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994A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9994A KR20070079994A KR1020060010986A KR20060010986A KR20070079994A KR 20070079994 A KR20070079994 A KR 20070079994A KR 1020060010986 A KR1020060010986 A KR 1020060010986A KR 20060010986 A KR20060010986 A KR 20060010986A KR 20070079994 A KR20070079994 A KR 20070079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portion
- pixel
- region
- electrode
- reflec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5—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translation of parts, e.g. by pushing or pu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세로줄 불량을 제거하기 위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이 개시된다.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소스 배선들이 형성된 표시 기판은 제1 화소부와 제2 화소부를 포함한다. 제1 화소부는 임의의 소스 배선과 n-1(n은 자연수)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투명전극 및 제1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1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제2 화소부는 소스 배선과 n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투명전극 및 제1 반사전극 보다 큰 제2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2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소스 배선을 공유하는 인접한 화소부들간의 투과 영역을 조절하여 상기 화소부들간의 휘도 편차를 제거함으로써 세로줄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display substrate for eliminating vertical line defects and 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The display substr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the plurality of source lines intersecting the gate lines are formed includes a first pixel portion and a second pixel portion. The first pixel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an arbitrary source line and an n-1 (n is a natural number) gate line, and includes a first pixel electrode including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first reflective electrode. do. The second pixel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source line and the n-th gate line,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reflective electrode larger than the first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Accordingly, vertical line defects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luminance variations between the pixel portions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region between adjacent pixel portions sharing the source wir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3a 내지 도 3c는 비교예의 표시 패널에 대한 휘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of the comparative exampl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표시 패널에 대한 휘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4A to 4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TFT1, TFT2 : 제1, 제2 스위칭 소자 TFT1, TFT2: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CST1, CST2 : 제1, 제2 스토리지 캐패시터CST1, CST2: first and second storage capacitors
P1, P2 : 제1, 제2 화소부 PE1, PE2 : 제1, 제2 화소전극P1, P2: first and second pixel portions PE1, PE2: first and second pixel electrodes
117, 127 : 제1, 제2 반사전극 118, 128 : 제1, 제2 투명전극117 and 127: first and second
R1, R2 : 제1, 제2 반사영역 T2, T2 : 제1, 제2 투과영역R1, R2: first and second reflection areas T2, T2: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areas
본 발명은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로줄 불량을 제거하기 위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ubstrate and 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substrate for removing vertical line defects and 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소스 배선들과 상기 소스 배선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배선들과 게이트 배선들에 의해 복수의 화소부들이 정의된다.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unit for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wirings and a plurality of gate wirings crossing the source wirings, and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are defined by the source wirings and the gate wirings.
최근 저소비전력의 고품위의 표시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반사광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소스 배선의 개수를 반감하기 위해 하나의 소스 배선을 공유하여 좌,우 화소부에 데이터전압을 인가하는 반감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reflection-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reflected light is used to realiz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high quality display with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in order to halve the number of source wires, one source wire is shared and left. The half-life structure for applying the data voltage to the right pixel portion is used.
