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57651A - Exercise health apparatus - Google Patents

Exercise healt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51A
KR20070057651A KR1020060095740A KR20060095740A KR20070057651A KR 20070057651 A KR20070057651 A KR 20070057651A KR 1020060095740 A KR1020060095740 A KR 1020060095740A KR 20060095740 A KR20060095740 A KR 20060095740A KR 20070057651 A KR20070057651 A KR 2007005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shaft
drive
crank arm
shaft
sad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루 하라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Publication of KR2007005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5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상쾌하고 다이나믹한 승마 감각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전신의 근육의 단련 및 평형 감각, 민첩성의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는 운동 건강 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ercise and health equipment capable of providing a refreshing and dynamic riding sensation, and at the same time, training the muscles of the whole body, equilibrium, and agility.

바닥면에 얹혀진 대좌에 프레임을 설치한 기초 프레임과, 이 기초 프레임에 부착되고, 안장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부에 요동 말타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며, 요동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피벗 지지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크랭크 암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암의 선단부에서 피벗 장착되면서 이 피벗 장착점 근처에서 크랭크 암과 서로 충돌하지 않고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연결 축체, 상기 구동축의 후방에서 상기 기초 프레임에 횡방향 왕복 각운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연결 축체를 그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더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연결 축체에 부착구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se frame provided with a frame on a pedesta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and a rocking means attached to the base frame and having a saddle fixed thereto to generate a rocking movement in the saddle portion. A crank member comprising a drive shaft pivotally support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 crank arm fixed at an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and a connecting shaft that can be relatively rotated without colliding with the crank arm near the pivot mounting point while being pivotally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crank arm. And a slider body pivotally supported on the base frame in a lateral reciprocating motion at the rear of the drive shaft, and capable of guiding the connecting shaft body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shaft. The saddle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shaft using an attachment hole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운동 건강 기구{EXERCISE HEALTH MACHINE}Exercise health apparatus {EXERCISE HEALTH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그 요부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thereof.

도 3은 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thereof.

도 4는 그 요부 종단면도이다.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thereof.

도 5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선도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도 6은 그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정면도이다. It is a principal part front view explaining the one operation state.

도 7은 다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정면도이다. It is a principal part front view explaining another operation state.

도 8은 또 다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정면도이다. It is a principal part front view explaining another operation state.

도 9(a) 내지 도 9(d)는 크랭크 암의 서로 다른 위상에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9 (a) to 9 (d) are plan views of main part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crank arms at different phases.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운동 건강 기구 2 : 대좌 1: exercise and health apparatus 2: base

3 : 프레임 4 : 기초 프레임3: frame 4: foundation frame

5 : 안장부 6 : 요동 수단 5: saddle 6: swinging means

7 : 구동축 8 : 크랭크 암7: drive shaft 8: crank arm

9 : 크랭크 부재 10 : 연결 축체 9: crank member 10: connecting shaft

11 : 슬라이더체 12 : 구동부 11 slider 12 drive unit

13 : 부착구 14 : 세로 슬리브13: Attachment 14: Vertical Sleeve

15 : 지지 종축 16 : 받침체 15: support longitudinal axis 16: support body

17 : 슬라이더체 지지부 18 : 구동기 17: slider body support 18: drive

19 : 감속기 20 : 구동 전달부 19: reducer 20: drive transmission unit

21 : 구동 풀리 22 : 종동 풀리21: driven pulley 22: driven pulley

23 : 타이밍 벨트 24 : 볼트 고정 수단 23 timing belt 24 bolt fixing means

25 : 탄성 수단 26 : 완충구 25 elastic means 26 buffer

33 : 손잡이 33: handle

본 발명은 승마 감각을 즐기면서 복근, 배근 등의 근력의 단련 및 평형 감각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운동 건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health equipment that can train the strength and balance of muscle strength such as abs and back muscles while enjoying a riding sense.

건강을 지향하는 풍조가 높아지는 가운데, 운동 부족 해소를 위하여 손쉽게 실내 트레이닝할 수 있는 운동 건강 기구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 사용자가 앉는 안장부를 구동 수단에 의해 요동시키고, 사용자가 그 위에서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트레이닝하는 운동 건강 기구가 포함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As the trend toward health increases, many exercise health apparatuses that can be easily trained indoors have been proposed for eliminating lack of exercise. Among them, an exercise-healthy apparatus which swings the saddle on which the user sits by the driving means and trains the user by keeping a balance thereo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5-24563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45638

또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2004-311367에 있어서, 하부 스프링에 지 지된 종요동판에 이것을 상하운동시키는 제 1 요동 모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종요동판 상에 요동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부착한 횡요동판을 횡방향 요동시키는 제 2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횡요동판에 부착한 안장부에 앉는 사용자에 대하여 종횡 양방향의 흔들림을 주어 트레이닝하는 승마 운동 타입의 운동 건강 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Furthermore, i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4-311367, the present applicant installs a first swinging motor to vertically move the vertical swinging plate supported on the lower spring, and laterally swings the swinging spring with the swinging spring interposed therebetween. By providing a second motor for swinging the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 horse-riding exercise type exercise health apparatus has been proposed to train the user sitting on the saddle attached to the lateral swing plate by giving the swing in both directions.

상기 운동 건강 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종횡 양방의 요동이 가해지므로, 안장부 상에서 앉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을 밸런스시켜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각 부의 근력이 단련됨과 동시에 밸런스 감각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exercise and health apparatu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fluctuations are applied to the user.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a seated state on the saddle,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body and maintain the posture. Therefore, the muscle strength of each part is strengthened and the balance sense is increased. Can be.

그러나, 안장부의 움직임은 제 1, 제 2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종방향 흔들림 및 횡방향 흔들림의 단순한 조합이므로 변화가 부족하고, 일정 시간 사용하면 단조로운 요동에 대하여 몸이 익숙해지게 되며, 또한 단순한 움직임으로 인해 자극을 줄 수 있는 몸의 부위는 한정되기 때문에 운동 효과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효과를 얻기 위해서서는 일정 기간 계속하여 운동하는 것이 필요한데, 단순한 움직임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싫증을 내기 때문에 이 운동을 계속하려면 상당한 인내가 요구되며, 따라서 도중에 중단하는 케이스가 많아지기 쉬웠다. However, since the movement of the saddle is a simple combination of longitudinal and lateral shaking separately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motors, there is a lack of change, and after a certain time, the body becomes accustomed to monotonous shak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exercise effect because the parts of the body that can stimulate due to movement is limited. In addition, to achiev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xerci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since the user gets tired of the simple movement, it requires a lot of patience to continue the exercise, and thus it is easy to have many cases of stopping.

