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64215A -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215A
KR20070064215A KR1020060008828A KR20060008828A KR20070064215A KR 20070064215 A KR20070064215 A KR 20070064215A KR 1020060008828 A KR1020060008828 A KR 1020060008828A KR 20060008828 A KR20060008828 A KR 20060008828A KR 20070064215 A KR20070064215 A KR 2007006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ilet seat
water
aberration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화열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엔티시스템
Publication of KR2007006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21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물탱크로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좌대 개폐장치가 회전하여 적절한 속도로 좌대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좌대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좌대가 자동적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다음 용변을 보는 사람에게 위생적이면서 불편함을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100)로, 좌변기 본체(10)에 걸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1); 내부 중앙에 축 삽입구(101)가 관통 형성되는 수납공간(112); 상기 축 삽입구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주기 위한 패킹부재(113);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며 외부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입수구(114)와, 상기 입수구를 통해 들어오는 물을 좌변기 물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구(1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16); 상기 수차에 전달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물의 흐름을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17); 및 상기 수납공간(112) 주위에 적어도 4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04);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 삽입구에 끼워진 수차 축(116a)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1기어(118); 상기 제1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동기어(119); 상기 종동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제2기어(119a)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3기어(121)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120); 및 상기 제2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축 고정부(105); 상기 축고정부 상에 위치되며 회전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1체결부(106)로 이루어지는 본체 (110); 및 상기 본체에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04)에 끼워맞춤되며 수차 및 유도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차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131)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커버(130);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19) 및 회전부재(120)를 보호하며 내측에 제1 기어 및 종동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14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2체결부(142)가 일체로 형성된 제2커버(1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toilet stool by using hydraulic for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로써,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3a는 좌변기시트가 올려 진 상태에서 좌대 개폐장치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3b는 좌변기 시트가 내려진 상태에서 좌대 개폐장치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a의 측면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좌대 개폐장치 101 : 축 삽입구
102,103 : 설치홈 104 : 끼움돌기
116a : 수차축 105, 116b, 119b, 121a : 축 고정부
106 : 지부겸용 제1체결부
110 : 본체 111,151 : 걸림턱
112 : 수납공간 113 : 패킹부재
114 : 입수구 115 : 배출구
116 : 수차 117 : 유도부
118 : 제1기어 119 : 종동기어
119a : 제2기어 120,170 : 회전부재
121 : 제3기어 130 : 제1커버
140 : 제2커버 141 : 축지지부
142 : 지부겸용 제2체결부 150 : 지지부재
152,153 : 보강돌기 160 : 실린더본체
161 : 피스톤 로드 162 : 랙
163,164 : 체크밸브 165 : 바이패스커버
171 : 피니언 180 : 회동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변기의 물탱크로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좌대 개폐장치가 회전하여 적절한 속도로 좌대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좌대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좌대가 자동적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다음 용변을 보는 사람에게 위생적이면서 불편함을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좌변기는 양변기라고도 불리며,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와,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 및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좌대는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위로 열고 사용하거나 내려서 사용하게 된다. 즉, 남성이 소변을 볼 경우에는 좌대가 올려 진 상태로 사용해야 하며, 남성이 대변을 볼 경우나 여성이 사용할 경우에는 좌대를 내린 상태로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좌대는 손으로 올리거나 내려야 함으로 사용하는데 불편하여 좌대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장치들이 다수로 개발되었다.
