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463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8463A KR20070048463A KR1020050105579A KR20050105579A KR20070048463A KR 20070048463 A KR20070048463 A KR 20070048463A KR 1020050105579 A KR1020050105579 A KR 1020050105579A KR 20050105579 A KR20050105579 A KR 20050105579A KR 20070048463 A KR20070048463 A KR 200700484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condensate
- guide
- floating
- dehumid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에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어셈블리에 고정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에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따라 회동되는 플로팅 기구를 설치하며, 배리어의 상측에 온/오프 스위치 또는 자성감지센서로 구성된 만수감지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플로팅 기구에 자석을 장착하기 위한 홈을 설치하여, 상기 플로팅 기구만으로 상기와 같은 종류의 만수감지수단과 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습기, 버킷, 배리어, 플로팅 기구, 고정가이드, 만수감지수단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리어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고정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고정가이드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만수감지수단이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로서,
A는 버킷에 응축수가 만수되지 않아서 플로팅 기구와 온/오프 스위치가 접촉 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B는 버킷에 응축수가 만수되어 플로팅 기구와 온/오프 스위치가 이격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C는 버킷에 응축수가 만수되지 않아서 플로팅 기구와 자성감지센서가 멀리 위치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D는 버킷에 응축수가 만수되어 플로팅 기구와 자성감지센서가 근접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20 : 응축기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
50 : 송풍팬 어셈블리 52 : 하우징
54 : 원심팬 60 : 캐비닛
70 : 베이스 71 : 바퀴
72 : 홀 74 : 브래킷
80 : 배리어 81 : 내측
82 : 리브 83 : 드레인팬
84 : 설치부 86 : 만수감지수단
90 : 버킷어셈블리 92 : 버킷가이드
92a : 힌지 93a : 제 1 가이드부
93b : 제 2 가이드부 94 : 버킷
94a : 홈 94c : 홀
96 : 플로트 설치홀 100 : 패널 어셈블리
102 : 측면패널 102a : 흡입구
104 : 후면패널 104a : 토출구
105 : 루버 106 : 상면패널
106a : 토출구 107 : 루버
110 : 플로팅 기구 111 : 플로팅부
112 : 연결부 113: 접촉 레버부
113a : 자석 설치부 115 : 자석
116: 고정가이드 120 : 필터어셈블리
122 : 필터프레임 124 : 필터케이스
126 : 고정기구 127 : 후크
130 : 컨트롤박스 135 : 디스플레이장치
140 : 전면패널 어셈블리 142 : 전면프레임
142a : 홀 142b : 슬릿
144 : 전면패널 145 : 브래킷
150 : 무게감지장치 152 : 로드셀
154 : 휨부재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킷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만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자성감지센서에 공용될 수 있는 플로팅 기구를 갖춘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제습 작용을 하도록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와,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제습시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담수되고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버킷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 기구가 설치되고, 배리어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와 반응함으로써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을 때 이를 알리는 만수감지수단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응축수의 수위가 만수되었을 때 이를 알리는 만수감지수단으로써 온/오프 스위치 또는 자성감지센서가 제품에 따라 각각 달리 설치되므로, 설치되는 부품이 온/오프 스위치인지 자성감지센서인지에 다른 구성을 갖는 플로팅 기구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플로팅 기구를 공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만수감지수단으로써 설치되는 부품이 온/오프 스위치인지 또는 자성감지센서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두 부품과 공용될 수 있도록 플로팅 기구의 일측에 자석 설치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자석 설치부에 자석이 삽입된 플로팅 기구를 장착한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배리어와, 상기 배리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면에 안착된 증발기를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모여지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모여진 응축수가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버킷 어셈블리와, 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 기구와, 상기 플로팅 기구와 대응되 게 상기 배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 가이드와, 상기 버킷 가이드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킷 가이드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킷에는 플로트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설치홀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가 상기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로팅 기구는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를 통해 상기 플로팅부의 회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연결부와,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측으로 연장된 접촉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레버부에는 자석이 장착되는 자석 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수감지수단은 상기 접촉 레버부가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수감지수단은 상기 접촉 레버부가 근접되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 시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0)와, 상기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0)와, 상기 팽창밸브(30)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40)와, 실내 공기가 상기 증발기(40) 및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여 유동되도록 설치된 송풍팬 어셈블리(50)와, 상기 각 장치(10)(20)(30)(40)(50)가 내부에 설치되는 캐비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60)은 외관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패널 어셈블리(100)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60)의 저면에는 바퀴(71)가 부착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7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70)를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상측으로 직립된 배리어(80)가 설치되며, 상기 배리어(80)의 내측(81) 에는 