본 발명은 프레임에 상하의 방향으로 피벗 지지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크랭크 암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암의 선단 부에서 피벗 장착되어 크랭크 암과 상대 운동할 수 있는 연결 축체, 이 연결 축체를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더체 및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상쾌하고 다이나믹한 승마 감각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전신의 근육의 단련 및 평형 감각, 민첩성의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는 운동 건강 기구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nk member comprising a drive shaft pivotally suppor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frame and a crank arm fixed at an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and a connecting shaft pivotally mounted at a distal end of the crank arm to move relative to the crank arm. On the basis of comprising a slider body capable of guiding the shaft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a rocking means composed of a driving part, a refreshing and dynamic riding feeling can be obtained, and the exercise and balance of the muscles of the whole body can be obtained. We aim to provide exercise health apparatus which can train ag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닥면에 얹혀진 대좌에 이 대좌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프레임을 설치한 기초 프레임과, 이 기초 프레임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앉는 안장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부에 요동 말타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하며, 요동 수단은, 상기 안장부에 앉는 사용자가 앞을 향하는 쪽에서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피벗 지지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크랭크 암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암의 선단부에서 피벗 장착되면서 이 피벗 장착점 근처에서 크랭크 암과 서로 충돌하지 않고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연결 축체, 상기 구동축의 후방에서 상기 기초 프레임에 횡방향 왕복 각운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연결 축체를 그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더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연결 축체에 부착구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 base frame provided with a frame erected up from this pedestal on a pedestal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saddle attached to the base frame and fixed by the user, The saddle has a rocking means for generating a swinging movement, the rocking means is fixed to the drive shaft and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pivot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rame from the user sitting in the saddle facing forward A crank member comprising a crank arm, a connecting shaft pivotally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crank arm and capable of relatively rotating without colliding with the crank arm near this pivot mounting point; and a reciprocating lateral angular movement in the base frame at the rear of the drive shaft. Possibly pivotally supported and further connecting the connecting shaft in its axial direction Comprise a driving unit for rotating and driving the slider body and the drive shaft can be guided copper, it said saddle portion being attached using the mounting opening in the connection shaft.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단을 후방으로 향해 수직선에 대하여 5∼25°의 각도(α)로 경사시키고, 청구항 3에 따른 발 명에서는, 상기 연결 축체는 상기 구동축과 크랭크 암이 피벗 장착되는 피벗 장착점을 지나 구동축의 회전심과 직각인 회전 평면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체로 미끄럼 지지됨으로써, 연결 축체는 크랭크 암의 회전에 따라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가 변화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 암은 상기 연결 축체를 이 연결 축체가 상기 경사 각도(β)를 상하로 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e shaft is inclined at an angle α of 5 to 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oward the rear of the upper end.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shaft is The drive shaft and the crank arm are slidly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at a position away from the rot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core of the drive shaft through the pivot mounting point to which the crank arm is pivotally mounted, whereby the connecting shaft body has an inclination angle β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s the crank arm rotates. At the same time, the crank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shaft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so that the inclined angle β can be changed up and down.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더체는 상기 연결 축체의 경사 각도(β)를 상하로 변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요동 수단은 기초 프레임에 고착되는 축 지지용 세로 슬리브와, 이 세로 슬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지지 종축과, 이 지지 종축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위를 향한 ㄷ자형을 이루며, 또한 슬라이더체를 축 지지하는 받침체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slider body supports the tilt angle (beta) of the connecting shaft body to be changed up and down, and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the swinging means is a longitudinal support for shaft support fixed to the base frame. And a slider vertical support pivotally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sleeve, and a slider body support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shaft and forms a U-shaped upward and a support body for axially supporting the slider body. It is done.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와, 이 구동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감속기와,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부착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축에 부착한 종동 풀리와, 이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 사이에 걸쳐놓인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며,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부착구는 볼트 고정 수단 또는 안장부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을 갖는 완충구이고, 더욱이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기초 프레임은 대좌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r, a reduc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and a drive transmission unit, wherein the driv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rive pulley attached to an output shaft of the reducer, and a driven member attached to the drive shaft. Consisting of a pulley and a timing belt sandwiched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wherei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attachment is a cushioning means having bolt fixing means or elastic means for imparting a cushioning function to the saddle;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the base fram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handle that stands up from the pedestal.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 건강 기구(1)는 골격을 구성하는 기초 프레임(4)과, 이 기초 프레 임(4)에 부착되는 요동 수단(6)과, 이 요동 수단(6)의 상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앉는 안장부(5)를 구비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an illustration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exercise health appliance 1 includes a base frame 4 constituting a skeleton, a rocking means 6 attached to the base frame 4, and a rocking means 6. I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provided with a saddle (5) for the user to sit.

상기 기초 프레임(4)은 대좌(2)와 이 대좌(2)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프레임(3)으로 이루어진다. 본 형태의 대좌(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형의 바깥 안착틀(31)과, 이 바깥 안착틀(31)의 내측에서 걸쳐놓인 중틀(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중틀(32)은 좌우로 연장되는 편평하고 긴 판상을 이루며, 앞측에서 뒤측 쪽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앞중틀(32F), 가운데 중틀(32M), 뒷중틀(32B)의 3개가 평행하게 사이를 두고 설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앞측이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앞을 향한 쪽을 말한다. 단, 이 전후의 방향은 사용자의 사용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전후 반대로 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대좌(2)와 프레임(3)은 연속된 일체의 구조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base frame 4 consists of a pedestal 2 and a frame 3 which stands up from the pedestal 2. As shown in FIG. 2, the pedestal 2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ists of a substantially U-shaped outer seat frame 31 and a middle frame 32 which is lai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eat frame 31. The middle frame 32 has a flat long plate extending from side to side, and the front middle frame 32F, the middle middle frame 32M, and the rear middle frame 32B are arranged in parallel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parallel. Put and installe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front side means the side which a user faces in normal use state. However, the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is does not limit the direction of use of the user, and may be used to face back and forth. 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2 and the frame 3 may be configured as a continuous integral structure.

