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147A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 Google Patents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1147A KR20070051147A KR1020050108641A KR20050108641A KR20070051147A KR 20070051147 A KR20070051147 A KR 20070051147A KR 1020050108641 A KR1020050108641 A KR 1020050108641A KR 20050108641 A KR20050108641 A KR 20050108641A KR 20070051147 A KR20070051147 A KR 200700511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k
- hull block
- carriers
- large hull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구의 캐리어(Carrier)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의 제작 공법으로서, 특히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복수 구의 캐리어에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에 적재하고, 한적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빼내고,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rge hull block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in particular a step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hull blocks using a land crane; Inserting a plurality of transporters into a plurality of carriers; Loading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into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moving them to a secluded place; Removi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rs and adjusting the level of the plurality of carriers; Combining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onto the plurality of carriers to produce one large hull block; And moving the large hull block into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to provide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본 발명에 의하면 육상 운송이 힘들어 도크 내부에서만 제작하던 대형 선체 블록을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육상의 한적한 장소로 이동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도크 회전율을 극대화하여 생산성 증대를 가져 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the land, the large hull block that was produced only in the dock can be produced by moving to a secluded place on the land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thereby maximizing the dock turn rate brings productivity.
대형 선체 블록, 복수 구의 캐리어(Carrier), 해상 크레인, 도크(Dock) Large hull blocks, multiple carriers, offshore cranes, docks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도크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of a large hull block using a conventional doc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A to 3F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2구의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prong carrier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중 도크 내부에 주수가 유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형 선체 블록을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moving a large hull block to the inside of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ock during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PE 작업장 102 : PE 작업 운송용 크레인100: PE workshop 102: PE work transport crane
120 : 도크 122 : 도크게이트120: dock 122: dock gate
124 : 골리앗 크레인 126 : 3000톤 해상 크레인 124: Goliath crane 126: 3000 ton offshore crane
128 : 3600톤 해상 크레인 130 : 2 구 캐리어128: 3600 ton offshore crane 130: 2 ball carrier
140 : 서포트(Support) 150 : 트랜스포터(Transporter)140: Support 150: Transporter
본 발명은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구의 캐리어(Carrier)를 이용하여 육상의 한적한 장소에서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large hu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a large hull block in a secluded place on land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일반적으로, 배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빚어지는 영업상의 채산성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을 좌우하게 된다. In general, the shipbuilding industry, which begins with the order of the ship and is designed, built, and delivered, the profitability of the business in the process depends on the survival and success of the industry.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배의 건조 과정에서의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공업은 이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rofitability is productivity in shipbuilding, and all shipbuilding industries are competing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록 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For this reason, block drying has emerged. In the block drying method, first, the hull is divided into dozens or hundreds of blocks, and the individual blocks are assembled and manufactured on the ground, and the manufactured blocks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shipboard and assembled into a hull.
블록의 형상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으로 만들어 완성된 블록들은 도장이 이루어진다. 도장까지 마친 블록들은 몇 개의 블록씩 결합 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끼리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피이(PE: Pre-Erection)작업이라 한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lock, the finished block is painted with the most efficient process at the most suitable factory. Blocks that are finished until painting are combined by several blocks, and thus, the operation of combining a plurality of blocks into one is called a PE (Pre-Erection) operation.
상기 피이 작업은 복수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뭉쳐서, 한번에 탑재시킬 수 있어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한 생산 및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blood operation may be a plurality of small blocks in one large block, can be mounted at a tim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dry the ship,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and work efficiency.
상기 피이 작업이 이루어 진 후 각각의 선체 블록은 도크(Dock)로 이동되는데, 이는 선박을 수리 및 건조하기 위해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이며, 크게 건식 도크와 부유식 도크로 대별된다.After the piercing operation, each hull block is moved to a dock, which is a facility built in a shipyard or a port to repair and build a ship, and is roughly divided into a dry dock and a floating dock.