일예로 발판을 구비하여 발판을 발로 밟게 되면 발판과 연결된 좌판이 위로 올려 지도록 형성한 것들이 개발되었으며, 다른 예로는 좌판의 회동부에 코일스프 링을 내장하여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판이 다시 올려 지도록 형성하나, 좌판의 회동부에 모터를 구비하여 별도로 형성한 전원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좌대가 올려 지도록 하거나 내려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발판을 구비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발판을 발로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코일스프링을 내장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좌판을 내려서 사용하고 일어서게 되면 사용자가 일어서는 것과 동시에 좌판이 올라오게 되어 사용자가 다음 동작을 취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터를 구비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는 고가의 모터를 장착해야 하고 별로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해야하므로 제품의 원가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모터구동버튼을 선택해야 되며, 특히 물이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실에 전기장치가 사용되므로 습기로 인한 누전으로 고장과 위험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와 같은 방법을 해소하기 위하여 좌변기의 물탱크로 유입되는 수압을 이용하여 좌변기의 좌대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대 개폐장치의 본체 내에 수차 및, 상기 수차와 연동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속기어 및 감속기어, 회전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를 통해 들어오는 수압에 의해 상기 수차가 회전됨에 따라 이 회전력은 최종적으로 회전부재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변기의 물을 내릴 경우 자동적으로 좌대가 들어 올려 지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습기로 인한 누전으로 고장과 위험의 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는,
좌변기 본체(10);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20);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30)로 구성되며, 상기 좌대(20)와 좌변기 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대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좌대 개폐장치(100)로,
상기 좌대 개폐장치(100)는 좌변기 본체(10)에 걸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1);
내부 중앙에 축 삽입구(101)가 관통 형성되는 수납공간(112);
상기 축 삽입구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주기 위한 패킹부재(113);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며 외부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입수구(114)와, 상기 입수구를 통해 들어오는 물을 좌변기 물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구(1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116);
상기 수차에 전달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물의 흐름을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17); 및
상기 수납공간(112) 주위에 적어도 4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04);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 삽입구에 끼워진 수차 축(116a)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1기어(118);
상기 제1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동기어(119);
상기 종동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제2기어(119a)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3기어(121)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120); 및
상기 제2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축 고정부(105);
상기 축고정부 상에 위치되며 회전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1체결부(106);
로 이루어지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에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04)에 끼워맞춤되며 수차 및 유도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차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131)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커버(130);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19) 및 회전부재(120)를 보호하며 내측에 제1 기어 및 종동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14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2체결부(142)가 일체로 형성된 제2커버(140);
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 지지부(105,131,141)는 본체와 제1 및 제2커버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제3기어(121)는 수직에 대하여 90° 이상 기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좌변기 본체;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로 구성되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 개폐장치(100')는 좌변기 본체(10)에 걸칠 수 있도록 걸림턱(151)이 형성된 지지부재(150);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면에 수평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위한 실린더본체(160);
상기 실린더본체 내에서 왕복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161)의 일단에 형성되는 랙(162);
상기 랙에 이맞물림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피니언(171)이 형성되며, 상부에 돌기편(172)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회전부재(170);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하기 위한 회동축(180);
상기 피스톤로드(161)가 전진된 상태에서 수전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물탱크로 보내기 위해 상기 실린더본체(160)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160c)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패스커버(165);
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150)의 일면에는 피스톤로드(161)의 처짐 방지 및 회전부재(170)의 회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강돌기(152,153)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실린더본체(160)의 개구부 일측에 피스톤의 후진 시 실린더 내에 있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163)가 설치되고, 이 제1체크밸브 근접 위치에 상기 제1체크밸브의 닫힘과 동시에 실린더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압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체크밸브(164)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앞쪽 부근에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에서 실린더본체(160) 내에 있는 물이 물탱크로 보내기 위한 배수로(16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로써,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제 1커버(130), 회전부재(140), 제2커버(1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1 또는 도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수도관과 연결되는 인입구(114)가 외부에 돌출 형성되고, 이 인입구와 소정을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물탱크(40)와 연결되는 배출구(11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내측에는 원반형상의 수납공간(112)이 형성되고, 중앙에 축 삽입구(1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 삽입구에는 기밀하게 밀폐시켜 주기 위한 패킹부재(113)가 설치된다.
또한, 인입부(114)와 배출구(115)의 사이 내벽에는 설치홈(102,103)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102,103)에는 수차(116)에 전달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물의 흐름을 배출구(115)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17)가 설치된다.
즉, 상기 설치홈(102)에는 스프링(117a)가 설치되고, 다른 설치홈(103)에는 탄성부재(117b)가 설치된다.
상기 수납공간(112)에는 수차 축(116a)과 축고정부(116b)를 가지는 수차(1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차 축(116a)은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삽입구(101)에 끼워지고, 상기 축 삽입구(101)에는 강력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딩 처리한 후, 제1기어(118)를 일체로 고정한다. 여기에서 고정수단을 반드시 접착제로 한정하지 않으며 키(key)를 이용하거나 키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즉 수납공간(112) 주위에 끼움돌기(104)를 형성하여 제1커버(130) 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제1커버(130)는 판형상으로 일측면에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 (132)가 형성되고,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끼움돌기(104)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멍(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의 반대 면에는 수차(116)에 형성된 축 고정부(116b)에 끼워 맞춤되어 상기 수차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축 지지부(131)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기어(118)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동기어(119)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105)가 수납공간 반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축 지지부(105) 상단에 회전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1체결부(10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 지지부(105)에 종동기어(119)의 중앙에 형성된 축 고정부(119b)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종동기어에 형성된 제2기어(119a)에는 회전부재(120)의 일단에 형성된 제3기어(121)가 이 맞물림 된다.