증발기(40)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낙하된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버킷 어셈블리(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리어(80)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닛(6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 어셈블리(1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70)의 하면에는 상기 바퀴(7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기(10)가 조립되기 위한 홀(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는 상기 버킷 어셈블리(90)가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 어셈블리(90)의 하단을 힌지 고정시키는 브래킷(7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배리어(80)에 의해 구획된 베이스(70)의 상부 전방에는 상기 버킷 어셈블리(9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70)의 상후 후방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버킷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버킷 어셈블리(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0)에 힌지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 가이드(92)와, 상기 버킷 가이드(92)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버킷 가이드(92)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킷 가이드(92)의 양 측단에는 핀 형상의 힌지(92a)가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70)의 브래킷(74)과 결합되고, 상기 힌지(92a)와 상기 브래킷(74)의 결합에 의해 상기 버킷 가이드(92)는 상기 힌지(92a)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버킷 가이드(92)는 상기 버킷(94)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93a)(93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93a)(93b)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부(93a)는 상기 버킷(94)의 전방 하단에 형성된 홈(94a)과 대응되어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정렬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93b)는 상기 버킷(94)의 배면에 형성된 홈(미도시)과 대응되어 상기 버킷(94)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93a)(93b)는 상기 배리어(80)에서 안내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버킷(94)의 홀(94c)로 정확히 낙하시키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버킷(94)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95)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고정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고정가이드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버킷(94)의 상부에는 플로트 설치홀(96)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설치홀(96)에는 고정가이드(116)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가이드(116)에는 상기 버킷(94)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서 승강되는 플로팅 기구(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80)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움직임에 따라서 만수여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8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가이드(116)는 상기 버킷(94)에 형성된 플로트 설치홀(96)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116a)와, 타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돌기(116b)와,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고정하고,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상승 운동의 상한높이를 한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된 체결부(116c)와, 상기 한쌍의 체결부(116c)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탈거를 방지하는 안착돌기(116d)와,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동작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기구()가 삽입되는 홀 내벽에 형성된 반원 모양의 걸림턱(116e)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팅 기구(110)는 도 9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부(111)와, 상기 고정가이드(116)를 통해 상기 플로팅부(111)의 회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연결부(112)와, 상기 플로팅부(11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86)측으로 연장된 접촉 레버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로팅부(111)는 ‘??’자 모양으로 절곡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응축수의 수면에 떠서 상승, 하강 운동되도록 중공된다.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플로팅부(111)가 상기 고정가이드(116)에 결합되어 상기 플로팅부(111)의 회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116)의 체결부(116c)에 형성된 홀에 핀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촉 레버부(113)는 상기 플로팅부(111)가 수면을 따라 하강되면 회전/ 상승되면서 상기 만수감지수단(86)으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만수감지수단(86)에 점차적으로 가까운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절곡된다.
한편, 상기 만수감지수단(86)은 상기 접촉 레버부(113)가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온/오프 스위치일 수도 있고, 상기 접촉 레버부(113)가 근접되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레버부(113)는 일측면에 자석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설치부(113a)가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 설치부(113a)에 자석(115)을 삽입하므로, 상기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온/오프 스위치 대신 자성감지센서가 설치되어도 응축수의 만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습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플로팅 기구(110)와 만수감지수단(86)을 사용하여 상기 버킷(94)에 응축수가 만수되었는지를 판단하기도 하지만, 상기 버킷(94)의 하단측에 무게감지유닛(150)을 더 설치하여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만수여부를 판단하기도 한다.
상기 만수감지수단(86)은 상기 버킷(94) 내부에 응축수가 한계 높이까지 저장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무게감지유닛(150)은 상기 버킷(94)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무게감지유닛(150)은 무게감지 센서의 일종인 로드셀(152)이고, 상기 로드셀(152)은 상기 버킷가이드(92)의 하측에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로드셀(152)은 상기 베이스(70)와 상기 버킷가이드(92)의 사이 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에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버킷가이드(92)에는 상기 로드셀(152)에 무게를 전달하기 위해 외팔보 형상의 휨부재(154)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재(154)는 상기 버킷(94)에 눌려 하측으로 휘어짐으로서 상기 로드셀(152)에 하중을 전달한다.