건식 도크란 선박의 건조 시에 필요한 구축물로서, 갑문(Dock Gate)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기도 하고 바다로 빼내기도 할 수 있는 작업장으로서, 물을 빼낸 건식 도크 내에서 피이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각각의 선체 블록을 조립, 완성하여 배를 진수할 수 있는 설비이다.A dry dock is a structur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hip. It is a workshop that can trap water into the sea using a dock gate and can also be taken out into the sea. It is a facility that can assemble and complete blocks to launch ships.
부유식 도크란 도크 내부에 밸라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있어 그 안에 물을 주수하면 물속으로 가라앉고, 상기 밸라스트 탱크로부터 물을 배수하면 물 위로 부상할 수 있는 도크이다.Floating dock is a ballast tank (Ballast Tank) inside the dock is a dock that can sink into the water when water is poured in it, and float on the water when draining water from the ballast tank.
도 1은 종래의 도크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의 건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크(10)는 건식 도크로서, 해상에서 육상(30)으로 길게 "ㄷ" 형상의 홈(14)을 깎아내고, 상기 홈(14)과 해상이 만나는 지점에는 해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개폐할 수 있는 도크게이트(12)가 장착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of a large hull block using a conventional dock. As shown in FIG. 1, the
선박(20)이 수리 또는 건조되는 경우, 상기 도크(10)는 내부의 주수를 배출 시키고, 상기 도크게이트(12)를 닫아 해수의 유입을 차단시키고, 상기 선박(20)이 완성되어 진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갑문(12)을 개방하여 주수를 유입시킨다.When the
선박뿐만 아니라 육상으로 운반할 수 없는 3000톤 급 이상의 대형 선체 블록과 같은 경우에는 거의 모두 상기 도크에서 건조와 제작이 이루어진다.Almost all cases such as large hull blocks of 3000 tonnes or more, which cannot be carried on land as well as ships, are built and manufactured in the dock.
이와 같은 이유로 도크에는 많은 생산 공정 스케줄로 인해 작업이 누적될 수밖에 없고, 작업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For this reason, the dock is forced to accumulate work due to many production process schedules, and the work time is delayed.
또한, 이러한 도크의 제작에는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추가적인 도크의 제작을 통해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of such a dock is enormous cos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rough the manufacture of additional dock.
그리하여 3500톤 급의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이외의 육상의 한적한 장소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형 선체 블록이 육상에서 제작되었다 하여도 이를 도크 내부로 운반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이 없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Thus, there is a movement to produce a 3500 tonne large hull block in a secluded place on land other than the dock. However, even when such a large hull block is manufactured onshore,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because there is no transportation means to transport it into the doc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크 이외의 한적한 지역에서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하고, 이를 도크 내부로 운반할 수 있는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a large hull block in a secluded area other than the dock, and to transport it into the dock. Make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복수 구의 캐리어에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에 적재하고, 한적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빼내고,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hull block using a land crane; Inserting a plurality of transporters into a plurality of carriers; Loading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into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moving them to a secluded place; Removi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rs and adjusting the level of the plurality of carriers; Combining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onto the plurality of carriers to produce one large hull block; And moving the large hull block into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to provide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이 곡면 블록인 경우 상기 캐리어에 적재할 시에는,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이 다수의 서포트(Support)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are curved blocks, when loading the carri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hull blocks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s on the plurality of carriers.
이때, 상기 도크 내부에 주수가 배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완성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이 적재된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를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해상 크레인의 작업 범위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견인하는 단계; 상기 해상 크레인을 도크게이트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직접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is discharged in the dock, the step of moving the large hull block into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the carrier of the plurality of spheres on which the completed large hull block is loaded Moving to a working range of a marine crane using a plurality of transporters; Towing the large hull block with the marine crane; Moving the offshore crane to the dockgate; And mounting the large hull block directly to the dock bottom with the offshore crane.