상기와 같은 반감 구조에서는 소스 배선을 공유하는 인접한 화소부들간에는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커플링 캐패시턴스에 의해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접한 화소부들 간의 충전 전압 편차에 의해 전체 표시 패널 상에는 세로줄 형태의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In the half-half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ame voltage is applied between adjacent pixel portions sharing the source wiring, a voltage difference is generated due to the coupling capacitance. As described above, a flicker phenomenon in the form of a vertical line occurs on the entire display panel due to the variation in charging voltage between adjacent pixel parts.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줄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substrate for improving vertical line defec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panel including the display substrat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소스 배선들이 형성된 표시 기판은 제1 화소부와 제2 화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소부는 임의의 소스 배선과 n-1(n은 자연수)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투명전극 및 제1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1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화소부는 상기 소스 배선과 n번째 게이트 배선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투명전극 및 상기 제1 반사전극 보다 큰 제2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2 화소전극이 형성된다.A display substrate in which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source lines intersecting the gate lines are formed includes a first pixel portion and a second pixel portion. The first pixe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an arbitrary source line and an n−1 (n is a natural number) gate line. The first pixel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first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The second pixel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source line and the n-th gate line,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including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reflective electrode larger than the first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do.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액정층 및 대향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제1 반사영역과 제1 투과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 화소부와, 상기 제1 화소부와 소스 배선을 공유하며 제2 반사영역과 상기 제1 투과영역보다 큰 제2 투과영역으로 이루어진 제2 화소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과 결합되어 액정층을 수용하는 대향 기판을 포함한다.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ray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and an opposing substrate. The array substrate includes a first pixel portion including a first reflection region and a first transmission region, and a second transmission region sharing a source wiring with the first pixel portion and larger than the second reflection region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It includes a second pixel portion. It includes a counter substrate coupled to the array substrate to accommodate the liquid crystal layer.
이러한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에 의하면, 소스 배선을 공유하는 인접한 화소부들간의 투과 영역을 조절하여 상기 화소부들간의 휘도 편차를 제거함으로써 세로줄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play substrate and th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vertical line defects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luminance variations between the pixel portions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region between adjacent pixel portions sharing the source wirin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기판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2N개의 게이트 배선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M/2개의 소스 배선들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소스 배선들에 의해 정의된 N x M개의 화소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N, M은 자연수이다. 상기 표시 기판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며, 임의의 소스 배선(DLm)을 공유하는 제1 화소부(P1) 및 제2 화소부(P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2N gate lin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M / 2 source lin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re formed on the display substrate. N x M pixel portions defined by the wirings. Where N and M are natural numbers. The display substrate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first pixel portion P1 and a second pixel portion P2 that share an arbitrary source wiring DLm.
상기 제1 화소부(P1)는 제1 스위칭 소자(TFT1)와 제1 스토리지 캐패시터(CST1)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화소 전극(PE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게이트 배선(GLn-1)과 연결된 제1 게이트 전극(111)과, 소스 배선(DLm)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113)과,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연결된 제1 드레인 전극(114)을 포함한다. The first pixel portion P1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a first storage capacitor CST1, and a first pixel electrode PE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FT1 may include a