더욱이 본 형태에서는 대략 T자형의 손잡이(33)가 상기 앞중틀(32F)로부터 위로 세워져 형성된다. 이 손잡이(33)의 상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파지부(34)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이 손잡이(33)는 사용자가 전후 방향을 서로 바꾸어 사용할 때에는 등받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Moreover, in this form, the substantially T-shaped handle 33 is formed to stand up from the said front frame 32F. The grip portion 34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33 can be safely moved.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33 can also be used as a backrest when the user interchange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프레임(3)은 기초 프레임(4)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 형태에서는 상기 가운데 중틀(32M), 뒷중틀(32B)로부터 각각 평행하게 위로 세워지는 역 U자형의 중문형틀(35M), 후문형틀(35B)과, 이 중문형틀(35M)의 가운데 정도에 걸쳐놓인 가로대(36)와, 이 가로대(36) 중앙에서 후방으로 약간 아래로 경사져서 연장됨과 동시에, 뒷중틀(32B)에서 끝나는 좌우 한 쌍의 경사 받침부(37)와, 상기 중문형틀(35M)과 후문형틀(35B)의 상부 사이에 걸쳐놓인 세로 이음대(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세로 이음대(38)는 중문형틀(35M) 근방 부분이 상기 경사 받침부(37)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대부(38A)를 갖는다. The frame 3 constitutes a skeleton of the base frame 4, and in this embodiment, an inverted U-shaped Chinese sentence frame 35M, which is erected up in parallel from the middle frame 32M, the rear frame 32B, and the rear door, respectively. The frame 35B, the crosspiece 36 which extends about the middle of this middle gate frame 35M, and the left and right end which extends by inclining a little downwards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is crosspiece 36, and end in the rear frame 32B. A pair of inclined support portions 37 and a vertical joint 38 extending between the upper frame 35M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frame 35B are illustrated.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joint 38 has an inclined stand portion 38A inclined at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37 in the vicinity of the Chinese sentence frame 35M.

상기 요동 수단(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 앞측에서 프레임(3)에 피벗 지지되는 L자형의 크랭크 부재(9)와, 뒷측에서 프레임(3)에 지지되는 슬라이더체(11)와, 이 크랭크 부재(9) 및 슬라이더체(11) 사이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연결 축체(10)와 구동부(1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swing means 6 includes an L-shaped crank member 9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ame 3 in front of the base frame, and a slider body 11 supported by the frame 3 in the rear side. And the connecting shaft body 10 and the drive part 12 provided between the crank member 9 and the slider body 11 and extending back and forth.

상기 크랭크 부재(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구동축(7)과 이 구동축(7)의 상단에 고정되어 직각으로 굽혀져 연장되는 크랭크 암(8)으로 이루어진다. 본 형태의 구동축(7)은 상기 경사대부(38A)에 설치된 제 1 슬리브(39)에 부시(40)를 통하여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내삽되어 있다. 이 부시(40)는 중공에 고점도 기름을 함유시킨 소결 합금, 흑연을 주체로 한 고체 윤활제를 분산시켜 소결한 고체 윤활제 함유 특수 구리 합금, 특수 처리에 의해 윤활유 및 특수 충전제를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 함유시킨 폴리아세탈 수지 등이 사용되며, 회동 마찰을 저감시키면서 고속 회전하는 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축(7)의 하단부에는 종동 풀리(22)가 일체로 부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crank member 9 is composed of a drive shaft 7 extending up and down and a crank arm 8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7 and bent at right angles. The drive shaft 7 of this form is inserted in the 1st sleeve 39 provided in the said inclination stand 38A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through the bush 40. As shown in FIG. The bush 40 contains a sintered alloy containing high viscosity oil in the hollow, a solid lubricant mainly containing graphite, and a special copper alloy containing sintered solid, and uniformly disperses lubricating oil and special filler in the resin by special treatment. A polyacetal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to stably support an axis rotating at high speed while reducing rotational friction. A driven pulley 22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7.

한편 본 형태의 구동축(7)은 이것을 축 지지하는 제 1 슬리브(39)를 부착한 경사대부(38A)가 후방을 아래로 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상단을 후방으로 향해 수직선에 대하여 각도(α)로 뒤로 기울어져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shaft 7 of this embodiment is inclined with the inclined base portion 38A attached with the first sleeve 39 supporting the shaft downward, so that the upper end is turned backward and at a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t is tilted and supported.

상기 크랭크 암(8)은 기단부가 상기 구동축(7)의 상단부에 밖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키(41)로 회전 방지되어 구동축(7)과 일체로 회동한다. 또한 이 크랭크 암(8)의 선단부에는 이 크랭크 암(8)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리브(42)가 고착되어 있다. The crank arm 8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drive shaft 7 by being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by the key 41 while being fitted out of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7. In addition, a second sleeve 42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crank arm 8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rank arm 8.

상기 구동부(12)는 상기 크랭크 부재(9)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본 형태에서는 도 2,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18)와, 이 구동기(18)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감속기(19)와, 구동 전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The drive unit 12 rotates the crank member 9.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6, the drive unit 18, and the reducer 19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18 and , Including the drive transmission unit 20 is illustrated.

본 형태의 구동기(18)는 모터(43)가 사용되며, 상기 경사 받침부(37, 37) 사이에 부착된다. 이 모터(43)는 교류 모터 이외에 인덕션 모터, 직류 모터, 브러시리스 모터, 스테핑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가정용 100 볼트 전원으로 동작하는 교류 모터를 사용하며, 제어 회로에 의해 회전을 컨트롤하고 있다. 상기 제어 회로는 모터의 온/오프, 회전 수, 정회전/역회전 등을 컨트롤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래밍된 파형을 따라 회전 수를 점진적으로 증감시키거나, 혹은 부하 등의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회전 수를 컨트롤할 수도 있다. The driver 18 of this embodiment uses a motor 43 and is attached between the inclined feet 37, 37. The motor 43 may be an induction motor, a DC motor, a brushless motor, a stepping motor,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C motor. In this embodiment, an AC motor operated by a 100-volt home power supply is used, and rotation is controlled by a control circuit. The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on / off of the motor, the number of revolutions,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and the like. By using a microcomputer, the number of revolutions can be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along the programmed waveform, or the speed can be controll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load or the like.