또한, 상기 도크 내부에 주수가 유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완성된 상 기 대형 선체 블록이 적재된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를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해상 크레인의 작업 범위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견인하는 단계;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부상시키고, 부상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도크 내부의 주수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ock, the step of moving the large hull block into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the carrier of the plurality of spheres on which the completed large hull block is loaded Moving to a working range of a marine crane usi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rs; Towing the large hull block with the marine crane; Floating the large hull block with the offshore crane and moving the large hull block to the inside of the dock; Fixing the position of the large hull block and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dock; And seating the large hull block on the dock bottom.
이때,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이 곡면 블록인 경우,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견인할 시에는,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large hull block is a curved block, it is preferable to remove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large hull block on the plurality of carriers when towing the marine cran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f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iagrams shown in FIGS. 3A to 3F.
먼저, 본 실시예는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203)를 포함한다.First,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PE) 작업장(100)에서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피이 작업 운송용 크레인(102)을 이용하여 세 개의 선수 곡면 블록을 제작한다.As shown in FIG. 3A, three PE curved blocks are manufactured in the
다음으로, 복수 구의 캐리어에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삽입하는 단계(205)를 포함한다.Next, a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2구의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prong carrier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구의 캐리어(130)는 상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판재형상을 가지고 있어 대형 선체 블록(106)을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130)의 길이방향으로 2 열의 통로(132)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wo-
각각의 통로마다 2대씩의 트랜스포터(150)가 삽입되므로, 총 4대의 트랜스포터(150)가 하나의 캐리어를 들어서 운반한다. Since two
2 열의 통로(132)로 인해 상기 캐리어(130)의 하부는 세 개의 지지 다리를 가지는데, 캐리어 중심다리(134)와 캐리어 좌, 우 다리(13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쐐기(미도시)들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캐리어의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Due to the two rows of
본 실시예에서는 2구의 캐리어 사용하였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큰 대형 선체 블록의 제작 및 운반을 위해서 더 많은 수의 구를 가진 캐리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carriers are used, but in another embodiment, a carrier having a larger number of spheres may be used for manufacturing and transporting a larger large hull block.
또한, 상기 캐리어(130)에 삽입되는 트랜스포터(150)는 2개씩 구성된 6행의 바퀴(152)가 상기 캐리어(130)의 길이 방향으로 6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총 72개의 촘촘한 바퀴(152)로 상기 트랜스포터(150)의 전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바퀴의 위치, 행 수, 열 수 및 총 수 등은 다르게 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는 대중량의 하중을 각각의 바퀴에서 작은 분포하중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500톤 내지 1000톤 급 중량의 대형 화물을 운반하기에 유리한 구조이다.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for transporting large cargos of 500 to 1000 ton weight because it accepts large loads as small distributed loads on each wheel.
또한, 상기 트랜스포터(150)는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한데, 상기 트랜스포터(150)를 아래로 하강시켜, 상기 캐리어(130) 통로에 삽입하며, 상기 트랜스포터(150)를 위로 상승시켜, 상기 캐리어(130)를 들어올려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복수 개의 선체 블록들을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에 적재하고, 다수의 서포트로 지지한 후, 한적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207)를 포함한다.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대의 트랜스포터(150)가 장착된 2구의 캐리어(130)는 상기 PE장으로 이동하여, 세 개의 선수 곡면 블록(104)들을 적재하고, 한적한 장소(108)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C, two