특히 상기 버킷(94)의 하면에는 상기 휨부재(154)에 접촉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휨부재(154)와 접촉되고, 상기 휨부재(154)와 상기 돌출부의 위치정렬은 상기 버킷가이드(92)에 형성된 가이드부(93a)(93b)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배리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필터 어셈블리(120), 증발기(40), 응축기(20) 및 송풍팬 어셈블리(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40) 및 응축기(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증발기(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배리어(80)에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40) 및 응축기(20)가 설치되는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리브(82)가 형성된 드레인 팬(83)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40) 및 상기 응축기(20)는 상기 리브(82)가 형성된 상기 드레인 팬(83)에 안착된다.
더불어 상기 배리어(80)의 상면은 높낮이가 다른 단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리브(82)가 형성된 드래인팬(83)은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가 안착되는 설치부(84)에 비해 그 높이가 낮다.
그리고 상기 드래인 팬(83)에는 집수구(83c)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구(83c) 로 유동되는 응축수는 상기 버킷(94)의 홀(94c)로 안내된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80)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설치되는 원심팬(54)과, 상기 하우징(52)과 조립되어 상기 원심팬(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 커버(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2)은 중앙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2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52a)를 지나 상기 원심팬(54)에서 가속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56)가 안내하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2)은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가 모두 상기 흡입구(52a)를 통해서만 상기 원심팬(54)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60)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구획한다.
더불어 상기 증발기/응축기(40)(20)와 상기 하우징(52)이 서로 조립된 후 상기 증발기/응축기(40)(20) 및 상기 하우징(52)의 상부에는 상기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30)가 조립되어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필터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40)에 조립되는 필터 프레임(122)과,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열리는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케이스(124)를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고정시키는 고정기구(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는 상기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128)가 장착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의 하단에 조립되어 회동된다.
특히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하단과 상기 필터 프레임(122)의 하단은 서로 힌지(124a) 연결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는 상기 힌지(124a)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열린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126)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기구(1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1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고정시키고, 상기 후크(127)와 상기 고정기구(126)의 걸림고정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필터 케이스(124)가 상기 필터 프레임(122)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을 상기 필터 프레임(122) 측으로 밀 경우,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 후방으로 밀렸다 나오면서 걸림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가 상기 필터 프레임(122)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은 상기 필터 프레임(122) 측으로 밀 경우, 상기 후크(127)는 상기 고정기구(126)에 삽입된 후 전방으로 소정 거리 밀려나오면서 걸림 고정된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상기 캐비닛(60) 의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패널(102)과, 상기 캐비닛(60)의 배면을 이루는 후면패널(104)과, 상기 캐비닛(60)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패널(106)과, 상기 캐비닛(6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패널/후면패널/전면패널 어셈블리(102)(104)(140)는 상기 베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직립하여 설치된다.
상기 측면패널(102)에는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패널(106) 및 후면패널(104)에는 상기 캐비닛(60) 내부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6a)(10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102)의 흡입구(102a)에는 공기의 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루버(103)가 설치되고, 상기 후면패널(104) 및 상기 상면패널(106)의 토출구(104a)(106a)에는 토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루버(105)(10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패널(102)에 설치된 루버(103) 및 상기 후면패널(104)에 설치된 루버(105)는 사용자가 손으로 공기의 흡입/토출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상면패널(106)에 설치된 루버(107)는 제습기의 제어부 또는 사용자에 의해 공기의 토출방향이 조절된다.
그래서 상기 루버(107)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핀(106a)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루버(107)가 회동될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 및 동력전달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는 상기 측면패널(102)에 힌지 연결되어 전면으로 회동되는 전면 프레임(142)과,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 자에게 노출되는 전면패널(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가장자리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틈을 통해 실내 공기가 캐비닛(60) 내부로 흡입된다.
