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666A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8666A KR20070068666A KR1020050130543A KR20050130543A KR20070068666A KR 20070068666 A KR20070068666 A KR 20070068666A KR 1020050130543 A KR1020050130543 A KR 1020050130543A KR 20050130543 A KR20050130543 A KR 20050130543A KR 20070068666 A KR20070068666 A KR 20070068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ers
- slide
- moving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채용된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lide module of FIG.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분리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있어서, 본체에 대한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상태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Fig. 2,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21..본체 26..슬라이더21.Main body 26.Slider
100..슬라이드 모듈 110,160..베이스 부재100.
120..이동 부재 130,180..커버 부재120. Moving
140,190..길이가변 유닛 141,191..회동 부재140,190..Variable unit 141,191..Rotating member
145,195..왕복 부재 149,199..탄성 부재145,195 .. Round trip member 149,199 ..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채용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employed in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음성통화,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음악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도 검색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대형 액정화면을 갖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위해 근래에는 폴더방식, 슬라이드방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와 슬라이더 사이를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고 은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본체에 대해 슬라이더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모듈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rtable and is widely used as one of personal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on the move. 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wireless communication, multimedia playback such as music and video,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ap search, etc. to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In order to implement such various functions, it is advantageo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have a large LCD screen. For this purpo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folder method and a slide method have become mainstream in recent years. Here,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lidably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by the slide module has a structure that the keypad is exposed and concealed as the user slides the sli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ne example of a slide module that allows the slider to slid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illustrated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모듈(10)은 가이드 부재(11)와, 가이드 부재(11)에 의해 안내를 받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이동 부재(12), 및 일단부가 가이드 부재(1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이동 부재(12)에 고정되게 각각 설치되어 이동 부재(1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 부재(13)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1)는 단말기에 구비된 슬라이더 배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동 부재(12)는 단말기에 구비된 본체 전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본체에 대해 슬라이더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모듈(10)은, 가이드 부재(11)와 이동 부재(12)가 일단 제조된 이후에는 상하 이동 궤적을 조정할 수 없을뿐더러 좌우 폭을 조정할 수가 없으므로, 범용화가 힘든 측면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1)가 슬라이더의 배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한편, 이동 부재(12)가 본체의 전면 상당 부분에 걸쳐 설치됨에 따라, 체결 위치를 피하여 부품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설계상 제약이 많아지게 된다. 게다가, 슬라이드 모듈(1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만큼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슬림화 구현에 한계 요인이 된다. However, in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규격에 맞게 상하 이동 궤적과 좌우 폭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어 범용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본체에 대해 슬라이더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vertical movement trajectory and left and right width to meet the various specific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only can be used in general, but also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contribute to slimming of a terminal and can slide a slider semi-automatically with respect to a main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 슬라이더를 구비한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배 면 좌우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개구된 공간이 각각 형성된 제1,2 베이스 부재; 상기 제1,2 베이스 부재의 각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하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2 이동 부재; 상기 제1,2 이동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2 베이스 부재의 각 개구된 부위에 설치되며, 중앙에 상하를 따라 홀이 형성된 제1,2 커버 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2 이동 부재와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2 이동 부재가 각각 이동함에 따라 수축 및 탄성 복원되는 제1,2 길이가변 유닛을 구비한다. A slide module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ain body and a slider which can slid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rear opening spac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inserted into respectiv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to be movable up and down,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installed at respective open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from being separated, and having holes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lengths of which one side is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lengths are contracted and elastically restored as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move. It is provided with a variable unit.