이때, 상기 선수 곡면 블록(104)들은 스스로 지지될 수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2구의 캐리어(130)상에서 다수의 서포트(140)에 의해 지지되어야만 위치가 고정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다수의 서포트(140)들은 직선형 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130)의 상판과 상기 선수 곡면 블록(104)의 측면 외판 사이에 비스듬히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서포터(140)의 형태와 지지방법은 변형되어도 무방하다.The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스스로 지지될 수 있는 평면 하부 블록이나 탱크 하부 블록 등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서포트(140)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planar lower block or a tank lower block which can be supported by itself, it is not necessary to be supported by the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빼내고,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의 수평을 조절하는 단계(209)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2구의 캐리어(130)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4대의 트랜스포터(150)를 아래로 하강시키면, 상기 2구의 캐리어(130)는 세 개의 다리로 서게 된다. 그리고 상기 2구의 캐리어(130)의 세 개의 다리 하단부에 설치된 쐐기(미도시)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춘다.When the four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복수 개의 선체 블록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211)를 포함한다.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의 한적한 장소(108)에 놓여진 수평 조절된 2구의 캐리어(130) 상에서, 세 개의 선수 곡면 블록(104)들은 취부작업과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106)이 제작된다.As shown in FIG. 3D, on the horizontally adjusted two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완성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이 적재된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를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해상 크레인의 작업 범위까지 이동시키는 단계(213)를 포함한다.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조절된 상기 캐리어(130) 상에서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106)의 제작이 완성되면, 4대의 트랜스포터(150)를 다시 상기 캐리어(130)의 각 구마다 2대씩 삽입시키고, 상기 캐리어(130)를 해상 크레인(126, 128)의 작업 범위까지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3E, when the production of one
상기의 트랜스포터(150)를 삽입한 상기 캐리어(130)는 육상 운송수단으로서 선박이 건조되어야 할 도크 내부로의 이동은 불가능한데, 이러한 이유로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을 도크 내부 바닥으로 운반하려는 것이다. The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대형 선체 블록과 상기 복수 구의 캐리어 사이에 지지된 다수의 서포트를 제거하고,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견인하는 단계(215)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선수 곡면 블록(104)으로 제작된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106)은 다수의 서포트(1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을 상기 해상 크레인(126, 128)으로 견인하려면, 먼저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을 지지하는 상기 서포트(140)의 철거가 우선되어야 한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평면 하부 블록이나 탱크 하부 블록과 같은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한 경우는 상기 서포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의 철거작업 또한 요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E, in this embodiment, on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해상 크레인은 3000톤 급 해상 크레인(126)과 3600톤 급 해상 크레인(128)으로서, 이들 두 대를 이용하면 대략 5700톤 중량의 대형 선체 블록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 대의 해상 크레인(126, 128)을 연결하여 3500톤 가량의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을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rine cran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3000 ton class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상 크레인을 도크게이트까지 이동시키는 단계(2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해상 크레인(126, 128)은 자가이동능력이 없으 므로, 복수 대의 예인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해상 크레인(126, 128)을 도크게이트(122)까지 이동시킨다.Nex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직접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219)를 포함한다. Finally, this embodiment includes a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120)의 내부는 주수가 배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해상 크레인(126, 128)을 도크게이트(122)에 최대한 접안시켜고, 상기 해상크레인(126, 128)의 붐을 최대한 연장하여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직접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F, since the water in the
이때에도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은 상기 도크(120) 바닥에 스스로 서 있을 수 없으므로, 다수의 서포트와 반목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의 자세 고정작업이 요구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중 도크 내부에 주수가 유입되어 있는 경우에 대형 선체 블록을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고,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moving a large hull block to the inside of the dock and seating on the bottom of the dock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ock during a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실시예는 도크(120)에 주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120) 내부로 이동시키는 일종의 탠덤 방식에 관한 것으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도크 바닥에 대형 선체 블록을 직접 안착시키는 방식과 조금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이미 설명된 부분과 차이점만 설명하도록 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kind of tandem for moving the large hull block into the
복수 구의 캐리어 상에서 복수 개의 선체 블록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한 다음에, 이후 완성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이 적재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해상 크레인의 작업 범위까지 이동시키는 단계(501)를 포함한다.Combining a plurality of hull blocks on a plurality of carriers to produce one large hull block, and then the carrier loaded with the completed large hull block to the working range of a marine crane using the plurality of transporters Moving 501.