그래서 상기 전면패널(144)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 사이에는 각각 패널가이드(145)가 개재되고, 상기 패널가이드(145)는 상기 전면프레임(142)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142)에는 후방 측에 위치된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 측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42a) 및 슬릿(142b)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전면 프레임(14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측면 패널(10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브래킷(145)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가 여닫이 방식으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145)은 상기 측면 패널(102)의 측면 가장자리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작동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습기가 작동되면, 상기 컨트롤박스(130)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10)를 작동시키고, 상기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0)에 공급하며, 상기 응축기(20)는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고,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30)에서 분무 상태의 액체 냉매로 팽창된 후 증발기(40)에서 기체로 증발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40)에서 기체로 증발되는 냉매는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실내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는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어 실내 공기를 제습한다.
이후, 상기 증발기(40)에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로 유동되어 기/액 상태로 분리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10)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제습기에 의한 공기의 이동과정을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는 송풍팬 어셈블리(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를 작동시킴으로서 실내 공기를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시킨 후 후 다시 실내로 토출시킨다.
이때, 측면 패널(102)에 형성된 흡입구(102a) 및 상기 전면 프레임(142)에 형성된 홀(142a)/슬릿(104b)을 통해 실내 공기가 상기 캐비닛(6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로 이동되어 여과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20)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 설치된 필터(128)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필터(12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지나 상기 증발기(40)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 공기는 상기 증발기(40)에 형성된 방열핀(미도시) 등과 열교환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여과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맺히게 되며, 상기 증발기(40)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0)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팬(83)에 수집된다.
더불어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40) 후방에 설치된 응축기(20)와 다시 열교환되고,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한 제습 공기와 상기 응축기(20)가 서로 열교환되어 상기 제습 공기는 다시 가열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20)에서는 기체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열이 발산되는 바 상기 제습 공기와 상기 응축기(20)의 열교환과정에서 상기 제습공기는 실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다시 가열된다.
이후,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50)의 하우징(52)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52)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하우징(52)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원심팬(54)에 의해 가속되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토출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52)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52)의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형성된 토출구(106a) 및 상기 후면패널(104)에 형성된 토출구(104a)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전면/측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 한 후 상면/후면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제습기가 설치된 실내의 전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면패널(106)에 설치된 루버(107)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및 유량을 조절한다.
그래서 캐비닛(60)의 상부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 시킬 경우 상기 루버(107)는 폐쇄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부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경우 폐쇄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토출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에서 응축수의 이동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증발기(40)에서 응축되어 상기 드레인팬(83)에 수집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83)의 집수구(83c)를 통해 상기 버킷(94)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상기 버킷(94)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만수감지수단(86) 또는 무게감지유닛(150)에 의해 그 양이 감지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킷(94)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제습기의 디스플레이장치(135)에 이를 표시한다.
특히 상기 무게감지유닛(150)은 상기 응축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버킷(94) 내부의 응축수 높이를 실험식에 의해 계산 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35)에 응축수의 높낮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응축수의 저장 높이를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응축수가 상기 버킷(94)에서 만수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엘이디(LED, 미도시)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버킷(94)의 배수 시기를 알린다.
더불어 상기 만수감지수단(86)은 상기 버킷(94) 내부의 응축수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저장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작 동되던 상기 압축기(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응축수가 상기 버킷(94)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가 상기 버킷(94)에 저장되어 만수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기구와 만수감지수단이 응축수의 만수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이다.
드레인팬(83)에 모여진 응축수가 버킷(94) 내부로 낙하되어 상기 응축수가 저장되기 시작할 때, 상기 응축수가 아직 만수상태가 되지 않았을 때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기구(110)는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상기 배리어(80)의 상측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와 접촉 레버부(113)가 접촉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자성감지센서가 설치되었을 때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접촉 레버부(113)는 상기 자성감지센서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가 계속 낙하됨으로써 상기 버킷(94)에 만수가 되었을 때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접촉 레버부(113)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이격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자성감지센서가 설치되었을 때는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기구(110)의 접촉 레버부(113)는 상기 자성감지센서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응축수의 만수여부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습기의 디스플레이장치(135)에 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했을 때는 상기 접촉 레버부(113)가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이격되었을 때를 만수시점으로 표시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86)으로써 자성감지센서를 사용했을 때는 상기 접촉 레버부(113)가 상기 자성감지센서에 근접되었을 때를 만수시점으로 표시했지만, 이는 프로그래밍상의 문제로써 그 역의 방법으로 만수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버킷이 분리되는 과정을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해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열고,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는 좌측 측면패널(102)의 브래킷(14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상기 캐비닛(60) 내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손잡이(95)를 잡아당겨 상기 버킷(94)을 상기 배리어(8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기 버킷(94)은 버킷가이드(92)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버킷가이드(92)는 전방의 힌지(92a)가 상기 배리어(80)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구조인 바,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을 잡아 앞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버킷(94)의 상단은 전방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버킷(94)은 사용자가 상기 버킷(94)의 손잡이(95)를 잡아당기는 과정에 의해 상단 일부가 상기 배리어(80) 내측으로부터 빠져나와 사용자가 들기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되고, 사용자는 전방으로 회동된 손잡이(95)를 들어서 상기 버킷(94)의 하단을 상기 버킷가이드(92)로부터 분리하여 이동한다.