상기 제1 스토리지 캐패시터(CST1)는 제1 스토리지 전극(115)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115)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드레인 전극(114)에 의해 정의된다. The first storage capacitor CST1 is defined by a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은 제1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 영역(R1)을 정의하는 제1 반사전극(117)과, 제2 광을 투과하는 제1 투과 영역(T1)을 정의하는 제1 투명전극(1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광은 자연광이며, 제2 광은 백 라이트이다. The first pixel electrode PE1 defines a first
상기 제2 화소부(P2)는 상기 제1 화소부(P1)와 상기 소스 배선(DLm)을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화소부(P2)는 제2 스위칭 소자(TFT2)와 제2 스토리지 캐패시터(CST2)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화소 전 극(PE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게이트 배선(GLn)과 연결된 제2 게이트 전극(121)과, 상기 소스 배선(DLm)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123)과,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연결된 제2 드레인 전극(124)을 포함한다. The second pixel portion P2 shares the source wiring DLm with the first pixel portion P1. In detail, the second pixel portion P2 includes a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a second storage capacitor CST2, and a second pixel electrode PE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d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FT2 may include a
상기 제2 스토리지 캐패시터(CST2)는 제2 스토리지 전극(125)과, 상기 제2 스토리지 전극(125)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 드레인 전극(124)에 의해 정의된다. The second storage capacitor CST2 is defined by the second storage electrode 125 and the
상기 제2 화소 전극(PE2)은 상기 제1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 영역(R2)을 정의하는 제2 반사전극(127)과, 상기 제2 광을 투과하는 제2 투과 영역(T2)을 정의하는 제2 투명전극(128)을 포함한다.The second pixel electrode PE2 includes a second
상기 제1 화소부(P1)의 제1 반사영역(R1)과 제1 투과영역(T1)의 크기비(R1:T1)는 상기 제2 화소부(P2)의 제2 반사영역(R2)과 제2 투과영역(T2)의 크기비(R2:T2)와 서로 다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스 배선(DLm)을 통해 먼저 데이터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1 화소부(P1)의 제1 투과영역(T1)의 크기가 후에 데이터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2 화소부(P2)의 제2 투과영역(T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화소부(P1)의 제1 반사영역(R1)은 상기 제2 화소부(P2)의 제2 반사영역(R2) 보다 크게 형성된다((T1 < T2, R1 > R2, T1+R1 = T2+R2 ). The size ratio R1: T1 of the first reflective region R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 may be equal to the second reflective region R2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2. It is different from the size ratio R2: T2 of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2. Preferably, the size of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 to which the data voltage is first applied through the source wiring DLm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2 to which the data voltage is applied later.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2).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ive region R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lective region R2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2 ((T1 <T2, R1> R2, T1). + R1 = T2 + R2).
한편, 상기 제1 반사영역(R1)과 상기 제2 반사영역(R2)을 합한 크기와 상기 제1 투과영역(T1)과 상기 제2 투과영역(T2)을 합한 크기의 비(R1+R2 : T1+T2)는 상기 표시 기판의 전체 반사영역의 크기(ER)와 전체 투과영역의 크기(ET) 비와 동일 하다(R1+R2 : T1+T2 = ER:E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um of the sum of the first reflection region R1 and the second reflection region R2 and the sum of the sum of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2 (R1 + R2: T1 + T2)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size ER of the total reflection area and the size ET of the total transmission area of the display substrate (R1 + R2: T1 + T2 = ER: ET).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은 어레이 기판(100), 대향 기판(200) 및 상기 어레이 기판(100)과 대향 기판(200)간에 형성된 액정층(3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n
상기 어레이 기판(100)은 제1 베이스 기판(1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는 게이트 금속층으로 게이트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패턴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GLn-1, GLn)과, 상기 제1 및 제2 스토리지 전극들(115, 125),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111, 121)을 포함한다. The
상기 게이트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는 게이트 절연층(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11)에 대응하는 게이트 절연층(102) 위에는 채널층(112)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층(112)은 활성층(112a) 및 저항성 접촉층(112b)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채널층(112)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는 소스 금속층으로 소스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패턴은 상기 소스 배선(DLm)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FT1)의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3,114)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FT2)의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3, 124)을 포함한다.A source pattern is formed of a source metal layer on the
