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2543A -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2543A KR20070052543A KR1020050110294A KR20050110294A KR20070052543A KR 20070052543 A KR20070052543 A KR 20070052543A KR 1020050110294 A KR1020050110294 A KR 1020050110294A KR 20050110294 A KR20050110294 A KR 20050110294A KR 20070052543 A KR20070052543 A KR 200700525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bracket
- vehicle
- trailing arm
- side member
- side se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운팅 브라켓이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동시 체결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이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고, 마운팅 브라켓을 용이하게 설계하고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링암이 차체의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In particular, the mount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side seal and the side memb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ounting bracket can have a strong rigidity against lateral load, and the mounting bracket can be easily designed and assembl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in which the trailing arm can be rigidly assembled to the side seals and side members of the vehicle body.
트레일링암, 사이드 실, 사이드 멤버, 마운팅 브라켓, 토인(Toe-in), 토아웃(Toe-out) Trailing arm, side seal, side member, mounting bracket, toe-in, toe-ou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후방의 하부 차체를 나타낸 저면도, 1 is a bottom view showing a lower body of the rear of a typical vehicl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의 결합도,3 is a coupling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의 결합도,5 is a coupling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횡력 작용시의 CTBA 현가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TBA suspension at the time of the lateral force action,
도 7는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에 따른 입력점 강성을 비교한 도이다.7 is a view comparing the input point stiffnes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bracke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사이드 실 111: 사이드 실에 형성된 체결홀 110: side seal 111: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seal
120: 사이드 멤버 121: 사이드 멤버에 형성된 체결홀120: side member 121: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member
130: 트레일링암 131: 부시 파이프130: trailing arm 131: bush pipe
132: 부시 140: 마운팅 브라켓132: bush 140: mounting bracket
141: 제 1 체결부 142: 제 1 볼트체결홀141: first fastening portion 142: first bolt fastening hole
143: 힌지홀 145: 제 2 체결부143: hinge hole 145: second fastening portion
146: 제 2 볼트체결홀 146: second bolt tightening ho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일링암을 차체의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는 마운팅 브라켓이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in which a mounting bracket for fastening the trailing arm to a side seal and a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has a strong rigidity against lateral load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그 중에서도 비독립 후륜 현가장치(Dependent rear suspension)의 한 종류인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현가장치는,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단가가 낮고, 작은 질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행 안정성이 높아 오랜기간 동안 경차 및 준준형 후륜 현가장치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In general,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vehicle is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vehicle body or cargo and improves the riding comfort by not transmitting vibration or shock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when driving. Among them, the CTBA (Coupled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which is a kind of dependent rear suspension, has a low number of parts and a simple structure. It has been used mainly in light and quasi-rear suspensions for some time.
차량의 토(Toe) 변화는 차량의 직진 안정성, 언더 스티어(Understeer), 오버 스티어(Oversteer) 특성에 큰 기여율을 갖는 설계 파라미터의 하나이다. 토인(Toe- in)은 차량의 앞타이어 또는 뒷타이어를 위에서 보았을 때, 양 타이어가 평행을 이루지 않고 팔(八)자형으로 앞쪽이 다소 좁아져 안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고, 토아웃(Toe-out)은 반대로 뒤쪽이 다소 좁고 앞쪽이 벌어져 있는 것이다. 차량의 코너링 시 후륜 현가장치는 범핑 조건을 만족하고, 횡력 작용시 토인 효과를 나타내어야만 전체적으로 차량이 언더스티어 특성을 가지게 되어,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oe change of the vehicle is one of the design parameters hav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linear stability, understeer, and oversteer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oe-in is when the front tire or the rear tire of the vehicle is viewed from above, both tires are not parallel, but the front of the car is slightly narrowed to the front, and the toe-out is facing inward. On the contrary, the back is rather narrow and the front is open. When the vehicle is cornered, the rear wheel suspension must satisfy the bumping condition and exhibit a toe effect when the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vehicle to have understeer characteristics as a whole, thereby improving driving stability.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후방의 하부 차체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의 결합도이다. 