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056A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Google Patents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7056A KR20070067056A KR1020070056690A KR20070056690A KR20070067056A KR 20070067056 A KR20070067056 A KR 20070067056A KR 1020070056690 A KR1020070056690 A KR 1020070056690A KR 20070056690 A KR20070056690 A KR 20070056690A KR 20070067056 A KR20070067056 A KR 20070067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user
- time
- web page
- data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06F16/148—File search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06F16/156—Query results 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clue data)를 검색하는 표지 데이터 검색기,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 중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이웃 데이터 검색기(neighbor data search module)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and a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data retrieval device for retrieving at least one or more cover data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put from a user. And a neighbor data search module that provides a search result for at least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cover data among the at least one or more label data.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3 illustrates a data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캡쳐한 도면.FIG. 4 is a diagram of a screen outputting cover data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put from a user in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5 illustrates a data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접근된 데이터에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ssigning an incremented data identifier to data ac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data search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웃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providing a neighbor data search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표지 데이터 검색기(clue data search module)101: cover data search module
102: 이웃 데이터 검색기(neighbor data search module)102: neighbor data search module
103: 데이터베이스(database)103: database
104: 실시간 색인기(real-time indexer)104: real-time indexer
105: 초기 색인기(early-stage indexer)105: early-stage indexer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를 검색하고, 선택된 표지 데이터가 접근된 최종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search for cover data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put from a user, and to search for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time that the selected cover data is acce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오늘날,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 상의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웹 검색 서비스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웹 검색 서비스는 웹 로봇을 이용하여 웹의 하이퍼텍스트(hypertext) 구조를 자동적으로 추적하여 참조되는 문서들을 재귀적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문서들을 색인한다. 사용자는 웹 검색 서비스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웹 문서 등의 정보를 색인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web search services are becoming more common to effectively manage vast amounts of data on the Internet. The web search service automatically tracks the hypertext structure of the web using a web robot to recursively search the referenced documents and index the searched documents. A user can access a web search service site through the Internet and enter a keyword to search for information such as a web document desired by the user in an indexed database.
또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notebook) 등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저장공간이 크게 늘어나고, 수많은 문서, 그림, 메일, 메신저 대화내용, 동영상 또는 음악 등을 담은 파일이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 등의 저장공간에 저 장됨에 따라 웹 검색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 내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로컬 컴퓨터 검색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of personal computers such as desktops and notebooks is greatly increased, and file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documents, pictures, mails, instant messages, videos, or music are stored on the desktops or laptops. Storage in storage has created the need for local computer searches not only for web searches but also for data in desktops and laptops.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의 사용자가 영화 "아일랜드"에 관한 감상평을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몇 년 후에 자신의 컴퓨터 내 어딘가에 저장된 "아일랜드" 감상평을 찾기 위해서는 그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및 파일명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문서 등의 파일에 대해 그 디렉토리와 파일명을 기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For example, if a user of a desktop computer writes a review about a movie "Ireland" using a word processor, and a few years later, to find an "Ireland" review somewhere stored on his computer, the directory and file name where the file is stored must be You must remember. However,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member the directory and file name for all documents and the like.
파일을 저장해 둔 디렉토리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파일명이나 파일 내용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알고 있다면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등이 제공하는 파일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운영체제 등이 제공하는 파일 찾기 능력(capability)은 색인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컴퓨터 내의 정보를 검색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하드디스크 등 컴퓨터 내 저장공간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검색 대상 파일의 수가 많아져 이러한 불편함은 점점 더 가중되어 왔다.Even if you don't remember the directory where you saved the file, if you know the file name or the string included in the file content, you can find the file you want by using the file search function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OS). However, the file search capability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does not use the indexing function, and thus searches for information in the user's computer, which takes a long time and increases the storage space of the computer such as a hard disk. As the number of files increases, this inconvenience has increased.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데스크톱 검색(desktop search)" 서비스가 소개되었다. "데스크톱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가 데스크바(deskbar), 툴바(toolbar) 또는 웹 브라우저 창을 통하여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워드와 관련된 사용자 컴퓨터 내의 정보를 검색해준다. 데스크톱 검색은 사용자 컴퓨터 내의 정보를 검색 대상으로 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고, 파일, 이메일 및 즐겨찾기 등을 수동으로 정리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a "desktop search" service has been introduced. The "desktop search" service searches for information in the user's computer related to the entered keyword when the user enters the keyword through the deskbar, toolbar or web browser window. Desktop Search makes it easy to find what you're looking for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your computer, saving you the hassle of manually organizing your files, emails, and favorites.