그래서 상기 버킷(94)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95)를 잡은 상태에서 한번에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킷(94)의 분리과정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버킷(124)의 조립과정은 상기 분리과정의 역 순서로 진행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필터 어셈블리에서 필터의 교체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버킷(94)의 분리과정과 같이 상기 전면패널 어셈블리(140)를 열고,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을 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필터 케이스(124)와 상기 필터 프레임(122)은 고정기구(126)에 의해 걸림고정된바, 사용자는 상기 필터 케이스(124)의 상단을 눌러 상기 필터 케이스(124)에 형성된 후크(127)와 상기 고정기구(126)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필터케이스(12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 필터(128)를 꺼낸다.
한편, 상기 필터(128)의 조립과정은 분리의 역 순서로 진행되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버킷 어셈블리에 상기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 기구와, 상기 플로팅 기구와 대응되게 상기 배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응축수가 만수됐을 때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편리하게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 가이드와, 상기 버킷 가이드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킷 가이드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위하여 버킷의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킷에는 플로트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설치홀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가 상기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를 상기 버킷에 안정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기구의 접촉레버부에는 자석이 장착되는 자석 설치부가 형성되어, 만수감지수단으로써 온/오프 스위치가 사용되든 자성감지센서가 사용되든 어느 방식에라도 사용가능함으로써 상기 만수감지수단에 따라 별도의 플로팅 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의한 플로팅 기구만으로 공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 베이스에 설치되는 배리어와;상기 배리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면에 안착된 증발기를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모여지는 드레인팬과;상기 드레인팬에 모여진 응축수가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버킷 어셈블리와;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 기구와;상기 플로팅 기구와 대응되게 상기 배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 고정되어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 가이드와;상기 버킷 가이드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킷 가이드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버킷에는 플로트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설치홀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가 상기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플로팅 기구는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팅부와;상기 고정가이드를 통해 상기 플로팅부의 회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연결부와;상기 플로팅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측으로 연장된 접촉 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접촉 레버부에는 자석이 장착되는 자석 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만수감지수단은 상기 접촉 레버부가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만수감지수단은 상기 접촉 레버부가 근접되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579A KR20070048463A (ko) | 2005-11-04 | 2005-11-04 | 제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579A KR20070048463A (ko) | 2005-11-04 | 2005-11-04 | 제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8463A true KR20070048463A (ko) | 2007-05-09 |
Family
ID=3827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579A Withdrawn KR20070048463A (ko) | 2005-11-04 | 2005-11-04 | 제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48463A (ko) |
-
2005
- 2005-11-04 KR KR1020050105579A patent/KR20070048463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91206B2 (en) | Dehumidifier | |
US8097073B2 (en) | Dehumidifier | |
EP2927617B1 (en) | Dehumidifier | |
EP1255084B1 (en) | Dehumidifier | |
KR20070047102A (ko) | 제습기 | |
KR101166197B1 (ko) | 제습기 | |
KR101166196B1 (ko) | 제습기 | |
KR101233197B1 (ko) | 제습기 | |
KR100491791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47103A (ko) | 제습기 | |
KR20070048463A (ko) | 제습기 | |
KR101123321B1 (ko) | 제습기 | |
KR101161375B1 (ko) | 제습기 | |
KR20070048464A (ko) | 제습기 | |
KR20070044210A (ko) | 제습기 및 그에 따른 응축수 수위감지방법 | |
KR101166198B1 (ko) | 제습기 | |
CN100572942C (zh) | 空调器 | |
KR100420505B1 (ko) |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 |
KR101325767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30037551A (ko) |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 |
CN101178209A (zh) | 除湿机 | |
KR20070078250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70074283A (ko) | 제습기 | |
JP3370061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714293B1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