상기 소스 패턴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패시베이션층(103) 및 절연층(104)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104)은 패터닝되어, 제1 반사영역(R1)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투과영역(T1)에는 절연층(104)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제1 반사영역(R1)의 절연층(104)에는 콘택홀(116)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반사영역(R1)에 형성된 절연층(104)의 표면은 반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패터닝된다. The
상기 콘택홀(116)이 형성된 제1 베이스 기판(101) 위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투명전극(118)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광을 투과시키는 일종의 투과 전극으로서,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 ITO)이나 주석산화물(Tin Oxide : TO)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 IZO)이 이용된다. The transparent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상기 투명전극(118)은 상기 콘택홀(116)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14)과 연결된다. 상기 투명전극(118) 위의 제1 반사영역(R1)에는 제1 반사전극(117)이 형성된다. The
상기 대향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 위에는 상기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블랙 매트릭스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210)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화소영역에는 컬러필터패턴(220)이 형성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210)과 컬러필터패턴(220) 위에는 보호 및 평탄화를 위한 오버코팅층(230)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코팅층(230) 위에는 공통 전극층(2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반사영역(R1)에 대응하는 컬러필터패턴(220)에는 라이트 홀(221)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컬러필터패턴(220)은 제1 반사영역(R1) 보다 제1 투과영역(T1)에 대해 두껍게 형성된다. The opposing
상기 액정층(300)은 상기 어레이 기판(100)과 대향 기판(200)간에 개재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100)의 제1 화소 전극(PE1)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대향 기판 (200)의 공통 전극층(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액정층(300)의 배열각을 변화시킨다. 상기 액정층(300)은 상기 제1 반사영역(R1)과, 상기 제1 투과영역(T1)에 대응하는 액정층은 서로 다른 셀 갭을 갖으며, 상기 액정층(300)은 노멀리 화이트 모드이다. The
상기 제1 반사영역(R1)과 제1 투과영역(T1)에 대한 최적의 셀 갭들은 액정층(300)을 형성하는 액정 분자나 액정층(300)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는 광학 필름의 조건에 따라 다르다. 상기 제1 반사영역(R1)에 대응하는 셀 갭(d1)은 상기 제1 투과영역(T1)에 대응하는 셀 갭(d2)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사영역(R1)에 대응하는 셀 갭(d1)은 상기 제1 투과영역(T1)에 대응하는 셀 갭(d2)의 1/2 정도이다.Optimal cell gaps for the first reflective region R1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 may be determined by the condition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forming the
도 3a 내지 도 3c는 비교예의 표시 패널에 대한 휘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of the comparative example.
도 3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다른 표시 패널은 반감 구조로서, 제1 화소부(P11) 및 제2 화소부(12)는 소스 배선(DL1)을 공유한다. 즉,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제1 소스 배선(DL1)에 의해 상기 제1 화소부(P11)가 구동되며,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상기 제1 소스 배선(DL1)에 의해 상기 제2 화소부(P12)가 된다. Referring to FIG. 3A,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half-sensitive structure, and the first pixel portion P11 and the
상기 제1 화소부(P11)는 제1 반사영역(R11)과 제1 투과영역(T11)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2 화소부(P12) 역시, 제2 반사영역(R12)과 제2 투과영역(T1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1 반사영역(R11)과 제1 투과영역(T11)의 크기 비율(R11:T11)은 상기 제2 반사영역(R12)과 제2 투과영역(T12)의 크기 비율(R12:T12)은 서로 동일하 다(R11:T11 = R12:T12)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divided into a first reflection region R11 and a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and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also includes a second reflection region R12 and a second transmission region. Divided by (T12). The size ratio R11: T11 of the first reflection region R11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is the size ratio R12: T12 of the second reflection region R1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12. Same as each other (R11: T11 = R12: T1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게이트 배선(GL1)이 활성화되면, 제1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홀수번째 화소부들(P11, P13, P15)에는 각각의 소스 배선들(DL1, DL2, DL3)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전압들(+D)이 충전된다. 예컨대, 제1 화소부(P11)에는 제1 소스 배선(DL1)을 통해 전달된 제1 데이터전압(+D)이 충전된다.3A and 3B, when the first gate line GL1 is activated, the odd-numbered pixel portions P11, P13, and P15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may have respective source lines DL1, The data voltages + D delivered by the DL2 and DL3 are charged. For example,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charged with the first data voltage + D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source wiring DL1.
이후, 상기 제2 게이트 배선(GL2)이 활성화되면, 제2 게이트 배선(GL2)에 연결된 짝수번째 화소부들(P12, P14, P16)에는 각각의 소스 배선들(DL1, DL2, DL3)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전압들(+D)이 충전된다.Subsequently, when the second gate line GL2 is activated, the source gates DL1, DL2, and DL3 are transferred to even-numbered pixel parts P12, P14, and P16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Data voltages + D are charged.