그러나, 기존의 "데스크톱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 컴퓨터 내의 키워드 검색 결과만 제공 할 뿐, 사용자의 접근 순서에 따른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작업했던 파일에 대한 파일명, 저장 위치, 관련 키워드에 대해 기억하지 못하지만, 그 파일을 작업하던 시점에 같이 사용한 문서 데이터에 대한 키워드를 기억하는 경우, 기존의 "데스크톱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desktop search" service only provides keyword search results in the user's computer, and does not provide data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user's access order. That is, if you can't remember the file name, storage location, and related keywords for a file you've worked with, but remember keywords for document data you've used at the time you worked on the file, the existing "Desktop Search" service Ha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a search result for the data to fin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일할일목록"의 데이터를 변경하다가, "네이버-김혜수 이제는"의 웹 페이지를 방문하여 기사를 읽은 후, 상기 기사에 링크되어 있는 "네이버 -한가인의 팬 까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고, "한가인"이 마음이 들었으나 누구인지 잘 모르는 상태여서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가인"의 이름 또는 "한가인과 관련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면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다. For example, if a user changes the data in "Tomorrow To Do", visits the web page of "Naver-Kim Hye-Soo Now," reads the article, and then clicks on the "Naver-Han's Fan Cafe" web page. I visited, and I liked "Han-in" but I don't know who I am, so I may not remember my name.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no way to find "Naver-Han-ga-in's fan cafe"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name of "han-ga-in" or "contents related to the han-ga-in".
실제로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소정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내용인 경우 이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보다는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전후의 시간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한 전후의 시간에 접근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fact,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access certain data or visit a web page, when the data or the content of the web page is new content that is not encountered,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data or the web is accessed rather than remembering it correctly. In many cases, the data accessed in the time before and after visiting the page or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visited web page are often stor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cannot provide a search result for new data that the user cannot remember.
즉, 사용자가 과거에 접근했었던 데이터이지만,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그 어 떤 검색어도 기억할 수 없고, 다만 상기 데이터에 접근하였던 시간의 전후에 접근하였던 다른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That is, if the user has accessed data in the past, but cannot remember any search words related to the data, but knows a search method for other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access to the data, No way has been presented to retrieve the data.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내용이어서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전후의 시간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한 전후의 시간에 접근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을 기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e data or visits the web page, the data or the content of the web page is new content that the user cannot remember and visits the web page or the time before and after accessing the dat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a search result by accurately searching for data that a user wants to search even if the data included in the web page or the visited web page is accessed.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하므로, 저장된 데이터 및 웹 페이지 주소에 포함된 키워드를 동시에 검색하여 표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address of th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a data retrieval method that can search the cover data by searching the stored data and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web page address at the same time an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최소의 메모리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접근한 데이터 및 웹 페이지를 순서대로 색인 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indexing data and web pages accessed by a user in order while using a minimum memor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크롤링 순서에 따라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색인 작업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는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실 시간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뿐 아니라 실시간 접근된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dentifier increased in the crawl order for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an increased data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data accessed after the end of the index operation in real time index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the data retrieval result before and after the final access time of the real-time accessed data as well as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clue data)를 검색하는 표지 데이터 검색기,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 중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이웃 데이터 검색기(neighbor data search module)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for retrieving at least one or more cover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And a neighboring data search module for providing a search result for at least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label data among the searched at least one label dat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clue data)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 중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data search result to a user includes: searching for at least one cover data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put from the user; Providing search results for at least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marker dat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 데이터베이스(103), 실시간 색인기(104), 초기 색인기(105)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clue data)를 검색한다. 본 발명에서 표지 데이터(clue data)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목적 데이터(target data)를 찾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는 문서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가 포함된다.The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IrD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d / wireless LAN card can be provided, and it is a concept to collectively refer to a terminal having a computing capability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이 때,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데이터베이스(103)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표지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는 키워드(201) 및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202)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201)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데이 터(202)들을 저장할 수도 있고,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별로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database stores a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문서 1"에는 "여름 휴가" 등의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키워드 "여름 휴가"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문서1"을 유지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인 경우에는 파일 이름 등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extracts a keyword included in the data, and stores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keyword in a database. For example, "document 1" stored i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keyword such as "summer vacation", and the database holds "document 1" as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summer vacation". If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moving image data, image data, or the lik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file nam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름 휴가"를 키워드로 입력하면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문서 1"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한다. The
상기 검색 결과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파일명, 사용자 단말기 내의 위치 정보, 최종 접근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근 시간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 시간, 변경한 시간 또는 판독한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arch result may include a file name of the searched data, location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last access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access tim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time when the user generates the data, a changed time, or a read time.
