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77695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695A
KR20070077695A KR1020060007415A KR20060007415A KR20070077695A KR 20070077695 A KR20070077695 A KR 20070077695A KR 1020060007415 A KR1020060007415 A KR 1020060007415A KR 20060007415 A KR20060007415 A KR 20060007415A KR 20070077695 A KR20070077695 A KR 2007007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mergency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진
한중희
이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6000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695A/ko
Publication of KR2007007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죄, 재난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이에 대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유무 또는 전원오프 시간등을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시 이를 알리는 시스템 및 긴급상황 알림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면 미리 등록된 단말기 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단말기 이면 외부로 상기 단말기의 전원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서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상태 및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로 미리 저장된 긴급상황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긴급, 위급, 알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SYSTEM FOR NOTICE OF EMERGENCY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NOTICING FUNCTION OF EMERG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적용되는 중계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긴급상황 알림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중계서버
21 SMS 모듈 22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23 지도 데이터 베이스 30 긴급상황 알림서버
40 긴급 연락기관
본 발명은 범죄, 재난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이에 대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유무 또는 전원오프 시간등을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시 이를 알리는 시스템 및 긴급상황 알림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 기능성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기능들 중에는 긴급 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에게 납치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경보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범죄자는 경보가 울리자마자 그 단말기를 빼앗고 파손시킬 것이므로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기능은 무용지물이 되버리고 만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키를 조작하게 된다. 비상키가 조작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통신사에서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수신하 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사는 추적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 통보한다. 그러면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서는 발생된 사건에 대해 신속히 착수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비상키를 사용하여 긴급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불안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범죄자가 초기에 사용자의 단말기를 빼앗아 파손시키게 되면, 이동통신사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위치 확보 후 계속적인 위치 추적을 할 수 없게 되어 긴급 상황에 대한 해당 기관에서의 해결 방안이 난항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육체적인 충격을 받아 의식을 잃거나 혼미해져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신고센터에 자신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정상적으로 통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긴급상황에 처한 사용자나 특정 응급환자 또는 보호관찰이 요구되는 거동이 심하게 불편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유무 또는 전원이 오프된 시간등의 정보로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와,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액크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받아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발송할 통신식별번호 등록 완료로 판단하며, 전원 온/오프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될 때 마다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에 기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면 미리 등록된 단말기 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단말기 이면 외부로 상기 단말기의 전원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서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상태 및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로 미리 저장된 긴급상황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중계서버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정보 및 긴급상황 발생시 알림여부가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의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단문 문자메세지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세지 발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로 전달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는 상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발생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을 리카운팅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중계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의 기지국의 지리정보가 기록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에서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중인 기지국의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지리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 데이터 및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설정 시간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조작을 요하는 요청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설정시간 내에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로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 를 송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영상 및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요청제어신호는 미리 설정된 문자 메시지 및 소리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면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적용되는 중계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긴급상황 알림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무선통신을 위한 복수의 기지국(24)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24)과 연결된 중계서버(20), 긴급상황 알림서버(30),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가 전송되는 복수의 기관(40) 그리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1)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 및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13)와, 긴급상황 알림서버(3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13)에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액크신호를 긴급상황 알림서버(30)로부터 수신받아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발송할 통신식별번호 등록 완료로 판단하며, 전원 온/오프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 이를 긴급상황 알림서버(30)로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단말기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와, 외부와 무선 통신을 위한 RF 유닛(14)과 안테나(1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조작부(1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될 때 마다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긴급상황 알림서버(30)로 출력한다.
상기 중계서버(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여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식별번호정보 및 긴급상황 발생시 알림여부가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22)를 이용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알림으로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이면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로 상기 단말기(10)의 전원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정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교신중인 기지국의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23)에 기록된 지리정보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 오프시 위치정보는 전원오프 당시의 교신중인 기지국(24)의 위치 정보 이다.
또한, 상기 중계서버(20)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의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단문 문자메세지를 상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50)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세지 발송모듈(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는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상태 및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31)에 미리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로 미리 저장된 긴급상황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긴급 연락기관 즉 병원, 경찰서, 긴급구조 센터(40)에 음성 또는 텍스트 메세지를 송신하여 이를 알리게 된다. 또한, 긴급상황 알림서버(30)는 상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을 리카운팅 한다.
