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74404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404A
KR20070074404A KR1020060002460A KR20060002460A KR20070074404A KR 20070074404 A KR20070074404 A KR 20070074404A KR 1020060002460 A KR1020060002460 A KR 1020060002460A KR 20060002460 A KR20060002460 A KR 20060002460A KR 20070074404 A KR20070074404 A KR 2007007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fan motor
housing
lower housing
indoo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만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404A/en
Publication of KR2007007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40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에 구비된 팬모터를 고정하는 모터하우징이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실내열교환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터하우징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disassemble a motor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motor housing for fixing a fan motor provided in an indoor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equipped with an indoor heat exchange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의 강제흡입을 위한 실내팬(2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260)와; 상기 팬모터(26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220)와; 상기 팬모터(26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장착을 보조하는 모터하우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팬모터의 서비스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100, the fan motor 26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indoor fan 240 for forced suction of the indoor air )Wow; An indoor heat exchanger (2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motor (260) to exchange heat with air in the room forcibly suck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fan motor 260, and comprises a motor housing 400 to assist the mounting of the fan motor 260, the motor housing 400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It is configured to be decomposable while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is mount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rvice of the fan motor becomes easy.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door unit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 구성인 팬모터의 분해를 보인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fan moto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실내팬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indoor fan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모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tor housing that is a main componen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시 공기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팬모터의 분해를 보인 상태도.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fan motor which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200. 캐비넷100. Indoor unit 200. Cabinet

220. 실내열교환기 222. 차폐판220. Indoor heat exchanger 222. Shield plate

240. 실내팬 260. 팬모터240. Indoor fan 260. Fan motor

280. 에어가이드 300. 프론트판넬280.Air Guide 300.Front Panel

320. 흡입그릴 322. 흡입구320. Suction grill 322. Suction opening

340. 토출구 400. 모터하우징340. Discharge port 400. Motor housing

420. 상부하우징 422. 차폐부420. Upper housing 422. Shield

424. 상부수용부 426. 개구부424. Upper receptacles 426. Openings

440. 하부하우징 442. 제1하부하우징440. Lower housing 442. First lower housing

442a. 하부수용부 442b. 지지부442a. Lower receptacle 442b. Support

444. 제2하부하우징 500. 지지브라켓444. Second lower housing 500. Support bracket

S. 결합부재S. Coupling Memb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에 구비된 팬모터를 고정하는 모터하우징이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실내열교환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터하우징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a motor housing for fixing a fan moto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configured to disassemble the motor housing in a state where an indoor heat exchanger is mounted. It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 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indoor air in an optimal state according to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room becomes hot, such as summer, the room is cooled by blowing low temperature wind, and in winter, the room is heated by blowing high temperature warm win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실내기가 설치되고, 실외 공간에 실외기가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one type and a separate type. Hereinafter, a separate air conditi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door unit is installed inside an air conditioner and an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will be described.

도 1 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천장의 내측면은 삽입되며 실내기(1)의 작동을 위한 구성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기(1)가 장착되는 천장으로 노출되어 상기 실내기(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판넬(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door unit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has an inner surface of a ceiling inserted therein and the components fo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A cabinet 10 forming a space to be mounted, and a front panel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abinet 10 and exposed to a ceiling on which the indoor unit 1 is mounted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The outer shape is formed by.

그리고, 상기 프론트판넬(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사각 판상의 흡입그릴(30)이 장착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흡입그릴(30)의 상방에는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는 에어필터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uction plate 30 having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formed therein is install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 so that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although the suction grill 30 is not shown. Above the is provided with an air filter for filtering the intake air.

상기 흡입그릴(30)의 양 측방 즉, 상기 프론트판넬(20) 전면의 좌측과 우측(도1에서 볼 때)에는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22)가 구비된다.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grill 30,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1) of the front panel 20, discharge ports 22 for discharging air heat-exchanged inside the indoor unit 1 to the room are provided. Is provided.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실내기(1)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22)의 내부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강제하는 베인(도시되지 않음)과 루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The discharge port 22 is formed to be selectively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the vane (not shown) and the louver (not shown) forc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discharge port 22 ) Is provided.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 구성인 팬모터의 분해 를 보인 상태도이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실내기의 내부 구조는 상기 실내기의 우측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내기의 내부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나머지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isassembly of a fan moto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ure 2 shows only the right side of the indoor unit, since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ll be omitt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rest.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실내기(1)의 내부 일측을 살펴보면, 상기 캐비넷(10)의 내측에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30)가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비스듬하게 장착된다.Referring to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for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is sla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respectively Is fitted.