여기서, 상기 제1,2 길이가변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1,2 이동 부재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2 회동 부재; 상기 제1,2 회동 부재에 대해 각각 직선 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2 왕복 부재; 및 상기 제1 회동 부재와 제1 왕복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회동 부재와 제2 왕복 부재 사이에서 각각 상기 제1,2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에 따라 인장 및 복원되게 설치된 제1,2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length unit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reciprocating member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members so as to linearly move, respectively, and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first reciprocating member and between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reciprocating member to be tensioned and restored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채용된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2 illustrate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a sli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본체(21)와, 본체(21)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슬라이더(26)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lide type
본체(21)에는 키패드(22)가 마련되는데, 키패드(22)는 본체(21)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면 슬라이더(26)의 이동 위치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고 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6) 전방에는 액정화면(27)이 마련되는데, 액정화면(27)은 키패드(22)가 본체(21)에 마련됨에 따라 슬라이더(26)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비교적 큰 화면을 제공하게 한다. The
이러한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20)는 사용자가 슬라이더(26)를 본체(21)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본체(21)와 슬라이더(26) 사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이 마련된다. The slide-type
슬라이드 모듈(100)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제1 베이스 부재측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라이드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26)의 배면 좌우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 배치되는 제1 베이스 부재(110) 및 제2 베이스 부재(160)를 구비한다. 제1 베이스 부재(110)는 상하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베이스 부재(160) 또한 제1 베이스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제1,2 베이스 부재(110)(160)는 별개로 마련됨에 따라, 이들 사이의 좌우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슬라이더(26)의 배면 좌우에 각각 고정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의 좌우 폭이 달라지더라도 적절히 조정 설치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20)가 좌우 폭이 다른 다양한 규격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3 and 4, the
제1 베이스 부재(110)의 공간 내에는 제1 이동 부재(120)가 삽입되며, 제1 이동 부재(120)는 제1 베이스 부재(110)의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베이스 부재(110)의 개구된 부위에는 제1 이동 부재(120)가 제1 베이스 부재(110)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커버 부재(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커버 부재(13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편(131)들이 제1 베이스 부재(110)로 돌출 형성되며, 각 고정 편(131)은 제1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고정 홈(111)에 끼워짐으로써, 제1 커버 부재(130)가 제1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0)의 중앙에는 상하를 따라 홀(132)이 형성되는데, 이 홀(132)은 제1 이동 부재(12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힌지 축(121)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The first moving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베이스 부재(160)의 공간 내에는 제2 이동 부재(170)가 삽입되며, 제2 이동 부재(170)는 제2 베이스 부재(160)의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베이스 부재(160)의 개구된 부위에는 제2 이동 부재(170)가 제2 베이스 부재(160)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커버 부재(18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커버 부재(180)와 제2 베이스 부재(160) 사이의 고정 결합은 제1 커버 부재(130)와 제1 베이스 부재(110) 사이의 고정 결합 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부재(180)의 중앙에는 상하를 따라 홀(182)이 형성되며, 이 홀(182)은 제2 이동 부재(17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힌지 축(171)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Similarly, the second moving
제1 이동 부재(120)와 도 2에 도시된 본체(21) 사이에는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이 마련된다.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은 제1 이동 부재(120)를 제1 베이스 부재(110)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한편, 소위 반자동으로 제1 이동 부재(120)가 제1 베이스 부재(110)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은 일측이 제1 이동 부재(120)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2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제1 이동 부재(120)가 이동함에 따라 수축 및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 일 예로서,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부재(120)와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 부재(141)와, 제1 회동 부재(141)에 대해 직선 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본체(2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왕복 부재(145), 및 제1 회동 부재(141)와 제1 왕복 부재(145) 사이에서 제1 이동 부재(1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인장 및 복원되게 설치된 제1 탄성 부재(149)를 구비한다. The first length
제1 왕복 부재(145)에는 제1 회동 부재(141) 측으로 돌기(145a)가 돌출 형성되며, 제1 회동 부재(141)에는 제1 왕복 부재(145)의 돌기(145a)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홀(1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홀(141a)의 제1 이동 부재(120)에 가까운 부위는 돌기(145a)가 삽입될 수 있게 돌기(145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나머지 부위는 돌기(145a)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된 부위 내에 끼워지도록 돌기 (145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 회동 부재(141)에 대한 제1 왕복 부재(145)의 직선 운동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동 부재(141)와 제1 왕복 부재(145) 사이의 결합 구조는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제1 탄성 부재(149)로는 한 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일단부가 제1 왕복 부재(14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 회동 부재(141)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제1 왕복 부재(145)의 제1 회동 부재(141)를 향한 단부에 고정 걸이부(146)가 형성되며, 또한 제1 회동 부재(141)의 제1 왕복 부재(145)를 향한 단부에 고정 걸이부(1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장 코일 스프링로 이루어진 제1 탄성 부재(149)는 제1 회동 부재(141)와 제1 왕복 부재(145)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한편, 제1 이동 부재(1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1 왕복 부재(145)가 제1 회동 부재(14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이 수축을 하게 되면 인장되고, 제1 왕복 부재(145)가 제1 회동 부재(14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 길이가변 유닛(14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복원됨으로써, 반자동으로 제1 이동 부재(120)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tension coil springs are used as the first
제2 이동 부재(170)와 도 2에 도시된 본체(21) 사이에는 제2 길이가변 유닛(190)이 마련된다. 제2 길이가변 유닛(190)은 제1 길이가변 유닛(14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길이가변 유닛(190)은 제2 이동 부재(170)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 부재(191)와, 제2 회동 부재(191)에 대해 직선 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본체(2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왕복 부재(195), 및 제2 회동 부재(191)와 제2 왕복 부재(195) 사이에서 제2 이동 부재(17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인장 및 복원되게 설치된 제2 탄성 부재(199)를 구비한다. A second length