다음으로,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견인하는 단계(503)를 포함한다. Next, a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은 선수 곡면 블록이므로 자가 부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물막이 공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사가 끝나면 그 후에 상기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을 견인한다. As shown in FIG. 3E, the
다음으로, 상기 해상 크레인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부상시키고, 부상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505)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해상에서 자가부상된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은 복수 대의 예인선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도크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Next, floating the large hull block with the offshore crane and moving the injured large hull block into the
다음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도크 내부의 주수를 배출시키는 단계(50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의 위치 고정 작업은 상기 도크(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핀과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 사이의 로프 연결 작업으로서, 이후 주수의 배출에 의해 상기 대형 선체 블록(106)이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Next, fixing the position of the large hull block,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water in the dock (507).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operation of the
마지막으로, 상기 대형 선체 블록을 상기 도크 바닥에 안착시키는 단계(509)를 포함한다. Finally, seating 509 the large hull block to the bottom of the dock.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multiple sphere carrier by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에 의하면,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도크가 아닌 육상의 한적한 장소에서 대형 선체 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도크 회전율이 극대화되며, 선박 건조 기간을 대폭 단축되어, 선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arge hull block in a secluded place of the land using a plurality of sphere carriers, the dock rotation rate is maximized In addition, the ship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hip can be improv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8641A KR100750893B1 (en) | 2005-11-14 | 2005-11-14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8641A KR100750893B1 (en) | 2005-11-14 | 2005-11-14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1147A true KR20070051147A (en) | 2007-05-17 |
KR100750893B1 KR100750893B1 (en) | 2007-08-22 |
Family
ID=3827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86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0893B1 (en) | 2005-11-14 | 2005-11-14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08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039B1 (en) | 2008-01-28 | 2010-04-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Dock layout structure |
KR101059998B1 (en) * | 2008-08-21 | 2011-08-2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Large Block Assembly |
KR102071010B1 (en) * | 2017-06-30 | 2020-01-29 | 삼성중공업(주) | construction method of Semi-submissible type platfor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8309B1 (en) * | 1999-12-31 | 2002-03-16 | 송영수 | A Shipbuilding Method in a Drydock Using a Skid Mounting Method and a Skid Bogie System Therefor |
KR100424201B1 (en) * | 2001-05-10 | 2004-03-2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 procedure of constructing ship by skidding super block and its skidding system |
KR200398956Y1 (en) | 2005-06-09 | 2005-10-18 | 신라이히 라이너 | Transporter having single row axle |
-
2005
- 2005-11-14 KR KR1020050108641A patent/KR1007508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0893B1 (en) | 2007-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03023B2 (en) |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 |
TWI314536B (en) |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 |
FI114306B (en) | Procedure and pontoon for mounting a deck on a floating sea engineering substructure | |
NL2017637B1 (en) | Self-propelled jack-up vessel | |
JP2003525170A (en) | Submerged heavy lift catamaran | |
EP1648804B1 (en)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t sea-side of ship | |
US6299383B1 (en) | Method for deck installations on offshore substructure | |
KR100809539B1 (en) | Shipbuilding method using pants | |
KR100718928B1 (en) | Gigablock method using multiple marine cranes | |
KR100750893B1 (en)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plural sphere carriers | |
JP6681191B2 (en) | Floa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floating structure of floating structure | |
KR100794257B1 (en) | Large hull blo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multiple transporters | |
KR20130074134A (en) | Block carry method for constructing vessel | |
KR101566523B1 (en) | Method for building ship | |
KR101159029B1 (en) | Ship building method by sliding launching of megablock | |
JP2002220087A (en) | Semi-sub type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the same | |
KR20150107408A (en) | Method for loading large block of ship | |
KR100802581B1 (en) | Shipbuilding method using multiple pants | |
CN120379892A (en) | Hull structure of semi-submersible wind power platform | |
WO2024218286A1 (en) | Load out method and system for an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 |
DK202000343A1 (en) | Method of loading wind turbine components to a maritime vessel | |
GB2636987A (en) | Vessel and method of use of vessel | |
RU152634U1 (en) | FLOATING DOCK | |
KR20150063762A (en) | Floting dock use to floting crane and methode of load for pe block use it | |
KR20200026360A (en) | Vessel stability device and load-out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8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