즉, 상기 각각의 실내열교환기(30)의 상단은 상기 캐비넷(10)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되며 하단은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측방에서 볼 때 상기 실내열교환기(30)는 대략 '∧'형상으로 장착된다.That is,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indoor heat exchangers 3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cabinet 10 and the lower ends are mounted to be inclined outward, respectively,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is approximately viewed from the side. It is mounted in a '∧' shape.

그리고, 상기 각각의 실내열교환기(30)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32)이 장착된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향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의 내측에 장착된 상기 실내열교환기(30) 사이의 형상과 대응하는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espective indoor heat exchanger 30 is equipped with a shielding plate 32 for shielding the spac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The shielding plate 32 is for preventing the external leakage of indoor air sucked toward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mounted inside the cabinet 10. It is formed in a Δ 'shape.

한편, 캐비넷(10) 내부 좌측과 우측의 실내열교환기(30) 측방에는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를 강제흡입하는 실내팬(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며, 상기 실내팬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팬모터(40)가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40)는 상기 실내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하우징(50)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Meanwhile, an indoor fan (not shown) for forcibly sucking external air by rotation is provided at the sides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0, and a fan motor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indoor fan. 40). The fan motor 40 is fixedly mounted by the motor housing 5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indoor fan.

상기 모터하우징(50)은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으로 구성된다.The motor housing 50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52 and a lower housing 54.

상기 상부하우징(52)은 상기 팬모터(4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40) 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과 실내열교환기(30)의 외측 공간 사이에 구비된다. The upper housing 52 is provided above the fan motor 40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4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0 and an outer sp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do.

즉, 상기 상부하우징(52)의 상단과 우측단은 상기 캐비넷(10)의 내측면 또는 다른 구성의 외측면과 접하고, 좌측단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넷(10)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upper and right ends of the upper housing 52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cabinet 10, the left end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It is possible to fixably mount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상기 하부하우징(54)은 상기 팬모터(40)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40)의 하부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에 의해 상기 모터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The lower housing 54 is provided below the fan motor 40 so as to surround and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40, and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ower housing 54 are coupled members. It is possible to be coupled by, at this time is to wrap and secure the motor by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ower housing 54.

상기 하부하우징(54)은 좌측단이 상기 실내열교환기(30)의 외측과 접하고 우측단이 상기 캐비넷(1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The lower housing 54 has a left end in contact with an oute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and a right end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of the cabinet 10.

상기 실내열교환기(30)는 비스듬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상부하우징(52)의 좌측과 하부하우징(54)의 좌측은 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의 경사는 외측 하방을 향하는 경사가 된다.Since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is mounted obliquely, the left side of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eft side of the lower housing 54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hereto, and the inclin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is inclined toward the outside downward.

따라서, 상기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의 결합시 상기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0)의 외측에 의해 간섭받게 되어 탈락되거나 유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팬모터(40)의 안정적인 장착을 보조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ower housing 54 are coupled,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ower housing 54 are interfered by the out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0 so that they do not fall out or flow. It assists the stable mounting of the fan motor 4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모터하우징(50)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팬모터(40)의 서비스 또는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차폐판(32)과 실내열 교환기(30)를 분리하여 탈거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52)과 하부하우징(54)의 결합을 해지하여야만 한다.In the prior ar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rvice or replace the fan motor 40 fixed by the motor housing 50, the shielding plate 32 and the room heat exchanger 30 is separated and removed. After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housing 52 and the lower housing 54 should be released.