1 is a bottom view showing a lower vehicle body in the rear of a typical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3 is a coupling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일링암(30)과, 차체의 후방 측부를 이루는 사이드 실(10)과, 상기 사이드 실(10)의 안쪽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20)과, 상기 트레일링암(30)을 상기 사이드 실(10)과 사이드 멤버(20)에 체결하는 마운팅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주로 볼트를 매개로 상기 트레일링암(30)을 상기 사이드 멤버(20)의 3점에서 체결시키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는 상기 트레일링암(30)이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핀(미도시)을 매개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 라켓 구조는 차량이 코너링을 할 때 발생하는 횡력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 작용할 경우,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횡방향으로 쉽게 변형이 일어나며, 그로 인해 차량은 토아웃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teral forc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cornering acts on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운팅 브라켓이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동시 체결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이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vehicle's trailing arm that can have a strong rigidity against the lateral load by mounting the bracket to the side seal and the side member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일링암과, 차체의 후방 측부를 이루는 사이드 실과, 상기 사이드 실의 안쪽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와, 상기 트레일링암을 상기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a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trailing arm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support the load appli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side seal forming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a mounting bracket for fastening the trailing arm to the side seal and the side member.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멤버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실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2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bracke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fastened to the side seal.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에는 상기 사이드 멤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볼 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에는 상기 사이드 실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 2 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first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to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to the side seal. do.
또한, 상기 제 1 볼트체결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볼트체결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bolting holes may be formed, and at least one second bolting hole may be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의 결합도이고, 도 6는 횡력 작용시의 CTBA 현가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고, 도 7는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에 따른 입력점 강성을 비교한 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vehicle trailing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vehicle trailing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shape of the CTBA suspension device in the lateral force action 7 is a view comparing input point stiffnes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bracke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일링암(130)과, 차체의 후방 측부를 이루는 사이드 실(110)과, 상기 사이드 실(110)의 안쪽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120)와, 상기 트레일링암(130)을 상기 사이드 실(110)과 사이드 멤버(120)에 체결하는 마운팅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상기 트레일링암(130)의 선단에는 상기 트레일링암(130)과 일체로 구비된 원통형의 부시파이프(131)가 있고, 상기 부시파이프(131) 내부에는 부시(132)가 압입 설치된다. The tip of the
한편, 상기 사이드 실(110)은 차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센터플로워패널(미도 시)의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차체의 후방 측부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사이드 멤버(120)는 상기 사이드 실(110)의 안쪽 상부에 배치된다. The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은 상기 트레일링암(130)이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1 체결부(141)와, 상기 트레일링암(130)이 상기 사이드 실(110)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2 체결부(145)로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 1 체결부(141)와 제 2 체결부(145)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Here, the
상기 제 1 체결부(141)는 프레싱 가공으로 형성이 되고, 상기 제 1 체결부(141)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 접하는 면에는 상기 사이드 멤버(1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볼트체결홀(142)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일링암(130)이 체결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좌우 측면에는 상기 트레일링암(130)과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홀(14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일링암(1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체결부(141)와 상기 트레일링암(130)은 힌지핀(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The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는 상기 제 1 볼트체결홀(142)에 대응하는 체결홀(121)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 1 볼트체결홀(142)은 복수개로 이루어 지는 바, 여기서는 체결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 접하는 면의 3점에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first
한편, 상기 제 2 체결부(14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체결부(141)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체결부(14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사이드 실(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볼트체결홀(146)이 1점에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실(110)에 는 상기 제 2 볼트체결홀(146)에 대응하는 체결홀(111)이 형성된다. Meanwhile, 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따라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을 상기 사이드 멤버(120)와 사이드 실(110)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제 1 볼트체결홀(142)과,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 형성된 체결홀(121)을 대응시키고, 상기 제 2 볼트체결홀(146)과, 상기 사이드 실(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을 대응시킨 후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을 상기 사이드 멤버(120)에 면접촉시키고, 다수개의 조립볼트를 상기 제 1 볼트체결홀(142)과 제 2 볼트체결홀(146)에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조립너트로 각각 나사 결합시킨다. Therefore, in order to fast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왼쪽으로 코너링을 하면(A), 횡력(F)이 -y 방향으로 발생하고, 상기 횡력(F)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은 B 방향으로 변형이 되는데,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이 상기 사이드 멤버(120)와 사이드 실(110)에 동시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의 강성이 커져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40)의 변형이 작아진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vehicle is cornered to the left (A), the lateral force F is generated in the -y direction, and the lateral force F is transmitted to the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의 강성을 비교해보면, 종래 기술과 같이 마운팅 브라켓을 사이드 멤버의 3점에서 마운팅한 것은 y방향의 강성이 1000 kgf/mm이고, 종래 기술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서 마운팅 포인트를 1점 증가시켜 4점에서 마운팅한 것은 1300 kgf/m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에 의한 경우에는 1800 kgf/mm이다. 