또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3)는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징을 통해 방문했던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키워드(301) 및 웹 페이지의 주소(302)를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한 웹 페이지의 주소(302)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301)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When the user accesses a predetermined web page in the user terminal,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http://nextour.co.kr"의 웹 페이지를 방문한 경우,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키워드 "여름 휴가"를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visits a web page of "http://nextour.co.kr" through a user terminal, the keyword "summer vacation" may be extracted by analyzing data included in the web page.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 및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 등을 저장함으로써 생성된다. 복수의 웹 페이지에 동시에 포함되는 키워드가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키워드(301) 및 상기 키워드를 포함한 웹 페이지의 주소(302)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is generated by storing the address of the web page and the keywords extracted by analyzing the data included in the web page. If there are keyword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web pages at the same time, the database may store the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표지 데이터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가 "여름 휴가"인 경우,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주소 "http://nextour.co.kr/" 및 "http://www.naver.com"를 표지 데이터로 검색할 수 있다.The cover data searcher 101 searches the cover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of FIG. 3. For example, when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is "summer vaca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를 출력한 화면을 캡쳐한 도면이다. 4 is a view capturing a screen outputting cover data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put from a user in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검색창(401)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402)을 선택 입력하면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inputs a keyword into a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창(401)에 "여름 휴가"라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키워드에 대응하는 표지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keyword "summer vacation" into the
상기 표지 데이터는 웹 페이지(403)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404)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검색된 표지 데이터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도 4에서 "여름 휴가"라는 키워드에 대응하여 검색된 표지 데이터는 웹 페이지 2개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문서 1개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data may be data regarding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하므로, 저장된 데이터 및 웹 페이지 주소에 포함된 키워드를 동시에 검색하여 표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the cover data can be searched by simultaneously searching the stored data and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web page address.
도 1의 이웃 데이터 검색기(neighbor data search module, 102)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 중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표지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표지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생성, 변경 또는 판독일 수 있고, 표지 데이터가 웹 페이지인 경우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방문일 수 있다.The neighbor
사용자는 도 4의 표지 데이터 검색 결과 출력 화면에서 하나의 표지 데이터를 선택 입력할 수 있고,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가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The user may select and input one cover data on the cover data search result output screen of FIG. 4, and the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에 대한 생성 시간, 변경 시간, 판독 시간 중 최종 시간의 전후에 생성, 변경 또는 판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이다. At least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marker data is at least one or more data generated, changed, or read before and after the final time of creation time, change time, and read time for the selected marker data.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표지 데이터 중 "문서 1"을 선택하는 경우,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사용자가 표지 데이터에 최종 접근한 시간 전후에 접근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때,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문서 1"을 생성하거나, 변경하거나, 판독한 시간 중 최종 시간이고, 최종 시간 전후에 접근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문서 1"에 최종 접근한 시간 전후에 생성하거나, 변경하거나, 판독한 데이터이다. For example, in FIG. 4, when the user selects "Document 1" of the cover data, the
일례로, 사용자가 "2005년 8월 3일 오후 12:15분"에 "문서 1"을 생성하고, 상기 "문서 1"을 표지 데이터로 선택하면 "문서 1"의 최종 접근 시간인 "2005년 8월 3일 오후 12:15분" 전후에 생성되거나, 변경하거나, 판독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지 데이터인 문서 1을 생성, 변경 또는 판독한 시간의 전후에 방문하였던 웹 페이지들도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creates "Document 1" at "12:15 PM on August 3, 2005," and selects "Document 1" as cover data, the last access time of "Document 1" is "2005." 12:15 pm "on or before August 3" Search the generated, changed or read data and output the search results to the user. In addition, web pages visited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generating, changing, or reading the document 1, which is the cover data, may be output as a search result to the use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 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인 웹 페이지에 상기 사용자가 최종 방문했던 시간의 전후에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or more web pages visit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cover data are at least on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user last visited the web page which is the selected cover data. Can be.