method for Releasing Resources Allocated by Persistent Scheduling | |
KR101393954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
KR20090039519A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영역 할당방법 | |
KR20090014792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 |
CN101039143B (zh) | 调整下行调制编码方式的方法 | |
JP2023519230A (ja) | 通信デバイ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 |
KR20070107449A (ko) | 이동 단말기 및 휴대인터넷망의 cqi채널을 이용한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
WO2018228455A1 (zh) | 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侧设备和通信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