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535A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7535A KR20070067535A KR1020050128888A KR20050128888A KR20070067535A KR 20070067535 A KR20070067535 A KR 20070067535A KR 1020050128888 A KR1020050128888 A KR 1020050128888A KR 20050128888 A KR20050128888 A KR 20050128888A KR 20070067535 A KR20070067535 A KR 20070067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emitting
- transport layer
- injection layer
- type dop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의 주입효율을 향상시키고, 구동전압을 낮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harge injection efficiency and lowering driving voltage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device.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 상에 위치하는 N형 도펀트가 혼합된 가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 상기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P형 도펀트가 혼합된 정공수송층 또는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정공수송층 또는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애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 cathode locat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made of a soluble material mixed with an N-type dopant disposed on the cathode; A light emitting layer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or a hole injection layer mixed with a P-type dopant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n anode position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or the hole injection lay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Symbols in Drawings>
100 : 기판 110 : 캐소드100: substrate 110: cathode
120 : 전자수송층 130 : 발광층120: electron transport layer 130: light emitting layer
140 : 전공주입층 150 : 애노드140: major injection layer 150: anode
본 발명은 캐소드와 상부의 유기박막의 계면특성을 향상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캐소드 상에 가용성물질로 이루어진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여 캐소드와의 계면특성을 향상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the device by improving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cathode and the organic thin film of the upper,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n electron transport layer made of a soluble material on the cath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by improving the interfacial properties with.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ron)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 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jects electrons and holes from an electron injection electrode and a hole injection electrode into an emission layer, respectively. ) Is a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an exciton combined with a hole falls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이러한 원리로 인해 종래의 액정 박막 표시 소자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소자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다.Due to this principle, unlike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thin film display device, since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require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device.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또는 절연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캐소드(1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캐소드(110)는 Al, Ag, Mg, Ca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이어서, 상기 캐소드(110) 상에 전자수송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수송층(120) 상에 발광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층(130) 상에 정공주입층(140)을 형성하고, 상기 정공주입층(140) 상에 애노드(15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인버트(inverted)유기전계발광소자를 완성한다.Subsequently, a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인버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하부의 캐소드가 Al, Ag, Mg, Ca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박막의 표면 러프니스(roughness)가 크며, 증착법으로 형성된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인 유기물 박막과 무기전극간의 물성 차이로 인하여 계면에서의 접촉 특성이 감소된다. 이로 인한 전자의 주입효율 이 저하된다. 또한, 구동전압이 높아져 소자의 발광 효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vert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l, Ag, Mg, Ca or alloys of the lower cathod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hin film (roughness) is large, the organic material of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r electron transport layer formed by the deposition method. Due to the difference in properties between the thin film and the inorganic electrode, the contact characteristics at the interface are reduced. This decreases the injection efficiency of electrons.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device is reduced due to the high driving volta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하의 주입효율을 향상시키고, 구동전압을 낮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harge injection, and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device by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There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 상에 위치하는 N형 도펀트가 혼합된 가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 상기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P형 도펀트가 혼합된 정공수송층 또는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정공수송층 또는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애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 cathode located on the substrat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made of a soluble material mixed with an N-type dopant disposed on the cathode; A light emitting layer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or a hole injection layer mixed with a P-type dopant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n anode position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or the hole injection lay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s of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etc.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판(20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200)은 플라스틱 또는 절연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상기 기판(200) 상에 캐소드(210)을 형성한다. 상기 캐소드(210)는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의 금속으로 Mg, Ca, Al, 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캐소드(210)는 배면발광의 경우에 빛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의 얇은 두께의 투과전극으로 형성하고, 전면발광구조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운 반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어서, 상기 캐소드(210) 상에 N형 도펀트가 혼합된 전자수송층(220)을 형성한다. 상기 전자수송층(220)은 가용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PBD, TAZ, spiro-PBD와 같은 고분자재료 또는 Alq3, BAlq, SAlq와 같은 저분자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an
상기 전자수송층(220)은 Alq3, PBD, Bebq2, TAZ 및 MEPHP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과 N형 도펀트물질 즉, Cs, CsF, Ca, CaF 또는 Li이 포함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상기 Alq3, PBD, Bebq2, TAZ 및 MEPHP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대비 1 ~ 7wt% 정도로 용매에 넣어 한꺼번에 녹인다. 이때 제작된 용액의 농도는 약 1 ~ 3 wt%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상기 제작된 용액을 스핀코팅법으로 상기 캐소드(210) 상에 형성한다. The
상기 전자수송층(220)에 N형 도펀트를 혼합하면, 전자수송층 내에 전자가 많아져 주입장벽이 낮아지므로 전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져 저 전압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핀코팅법으로 형성해줌으로써, 금속과의 계면에서의 접촉특성을 높일 수 있어 전자주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N-type dopant is mixed with the