따라서 횡방향 즉, y 방향으로의 강성이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차량의 토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7, when comparing the stiffness in the y direction, mounting the mounting bracket at the three points of the side member as in the prior art, the rigidity in the y direction is 1000 kgf / mm, mounting bracket of the prior art Mounting at 4 points by increasing the mounting point by 1 point in the structure is 1300 kgf / mm, 1800 kgf / mm in the case of the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vehicle trailing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tiffn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e., the y direction, is much larger tha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out-out phenomen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암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는 트레일링암을 차체의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동시 체결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이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 강한 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횡방향 변형이 감소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마운팅 브라켓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토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he trailing ar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fastening the trailing arm to the side seal and the side member of the vehicle body, since the mounting bracket has a strong rigidity against the lateral load, the mounting bracket in the lateral direction Deformation can be reduced, thereby not onl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mounting bracket, but also having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oe-out of the vehicle.
또한, 제 2 체결부는 제 1 체결부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제 2 볼트체결홀이 1점에서만 형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므로,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도, 제 2 체결부를 용이하게 설계하고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joi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by welding, and the second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only at one poin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u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easy without greatly modifying the conventional mounting bracket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esigned and assembl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0294A KR20070052543A (en) | 2005-11-17 | 2005-11-17 |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0294A KR20070052543A (en) | 2005-11-17 | 2005-11-17 |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2543A true KR20070052543A (en) | 2007-05-22 |
Family
ID=3827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0294A Withdrawn KR20070052543A (en) | 2005-11-17 | 2005-11-17 |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5254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500B1 (en) * | 2007-11-02 | 2013-10-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oe adjusting device for rear suspension system |
-
2005
- 2005-11-17 KR KR1020050110294A patent/KR20070052543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500B1 (en) * | 2007-11-02 | 2013-10-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oe adjusting device for rear suspens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375467A1 (en) | Rear suspension assembly for a vehicle | |
AU749462B2 (en) | Trailing arm axle/suspension system | |
US8579310B2 (en) |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 |
US8616567B2 (en) |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 |
US7635138B2 (en) | Frame integrated rear suspension | |
JP2010228728A (en) | Trailing arm type suspension | |
KR20200086568A (en) | Trailing arm mounting bracket | |
JP2005537967A (en) | Automotive rigid axle with integrated trailing arm and mounting bracket | |
JP3487213B2 (en) | Vehicle subframe structure | |
KR20100038994A (en) | Stabilizer bar mounting unit for vehicle | |
KR20070052543A (en) | Mounting bracket structure of trailing arm for vehicle | |
KR20100034222A (en) | Rear suspension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 |
CN108688428B (en) | Torsion beam rear suspension | |
JP3601352B2 (en) | Vehicle suspension device | |
KR20080026349A (en) | Bush fastening structure of aluminum lower arm of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20050123463A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KR102406141B1 (en) |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KR100457196B1 (en) | Upper Arm Reinforcement | |
JP3624715B2 (en) | Suspension device | |
JP2016179757A (en) | Torsion beam suspension | |
KR100500296B1 (en) | dual link type suspension | |
KR100726571B1 (en) | Bush fastening structure of aluminum lower arm of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100410847B1 (en) | Fixing structure of trailing arm fixing bracket in vehicle | |
KR100290949B1 (en) | Mounting structure of the rear axle suspension of automobile | |
KR20070121959A (en) | Hub Bearing Coupling Structure of Coupled Torsion Beam Type Rear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