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185A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3185A KR20070063185A KR1020050123154A KR20050123154A KR20070063185A KR 20070063185 A KR20070063185 A KR 20070063185A KR 1020050123154 A KR1020050123154 A KR 1020050123154A KR 20050123154 A KR20050123154 A KR 20050123154A KR 20070063185 A KR20070063185 A KR 200700631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 active material
- electrode active
- metalloid
- carbon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50사이클 후 잔존 방존 용량비 | 초기 전극 두께(㎛) | 3회 충방전 후 전극 두께 (㎛) | 전극 팽창률 (%) (Δt/ti) | |
실시예1 | 99.3% | 33 | 50 | 51 |
실시예2 | 98.6% | 32 | 51 | 59 |
실시예3 | 98.2% | 29 | 46 | 59 |
비교예1 | 90.4% | 31 | 75 | 142 |
비교예2 | 89.2% | 27 | 70 | 159 |
Claims (11)
- 리튬과 반복적으로 충방전 가능한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의 표면에 피복된 비정질 탄소층; 및 상기 비정질 탄소층에 피복된 결정질 탄소층을 포함하는 전극활물질로서,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과 비정질 탄소층 사이에 금속 카바이드 또는 준금속 카바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카바이드 또는 준금속 카바이드는 전극활물질 100 중량부에 대해 5~25 중량부의 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은 Si, Al, Sn, Sb, Bi, As, Ge 및 P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준금속 또는 이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 비정질 탄소층: 결정질 탄소층 = 90~10 중량부: 0.1~50 중량부: 9~9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탄소층은 탄소의 층간거리 d002가 0.34 nm 이 상이고 두께가 5 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탄소층은 탄소의 층간거리 d002가 0.3354 nm 이상 0.35 nm 이하이고 두께가 1 미크론 이상 10 미크론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활물질을 사용한 이차 전지.
- (a) 리튬과 반복적으로 충방전 가능한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의 표면에 피복된 비정질 탄소층; 및 상기 비정질 탄소층에 피복된 결정질 탄소층을 포함하는 전극활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b) 상기 (a)단계의 전극활물질을 금속 카바이드 또는 준금속 카바이드가 형성되는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전극활물질은,코어층을 형성하는 금속 또는 준금속과 결정질 탄소를 혼합하는 제1단계; 및상기 혼합물을 기계적 합금(Mechanical Alloying)하여 금속 또는 준금속 코어층 표면에 비정질 탄소층과 결정질 탄소층을 동시에 형성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전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열처리는 1200~1600℃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과 결정질 탄소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10~90: 90~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활물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3154A KR100847218B1 (ko) | 2005-12-14 | 2005-12-14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3154A KR100847218B1 (ko) | 2005-12-14 | 2005-12-14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3185A true KR20070063185A (ko) | 2007-06-19 |
KR100847218B1 KR100847218B1 (ko) | 2008-07-17 |
Family
ID=3836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31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7218B1 (ko) | 2005-12-14 | 2005-12-14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721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879B1 (ko) * | 2006-02-17 | 2008-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활물질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
KR101280546B1 (ko) * | 2010-12-14 | 2013-07-0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소/실리콘 복합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396521B1 (ko) * | 2011-08-05 | 2014-05-2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
KR101640392B1 (ko) * | 2015-02-13 | 2016-07-18 | (주)포스코켐텍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KR20160100271A (ko) * | 2016-05-27 | 2016-08-23 | (주)포스코켐텍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20200088149A (ko) * | 2019-01-14 | 2020-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KR20230049928A (ko) * | 2021-10-07 | 2023-04-1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금속-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반응용 촉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0998B1 (ko) * | 2021-12-28 | 2024-08-30 | 베스트그래핀(주) | 실리콘 또는 실리콘화합물에 대해 자가흡착되는 기능화 그래핀, 기능화 그래핀이 표면에 자가흡착된 실리콘 또는 실리콘화합물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소재, 및 하이브리드 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41156B1 (en) | 1999-11-16 | 2003-04-01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JP4104830B2 (ja) * | 2001-03-02 | 2008-06-18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炭素質材料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炭素質材料の製造方法 |
KR100776912B1 (ko) * | 2003-06-25 | 2007-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고용량 부극재 |
-
2005
- 2005-12-14 KR KR1020050123154A patent/KR10084721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8879B1 (ko) * | 2006-02-17 | 2008-05-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활물질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
KR101280546B1 (ko) * | 2010-12-14 | 2013-07-0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소/실리콘 복합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396521B1 (ko) * | 2011-08-05 | 2014-05-2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
KR101640392B1 (ko) * | 2015-02-13 | 2016-07-18 | (주)포스코켐텍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KR20160100271A (ko) * | 2016-05-27 | 2016-08-23 | (주)포스코켐텍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20200088149A (ko) * | 2019-01-14 | 2020-07-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WO2020149618A1 (ko) * | 2019-01-14 | 2020-07-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KR20230049928A (ko) * | 2021-10-07 | 2023-04-1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금속-탄소 복합체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반응용 촉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7218B1 (ko) | 2008-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4617B1 (ko)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
KR100814618B1 (ko)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
EP1711971B1 (en) | Electrode additives coated with electro condu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comprising the same | |
KR100789093B1 (ko) | 이차 전지용 고용량 전극활물질 | |
EP2503627B1 (en) | Anode composi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194953B1 (ko) | 전극활물질용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TWI431841B (zh) | 具高容量之電極活性材料 | |
KR101211327B1 (ko) |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0081160A (ko) | 전지 | |
WO2016147607A1 (en) | Anode for sodium-ion and potassium-ion batteries | |
WO2020003595A1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KR102132878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 |
KR101225882B1 (ko) | 이차 전지용 음극 | |
KR102206590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 |
KR100847218B1 (ko) |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 |
KR100873578B1 (ko) | 이차 전지용 고용량 음극활물질 | |
KR100828879B1 (ko) | 전극활물질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 |
KR20180093593A (ko)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75491B1 (ko) | 전극활물질용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120139631A (ko) | 고용량 전극활물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4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