상기 감속기(19)는 모터(43)와 일체로 유닛화된 것이 사용되며, 평기어, 웜기어, 직선 베벨 기어, 유성 기어 등이 내장되어 모터(43)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감속함과 동시에, 필요한 토크를 출력하고 있다. The reducer 19 is used as a unit united with the motor 43, and the spur gear, worm gear, straight bevel gear, planetary gear, etc. are built in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43 appropriately, The required torque is output.

이 감속기(19)의 출력 축에는 상기 종동 풀리(22)와 마주보고 쌍을 이루는 구동 풀리(21)가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종동 풀리(22)와 구동 풀리(21) 사이에 치형이 있는 타이밍 벨트(23)가 걸쳐놓이며 이에 따라 구동기(18)의 구동력을 구동축(7)에 전달하고 있다. 한편 이 타이밍 벨트(23), 종동 풀리(22) 및 구동 풀리(21)에 의해 구동 전달부(20)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기(18), 감속기(19) 및 구동 전달부(20)에 의해 구동부(12)를 구성하면, 구동력의 속도, 토크를 적합한 레벨로 컨트롤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축(7)을 적절한 회전 수로 회동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An output shaft of the reducer 19 is integrally attached to a pair of drive pulleys 21 facing the driven pulley 22. A toothed timing belt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en pulley 22 and the driving pulley 21, there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r 18 to the drive shaft 7. On the other hand, the drive transmission part 20 is comprised by this timing belt 23, the driven pulley 22, and the drive pulley 21. As shown in FIG. When the drive unit 12 is constituted by such a driver 18, a reducer 19, and a drive transmission unit 20, the speed and torque of the drive force can be controlled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hus the drive shaft 7 is driven at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be rotated.

상기 슬라이더체(11)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슬라이드 지지공(56)을 갖는 짧고 둥근 봉편(棒片) 형상을 이루며, 구동축(7)의 뒤측에서 상기 세로 이음대(38)에 부착된다. 본 형태에서는 세로 이음대(38)에 고착된 축 지지용 세로 슬리브(14)와, 이 세로 슬리브(14)에 회동 가능하게 내삽된 지지 종축(15)과, 이 지지 종축(15)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위를 향한 ㄷ자형을 이루며 슬라이더체(11)를 축 지지하는 받침체(16)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체 지지부(17)에 의해 슬라이더체(11)를 지지하고 있다. 도 3, 6, 7, 8,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축체(10)가 크랭크 암(8)의 회전운동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더체(11)를 중심으로 왕복 요동운동을 하는 것을 이하 "왕복 각운동"이라 한다. 이리하여 본 형태의 슬라이더체(11)는, 지지 종축(15)이 세로 슬리브(14) 내를 회동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왕복 각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받침체(16)에 축 지지됨으로써 상하의 왕복 각운동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lider body 11 has a short round bar shape having a slide support hole 56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vertically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drive shaft 7. It is attached to the joint 38. In this embodiment, the longitudinal support 14 for shaft support fixed to the longitudinal joint 38,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15 interpolated to the longitudinal sleeve 14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15 The slider body 11 is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support part 17 which consists of a support body 16 which is provided and the shaft body 11 supports the slider body 11 axially upward. As shown in FIGS. 3, 6, 7, 8, and 9, the connecting shaft 10 slides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rank arm 8 and performs reciprocating rocking motion about the slider body 11 hereinafter. Reciprocating angular motion ". Thus, the slider body 11 of this form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16 so that a reciprocating angular movement can be carried ou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rotating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sleeve 14, and is axi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16 to reciprocat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s are also possible.

상기 연결 축체(10)는 본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연장되는 환봉 형상을 이루며, 전후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약간 높게 돌출함과 동시에 상면이 편평한 앞받침부(48F), 뒷받침부(48B)를 가지며, 앞받침부(48F), 뒷받침부(48B)에 사용자가 앉는 안장부(5)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결 축체(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대략 중앙부가 부시(49)를 통하여 슬라이더체(11)의 슬라이드 지지공(56)에 삽입되고, 슬라이더체(11)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ng shaft 10 has an annular shap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protrudes slightly upward from both front and rear ends,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support portion 48F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a back portion ( 48B), the saddle part 5 which a user sits is attached to the front support part 48F and the back support part 48B.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ng shaft 10 is inserted into the slide support hole 56 of the slider body 11 through the bush 49, and the shaft 10 is moved by the slider body 11. It is guided to move in the direction.

한편, 연결 축체(10)의 전단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 암(8)의 선단부에 앞지지구(50)를 통하여 피벗 장착된다. 이 앞지지구(50)는 대략 상하로 연장되는 앞지지축(51)과, 위를 향한 ㄷ자형을 이루며 앞지지축(51)의 상단부에 고착되는 앞받침체(52)로 이루어진다. 이 앞지지구(50)는 앞지지축(51)을 부시(53)를 통하여 크랭크 암(8) 선단의 상기 제 2 슬리브(42)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크랭크 암(8)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앞지지구(50)의 앞받침체(52)에서 연결 축체(10)의 전단부를 축 지지하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각도(α)로 뒤로 경사진 구동축(7)과 평행하게 나열되어 앞지지축(51)도 같은 각도로 뒤로 경사져 배치되므로, 연결 축체(10)의 전단부는 구동부(12)에 의해 구동된 구동축(7)의 회동에 의해 이 구동축(7)을 중심으로 하여 크랭크 암(8)과 서로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 is pivotally mounted through the front support 50 at the tip of the crank arm 8 as shown in FIG. The front support (50) consists of a front support shaft (51) extending substantially up and down, and a front support body (52) forming a c-shaped upwar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pport shaft (51). The front support 50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crank arm 8 by inserting the front support shaft 51 through the bush 53 through the second sleeve 42 at the tip of the crank arm 8.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 is axially supported by the front support body 52 of the front support 50.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ont support shaft 51 is arranged to be inclined backward at the same angle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drive shaft 7 inclined backward at the angle α,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 is driven by the drive unit 12. Rotation of the driven drive shaft 7 allows the crank arm 8 to rotate without colliding with each other about the drive shaft 7.