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05년 8월 3일 오후 12:15분"에 "넥스투어-홍콩 여행" 웹 페이지에 최종 방문하고, 상기 "넥스투어-홍콩 여행"을 표지 데이터로 선택하면 "넥스투어-홍콩 여행"의 최종 접근 시간인 "2005년 8월 3일 오후 12:15분" 전후에 사용자가 방문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지 데이터인 웹 페이지를 방문한 시간의 전후에 생성, 변경, 또는 판독하였던 사용자 단말기의 문서들도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makes a final visit to the "NEXTOUR-HONG KONG TRAVEL" web page at "12:15 PM on August 3, 2005," and selects the "NEXTOUR-HONG KONG TRAVEL" as the cover data, the "NEX Before and after the final approach time of "Tour-Hong Kong Travel" at 12:15 pm on August 3, 2005, th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is searched and the search result is output to the user. In addition, documents of a user terminal that has been generated, changed, or read before and after visiting the web page, which is the cover data, may be output to the user as a search resul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접근한 데이터를 색인하여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의 실시간 색인기(104) 및 초기 색인기(105)는 사용자가 접근한 데이터를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SQL 서버와 같은 상용 데이터베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파일, 데이터 기록 테이블 등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nd provides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cover data, it is necessary to index and store the data accessed by the user. Thus, the real-
먼저, 초기 색인기(105)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상기 데이터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초기 색인기(10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문서들을 색인한다. 한 편, 실시간 색인기(10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 변경, 또는 판독되는 문서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하였던 웹 페이지들을 색인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및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후 접근된 데이터를 따로 색인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색인 과정은 동일 할 수 있고, 하나의 저장 수단에 색인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초기 색인기 및 실시간 색인기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First,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초기 색인기(10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데이터의 위치(501),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502) 및 데이터 식별자(503)를 저장한다. 실시간 색인기(104)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503)를 부여하고, 상기 접근된 데이터의 위치(501),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502) 및 데이터 식별자(503)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data sear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e
또한, 초기 색인기(105)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방문한 웹 페이지 캐시 데이터(visited web page cache data)를 크롤링하여 상기 데이터의 위치 대신 방문한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웹페이지의 방문 시간 및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간 색인기(104)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상기 방문한 웹 페이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 를 부여하고, 상기 방문한 웹 페이지의 주소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 크롤링(crawling)이란, 사용자 단말기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검색 대상의 색인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rawling refers to collecting data distributed and stored in a user terminal and including it as an index of a search target.
이 때,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위치를 별도의 위치 테이블(510)로 유지하고,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502) 및 식별자(503)를 저장하여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을 유지한다.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502)별 식별자(503)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자는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자는 "1"씩 증가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atabase of the data retrieval system maintains the location of the data in a separate location table 510 and stores the
만약, 데이터에 대한 최종 접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경우, 식별자의 정렬 순서에 따라 데이터에 접근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식별자 순 정렬 이외에도 최종 접근 시간 순서대로 데이터 식별자를 정렬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기존에 저장한 정보에 대한 중복 저장을 피하기 위해 최종 접근 순서(502) 및 식별자(503)을 기록하는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을 유지한다. If an identifier that is sequent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final access order for data is sto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the data is accessed according to the sort order of the identifi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sort the data identifiers in order of final access time in addition to the identifier ordering as follow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time-identifier table 520 that records the
이 때,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입력되는 최종 접근 시간(502)의 배열 순서에 따라 세 가지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최종 접근 시간이 순서대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최종 접근 시간(502)과 이에 대응하는 식별자(503)를 그 최종 접근 시간(502)에 관계없이 저장할 수 있는 이진 트리(binary tree)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최종 접근 시간(502)을 이진트리의 노드키(node key)로 사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이진트리는 최종 접근 시간(502) 순으로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time-identifier table 520 may be generated in thre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반면, 데이터에 대한 최종 접근 시간이 순서대로 입력되는 경우,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최종 접근 시간(502)과 이에 대응하는 식별자(503)를 최종 접근 시간(502) 순으로 기록하는 어레이(array)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진트리 구조는 데이터의 정렬 순서가 최종 접근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되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를 검색할 때 연산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상기 어레이 구조는 데이터의 정렬 순서가 최근 접근 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이용되고,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배열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판독하면 되므로 데이터의 검색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al access time for the data is input in order, the time-identifier table 520 is an array that records the