이후에, 상기 전자수송층(220) 상에 발광층(230)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층(230)은 인광발광층 또는 형광발광층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230)이 형광발광층인 경우, 상기 발광층(240)은 Alq3(8-trishydroxyquinoline aluminum), 디스티릴아릴렌(distyrylarylene; DSA), 디스티릴아릴렌 유도체, 디스티릴벤젠(distyrylbenzene; DSB),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DPVBi(4,4'-bis(2,2'-diphenyl vinyl) -1,1'-biphenyl), DPVBi 유도체, 스파이로-DPVBi 및 스파이로-6P(spiro-sixphen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발광층(230)은 스티릴아민(styrylamine)계, 페릴렌(pherylene)계 및 DSBP (distyrylbiphenyl)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도펀트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와는 달리, 상기 발광층(230)이 인광발광층인 경우, 상기 발광층(230)은 호스트 물질로서 아릴아민계, 카바졸계 및 스피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 물질은 CBP(4,4 -N,N dicarbazole- biphenyl), CBP 유도체, mCP(N,N -dicarbazolyl-3,5-benzene) mCP 유도체 및 스피로계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발광층(230)은 도펀트 물질로서 Ir, Pt, Tb, 및 E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중심 금속을 갖는 인광유기금속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기 인광유기금속착제는 PQIr, PQIr(acac), PQ2Ir(acac), PIQIr(acac) 및 PtOEP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풀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경우, 상기 발광층(230)을 형성하는 것은 고정세 마스크를 사용한 진공증착법, 잉크젯 프린트법 또는 레이저 열전사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이어서, 상기 발광층(230) 상에 P형 도펀트가 혼합된 정공주입층(240)을 형성한다. 상기 정공주입층(240)은 발광층으로의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층으로서, CuPc(cupper phthalocyanine), TNATA, TCTA, TDAPB, TDATA와 같은 저분자재료 또는 PANI(polyaniline),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와 같은 고분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Subsequently, a
상기 정공주입층(240)은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또는 잉크-젯(ink-jet)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정공주입층(240)은 TCNQ, SbCl5, TNAP, FeCl3 또는 F4-TCNQ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P형 도펀트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240)에 도펀트물질을 혼합하는 방법은 공증착(Co-depos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정공주입층(240)을 이루는 물질을 호스트로 사용하고, 상기 P형 도펀트를 상기 호스트 물질 대비 10:1의 비율로 공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정공주입층(240)에 P형 도펀트를 혼합하면, 정공주입층 내에 정공이 많아져 주입장벽이 낮아지므로 정공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져 저 전압구동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type dopant is mixed with the
이후에, 상기 정공주입층(240) 상에 애노드(250)를 형성한다. 상기 애노드 (250)는 일함수가 높은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 doped oxide), SnOx, ZnOx(Zinc oxide), MginOx(Magnesium-indium oxide), CdSnO(Cadmium-tin oxide), VOx(Vanadium oxide), MoOx(Molybdenium oxide), RuOx(Ruthenium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으로는 Au, Ag, Ni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reafter, an
상기 애노드(250)는 스퍼터링(sputtering)법 및 증발(evaporation)법과 같은 기상증착(vapor phase deposition)법, 이온 빔 증착(ion beam deopsition)법, 전자 빔 증착(electron beam deposition)법 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인버트(Inverted)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220)에 N형 도펀트를 혼합하면, 전자수송층 내에 전자가 많아져 주입장벽이 낮아지므로 전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져 저 전압구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정공주입층(240)에 P형 도펀트를 혼합하면, 정공주입층 내에 정공이 많아져 주입장벽이 낮아지므로 정공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져 저 전압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캐소드 상에 상기 전자수송층(220)을 스핀코팅법으로 형성해줌으로써, 금속과의 계면에서의 접촉특성을 높일 수 있어 전자의 주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verted structure, when the N-type dopant is mixed with th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하의 주입효율을 향상시키고, 구동전압을 낮춰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harge injection efficiency and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to improve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8888A KR100796588B1 (en) | 2005-12-23 | 2005-12-23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8888A KR100796588B1 (en) | 2005-12-23 | 2005-12-23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7535A true KR20070067535A (en) | 2007-06-28 |
KR100796588B1 KR100796588B1 (en) | 2008-01-21 |
Family
ID=3836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8888A KR100796588B1 (en) | 2005-12-23 | 2005-12-23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658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7449A (en) * | 2012-04-17 | 2013-10-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Novel compoun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1443216B1 (en) * | 2007-09-05 | 2014-09-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photore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04335379A (en) * | 2012-05-31 | 2015-02-04 | 株式会社Lg化学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CN113725376A (en) * | 2021-08-30 | 2021-11-30 |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70171A (en) * | 1997-01-27 | 1998-10-09 | Junji Kido |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
JPH11251067A (en) * | 1998-03-02 | 1999-09-17 | Junji Kido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KR100652352B1 (en) * | 2004-05-10 | 2006-12-01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5
- 2005-12-23 KR KR1020050128888A patent/KR10079658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3216B1 (en) * | 2007-09-05 | 2014-09-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photore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30117449A (en) * | 2012-04-17 | 2013-10-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Novel compoun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CN104335379A (en) * | 2012-05-31 | 2015-02-04 | 株式会社Lg化学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CN104335379B (en) * | 2012-05-31 | 2016-12-21 | 乐金显示有限公司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the display comprising this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luminaire |
CN113725376A (en) * | 2021-08-30 | 2021-11-30 |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6588B1 (en) | 2008-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15874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4629715B2 (en) | OLED element | |
JP5624459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
US20060033115A1 (en) | Transparent, thermally stable light-emitting component comprising organic layers | |
KR100730190B1 (en) |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WO2011010696A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 |
JP2005072012A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CN111403438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KR20090083275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JP200901633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JP5054737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
JP2007134693A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 |
JP5624932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00072644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 |
KR10208172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721571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1222027B (en) | A kind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0752383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41098B1 (en) |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20090092051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KR20160082895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79658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835988B1 (en) | OLED element | |
KR10070049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KR10070065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