이리하여, 상기 지지 종축(15)에 지지됨으로써 횡방향으로 왕복 각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체(11)에 삽입 통과되어,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연결 축체(10)가, 그 전단부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암(8)의 선단부에 피벗 장착되므로, 크랭크 암(8)과 연결 축체(10)로 요동 슬라이 더-크랭크 기구가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 축체(1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곧고 그리고 앞쪽인 위치로부터 크랭크 암의 회동으로 유도됨으로써, 슬라이더체(11)의 슬라이드 지지공(56) 내를 뒤로 슬라이딩하면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공(56)에의 삽입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 상에서 왼쪽으로 요동한다. 크랭크 암(8)이 더 회전하면, 연결 축체(10)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을 계속하면서 도면 상에서 오른쪽으로 반전하고,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후방 위치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곧은 자세로 되돌아온다. Thus, the connecting shaft 10 is inserted into the slider body 11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angular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ing longitudinal axis 15, and gu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Since the pivot drive is pivotally moun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rank arm 8 which is driven by the additional drive unit, the swing crank mechanism is constituted by the crank arm 8 and the connecting shaft 10. Therefore, the connecting shaft 10 is guided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arm from the position which is straight and for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shown in FIG. 9 (a), thereby in the slide support hole 56 of the slider body 11. While sliding backward, as shown in FIG.9 (b), it swings to the left on the figure centering on the insertion part to the slide support hole 56. As shown to FIG. When the crank arm 8 is further rotated, the connecting shaft 10 is reversed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while continuing to slide backward, and moves to the rearmost position as shown in FIG. Return to the straight posture.

크랭크 암(8)이 더 회전하면 연결 축체(10)는 전방으로의 슬라이딩으로 바뀌며, 또한 도면 상에서 오른쪽의 요동을 계속하여,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오른쪽으로 흔들린 자세에 이른다. 이어서 전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계속하면서 도면 상에서 왼쪽의 요동으로 반전하여 도 9(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연결 축체(10)는 크랭크 암(8)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로의 커다란 요동을 반복한다. 따라서, 연결 축체(10)에 고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안장부(5)는 그 앞측이 크게 좌우로 흔들리는 요동을 수반하여 전후 쪽으로 교대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안장부(5)에 앉는 사용자는 기승(騎乘)에 있어서 격렬하게 움직이는 안장 위에서 자신의 자세를 밸런스시키는 승마 감각과 동일한 필링을 체감하면서 복근, 배근 등의 전신의 근육을 사용하여 체중을 적당히 이동시켜 균형을 잡아 앉은 자세를 유지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분 좋은 승마 감각을 즐기면서 복근, 배근 기타 전신의 근육이 단련되어 평형 감각, 민첩성을 유효하게 트레이닝할 수 있다. As the crank arm 8 further rotates, the connecting shaft 10 changes to sliding forward, and continues to swing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reaches the posture to the far right as shown in Fig. 9 (d). Subsequently, the slide is reversed to the left swing on the drawing while the sliding forward is continued, and the state is returned to the state of Fig. 9A. In this way, the connecting shaft 10 repeats a large swing from side to side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the crank arm 8 rotates. Therefore, the user seated on the saddle part 5 because the saddle part 5 fixed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10 and repeatedly moves to the front and rear part with the front and back swings greatly swinging from side to side. While riding, she feels the same feeling of riding that balances her posture on the saddle that moves violently while using her muscles such as abs and back muscles to keep her weight in balance. You can exercise to let. As a result, the muscles of the abdominal muscles, abdominal muscles and other whole body are trained while enjoying a pleasant riding feeling, so that the equilibrium and agility can be effectively trained.

상기 구동축(7)은 상기와 같은 각도(α)로 뒤로 경사져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 구동축(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크랭크 암(8)은 그 선단부가 경사면 상을 주회(周回)하여 승강을 반복한다.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연결 축체 앞측은 좌우로 요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도 더 요동하기 때문에, 전후, 좌우 및 상하의 세 방향으로 격렬하게 흔들리는 사용자는 교묘하고 다이나믹한 밸런스 조작이 요구되어 트레이닝 효과가 훨씬 높아지는 데다가, 상기 세 방향으로의 요동이 교착된 격렬한 움직임으로 인해 승마 감각에 훨신 근접하여 현장감을 증가시킨다. Since the drive shaft 7 is supported by being inclined backward at the angle α as described above, the crank arm 8 that rotates around the drive shaft 7 has its front end pivoting on the inclined surface. Repeat the lift. Therefore, the front of the connecting shaft that slides back and forth swings left and right, but also swings fur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a user who violently swings in three directions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requires a sophisticated and dynamic balance operation, and the training effect becomes much higher. Due to the intense movement in which the swings in the three directions interweave, the sense of presence increases much closer to the riding sense.

구동축(7)의 뒷 경사 각도(α)는 예컨대 5∼25°정도, 바람직하게는 7∼15°, 본 형태에서는 10°로 하고 있다. 상기 구동축(7)의 각도(α)가 5°미만에서는 안장부(5)의 승강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현장감이 부족하고, 반대로 25°를 초과하면 안장부(5)가 상하로 격렬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낙하할 위험성이 있다. The rear inclination angle α of the drive shaft 7 is, for example, about 5 to 25 degrees, preferably 7 to 15 degrees, and 10 degree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ngle α of the drive shaft 7 is less than 5 °,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addle 5 becomes small, so that the sense of reality is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when the angle α exceeds 25 °, the saddle 5 moves violently up and down. There is a risk of the user falling.

또한 본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축체(10)의 전단부는 크랭크 암(8)의 선단부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앞지지축(5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축체(10)가 슬라이더체(11)에 의해 미끄럼 지지되는 위치(P)는 상기 구동축(7)에 크랭크 암(8)이 피벗 장착되는 피벗 장착점(S1)을 지나고, 또한 구동축(7)의 회전심과 직교하는 회전 평면(M)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이로부터, 크랭크 암(8)의 회전에 따라 연결 축체(10)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가 증감을 반복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pport shaft 51 which stands up from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crank arm 8.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position P at which the connecting shaft 10 slides by the slider body 11 is a pivot mounting point S1 on which the crank arm 8 is pivotally mounted on the drive shaft 7. ) And away from the plane of rotation M orthogonal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7. From this, the inclination angle β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nnecting shaft 10 is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crank arm 8 rotates.