이때, 상기 제3기어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대략 90°정도만 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119)와 회전부재(120)에 형성된 축 고정부(119b,121a)는 제2커버(140) 내측에 형성된 축 지지부(141) 및 축 지지부겸용 제2체결부(142)와 결합된 후 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2커버(140)는 상부와 하부면에 배수구멍(143,143a)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할 경우 곧바로 욕실바닥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100)는 사용자가 좌대를 내린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 일어서서 물을 내리게 되면 수전(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물탱크에 물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전을 통하여 물탱크 내로 물이 공급되는 동안 발생되는 수압을 이용하여 좌대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물탱크에 설치된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면, 수전에 설치된 본체(110)의 인입부(114)를 통하여 물이 들어오게 되고, 이 물의 압에 의해 수차(116)가 회전하게 된다.
이 수차의 회전력은 수차에 형성된 제1기어(118)와 이맞물림된 종동기어(119)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종동기어의 회전력은 이 종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119a)와 이맞물림된 제3기어(121)를 회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이 제3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레버(120)가 서서히 올라감에 따라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편(122)에 의해 좌대(도시하지 않음)가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20)가 어느 정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3기어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 제3기어와 이맞물림된 제2기어(119a), 종동기어(119), 제1기어(118), 수차(116)가 순차적으로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유도부(117)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17b)가 스프링(117a)을 가압하여 수로를 넓히게 되어 물은 자동적으로 배출구 (115)를 통하여 물탱크로 흐르게 된다.
도3a 및 도3b 또는 도4는 본 발명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좌대 개폐장치(100')는 크게 지지부재(150), 실린더본체(160), 피스톤 로드(161)에 형성되는 랙(162)과, 이 랙에 이 맞물림 되어 회전되는 피니언(171)을 갖는 회동부재(17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본체(10)에 걸칠 수 있도록 걸림턱(151)이 직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50a,150b)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좌변기본체(10)에 순간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반대 쪽면에는 일 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수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위한 실린더본체(16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본체(160) 내에는 외부 수전에 의해 전진 동작을 하는 피스톤로드(161)가 설치되고, 이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랙(16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161)는 실린더본체(160)의 선단에 형성된 공기구멍(160a)을 통과 되도록 설치된다. 이 공기통로는 피스톤로드가 외부 수전을 통하여 들어오는 수압에 실린더 내에 압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피스톤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go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본체(160)의 개구부 일 측에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의 후진 시 실린더 내에 있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 크밸브(163)가 설치되고, 이 제1체크밸브 근접 위치에 상기 제1체크밸브의 닫힘과 동시에 실린더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압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체크밸브(164)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앞쪽 부근에 형성된 배수구(160c)를 통해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에서 실린더본체(160) 내에 있는 물을 물탱크로 보내기 위한 바이패스커버(165)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커버 내측에는 상기 실린더본체(160)의 배수구(160c)와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갖는 배수로(16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체크밸브(164)에는 배출호스가(166)가 설치되어 화장실 바닥으로 배출하고, 또 상기 배수로(164)와 물탱크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호스가 설치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163)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본체(160) 개구부 근방에 형성된 통로(160b)를 통해 나사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형성된 랙(162)에 이 맞물림 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피니언(17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돌기편(172)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회전부재(170)가 회동축(1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50)의 일면에는 피스톤로드(161)의 처짐 방지 및 회전부재(170)의 회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강돌기(152,15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100')는 도3a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 시트(20)를 내리게 되면, 도3b와 같이 회전부재(17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 회전부재(17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피니언(171)과 이 맞물림된 랙(162)이 화살표 B방향으로 밀려남에 따라 피스톤로드(161)가 후퇴하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있던 실린더본체(160)는 후퇴되는 피스톤로드(161)의 수압에 의해 개구부 쪽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163)가 차단됨에 따라 물의 공급은 중단되고, 동시에 실린더 본체(160)에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제2체크밸브(164)가 개방되어 실린더 내의 물을 화장실 바닥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일어서게 되면, 수전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의 압력으로 인해 개구부 쪽에 형성된 제1체크밸브(163)가 개방되고,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수압이 피스톤로드(161)를 화살표 B반대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형성된 랙(162)과 이맞물림된 피니언(171)은 랙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회동부재(170)를 서서히 들어 올림으로써, 좌변기 시트는 항상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좌변기 본체와 좌대 사이에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탱크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함과 동시에, 좌대를 다시 올려놓지 않아도 자동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편리하면서 다음의 용변을 보는 사람에게 위생적이면서 불편함을 제거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좌변기 본체;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로 구성되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 개폐장치는 좌변기 본체에 걸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
    내부 중앙에 축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수납공간;
    상기 축 삽입구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주기 위한 패킹부재;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며 외부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를 통해 들어오는 물을 좌변기 물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
    상기 수차에 전달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물의 흐름을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 및
    상기 수납공간 주위에 적어도 4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 삽입구에 끼워진 수차축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제2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3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2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축고정부;
    상기 축고정부 상에 위치되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1체결부;