또한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소정의 시점까지 접근된 데이터는 최종 접근 시간(502) 순서가 무작위이나, 상기 시점 이후에 접근된 데이터는 최종 접근 시간(502) 증가순인 혼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시간-식별자 테이블(520)은 상기 시점까지는 이진트리 구조를 유지하다가 상기 시점 이후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어레이 구조로 전환하고, 상기 시점 이후에 갱신되는 데이터는 어레이 구조로 유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ime-identifier table 520 may have a mixed structure in which the data accessed up to a predetermined time point is random in the order of
즉, 본 발명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순서에 따라 시간순으로 순차적 접근이 가능한데, 최종 접근 시간(502)과 이에 대응하는 식별자(503)가 그 최종 접근 시간(502)의 순서에 관계없이 저장된 이진트리 구조에서는 찾고자 하는 최종 접근 시간(502)을 노드키로 갖는 노드를 검색한 후 순차적 트리탐색(traverse)을 통하여 최종 접근 시간 순서에 따른 순차적 접근이 가능하게 되고, 반면 어레이 구조에서는 최종 접근 시간 순서별로 식별자가 정렬되어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한 순차적 접근이 가능하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quential access can be perform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last access time order of data, and the binary access tree in which the
상기와 같은 시간-식별자 테이블의 구조는 최종 접근 시간(502)의 순서대로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배열하느냐의 문제일 뿐, 상기 세가지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더라도 최종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순차적 접근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tructure of the time-identifier table as described above is only a matter of rearranging and arranging the data in the order of the
위치 테이블은 데이터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식별자(503)의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의 위치를 순서대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가 "1"부터 "100"까지 할당되어 기록되는 경우, 상기 위치 테이블은 식별자가 부여되는 데이터의 위치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다. The location table may store the location of the data and record the location of the data in order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따라서,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식별자를 시간-식별자 테이블에서 판독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위치 테이블로부터 판독한다. 이 때, 위치 테이블의 데이터의 위치는 증가되는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되므로, 식별자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식별자가 "1001"인 경우, 상기 식별자는 1001번째로 할당되어 저장되는 식별자이므로, 데이터의 위치는 위치 테이블에서 1001번째로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로 위치 테이블에 순서대로 기록되는 경우, 1001번째로 할당된 식별자에 대응 하는 위치는 위치 테이블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1001-1)*(위치의 크기) 지점에 기록된 데이터이므로, 시간-식별자 테이블의 식별자를 판독하면 이에 대응하는 위치를 위치 테이블에서 판독할 수 있다.Accordingly,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상기 위치가 판독되면, 상기 위치에 기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을 판단한다.When the location is read, the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시간-식별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식별자를 검색한다. 이 때, 같은 시간에 접근된 데이터가 복수개이면 복수개의 데이터 식별자를 모두 검색한다. 상기 이웃 데이터 검색기는 상기 검색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위치 테이블로부터 판독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설정에 따라 소정 개수의 데이터가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최종 접근 시간을 검색 한 이후에 상기된 시간-식별자 테이블에 대한 순차적 접근 방법을 사용해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인 웹 페이지의 방문 시간의 전후에 방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및 웹 페이지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표지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표지 데이터의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웹 페이지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모두를 검색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database includes both data and web page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both the web page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access time of the cover data and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output as a search result for the selected cover data.
본 발명의 초기 색인기(105)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에 대한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3)에 기록하고,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초기 색인기(105)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 및 웹 페이지 캐시 데이터(visited web page cache data)에 저장된 웹 페이지 방문 기록을 판독하여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방문했던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후에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데이터 또는 방문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색인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실시간 색인기(104)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데이터 또는 방문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색인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색인기(104)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상기 방문한 접근한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에 대하여 1씩 증가한 값을 데이터 식별자로 부여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visited web page is stored in the database, but after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for the data accessed by the user or visited web page The information needs to be indexed in real time. By such a need, the real-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시간 범위를 입력받고, 도 5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검색 시간 범위에 최종 접근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arch time range from a user, and searches and provides data that is finally approached to the search time range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of FIG. 5.