제2 왕복 부재(195)에는 전술한 제1 왕복 부재(145)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회동 부재(191) 측으로 돌기(195a)가 돌출 형성되며, 제2 회동 부재(191)에는 제2 왕복 부재(195)의 돌기(195a)가 끼워지며 돌기(195a)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홀(191a)이 형성됨으로써, 제2 회동 부재(191)에 대한 제2 왕복 부재(195)의 직선 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99)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일단부가 제2 왕복 부재(195)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회동 부재(191)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제2 왕복 부재(195)의 제2 회동 부재(191)를 향한 단부에 고정 걸이부(196)가 형성되며, 또한 제2 회동 부재(191)의 제2 왕복 부재(195)를 향한 단부에 고정 걸이부(192)가 형성된다. Like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가변 유닛(140), 즉 제1 회동 부재(141)의 단부에 마련된 축 홀(143)에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이동 부재(12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힌지 축(121)들이 배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 축(121)들은 제1 회동 부재(141)와 제1 이동 부재(120) 사이의 힌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본체(21)에 대한 슬라이더(26)의 상하 이동 궤적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20)에 있어 슬라이더(25)의 상하 이동 궤적이 달라지더라도 적절히 조정 설치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20)가 상하 이동 궤적이 다른 다양한 규격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길이가변 유닛(190) 즉, 제2 회동 부재(191)의 단부에 마련된 축 홀(193)에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이동 부재(170)에도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힌지 축(171)들이 배열 형성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mov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모듈(100)에 대한 작동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2 베이스 부재(110)(160)의 최상측에 제1,2 이동 부재(120)(170)가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더(26)가 본체(21)에 완전히 겹쳐져 키패드(22)를 은폐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 베이스 부재(110)(160)가 고정된 슬라이더(26)를 본체(21)에 대해 제1,2 길이가변 유닛(140)(190)을 매개로 제1,2 이동 부재(120)(170)가 고정된 본체(21)에 대해 상방으로 점차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방으로 제1,2 베이스 부재(110)(160)가 제1,2 이동 부재(120)(170)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 왕복 부재(145)(195)는 제1,2 회동 부재(141)(191)의 내측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고 제1,2 탄성 부재(149)(199)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and second moving
계속하여 제1,2 베이스 부재(110)(160)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길이가변 유닛(140)(190)이 수평으로 위치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면, 제1,2 탄성 부재(149)(199)는 최대로 탄성 변형을 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1,2 탄성 부재(149)(199) 간에는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first and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6)를 조금만 더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힘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1,2 탄성 부재(149)(199)에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더(26)를 슬라이딩시키려는 상방으로 제1,2 베이스 부재(110)(160)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26)가 본체(21)로부터 반자동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과정들을 반대로 수행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된 슬라이더(26)가 본체(21)에 대해 반자동으로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In this state, sliding the slider 26 a little further upward causes the balance of force to be broken. Accordingly, a restoring force acts on the first and seco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규격에 맞게 상하 이동 궤적과 좌우 폭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개발에 따른 개발비를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재고자재에 대한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이를 채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movement trajectory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can be adjusted and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standard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general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development cost due to new development, but also to reduce the burden on existing inventory material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ha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the slimm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i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0543A KR20070068666A (en) | 2005-12-27 | 2005-12-27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0543A KR20070068666A (en) | 2005-12-27 | 2005-12-27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8666A true KR20070068666A (en) | 2007-07-02 |
Family
ID=3850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0543A Withdrawn KR20070068666A (en) | 2005-12-27 | 2005-12-27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866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3405A2 (en) * | 2008-03-31 | 2009-10-08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ed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units |
KR101019679B1 (en) * | 2008-11-17 | 2011-03-07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Hinge Modules for Mobile Phones |
-
2005
- 2005-12-27 KR KR1020050130543A patent/KR2007006866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23405A2 (en) * | 2008-03-31 | 2009-10-08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ed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units |
WO2009123405A3 (en) * | 2008-03-31 | 2009-11-26 |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ed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units |
KR200449394Y1 (en) * | 2008-03-31 | 2010-07-07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Switchgear used in portable devices with two units that slide to each other |
CN101981816A (en) * | 2008-03-31 | 2011-02-23 | 安费诺凤凰株式会社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ed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units |
KR101019679B1 (en) * | 2008-11-17 | 2011-03-07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Slide Hinge Modules for Mobile Phon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0416B2 (en) |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7184806B2 (en) |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US7450979B2 (en) |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10062602A (en) | Cas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module | |
KR100735304B1 (en) | Slid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866945B1 (en) | Hinge module of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same | |
KR20070068666A (en) | Slid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73452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899741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967232B1 (en) |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100998879B1 (en) | Hinge module | |
JP2010103998A (en) |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with built-in keypad | |
KR20100056862A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965177B1 (en) | Slide module of a mobile terminal | |
KR101052609B1 (en) | Hinge module of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20100098935A (en) | Sliding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54601Y1 (en) | Elastic Link Modules for Mobile Devices | |
KR100986776B1 (en) | Sliding typ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 |
KR101001218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slide folder | |
KR101008701B1 (en) | Sliding Devices for Mobile Devices | |
KR20120003131A (en) | Hinge module of bidirectional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200350570Y1 (en) |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20120028679A (en) |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 |
KR20120136616A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 |
KR20050025560A (en)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