즉,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암(8)이 전방을 향하는 위상에서는 연결 축체(10)는 경사 각도(β1)로 앞 부분을 높게 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어서 크랭크 암(8)이 평면에서 보아 왼쪽으로 회전하면, 연결 축체(10)는 앞 부분을 강하시켜 경사 운동하고, 도 5,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암(8)이 90°까지 회전할 때에는 경사 각도(β2)로 앞을 약간 낮추어 기울어진다. 크랭크 암(8)이 180°까지 더 회동하면,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β3)로 앞을 최대한 낮추어 기울어진다. 크랭크 암(8)이 더 회동하면, 연결 축체(10)는 경사 이동 방향을 반전시켜, 크랭크 암(8)이 270°까지 회전할 때 도 5,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β4)로 기울기를 되돌리며, 또한 크랭크 암(8)이 1회전 하면 도 6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크랭크 암(8)의 회동에 따라 연결 축체(10)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전후 이동 및 좌우로의 요동에 더하여 안장부(5)가 앞 기울어짐, 뒷 기울어짐의 변화를 반복하며, 그 결과 승마 감각과 거의 같은 안장부(5)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현장감이 넘치는 트레이닝을 즐길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in the phase in which the crank arm 8 faces forward, the connecting shaft 10 is inclined with the front portion high at an inclination angle β1. Subsequently, when the crank arm 8 is rotated to the left in a plan view, the connecting shaft 10 is tilted by lowering the front part, and the crank arm 8 is rotated by 90 ° as shown in FIGS. 5 and 7.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is lowered slightly at the inclination angle β2. When the crank arm 8 further rotates to 180 °, as shown in Figs. 5 and 8, the front of the crank arm 8 is tilted with the front as low as possible. When the crank arm 8 is further rotated, the connecting shaft 10 reverses the inclined movement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s. 5 and 7, when the crank arm 8 rotates to 270 °, the inclination angle β4 It returns to the state of FIG. 6 and returns to the state of FIG. 6 when the crank arm 8 rotates once. Thus, since the inclination angle (bet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nnecting shaft 10 changes periodically as the crank arm 8 rotates, the saddle 5 is tilted forward in addition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left and right swing. And, the change of the rear tilt is repeated, an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saddle 5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riding feeling is generated, so that you can enjoy the training full of realism.

또한 본 형태에서는 경사 각도(β)가 변화하는 연결 축체(10)를 지지하는 슬라이더체(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체 지지부(17)에 의해 횡방향으로 왕복 각운동 가능하게, 그리고 상하의 왕복 각운동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크랭크 암(8)의 회동에 의해 발생하는 연결 축체(1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한 상하 경사 운동의 반복 동작이 원활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안장부(5)에 진동, 삐걱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lider body 11 which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body 10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beta) changes is reciprocated by the slider body support part 17 so that a reciprocal angular movement can be carried out horizontally, Reciprocating angular motion is also supported. Therefore, since the repetitive motion of the up-down inclination movement with the moveme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haft 10 which arises by rotation of the crank arm 8 is supported smoothly, the saddle part 5 vibrates and creaks.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operate | move smoothly, without generating it.

게다가 본 형태의 슬라이더체(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슬리브(14)와, 이 세로 슬리브(14)에 내삽된 지지 종축(15)과, 이 지지 종축(1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체(11)를 축 지지하는 받침체(16)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체 지지부(17)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체(11)는 지지 종축(15)을 중심으로 한 회동과, 받침체(16)에 축 지지됨으로써 상하의 왕복 각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슬라이더체(11)에 지지되는 연결 축체(10)는 횡방향 왕복 각운동 및 수평면에 대한 경사 운동을 모두 순조롭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이 연결 축체(10)에 지지되는 안장부(5)가 원활하게 요동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er body 11 of this form is provided with the longitudinal sleeve 14,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15 interpolated by the longitudinal sleeve 14, and the upper end of this support longitudinal axis 15, and is provided with a slider. Since the slider body 11 is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support part 17 which consists of the support body 16 which axially supports the body 11, the slider body 11 rotates around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15, and the support body 16 is supported.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reely perform the reciprocating angular movement up and down by being supported by the shaft. Accordingly, the connecting shaft 10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11 can smooth both the lateral reciprocating angular movement and the incline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s a result, the saddle portion supported by the connecting shaft 10 5) is preferable in that it can smoothly swing.

한편 상기 안장부(5)는 도시하지 않은 대략 타원형 기판 상에 배치되는 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등의 스폰지로 된 심재(芯材)를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커버로 덮어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하부에는 전후로 뻗어있는 부착용 기초대(54)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 기초대(54)를 부착구(13)를 이용하여 연결 축체(10)에 고착함으로써 안장부(5)가 요동 수단(6)에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addle (5) is a cover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styrene resin and the like made of sponges such as urethane foam and polyethylene foam disposed on a substantially elliptical substrate (not shown). The base cover 54 is formed to cover the bottom of the substrate and extends back and forth. The saddle portion 5 is attached to the swinging means 6 by fixing the base 54 to the connecting shaft 10 using the attachment hole 13.

상기 부착구(13)는 본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고정 수단(24), 완충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이 완충구(26)는 기초대(54)와 연결 축체(10)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로 된 링형의 탄성 수단(25)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완충구(26)를 이용하여 안장부(5)를 부착하면, 구동기, 크랭크 부재, 연결 축체 등의 가동부가 발생시키는 진동이 흡수 완화되어 안장부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감을 높이고, 동시에 기계음이 줄어들기 때문에 쾌적하게 운동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ttachment hole 13 includes a bolt fixing means 24 and a buffer hole 26, as shown in FIG. Furthermore, this buffer opening 26 is formed by a ring-shaped elastic means 25 made of rubber sandwiched between the base 54 and the connecting shaft 10. When the saddle portion 5 is attached using the shock absorber 26 as described abov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vable part such as a driver, a crank member, a connecting shaft, and the like is absorbed and alleviated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saddle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feeling of use,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machine sou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exercise comfortably.