이 때,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시간 범위를 입 력받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검색 시간 범위에 최종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최종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생성 시간, 변경 시간 또는 판독 시간 중 최종 시간에 생성, 변경 또는 판독된 데이터이다.At this time,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retrieval time range from a user, and retrieves at least one or more data which has been finally approached to the input retrieval time range by referring to a database. The at least one last accessed data is data created, changed or read at the final time of creation, change or read time for the data.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 시간 범위로 "2005년 8월 8일 20시"부터 "2005년 8월 8일 22시"를 입력하면,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도 5의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식별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검색 시간 범위인 "2005년 8월 8일 20시" 이후의 가장 빠른 시점에 최종 접근된 데이터의 식별자와 "2005년 8월 8일 22시" 이전의 가장 늦은 시점에 최종 접근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판독한다. 상기 데이터 식별자가 판독되면, 이웃데이터 검색기를 통해 두 데이터 식별자의 최종 접근 시간 사이에 최종 접근한 데이터들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or example, if a user enters a search time range of "August 8, 2005 20:00" to "August 8, 2005 22:00," the data retrieval system refers to the time-identifier table of the database of FIG. Identifier of the data that was last accessed at the earliest time after the entered search time range of "August 8, 2005, 20:00" and the last accessed data before "August 8, 2005, 22:00". Read the identifier of. When the data identifier is read, the identifiers of the last accessed data are sequentially read between the last access time of the two data identifiers through the neighbor data searcher to read the position of the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ata identifiers, and the data from the position. Read it and generate search results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시간 범위에 최종 접근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데이터와 연관된 키워드를 기억하지 못하고, 접근 시간의 범위만을 기억하는 경우에도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an effect of searching and providing the last accessed data in the search time range input by the user, even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keyword associated with the data and only remembers the access time range. You can retrieve the data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접근된 데이터에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색인기(104)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 증가된 데 이터 식별자를 부여한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ssigning an incremented data identifier to data ac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일할일목록"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변경 또는 판독하면 실시간 색인기(104)는 데이터 식별자 "1001"을 부여하고, 상기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식별자 "1001"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For example, when a user creates, changes, or reads text data called "Tomorrow To Do", the real-
다음 순서로, 사용자가 "문서 1"의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 변경 또는 판독하면, 실시간 색인기(104)는 데이터 식별자 "1002"를 부여하고, 상기 데이터와 연관하여 식별자 "1002"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In the next order, when the user creates, changes or reads the text data of "Document 1", the
다음으로, 사용자가 "네이버뉴스-김혜수 이제는"의 웹 페이지를 방문한 경우, 실시간 색인기(104)는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 "1003"을 부여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와 연관하여 데이터 식별자를 실시간 색인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Next, when the user visits a web page of "Naver News-Kim Hye-Soo Now", the real-
마찬가지로, 다음 순서로 사용자가 "네이버-한가인 팬 카페"의 웹 페이지를 방문한 경우 실시간 색인기(104)는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 "1004"를 부여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한다. Similarly, when a user visits a web page of "Naver-Han Fan Cafe" in the following order, the real-
따라서,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실시간 선택된 표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데이터 식별자 전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일할일목록"의 데이터를 변경하다가, "문서 1"을 생성하고, "네이버-김혜수 이제는"의 웹 페이지를 방문하여 기사를 읽은 후, 상기 기사에 링크되어 있는 "네이버 -한가인의 팬 까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고, "한가인"이 마음이 들었으나 누구인지 잘 모르는 상태여서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changes the data of the "Tomorrow List", creates "Document 1", visits the web page of "Naver-Kim Hye-Soo Now," reads the article, and then links to the "Naver" linked to the article. -You visited Han Ga-in's fan cafe "web page, and you may not remember the name because you liked Hanga-in, but you don't know who it is.
이와 같은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하면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내일할일목록"의 데이터를 변경하다가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를 방문한 사실 또는 "문서 1"을 생성하고, "네이버-김혜수 이제는"의 기사를 보다가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를 방문한 사실만 기억하더라도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was no way to find "Naver-Hangain's fan cafe",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visited "Naver-Hangain's fan cafe" while changing the data of "Tomorrow To-Do List." You can search for "Naver-Han-ga-in's fan cafe" even if you create "Document 1" and look at the article of "Naver-Kim Hye-su Now" and visit "Naver-Han-ga-in's fan cafe".
즉, 사용자는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에 방문하기 전에 작업했던 "문서 1"에 포함된 "여름 휴가"라는 키워드를 기억하고,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의 검색창에 키워드 "여름 휴가"를 입력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remembers the keyword "summer vacation" included in "Document 1" which he worked on before visiting the "Naver-Hanga fan cafe", and the keyword "summer vacation" is displayed in the search box of the
표지 데이터 검색기(1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03)를 참조하여 "문서 1"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지 데이터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4, the cover data searcher 101 outputs information on the data of "Document 1" as a cover data search result by referring to the
사용자가 "문서 1"을 선택하면,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문서 1"의 데이터 식별자 "1002"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데이터 식별자 전후에 저장된 데이터 식별자 "1001", "1003" 및 "1004"에 대응하는 데이터인 "내일할일목록", "네이버-김혜수 이제는",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네이버-김혜수 이제는"에 대한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Document 1",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웃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providing a neighbor data search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문서 1"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 "네이버-김혜수 이제는"(801) 및 "네이버-한가인의 팬까페"(802)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내일할일목록"(803)을 검색하여 출력한다. 이 때,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801, 802)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웹 페이지의 일부 내용, 상기 웹 페이지(801, 802)의 주소, 사용자가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했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한 데이터(803)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 내용,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실제로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소정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내용인 경우 이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보다는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전후의 시간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한 전후의 시간에 접근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을 기억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은 사용자가 후자의 내용만 기억하더라도 찾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fact,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access certain data or visit a web page, when the data or the content of the web page is new content that is not encountered,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data or the web is accessed rather than remembering it correctly. In many cases, the data accessed in the time before and after visiting the page or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visited web page are often remembe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curately searching for the data to be searched even if the user remembers only the latter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접근한 저장된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순서대로 색인 하므로, 최소의 메모리를 사용하면서 접근 데이터를 순서대로 색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dexes the database in order by assigning identifiers to stored data or web pages accessed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ccess data can be indexed in sequence while using a minimum memory.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실시간 색인기(1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크롤링하고, 크롤링한 데이터의 위치(501),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502) 및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503)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초기 색인 작업을 수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l-