따라서, 상기 팬모터(40)의 서비스시 작업이 난해하고 번거롭게 되어 서비스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rvice is difficult and cumbersome when the fan motor 40 is serviced, resulting in poor service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기에 구비된 팬모터를 고정하는 모터하우징이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실내열교환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터하우징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housing for fixing the fan moto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to disassemble the motor housing in the state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It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의 강제흡입을 위한 실내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팬모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모터의 장착을 보조하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하우징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indoor fan for forced suction of the indoor air Fan motor; An indoor heat exchang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an motor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in a forced suction;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fan motor, and comprises a motor housing to assist the mounting of the fan motor, the motor housing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so that the decomposable in the state equipped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It is composed.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팬모터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팬모터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간섭을 받지 않는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tor housing is provided above the fan motor, the upper housing for wrapping and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It is provided below the fan motor is wrapped around the bottom of the fan motor and fixed, and comprises a lower housing consisting of two parts separable in the direction not to interfere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팬모터를 감싸는 제1하부하우징과; 상기 제1하부하우징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된다.The lower housing may include a first lower housing surrounding the fan moto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second lower housing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housing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제1하부하우징은 상기 팬모터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는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하우징과 접하여 상기 하부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The first lower housing may include a lower accommodating part surround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It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housing portion, and consists of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housing.

상기 하부수용부는 상기 제2하부하우징보다 전방에 형성된다.The low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lower housing.

상기 상부하우징과 제1하부하우징은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2하부하우징은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부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하부하우징과 접하여 구속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housing and the first lower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is formed to be constrained in contact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upper housing and the first lower hous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팬모터의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rviceability of the fan motor can be expec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실내공간의 천정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캐비넷(200)과 프론트판넬(3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the cabinet The outer shape is formed by the 200 and the front panel 300.

상기 캐비넷(200)은 상기 실내기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설치시 천정의 내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판넬(300)은 상기 실내기(100)의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하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천정면에 장착된다.The cabinet 200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and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when the indoor unit 100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front panel 300 forms an external shape of a low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indoor unit 100 is mounted, and is mounted on the ceiling surface.

상기 프론트판넬(300)의 대략 중앙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중앙에는 상기 프론트판넬(300) 면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크기로 형성된 흡입그릴(3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실내공기의 흡입통로가 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320)의 전체면에는 다수의 흡입구(322)가 형성된다.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300 is formed to be opened, and a suction grill 320 having a size occupyi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area of the front panel 300 is mounted at the opened center. The suction grill 320 is a suction passage of the indoor air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22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320.

상기 흡입그릴(320)의 양측방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34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340)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통로로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340)의 내측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강제하는 베인(도시되지 않음)과 루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Both sides of the suction grill 32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40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340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d air inside the indoor unit 100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and is form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a vane (not shown) and a louver (not shown) ar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ort 340 to forc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한편, 상기 캐비넷(200)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22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2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200)의 상부와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is provided with an indoor heat exchanger 220 for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sucked.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bliquely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binet 200 to have a cross-section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20)가 서로 접하는 부분은 상기 캐비넷(2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20)가 서로 떨어져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흡입그릴(320)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 환기(220) 사이의 공간의 크기와 상기 흡입그릴(320)의 면적이 대응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position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cabinet 200, and a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cludes the suction grill 320.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pac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area of the suction grill 320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측단에는 차폐판(222)이 장착된다. 상기 차폐판(222)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측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20)를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사이의 양 측면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A shield plate 222 is mounted at the side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The shielding plate 222 shields both side spaces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so that air sucked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can pas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without leakage.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Δ" shape.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외측과 상기 캐비넷(200)의 사이에는 실내팬(240)과 팬모터(260) 등이 구비되며, 이들은 각각 상기 캐비넷(20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out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cabinet 200 is provided with an indoor fan 240 and a fan motor 260, each of which is symmetrical to the inner top and bottom of the cabinet 200, respectively. It is provided to be.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실내팬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모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the indoor fan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tor housing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이들 도면에 따르면, 상기 캐비넷(200)의 양측에는 실내팬(240)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팬(240)은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것으로, 원통상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횡류팬(Cross flow fan)이 채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indoor fan 24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200. The indoor fan 240 is a forced suction of external air, it is preferable that a cross flow fan (Cross flow fa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in the cylinder is employed.

그리고, 상기 실내팬(240)과 상기 캐비넷(200)의 사이에는 에어가이드(28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280)는 상기 실내팬(24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내팬(240)과 다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200)의 내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n air guide 280 is formed between the indoor fan 240 and the cabinet 200. The air guide 280 is for smoothly guiding the flow of the air forcedly blown by the indoor fan 240, is formed somewhat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fan 240,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It is formed to wrap.