한편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각종 변형예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횡방향의 왕복 각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체에 의해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연결 축체는 그 전단부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축의 상단에 고정되어 구동축 방향으로 회동하는 크랭크 암의 선단부에 피벗 장착되므로, 크랭크 암과 연결 축체로 요동 슬라이더-크랭크 기구를 구성한다. 그 결과, 연결 축체는 크랭크 암의 회동에 유도되어 좌우로 격렬하게 요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따라서, 연결 축체에 부착된 안장부는 그 앞측이 크게 좌우로 흔들리는 요동을 수반하여 전후로 이동을 반복하므로, 안장부에 앉는 사용자는 기승에 있어서 격렬하게 움직이는 안장 위에서 자신의 자세를 밸런스시키는 승마 감각과 동일한 필링을 즐기면서, 복근, 배근 등의 전신의 근육을 사용하여 체중을 적당히 이동시켜 균형을 잡음으로써 앉은 자세를 유지시키는 운동을 한다. 그 결과, 기분 좋은 승마의 기분을 즐기면서, 복근, 배근 기타 전신의 근육의 단련과 평형 감각, 민첩성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shaft body movably guid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slider body capable of the reciprocating angular mo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shaft whose front end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and rotates in the driving shaft direction. Since it pivotally attaches to the front-end | tip part of a rotating crank arm, a rocking slider crank mechanism is comprised by a crank arm and a connecting shaft. As a result, the connecting shaft is guided by the rotation of the crank arm and swings violently from side to side, and repeats the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saddle attached to the connecting shaft repeats the movement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shaking of the front side greatly swinging from side to side, so that the user sitting on the saddle is the same as the riding sense of balancing his posture on the sadly moving saddle in riding. While enjoying the peeling, using the muscles of the body, such as abs, abdominal muscles to move the weight properly to maintain a sitting position by balancing the balan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rain the abdominal muscles, abdominal muscles, muscles of the whole body, balance, and agility while enjoying a pleasant riding feeling.

청구항 2에 따른 발명과 같이 구동축의 상단을 후방 쪽으로 수직선에 대해 5∼25°의 각도(α)로 경사시키면, 이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크랭크 암의 회동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연결 축체의 앞측이 좌우로 요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도 더 요동한다. 따라서, 전후, 좌우 및 상하의 세 방향으로 격렬하게 흔들리는 사용 자는 교묘하고 다이나믹한 밸런스 조작이 요구되어 트레이닝 효과가 훨씬 높아지는 데다가, 상기 세 방향으로의 요동이 교착된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 승마 감각에 훨씬 근접하여 현장감이 증가한다.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is inclined at an angle α of 5 to 25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oward the rear side,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body sliding back and forth by the rotation of the crank arm around the drive shaft is left and right. While rocking with, swing fur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who shakes violently in three directions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requires a sophisticated and dynamic balance operation so that the training effect is much higher, and the intense movement in which the shaking in the three directions is interlocked makes it much closer to the riding feeling. Reality increases.

청구항 3에 따른 발명과 같이, 상기 슬라이더체에 의해, 구동축에 크랭크 암이 피벗 장착되는 피벗 장착점을 지나 구동축의 회전심과 직각인 회전 평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연결 축체를 지지하면, 크랭크 암의 회동에 따라 연결 축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가 주기적으로 확실하게 변화된다. 즉, 안장부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앞측을 위로 하여 기울어지고, 반대로 후방으로의 이동시에는 앞측을 아래로 하여 기울어지는 경사의 변화가 반복되고, 그 결과 승마 감각과 거의 비슷한 안장부의 움직임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현장감 넘치는 트레이닝을 즐길 수 있다.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connecting shaft is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lane of rota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iving shaft through a pivot mounting point at which the crank arm is pivotally mounted to the driving shaft, Accordingly, the inclination angle β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nnecting shaft is reliably changed periodically. That is, when the saddle moves forward,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side is inclined upward, and when the rear part moves backward,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tilted forward is repeated.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saddle which is almost similar to the riding feeling is transmitted to the user. You can enjoy realistic training.

청구항 4에 따른 발명과 같이, 상기 경사 각도(β)가 상하 변동 가능해지도록 슬라이더체가 연결 축체를 지지하면, 크랭크 암의 회동에 따른 연결 축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반한 상하 경사 운동의 반복을 순조롭게 지지할 수 있어, 안장부가 진동, 삐걱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slider body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β can be changed up and down, repetition of the up and down inclination motion accompanied by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arm is performed. It can be supported smoothly, and the saddle can operate smoothly without generating vibration or squeaking.

청구항 5에 따른 발명과 같이, 세로 슬리브와, 이 세로 슬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지지 종축과, 이 지지 종축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더체를 축 지지하는 받침체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체 지지부를 설치하면, 슬라이더체는 지지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및 받침체에 축 지지된 상하의 왕복 각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지지된다. 따라서, 이 슬라이더체에 지지되는 연결 축체의 횡방 향 왕복 각운동 및 수평면에 대한 경사 운동이 순조롭게 동작하고, 그 결과 이 연결 축체에 지지되는 안장부는 삐걱거림, 진동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요동할 수 있다.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slider body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longitudinal sleeve, a support longitudinal axis pivotal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eeve, and a support body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and supports the slider body, The slider body is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bout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and the vertical reciprocating angular movement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Accordingly, the lateral reciprocating angular motion of the connecting shaft supported by the slider body and the inclined mo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perate smoothly, and as a result, the saddle supported by the connecting shaft can smoothly swing without generating squeaking or vibration. Can be.

청구항 6에 따른 발명과 같이, 구동부가 구동기, 이 구동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감속기 및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면, 감속기에 의해 토크(torque)를 제어한 구동력이 구동 전달부를 통하여 구동축을 회동시키기 때문에 구동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은 손실이 억제되고, 게다가 적당한 속도로 안장부를 요동시킬 수 있다.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er, a reduction gea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transmission unit, the driving force controlled by the reducer rotates the driving shaft through the driving transmission unit.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er can suppress the loss and, moreover, can rock the saddle at an appropriate speed.

청구항 7에 따른 발명과 같이, 완충구를 갖는 부착구에 의해 안장부를 부착하면, 구동기, 크랭크 부재, 연결 축체 등의 가동부가 발생시키는 진동이 흡수 완화되어 안장부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감을 높이고, 동시에 기계음이 줄어들므로 쾌적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청구항 8에 따른 발명과 같이 기초 프레임에 대좌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손잡이를 설치하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전후 방향을 서로 바꾸어 사용할 때에는 이 손잡이를 등받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saddle is attached by an attachment hole having a shock absorber, vibration generated by the movable part such as a driver, a crank member, a connecting shaft, and the like is absorbed and relaxed,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saddle. Since the machine sound is reduced, it can be exercised comfortably. Also, as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handle is placed upright from the pedestal, the handle can be safely moved. Can also be used as a backrest.

