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547A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6547A KR20070066547A KR1020050127873A KR20050127873A KR20070066547A KR 20070066547 A KR20070066547 A KR 20070066547A KR 1020050127873 A KR1020050127873 A KR 1020050127873A KR 20050127873 A KR20050127873 A KR 20050127873A KR 20070066547 A KR20070066547 A KR 200700665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mode
- positioning
- communication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에 따라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고,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위치 확인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 위치 확인 단말기, 위치, 확인, 호출 신호, 알림 신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단말기와 통신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통신 단말기
301: 호출 수신부
302: 착신 모드 제어부
303: 알림 신호 출력부
304: 제어부
본 발명은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에 따라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다.
통신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늘 소지하고 다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음을 통해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도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또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도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 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고,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여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된 경우,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위치 확인 단말 장치간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 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호출 수신부;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 모드 제어부; 및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단말기와 통신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확인 단말 장치(110)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단말기(120)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통신 단말기(120)는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확인을 위한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201)에서 위치 확인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출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통신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202)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내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이동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IrDA 모듈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단계(2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단계(204)), 단계(2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일예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착신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특정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수단 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 모듈은 RF 통신 모듈이고,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는 RF 통신 모듈, 마이크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의 RF 통신 모듈은 RF 채널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위치 확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와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통신 단말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300)는 호출 수신부(301), 착신 모드 제어부(302), 알림 신호 출력부(303), 제어부(304)를 포함한다.
호출 수신부(301)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내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이동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착신 모드 제어부(302)는 통신 단말기(300)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한다.
알림 신호 출력부(303)는 출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 모듈은 RF 통신 모듈이고,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는 RF 통신 모듈, 마이크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300)의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의 RF 통신 모듈은 RF 채널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4)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04)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고, 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위치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여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된 경우,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위치 확인 단말 장치간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단말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모듈은(1)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내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이동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 또는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단말기는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고,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수단 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모듈은 RF 통신 모듈이고,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는 RF 통신 모듈, 마이크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의 RF 통신 모듈은 RF 채널을 통해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소정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호출 수신부; 및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 모드인 경우, 상기 진동 또는 상기 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 모드 제어부; 및출력 수단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모듈은(1)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내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RF 모듈,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이동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 또는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단말기는 위치 확인용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고,상기 통신 단말기의 주배터리가 방전 또는 분리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위치 확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7873A KR20070066547A (ko) | 2005-12-22 | 2005-12-22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7873A KR20070066547A (ko) | 2005-12-22 | 2005-12-22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6547A true KR20070066547A (ko) | 2007-06-27 |
Family
ID=3836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7873A KR20070066547A (ko) | 2005-12-22 | 2005-12-22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654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181B1 (ko) * | 2009-12-02 | 2011-06-0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위치 측정 장치 |
-
2005
- 2005-12-22 KR KR1020050127873A patent/KR200700665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181B1 (ko) * | 2009-12-02 | 2011-06-0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위치 측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3454B2 (en) | Wireless hands-free system with silent user signaling | |
KR101305286B1 (ko)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 |
CN102802137B (zh) | 防止通话中断的系统及方法 | |
CN101860626A (zh) | 应用提供方法及移动终端 | |
CN103188372B (zh) | 移动终端的通话方法、系统及移动终端 | |
KR20110053749A (ko) |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 |
US20120021729A1 (en) | Application Audio Announcements Using Wireless Protocols | |
EP2635012B1 (en) | Call waiting in a multi-mode device | |
US20090028071A1 (en) | Voice conference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20050176367A1 (en) | Wireless repeater with diverse communications interface capability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 |
JP3389916B2 (ja) | おやすみモード付き携帯電話端末および方法 | |
JP2005303435A (ja) |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制御方法 | |
JP2005538653A (ja) | 加入者回線用コードレス型無線電話 | |
KR20070066547A (ko) | 위치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 |
US8195135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960043665A (ko) | 셀룰라폰의 유선 겸용 통화 장치 및 그 방법 | |
KR20060117683A (ko) | 착신음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20040039026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종료 공지 시스템 및 방법 | |
CN103763789A (zh) | 可进行三方通话的移动设备与方法 | |
JP3842674B2 (ja) | 電子機器及び携帯電話接続切替方法 | |
KR20060072899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 응답 기능 설정에 따른메신저 제어 방법 | |
TWI565295B (zh) | 可進行三方通話的行動裝置及其方法 | |
KR100778283B1 (ko) | 소정의 스피커 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제어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통신 단말기 | |
KR20050078686A (ko) |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호 착신 알림 방법 | |
KR20040088957A (ko) | 휴대폰의 음성 호 수신모드 변경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