예를 들어 실시간 색인기(1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5년 8월 8일 오후 11:12분"에 저장된 "문서 1"에 대하여 데이터 위치 "C:\Document\문서1.txt", 최종 접근 시간 "2005년 8월 8일 오후 11:12분" 및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 "1001"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방문했던 웹 페이지에 대해서도 도 5와 같이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 웹 페이지의 방문 시간 및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data about a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and the address of the visited web page, the visit time of the web page, and the increased number of the visited web page as shown in FIG. Data identifiers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초기 색인 작업 결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의 색인이 종료되면 실시간 색인기(104)는 입력의 성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색인은 일반적으로 최종 접근 시간 순서와는 무관하게 입력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베이스 내부는 이진트리 구조 시간-식별자 테이블을 유지하게 된다. 반면, 실시간 색인은 일반적으로 최종 접근 시간 순서에 따라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모든 데이터가 시간순으로 입력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면 데이터베이스 내부를 성능면에서 뛰어난 어레이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initial indexing operation, when the index of all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terminated, the real-
실시간 색인기(104)는 상기 초기 색인 작업의 완료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사 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접근된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fter completion of the initial indexing operation, the real-
상기와 같이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색인 작업이 완료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실시간 색인기(104)가 접근된 데이터와 연관하여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면 이웃 데이터 검색기(102)는 선택된 표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 식별자가 상기 기준 데이터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The indexing operation for all the stored data is completed and stor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단순히 크롤링 순서에 따라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색인 작업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는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뿐 아니라 실시간 접근된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gives an increased data identifier in the crawl order for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and gives an increased data identifier for data accessed after the end of the indexing operation. By stor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ata search result which is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data accessed in real time as well as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data search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단계(S701)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키워드 또는 상기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함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Referring to FIG. 7,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database in step S701. The database stores the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the address of th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and the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단계(S7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In step S701,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o generate a database.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상기 데이터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을 저장하여 생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방문한 웹 페이지 캐시 데이터(visited web page cache data)를 크롤링하여 상기 방문한 웹 페이지의 주소와 연관하여 상기 방문 시간을 저장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The database is created by crawling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last access time of the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data. The database may be generated by crawling visited web page cac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visit time in association with the address of the visited web page. The databas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단계(S70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접근하거나, 또는 웹 페이지에 방문함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In step S702,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database as the user approaches the user terminal or visits a web page.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접근된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base by assigning a sequentially increased data identifier to the accessed data each time a user accesses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identifier in association with the accessed data. Update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상기 방문한 웹 페이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방문한 웹 페이지의 주소와 연관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In addition,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base by sequentially increasing the data identifier for the visited web page whenever the user visits the web page, and storing the data identifier in association with the address of the visited web page. Update
단계(S703)에서 사용자가 표지 데이터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상기 키워드를 수신하고, 단계(S704)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clue data)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When the user inputs a keyword for the cover data in step S703, the data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keyword, and in step S704,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input from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The above cover data is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표지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 페이지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data may b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a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단계(S705)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공된 표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상기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표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면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In step S705,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rovided cover data, and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election input. The screen providing the cover data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단계(S706)에서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In step S706,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rch result for at least one or more data accessed before and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marker data.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제공된 표지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표지 데이터일 수 있다. The selected cover data may be the cover data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rovided cover data by providing the searched at least one cover data.
상기 접근 시간은 생성 시간, 변경 시간, 판독 시간 중 하나 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access time may be one of a generation time, a change time, and a read time.
만약, 상기 검색된 표지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는 상기 하나의 검색된 표지 데이터일 수 있다.If the searched cover data is one, the selected cover data may be the searched cover data.
또한,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의 전후에 접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인 웹 페이지에 상기 사용자가 최종 방문했던 시간의 전후에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data accessed before or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selected cover data may be at least on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before or after the user last visited the web page which is the selected cover data. .