    로 이루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끼워맞춤되며 수차 및 유도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차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및 회전부재를 보호하며 내측에 제1 기어 및 종동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커버;
    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는 본체와 제1 및 제2커버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제3기어는 회전부재의 수직면에 대하여 90° 이상 기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4. 좌변기 본체;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로 구성되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 개폐장치는 좌변기 본체에 걸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
    내부 중앙에 축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수납공간;
    상기 축 삽입구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주기 위한 패킹부재;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어 통하며 외부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를 통해 들어오는 물을 좌변기 물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로부터 인입되는 수압에 의해 회전되는 수차;
    상기 수차에 전달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적으로 물의 흐름을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 및
    상기 수납공간 주위에 적어도 4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 삽입구에 끼워진 수차축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동작 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제2기어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3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2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축고정부;
    상기 축고정부 상에 위치되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1체결부;
    로 이루어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끼워맞춤되며 수차 및 유도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수차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및 회전부재를 보호하며 내측에 제1 기어 및 종동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 지지부겸용 제2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커버;
    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5. 좌변기 본체; 상기 좌변기 본체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좌대; 상기 본체의 용변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덮개로 구성되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좌대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대 개폐장치는 좌변기 본체에 걸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면에 수평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수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위한 실린더본체;
    상기 실린더본체 내에서 왕복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랙;
    상기 랙에 이맞물림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피니언이 형성되며, 상부에 돌기편이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하기 위한 회동축;
    상기 피스톤로드가 전진된 상태에서 수전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물탱크로 보내기 위해 상기 실린더본체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바이패스커버;
    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피스톤로드의 처짐 방지 및 회전부재의 회동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강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본체의 개구부 일측에 피스톤의 후진 시 실린더 내에 있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이 제1체크밸브 근접 위치에 상기 체크밸브의 닫힘과 동시에 실린더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압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앞쪽 부근에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에서 실린더본체 내에 있는 물이 물탱크로 보내기 위한 배수로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1020060008828A 2005-12-15 2006-01-27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Abandoned KR20070064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59 2005-12-15
KR20050035359 2005-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215A true KR20070064215A (ko) 2007-06-20

Family

ID=3836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28A Abandoned KR20070064215A (ko) 2005-12-15 2006-01-27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42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4433A3 (ko) * 2008-06-20 2010-04-22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양변기 시트커버의 자동 개폐장치
KR101712190B1 (ko) * 2016-08-26 2017-03-03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CN114886322A (zh) * 2022-03-24 2022-08-12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动力驱动执行件及具有该执行件的智能坐便器
CN116831466A (zh) * 2023-08-01 2023-10-03 浙江康乐达新能源有限公司 一种水驱动式马桶盖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4433A3 (ko) * 2008-06-20 2010-04-22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양변기 시트커버의 자동 개폐장치
KR101039388B1 (ko) * 2008-06-20 2011-06-08 박민승 양변기 시트커버의 자동 개폐장치
KR101712190B1 (ko) * 2016-08-26 2017-03-03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CN114886322A (zh) * 2022-03-24 2022-08-12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动力驱动执行件及具有该执行件的智能坐便器
CN114886322B (zh) * 2022-03-24 2024-05-24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动力驱动执行件及具有该执行件的智能坐便器
CN116831466A (zh) * 2023-08-01 2023-10-03 浙江康乐达新能源有限公司 一种水驱动式马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8050B2 (ja) 排水操作装置、及び、この排水操作装置を備えたトイレ装置
CN108086432B (zh) 一种隐蔽式卫生坐便器
US20050015871A1 (en) Open/close valve, open/close valve for flush toilet, toilet washing water supply device, tankless western-style flush toilet, water supply method to western-style flush toilet, flow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flush toilet
US20210340747A1 (en) Space saving bathroom components
KR20070064215A (ko)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ITRM20090544A1 (it) Tazza da bagno pieghevole a mantice.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EP2101004A2 (en) Washbasin
ES2900198T3 (es) Cisterna de inodoro con cabezal rociador de bidé e inyector, así como su utilización
KR20140037620A (ko) 샤워모듈
CN101321485A (zh) 小便器
KR20090060860A (ko) 접이식 욕조세트
US20100037379A1 (en) Interchangeable toilet tank with urinal
JP2015190205A (ja) 給排水設備ユニット及び給排水方法
CN211571868U (zh) 一种自动及手动浴缸排水装置
JP6663559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RU27254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мой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сиденья унитаза
KR200409000Y1 (ko) 수압을 이용한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KR200419441Y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WO2006135348A1 (en) Flush tank with integrated lavatory bowl
KR100715006B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ES2969246T3 (es) Un desagüe mecánico para una bañera
CN220301475U (zh) 一种排放干管逆止装置
KR200422100Y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