이와 같이, 상기 제1 소스 배선(DL1)을 공유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1 화소부(P11)에 데이터전압이 충전되는 실효충전시간 보다 상기 제2 화소부(P12)에 데이터전압이 충전되는 실효충전시간이 길다. 즉, 제1 및 제2 화소부(P11, P12)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은 커플링 캐패시턴스에 의한 전압차가 발생한다.As such, as the first source wiring DL1 is shared, the effective charge time of the data voltage is charged in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rather than the effective charge time of charging the data voltage in the first pixel portion P11. Long charging time That is, the voltage difference caused by the coupling capacitance of the charging voltages 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pixel units P11 and P12 is generated.
이에 따라 제1 소스 배선(DL1)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화소부들(P11, P12) 중 제1 화소부(P11)가 충전률이 낮고, 상대적으로 밝은 계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 패널은 노멀리 화이트 모드이다. Accordingly, the first pixel portion P11 among the first and second pixel portions P11 and P12 sharing the first source wiring DL1 has a low charge rate and displays a relatively bright gray level.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is in a normally white mode.
이에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평열에 배치된 화소부(P11, P12, P13, ..P16)의 휘도(L)는 홀수번째 화소부들(P11, P13, P15) 보다 짝수번째 화소부들(P12, P14, P16)의 보다 크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C, the luminance L of the pixel units P11, P12, P13,... P16 arranged in the same horizontal column is an even number of pixels than the odd pixel units P11, P13, P15. Greater than of the parts P12, P14, P16.
결과적으로 비교예의 표시 패널은 홀수번째 수직열의 화소부들(예컨대, P11, P21, P31,..)과 짝수번째 수직열의 화소부들(예컨대, P12, P22, P32,..) 간의 휘도 차이에 의해 세로줄 무늬의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다. As a result, the display panel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vertical line due to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portions of the odd-numbered vertical columns (eg, P11, P21, P31, ..) and the pixel portions of the even-numbered vertical columns (eg, P12, P22, P32,. Flickering of the pattern occurs.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표시 패널에 대한 휘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4A to 4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반감 구조로서, 제1 화소부(P11) 및 제2 화소부(12)는 소스 배선(DL1)을 공유한다. 즉,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제1 소스 배선(DL1)에 의해 상기 제1 화소부(P11)가 구동되며,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상기 제1 소스 배선(DL1)에 의해 상기 제2 화소부(P12)가 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lf-sensitive structure, and the first pixel portion P11 and the
상기 제1 화소부(P11)는 제1 반사영역(R11)과 제1 투과영역(T11)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2 화소부(P12) 역시, 제2 반사영역(R12)과 제2 투과영역(T1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1 반사영역(R11)과 제1 투과영역(T11)의 크기 비율(R11:T11)은 상기 제2 반사영역(R12)과 제2 투과영역(T12)의 크기 비율(R12:T12)은 서로 다르다(R11:T11≠R12:T12).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화소부(P11)의 제1 투과영역(T11)의 크기가 상기 제2 화소부(P12)의 제2 투과영역(T1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화소부(P11)의 제1 반사영역(R11)은 상기 제2 화소부(P12)의 제2 반사영역(R12) 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divided into a first reflection region R11 and a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and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also includes a second reflection region R12 and a second transmission region. Divided by (T12). The size ratio R11: T11 of the first reflection region R11 and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is the size ratio R12: T12 of the second reflection region R1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12. Different from each other (R11: T11 ≠ R12: T12). Preferably, the size of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12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Accordingly, the first reflective region R1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lective region R12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게이트 배선(GL1)이 활성화되면, 제1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홀수번째 화소부들(P11, P13, P15)에는 각각의 소스 배선들(DL1, DL2, DL3)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전압들(+D)이 충전된다. 예컨대, 제1 화소부(P11)에는 제1 소스 배선(DL1)을 통해 전달된 제1 데이터전압(+D)이 충전된다.4A and 4B, when the first gate line GL1 is activated, the odd-numbered pixel portions P11, P13, and P15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may have respective source lines DL1, The data voltages + D delivered by the DL2 and DL3 are charged. For example,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charged with the first data voltage + D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source wiring DL1.