이하 그 상세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시간을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와 동기화 하고, 사용자가 조작부(11)를 조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 즉 '010-XXXX-XXXX'와 같은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2)는 이를 메모리(13)에 저장하고, 긴급상황 알림서버(30)에 이를 전송하여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31)에 기록되어 등록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중계서버(20)의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도 상기 알림여부등이 기록된다.
한편,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 온/오프시 기지국과 전원 온/오프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 하여 자신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통보 하는데, 중계서버(2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원 상태변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를 확인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알림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긴급상황 알림서버(30)로 해당 단말기의 전원상태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기지국(24)의 위치정보 이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에서는 상기 중계서버(2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상태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긴급상황 알림서버(3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는지 판단하고 경과되면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를 포함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메세지 발송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긴급 연락처 예를 들면 경찰서, 병원, 긴급구조센터등에 음성으로의 통신을 시도한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긴급상황 알림서버(30)는 상기 설정시간을 리 카운팅 한다. 즉, 설정시간 이후에도 전원상태 변화 및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긴급상황 알림서버(30)는 긴급상황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게 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30)의 메세지 출력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중계서버(20)는 SMS 모듈(2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타겟 통신식별번호의 모바일 기 기로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외부의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에 대한 메세지 출력과 같은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10) 자체에서도 수행됨이 가능하다.
도 7과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해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1)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와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 및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13)와, 제어부(12)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모듈(17)과, 상기 조작부(11)로부터 조작신호가 상기 타이머 모듈(17)의 설정시간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표시부(15)와 스피커(18)를 통해 이를 외부로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후 조작부(1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13)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로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를 송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 및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18)와, 외부와 무선 통신을 위한 RF 유닛(14)과 안테나(16)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해 상기 제어부(12)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2)는 상기 타이머 모듈(17)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도록 상기 조작부(1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조작부(11)의 조작을 요하는 메세지를 표시부(15)와 스피커(18)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조작을 요하는 메세지는 가상의 문자메세지 수신음을 발생시키거나, 알람음의 발생등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5)와 스피커(18)를 통해 조작을 요하는 메세지를 출력하여도 조작부(1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2)는 긴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13)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로 긴급상황 알림메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13)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는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이거나 긴급구조센터 또는 경찰서등의 관공서 번호일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 알림메세지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문자메세지 및 미리 녹음된 음성메세지 일 수 있고, 상기 긴급구조센터 또는 경찰서 등의 관공서에는 음성 메세지를 전송함이 바람직 하다.
이때, 상기 긴급구조센터나 경찰서 등에서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메세지를 송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중인 기지국의 위치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를 포함한 이벤트 발생여부를 감시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 후에도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지인이나 구조기관에 알리게 됨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나 현재 범죄상황에 노출되어 어떠한 액션도 취할 수 없는 사용자의 긴급상황을 용이 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함으로서 별도의 위치추적을 위한 GPS 모듈등이 구비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여 호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긴급상황을 외부로 알릴수가 있으므로 종래 단말기의 전원오프 상태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알림서비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에게 높은 신뢰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와,
    외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액크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받아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발송할 통신식별번호 등록 완료로 판단하며, 전원 온/오프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시 이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될 때 마다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면 미리 등록된 단말기 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단말기 이면 외부로 상기 단말기의 전원상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서버와,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상태 및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통신식별번호로 미리 저장된 긴급상황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긴급상황 알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정보 및 긴급상황 발생시 알림여부가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의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단문 문자메세지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세지 발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발생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로 전달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서버는 상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발생신호가 수신되면 설정시간을 리카운팅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의 기지국의 지리정보가 기록된 지도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에서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중인 기지국의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지리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7.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긴급상황 발생시 메세지를 전송할 통신식별번호 데이터 및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설정 시간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조작을 요하는 요청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설정시간 내에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통신식별번호로 긴급상황 알림 메세지를 송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영상 및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요청제어신호는 미리 설정된 문자 메시지 및 소리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07415A 2006-01-24 2006-0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7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415A KR20070077695A (ko) 2006-01-24 2006-0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415A KR20070077695A (ko) 2006-01-24 2006-0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695A true KR20070077695A (ko) 2007-07-27