한편, 상기 실내팬(240)의 일측방에는 팬모터(260)가 구비된다. 상기 팬모터 (260)는 상기 실내팬(240)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팬모터(260)의 회전축이 상기 실내팬(240)의 측면 중앙과 연결되어 상기 팬모터(260)에 의해 상기 실내팬(240)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n motor 2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oor fan 240. The fan motor 260 is for driving the indoor fan 24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fan motor 26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door fan 240 so as to be indoors by the fan motor 260. The fan 240 is rotatable.

그리고, 상기 팬모터(260)는 모터하우징(400)에 의해 상기 캐비넷(200)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상기 팬모터(260)가 구비되는 상기 실내팬(240)의 일측방에 구비되며, 타측방에는 상기 실내팬(24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00)이 구비된다.The fan motor 2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by the motor housing 400. Therefore, the motor housing 4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oor fan 240 in which the fan motor 260 is provided, and on the other side, the support bracket 500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indoor fan 240 is provided. It is provided.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 내부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실내팬(240)의 대칭되는 위치에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므로 도 5 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모터하우징(400)만을 설명한다.The motor housing 400 is provi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t the symmetrical position of the indoor fan 2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door unit as shown in Figure 4, so that the motor housing 400 on one side based on FIG. ) Only.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상기 실내팬(240)의 일측방에서 상기 팬모터(260)를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팬모터(260)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otor housing 400 surrounds and fixes the fan motor 260 at one side of the indoor fan 240 so that the fan motor 26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indoor unit 100. do.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상기 팬모터(26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상부하우징(420)과, 상기 팬모터(260)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는 하부하우징(440)으로 구성된다.The motor housing 400 is provided above the fan motor 260 to cover and fix the upper part of the fan motor 260, and is provided below the fan motor 260 to provide the fan. It consists of a lower housing 440 to wrap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260.

상기 상부하우징(420)은 상기 팬모터(260)의 상부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그리고 캐비넷(2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차폐부(422)와 상기 차폐부(422)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팬모터(260)의 상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팬모터(2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수용부 (424)로 구성된다.The upper housing 420 is a front of the shield 422 and the shield 422 formed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cabinet 200. And an upper accommodating part 424 formed to protrude into a space, and a space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n motor 260 to accommodate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상기 상부수용부(424)는 원통형상의 팬모터의 형상에 따라 대략 단면이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함몰형성되며, 상기 차폐부(422)와 상부수용부(424)의 하단부 대략 중앙에는 상기 팬모터(260)의 회전축과 전원연결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426)가 형성된다.The upper accommodating part 424 is recessed to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fan motor, and the fan motor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hielding part 422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424). An opening 426 is formed to allow the rotation shaft and the power connection of the 26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420)의 장착시 상기 상부하우징(420)의 좌측단(이하 도 5 를 기준으로 함)과 상단은 상기 캐비넷(200)의 내측 또는 상기 에어가이드(280)의 내측과 접하게 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420)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440)과 접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upper housing 420 is mounted, the left end of the upper housing 420 (hereinafter, referred to in FIG. 5)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using 420 ar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or the inside of the air guide 28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4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440.

상기 하부하우징(440)은 상기 팬모터(260)를 하방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하우징(440)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440)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형성하는 제1하부하우징(442)과 제2하부하우징(444)으로 구성된다.The lower housing 440 to fix the fan motor 260 from below, and to form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housing 440 for easy separation of the lower housing 440, respectively.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are configured.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은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부수용부(442a)와, 상기 하부수용부(442a)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용부(442a)를 지지하는 지지부(442b)로 구성된다.The first lower housing 442 receives and fixes a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and includes a lower accommodating portion 442a formed to surround a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and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 It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442a and consists of a support portion 442b for supporting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상기 하부수용부(442a)는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부 (424)와 마찬가지로 상단부 대략 중앙에는 개구부(426)가 형성된다.The lower accommodating part 442a is recessed and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fan motor 260 to accommodate the lower part of the fan motor 260, and similarly to the upper accommodating part 424. An opening 426 is formed at the center.

그리고, 상기 하부수용부(442a)는 상기 지지부(442b)에 비해 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420)과 하부하우징(440)의 결합시 상기 하부수용부(442a)는 상기 상부수용부(424)와 접하게 되어 대략 전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is formed in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442b,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lower housing 440 whe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 424) to form a cylindrical shape that projects approximately forward.