이후, 상기 제2 게이트 배선(GL2)이 활성화되면, 제2 게이트 배선(GL2)에 연 결된 짝수번째 화소부들(P12, P14, P16)에는 각각의 소스 배선들(DL1, DL2, DL3)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전압들(+D)이 충전된다.Subsequently, when the second gate line GL2 is activated, the even-numbered pixel parts P12, P14, and P16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may be formed by the source lines DL1, DL2, and DL3, respectively. The transferred data voltages + D are charged.
이와 같이, 상기 제1 소스 배선(DL1)을 공유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1 화소부(P11)에 데이터전압이 충전되는 실효충전시간 보다 상기 제2 화소부(P12)에 데이터전압이 충전되는 실효충전시간이 길다. 즉, 제1 및 제2 화소부(P11, P12)에 충전되는 충전 전압은 커플링 캐패시턴스에 의한 전압차가 발생한다. As such, as the first source wiring DL1 is shared, the effective charge time of the data voltage is charged in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rather than the effective charge time of charging the data voltage in the first pixel portion P11. Long charging time That is, the voltage difference caused by the coupling capacitance of the charging voltages 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pixel units P11 and P12 is generated.
한편, 제1 화소부(P11)의 제1 투과영역(T11)이 상기 제2 화소부(P12)의 제2 투과영역(T12)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서, 제1 및 제2 화소부(P11, P12)의 휘도 차이를 시인적으로 보상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노멀리 화이트 모드이다. Meanwhile, as the first transmission region T11 of the first pixel portion P11 is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transmission region T12 of the second pixel portion P12, the first and second pixel portions P11, Visually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difference of P12). The display panel is in a normally white mode.
결과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수평열에 배치된 화소부들(P11, P12, P13, ..P16)의 휘도(L)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밝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에서와 같은 세로줄 무늬의 플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C, the luminance L of the pixel portions P11, P12, P13,... P16 arranged in the same horizontal column has substantially the same brightn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icker phenomenon of the vertical stripes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배선의 반감 구조를 갖는 반사-투과형 표시 패널에서 소스 배선을 공유하는 인접한 화소부들간의 투과 영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시인적으로 세로줄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ine defects can be visually eliminated by forming different transmission regions between adjacent pixel portions sharing the source wiring in the reflection-transmissive display panel having the half-sensitive structure of the source wiring.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0986A KR20070079994A (en) | 2006-02-06 | 2006-02-06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0986A KR20070079994A (en) | 2006-02-06 | 2006-02-06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9994A true KR20070079994A (en) | 2007-08-09 |
Family
ID=3860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0986A Withdrawn KR20070079994A (en) | 2006-02-06 | 2006-02-06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7999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37236A1 (en) * | 2011-09-16 | 2013-03-21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
2006
- 2006-02-06 KR KR1020060010986A patent/KR2007007999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37236A1 (en) * | 2011-09-16 | 2013-03-21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CN102998862A (en) * | 2011-09-16 | 2013-03-27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KR101482479B1 (en) * | 2011-09-16 | 2015-01-13 | 상하이 티안마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US9436043B2 (en) | 2011-09-16 | 2016-09-06 |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2446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US9466248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JP5111808B2 (en) | Thin film transistor display panel | |
JP5376774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4928797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188601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16083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04692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CN1949067B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20090244424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thereof | |
KR20070041988A (en) | Thin Film Transistor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CN102621749B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9070339B2 (en) |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8085232B2 (en) | Array substrate receiving two polariti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060286703A1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CN100510910C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733150B1 (en) | Liquid crsytal display | |
KR20070029960A (en) | LCD and its driving method | |
KR20060077870A (en) | Transverse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70020742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7884910B2 (en) |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70079994A (en)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having same | |
CN114660867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101112561B1 (en) | Liquid crsytal display | |
KR2007006199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