본 발명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표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데이터 식별자 전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The data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data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abel data with reference to a database and provides a search result for dat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ata identifier before and after the identified data identifier. The screen providing the search resul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따라서 사용자들이 소정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내용인 경우 이를 기억하지 못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전후의 시간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한 전후의 시간에 접근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을 기억하였을 때, 검색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accesses predetermined data or visits a web page, if the data or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are new contents that have not been encountered,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user accesses the data without remembering it or before and after visiting the web page. When the data accessed in the time or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visited web page is memorized,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search result by accurately searching the data to be searched.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순서,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Each step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n FIG. 7, in the reverse order, or simultaneously.
도 7을 통하여 설명한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로컬 컴퓨터 검색 시스템에 관한 실시예들에서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하 생략한다.Content not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may be omitted as it is applicable to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local computer search system.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데이터 검색 시스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7의 데이터 검색 방법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data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and thus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data retrieval system may be applied to the data retrieval method of FIG. 7 as it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data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페이지의 주소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저장하므로, 저장된 데이터 및 웹 페이지 주소에 포함된 키워드를 동시에 검색하여 표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web page visi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cover data by simultaneously searching the stored data and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web page addres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에 방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 접해 보지 못한 새로운 내용이어서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근한 전후의 시간 또는 상기 웹 페이지에 방문한 전후의 시간에 접근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을 기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content that the data or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has not been encounter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data or visits the web page, so that the user does not remember, at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data or the web page Even when the data accessed in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visit or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visited web page are remembered, the user may search the data exactly to search and provide the search resul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접근한 저장된 데이터 또는 방문한 웹 페이지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순서대로 색인 하므로, 최소의 메모리를 사용하면서 접근 데이터를 순서대로 색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dexes the database in order by assigning identifiers to stored data accessed or web pages visited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ccess data can be sequentially indexed using a minimum of memor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단순히 크롤링 순서에 따라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색인 작업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접근된 데이터에 대하여는 증가된 데이터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뿐 아니라 실시간 접근된 데이터의 최종 접근 시간 전후에 접근된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gives an increased data identifier in the crawl order for the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and gives an increased data identifier for the data accessed after the end of the indexing operation. By storing the data, the data search result may be provided before or after the last access time of the data accessed in real time as well as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6690A KR20070067056A (en) | 2007-06-11 | 2007-06-11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6690A KR20070067056A (en) | 2007-06-11 | 2007-06-11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7724A Division KR100797848B1 (en) | 2005-10-17 | 2005-10-17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7056A true KR20070067056A (en) | 2007-06-27 |
Family
ID=3836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6690A Withdrawn KR20070067056A (en) | 2007-06-11 | 2007-06-11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705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00310A (en) * | 2021-02-01 | 2021-05-14 | 天津五八到家货运服务有限公司 | Clu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2007
- 2007-06-11 KR KR1020070056690A patent/KR2007006705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00310A (en) * | 2021-02-01 | 2021-05-14 | 天津五八到家货运服务有限公司 | Clu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76569B2 (en) | Search method and search system | |
JP5186099B2 (en) | Document-based information an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Chirita et al. | Activity based metadata for semantic desktop search | |
US6477528B1 (en) | File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filing system, hierarchical structure display method of fil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in which function thereof is executable | |
US6832350B1 (en) | Organizing and categorizing hypertext document bookmarks by mutual affinity based on predetermined affinity criteria | |
JP4437500B2 (en) | Technology that manages data in association with tag information | |
JP2016181306A (en) | System and method for scoping searches using index keys | |
US20090240686A1 (en) | Thread-based web browsing history | |
US8631097B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a mobile and non-mobile page pair | |
US2013019141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data search on multiple user devices | |
JP2007102786A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to support indexing and searching taxonomy in large scale full text index | |
EP1315103B1 (en) | Fil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and index file creation method and device | |
US7720882B2 (en) | Data file management and search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le attributes | |
US2010029315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phases from text | |
CN101164067B (en) | Methods of and systems for searching by incorporating user-entered information | |
US20150339387A1 (en) | Method of and system for furnishing a user of a client device with a network resource | |
KR10123479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rowsing contents | |
JP2008191982A (en) | Retrieval result output device | |
JP2005056371A (en) |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web retrieval information, and computer software program | |
KR100797848B1 (en)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
KR100672278B1 (en) | Personalized Search Method and Search Server Using Web Browser Favorites List | |
KR20070067056A (en) | Data retrieval method and system using cover data | |
Mashwani et al. | 360 semantic file system: augmented directory navigation for nonhierarchical retrieval of files | |
JPH11282882A (en) | Document management method | |
US20130167006A1 (en) | Wiki-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