상기 하부수용부(442a)의 전면에는 상기 상부수용부(42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S)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부(424)와 결합부재(S)에 의해 결합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420)과 하부하우징(440)이 결합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is formed a flange bent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member (S) for coupling with the upper receiving portion 424, the upper receiving portion 424 and the coupling member (S)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lower housing 440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상기 지지부(442b)는 상기 하부수용부(442a)의 지지를 위한 것으로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좌측단이 상기 캐비넷(200)의 또는 상기 에어가이드(28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하우징(420)의 차폐판(222) 하단 좌측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42b)의 우측단은 제2하부하우징(444)과 접하게 된다.The support part 442b is for supporting the lower receiving part 442a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left end of the support part 442b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200 or the air guide 280, and the upper end is the upper part.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222 of the housing 4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The right end of the support part 442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은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이 상기 팬모터(260)의 고정을 위해 장착되었을때,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과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외측 사이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삼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out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wh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s mounted to fix the fan motor 260. It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so as to shield the space of,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은 상단이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의 하부수용부(442a)의 후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제2하부하우징(444)의 좌측단은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의 우측단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의 상 단과 좌측단은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comes into contact with a rear end of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442a of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left end of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the first end. In contact with the right end of the lower housing (442). At this time, the upper end and the left end of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are formed vertically.

한편,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의 우측단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은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을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ight end of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incli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ccordingly,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supports the first lower housing 442.

즉,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과 제2하부하우징(444)이 결합된 하부하우징(440)의 장착시 상기 하부하우징(440)의 좌측단은 상기 캐비넷(200) 또는 에어가이드(280)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하우징(420)의 하단과 접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That is, the left end of the lower housing 440 is the cabinet 200 or the air guide 280 when the lower housing 440 is attached to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420, 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따라서,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상기 캐비넷(200) 또는 상기 에어가이드(280)의 내측과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사이를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팬모터(260)를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외측과 경사지게 접촉하여 하방으로 탈거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motor housing 400 may shield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or the air guide 28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simultaneously fix the fan motor 260. At this time, the motor housing 400 is inclined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is not removed or flowed downwar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시 공기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flow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을 작동하여 공기조화기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팬모터(260)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실내팬(240)을 회전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s shown in the drawing, firs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by operating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fan motor 260 generates a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indoor fan 240. Let's go.

상기 실내팬(24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 기 흡입그릴(320)을 통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강제 흡입되고, 강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의 양측에 구비된 실내열교환기(2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Air in the indoor space is forcibly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grill 32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ndoor fan 240, the forced air is the indoor unit 100 Heat ex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상기 실내기(1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내팬(240)에 의해 하방으로 강제송풍되어 상기 토출구(34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은 상기 에어가이드(280)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100 is forcedly blown downward by the indoor fan 240 to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0. At this time, the air flow inside the indoor unit 100 is made smoothly by the air guide 280.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에 지속적으로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 실내공간을 공기가 원하는 상태의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oor air is continuously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the heat-exchanged air is repeatedly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indoor space reaches a desired temperature of the air.

한편, 상기 실내기(100)의 지속적인 사용중에 상기 팬모터(260)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어 상기 팬모터(260)를 분리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an motor 260 is damaged or damaged during the continuous use of the indoor unit 100, the service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an motor 260.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팬모터의 분해를 보인 상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팬모터(260)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fan motor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 at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fan motor 260 as shown in the drawing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판넬(300)을 상기 캐비넷(200)으로부터 탈거하여 상기 캐비넷(200)의 내측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캐비넷(200)의 내부가 노출되면, 상기 상부하우징(420)과 하부하우징(440)을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S)를 해지하게 된다.First, the user removes the front panel 300 from the cabinet 200 to expose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to the outside. When the inside of the cabinet 200 is exposed, the coupling member S which couples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lower housing 440 is released.