Family

ID=3850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415A KR20070077695A (ko) 2006-01-24 2006-0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695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410A1 (en) * 2008-03-05 2009-09-11 Motorola, Inc. Determining wireless system availability u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ing
CN101866351A (zh) * 2010-05-25 2010-10-20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组件的报表快速生成方法及系统
KR101432869B1 (ko) * 2008-03-27 2014-08-27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경보기 및 경보기 시스템
US9014656B2 (en) 2010-11-2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reporting triggered by an authority-issued alert
WO2015152475A1 (ko) * 2014-04-04 2015-10-08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044U (ko) 2014-06-27 2016-01-06 임동일 다기능 모바일 단말기
WO2016137118A1 (ko) * 2015-02-23 2016-09-01 주식회사 위기관리씨스템 Sms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사전 침입 감지 시스템 그리고, 구조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3024A (ko) * 2015-05-11 2016-11-22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75377B1 (ko) * 2017-03-31 2018-07-06 주식회사 아이엔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230171166A (ko) * 2022-06-13 2023-12-20 김엄석 재난 상황 전파 시스템
KR102633766B1 (ko) 2022-11-09 2024-02-05 (주)아이씨티원 라이프로그 데이터 활용 ai 긴급상황 예방 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0183B2 (en) 2008-03-05 2012-06-12 Motorola Solutions, Inc. Determining wireless system availability u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ing
WO2009111410A1 (en) * 2008-03-05 2009-09-11 Motorola, Inc. Determining wireless system availability u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ing
KR101432869B1 (ko) * 2008-03-27 2014-08-27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경보기 및 경보기 시스템
CN101866351A (zh) * 2010-05-25 2010-10-20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组件的报表快速生成方法及系统
CN101866351B (zh) * 2010-05-25 2015-11-25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组件的报表快速生成方法及系统
US9014656B2 (en) 2010-11-2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reporting triggered by an authority-issued alert
CN106463041A (zh) * 2014-04-04 2017-02-22 金明焕 个人防护服务系统及方法
WO2015152475A1 (ko) * 2014-04-04 2015-10-08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5405A (ko) * 2014-04-04 2015-10-14 김명환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892625B2 (en) 2014-04-04 2018-02-13 Myung Hwan Kim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60000044U (ko) 2014-06-27 2016-01-06 임동일 다기능 모바일 단말기
CN107278319A (zh) * 2015-02-23 2017-10-20 株式会社危机管理系统 利用sms通知服务的事前侵入感知系统和求救信号通报系统及其方法
WO2016137118A1 (ko) * 2015-02-23 2016-09-01 주식회사 위기관리씨스템 Sms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사전 침입 감지 시스템 그리고, 구조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8507500A (ja) * 2015-02-23 2018-03-15 チュシクフェサ ウィギカンリシステムCrisis Management System Sms通知サービスを利用した事前侵入感知システム、そして救助信号通報システム及び方法
US10186142B2 (en) 2015-02-23 2019-01-22 Crisis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detecting intrusion in advance using SMS notification ser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rescue signal
KR20160133024A (ko) * 2015-05-11 2016-11-22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위급상황 알림단말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75377B1 (ko) * 2017-03-31 2018-07-06 주식회사 아이엔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230171166A (ko) * 2022-06-13 2023-12-20 김엄석 재난 상황 전파 시스템
KR102633766B1 (ko) 2022-11-09 2024-02-05 (주)아이씨티원 라이프로그 데이터 활용 ai 긴급상황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769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83378B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0904B1 (ko) 무선 통신 장치를 위치결정하고, 추적하고 그리고/또는 복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902573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US9942520B2 (en) Interactive and targeted monitoring service
US8175572B2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7142994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RU83643U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и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уда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по беспроводным сетям
US201201052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alerts
KR20070086769A (ko) 라디오 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모드의 트리거링 및 그 방법
KR20110086211A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015407A (ja) 管理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端末及び無線タグ及び管理システムの管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端末の端末通信プログラム及び無線タグのタグ通信プログラム及び管理システムの管理方法
KR1006159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WO2006135119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198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JPWO2009057182A1 (ja) 置き忘れ防止システム、置き忘れ防止方法、および携帯端末
CN100371191C (zh) 个人随身求救系统
JP6000813B2 (ja) 通信システム
US10586441B2 (en) Arrangement for triggering at least one alarm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KR20110136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및 알림 기능이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0160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방법
KR100641133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방법
JP2003346258A (ja) 緊急連絡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端末装置
KR20060030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