Claims (8)

바닥면에 얹혀진 대좌에 이 대좌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프레임을 설치한 기초 프레임과, 이 기초 프레임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앉는 안장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부에 요동 말타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요동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A base frame provided with a frame erected up from the base on a pedestal placed on the floor, and a swinging means attached to the base frame, to which the saddle on which the user sits is fixed, and which generates a swinging movement in the saddle portion; At the same time, 요동 수단은 상기 안장부에 앉는 사용자가 앞을 향하는 쪽에서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피벗 지지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의 상단에서 고정되는 크랭크 암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암의 선단부에서 피벗 장착되면서 이 피벗 장착점 근처에서 크랭크 암과 서로 충돌하지 않고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연결 축체, 상기 구동축의 후방에서 상기 기초 프레임에 횡방향 왕복 각운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또한 상기 연결 축체를 그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슬라이더체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고, The swing means is a crank member comprising a drive shaft pivotally supported up and down on the frame by a user sitting in the saddle forward, a crank arm fixed at an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and pivotally mounted at a distal end of the crank arm. A connecting shaft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out colliding with the crank arm relative to the pivot mounting point, pivotally supported laterally reciprocally on the base frame at the rear of the drive shaft, and capable of moving the connecting shaft in its axi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slider body which can be guided easily and a drive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shaft, 상기 안장부는 상기 연결 축체에 부착구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The saddle portion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shaft using an attachment using the exercise and health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단을 후방으로 향해서 수직선에 대하여 5∼25°의 각도(α)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The exercise health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shaft is inclined at an angle α of 5 to 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with the upper end facing back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체는 상기 구동축과 크랭크 암이 피벗 장착되는 피벗 장착점을 지나 구동축의 회전심과 직각인 회전 평면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체로 미끄럼 지지됨으로써, 연결 축체는 크랭크 암의 회전에 따라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β)가 변화됨과 동시에, 상기 크랭크 암은 상기 연결 축체를 이 연결 축체가 상기 경사 각도(β)를 상하로 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3. The connecting shaf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shaft is slid with the slider body at a position away from a rot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iving shaft past the pivot mounting point on which the driving shaft and the crank arm are pivotally mounted, whereby the connecting shaft is rotated by the crank arm. And an inclination angle β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according to the same, and the crank arm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shaft supports the inclined angle β up and dow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체는 상기 연결 축체의 경사 각도(β)를 상하로 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The exercise health applian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lider body supports the tilt angle β of the connecting shaft body to be changed up and dow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수단은 기초 프레임에 고착되는 축 지지용 세로 슬리브와, 이 세로 슬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지지 종축과, 이 지지 종축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위를 향한 ㄷ자형을 이루며, 또한 슬라이더체를 축 지지하는 받침체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5. The swing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winging means is provided on an axial support longitudinal sleeve fixed to the base frame, a support longitudinal axis pivotally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sleeve,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longitudinal axis. And a slider body support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U-shape toward the top and made of a support body for axially supporting the slider body.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와, 이 구동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감속기와,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The said drive part includes a drive device, the reducer which controls the drive force of this drive device, and the drive transmission part of any one of Claims 1-5,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부착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축에 부착한 종동 풀리와, 이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걸쳐놓인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And the drive transmission portion comprises a drive pulley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reducer, a driven pulley attached to the drive shaft, and a timing belt spanned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볼트 고정 수단 또는 안장부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을 갖는 완충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The exercise health applian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attachment hole is a cushioning device having a bolt fixing means or an elastic means for imparting a cushioning function to the saddl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은 대좌로부터 위로 세워지는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건강 기구. 8. The exercise and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base frame has a handle that stands up from the pedestal.
KR1020060095740A 2005-12-01 2006-09-29 Exercise health apparatus Withdrawn KR200700576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0189U JP3119176U (en) 2005-12-01 2005-12-01 Exercise health equipment
JPJP-U-2005-00010189 2005-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51A true KR20070057651A (en) 2007-06-07

Family

ID=3837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740A Withdrawn KR20070057651A (en) 2005-12-01 2006-09-29 Exercise health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9176U (en)
KR (1) KR2007005765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75B1 (en) * 2008-07-09 2010-08-04 대한민국 Artificial Hip Wear Tester
KR20150137361A (en) * 2014-05-29 2015-12-09 (주)젠아트 Driv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variable harmonic mov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122551A1 (en) * 2008-03-31 2011-07-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Exercise equipment
JP5426635B2 (en) * 2011-10-07 2014-02-26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Seated exercise device
CN110680670B (en) * 2019-10-21 2024-09-17 广东诺奖健康科技有限公司 Lifting vibration device
CN112719828B (en) * 2020-12-13 2021-12-14 西南交通大学 Flexible movable assembling system for bearing sadd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75B1 (en) * 2008-07-09 2010-08-04 대한민국 Artificial Hip Wear Tester
KR20150137361A (en) * 2014-05-29 2015-12-09 (주)젠아트 Driv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variable harmonic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9176U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8642B2 (en) Balance training equipment
JP3927530B2 (en) Riding exercise equipment
CN107530578B (en) Rowing machine
JP4483815B2 (en) Oscillating motion device
JP4530010B2 (en) Oscillating motion device
KR20070057651A (en) Exercise health apparatus
JP2000505320A (en) A device for training the back muscles by transmitting vibrations to a sitting subject
JP2007275138A (en) Seated exercise apparatus
JP2008000237A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JP5161708B2 (en) Oscillating motion device
KR100977046B1 (en) Riding equipment
JP4483814B2 (en) Oscillating motion device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EP3056183B1 (en) Exercis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68874B1 (en)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KR200445147Y1 (en)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improves safety
JP2008272328A (en) Standing-riding type exercise apparatus
KR20090038946A (en) Riding equipment
CN2925531Y (en) Exercising appliance
KR200429681Y1 (en) Horse riding
KR102555146B1 (en) boarding exercise machine
KR200436886Y1 (en) Rodeo exercise equipment
TWM297768U (en) Fitness and exercise equipment
CN220989548U (en) Spinal anterior-posterior bending trainer
JP2008048777A (en) Standing riding type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