상기 결합부재(S)를 해지하게 되면, 상기 상부하우징(420)과 하부하우징 (440)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440)의 우측(이하 도 7 을 기준으로 함)을 형성하는 제1하부하우징(442)을 흔들어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과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의 접촉이 전후방향으로 분리된다.When the coupling member (S) is released,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lower housing 440 is in a removable stat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forming the right side of the lower housing 4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G. 7) is shaken and pulled forward,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The contact of 444 is sepa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의 지지부(442b) 좌측단과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의 우측단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442b)와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넓지않다.In more detail, the left end of the support portion 442b of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right end of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mainta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lower housing ( 444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port portion 442b is relatively larg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을 전방으로 약간 당기거나 흔들어 빼 주면, 상기 지지부(442b)와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이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에 의한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의 구속이 해제되며, 이 상태로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을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이 분리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s slightly pulled or shaken forward, the support part 442b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are separated. Therefore, when the restraint of the first lower housing 442 by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released, wh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s pulled downward in this state,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s removed. ) Are separated.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 또한 자유롭게 분리가 능하게 되며, 상기 하부하우징(440)의 분리로 상기 팬모터(26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s separate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can be freely separated, and the fan motor 260 can be separated by the separation of the lower housing 440.

상기 팬모터(260)에 필요한 서비스 또는 교체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전술한 작업을 역순으로 실시하게 되면, 상기 팬모터(260)를 다시 장착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service or replacement work required for the fan motor 260 is completed, if the above-described work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he fan motor 260 may be remount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팬모터를 고정하는 모터하우징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가시 제1하부하우징과 제2하부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housing for fixing the fan motor is composed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lower housing is to be separated into the visible first lower housing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실내열교환기 및 차폐판의 분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d, the lower housing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without performing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shield plate.

따라서, 상기 팬모터의 교체 또는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 보다 용이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상기 팬모터의 교체 또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an motor is required to be replaced or serviced, the fan motor can be replaced or serviced with an easier and simpler operation, thereby improving serviceability.

Claims (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에 있어서,In the in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의 강제흡입을 위한 실내팬(2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260)와;A fan motor 260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door unit 10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indoor fan 240 for forced suction of indoor air; 상기 팬모터(26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강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220)와;An indoor heat exchanger (2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motor (260) to exchange heat with air in the room forcibly sucked; 상기 팬모터(26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장착을 보조하는 모터하우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s formed to surround the fan motor 260, and comprises a motor housing 400 to assist the mounting of the fan motor 260, 상기 모터하우징(400)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motor housing (400)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in the state that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is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40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or housing 400, 상기 팬모터(26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상부하우징(420)과;An upper housing 420 provided above the fan motor 260 to surround and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상기 팬모터(260)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의 간섭을 받지 않는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부하우징(4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lower housing 440 is provided below the fan motor 260 and surrounds and fixes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260, and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hat are detachable in a direction that is not affect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440)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wer housing 440,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팬모터(260)를 감싸는 제1하부하우징(442)과;A first lower housing 442 surrounding the fan motor 26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과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하부하우징(44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irst lower housing (442)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ower housing 442, 상기 팬모터(260)의 하부를 감싸 고정하는 하부수용부(442a)와;A lower accommodating part 442a for wrapping and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fan motor 260; 상기 하부수용부(442a)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과 접하여 상기 하부수용부(442a)를 지지하는 지지부(44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and the support portion (442b)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to support the lower receiving portion (442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부(442a)는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보다 전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ower accommodating part (442a) is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420)과 제1하부하우징(442)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first lower housing 442, 결합부재(S)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2하부하우징(444)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와 상부하우징(420) 그리고 상기 제1하부하우징(442)과 접하여 구속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S, and the second lower housing 444 is formed to be constrained in contact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the upper housing 420, and the first lower housing 44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KR1020060002460A 2006-01-09 2006-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drawn KR200700744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460A KR20070074404A (en) 2006-01-09 2006-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460A KR20070074404A (en) 2006-01-09 2006-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404A true KR20070074404A (en) 2007-07-12

Family

ID=3850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460A Withdrawn KR20070074404A (en) 2006-01-09 2006-01-09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4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4605B (en) Air treatment device and vertical air conditioner with same
US11022325B2 (en) Air conditioner
CN204648474U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CN114353185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213019964U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20050056038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WO2019043984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14199148U (en) Filter screen mechanism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N204648476U (en) Air conditioner
CN213747011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7008099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2556161A (en) Filter screen mechanism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20070078261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3747013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13747012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7007440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4648473U (en) Air conditioner
CN203478453U (en) Outdoor unit
KR2007010001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6622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181640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20032110A1 (en) Air conditioner
KR2008001339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78258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22230847U (en) Indoor unit of vertical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