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48411A -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411A
KR20070048411A KR1020050105475A KR20050105475A KR20070048411A KR 20070048411 A KR20070048411 A KR 20070048411A KR 1020050105475 A KR1020050105475 A KR 1020050105475A KR 20050105475 A KR20050105475 A KR 20050105475A KR 20070048411 A KR20070048411 A KR 2007004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image forming
frames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752B1 (ko
Inventor
임대혁
박현기
이종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52B1/ko
Priority to US11/584,540 priority patent/US20070104464A1/en
Priority to EP06123481A priority patent/EP1783998A1/en
Priority to CNA2006101433301A priority patent/CN1960469A/zh
Priority to JP2006300808A priority patent/JP2007129725A/ja
Publication of KR2007004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 H04N1/0029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for printing images at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9Recording in, or reproducing from, a specific memory area or areas, or 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 H04N1/2133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e.g. time interval or time-lap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Record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e.g. burs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7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for generating hard copies of the content, e.g. printer, electronic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04N2201/0067Converting to still pictu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그 장치는,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부;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어 디코딩을 필요로 하는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가 주어질지라도 그 동영상 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소정의 프레임을 캡쳐하기 위해 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 스스로 캡쳐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갖는 영상의 움직임이 드러난 하나의 프레임을, 그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의 도움 없이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독취부 112 : 디코딩부
114 : 디스플레이부 116 : 사용자 조작부
118 : 영상 처리부 120 : 화상 형성부
본 발명은 프린터(printer)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 : Multi Function Peripheral)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가 최근에는 동영상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출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가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그 동영상의 특정 시점의 정지영상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의 외부에서 이미 디코딩된 후에 그 화상형성장치에 주어져야 한다.
결국,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어지는 압축 동영상 데이터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나아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하나 이상의 일부 정지영상을 움직임이 나타나도록 배열하여 하나의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하나 이상의 그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포함되도록 처리하거나 그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하나 이상의 그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포함되도록 처리하거나 그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부;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a)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a)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된 프레임 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a)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독취부(110), 디코딩부(112), 동영상 재생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114), 사용자 조작부(116), 영상 처리부(118), 화상 형성부(120), 및 저장부(122)로 이루어진다.
독취부(110) 내지 저장부(122) 모두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인쇄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 : Multi Function Peripheral)나 프린터(printer)는 그 화상형성장치의 일 례가 될 수 있다.
독취부(110)는 동영상 데이터를 담고 있는 소정의 저장 매체로부터 그 동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획득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는 화상형성장치에 독립적으로 연결 가능한 메모리 카드일 수도 있고,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구비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도 있고,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영상촬상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일 수도 있다. 한편, 그 독취된 동영상 데이터는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IN 1은 그 독취된 동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디코딩부(112)는 그 독취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고, 디스플레이부(114)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OUT 1은 디스플레이부(114)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동영상 재생부(미도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동영상 재생부(미도시)는 디코딩부(112)에서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영상을 재생하며, 디스플레이부(114)는 그 재생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4)는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panel)을 통해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 패널을 관찰하며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감상하는 도중, 특정 영상을 캡쳐(capture)하고자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하나의 특정 영상만을 캡쳐하고자 할 수도 있고, 하나의 특정 영상과 시간적으로 선후 관계에 있는 복수의 특정 영상을 캡쳐하고자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특정 영상만을 캡쳐한다 함은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하나의 프레임(frame)만을 캡쳐함을 의미하고, 복수의 특정 영상을 캡쳐한다 함은 복수의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복수의 프레임을 캡쳐함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키를 조작하여 그러한 캡쳐를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는 사용자 조작부(116)가 마련된다.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매체를 마련하며, 그 조작된 결과를 영상 처리부(118)에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의 조작은 영상 처리부(118) 또는 후술할 화상형성부(120)가 사용자 자신이 의도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모든 조작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키(key) 조작, 터치(touch)를 통한 조작은 이러한 조작의 일 례이다.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116)를 통해 키 조작한다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매체로서 소정의 키를 마련하며, 키 조작된 결과를 영상 처리부(118)에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116)를 통해 터치 조작한다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매체로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조작되는 매체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사용자 조작부(116)에 지시한 내용은 영상 처리부(118) 및/또는 화상형성부(120)에 제공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조작부(116)는 소정의 키를 마련하며, 사용자는 그 마련된 키를 조작하여 영상 처리부(118) 및/또는 화상형성부(120)의 동작을 지시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부(1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달리 그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영상촬상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고, 그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를 조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캡쳐를 지시할 수 있음은 물론, 디스플레이부(114)가 그 캡쳐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고, 그 캡쳐된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의 선정을 지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캡쳐 및 선정은 후술하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그 지시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결국, 사용자 조작부(116)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의 선택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소정 프레임은 그 키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다. 여기서, 선택된 프레임은 캡쳐된 프레임 자체일 수도 있고, 캡쳐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 중 선정된 프레임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를 조작하여, 하나 이상의 그 선택된 프레임의 처리를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키를 조작하여, 하나 이상의 그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포함될 것을 지시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그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18)는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를 조작하여 지시한 바에 따라, 프레임의 선택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영상 처리부(118)는 키 조작된 결과를 사용자 조작부(116)로부터 입력받고, 그 키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 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 캡쳐된 프레임의 영상, 그 선정된 프레임의 영상, 및 그 처리된 프레임의 영상 각각은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부(114)가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의 모니터나 TV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부(120)는 영상 처리부(118)가 처리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한다. 즉, 화상 형성부(120)는 처리된 프레임의 영상을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이 때, 화상 형성부(120)는 처리된 프레임의 영상을 화면별로 인쇄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영상 처리부(118)에서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선택된 프레임이 포함되도록 처리되었다면, 화상 형성부(120)는 그 복수의 선택된 프레임이 포함된 그 하나의 화면의 영상을 인쇄함이 바람직하다. OUT 2는 인쇄된 영상을 의미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118)에서 처리된 프레임은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저장부(122)를 마련할 수 있으며, 저장부(122)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처리된 프레임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로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소정의 키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들(제410 ~ 45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독취부(110)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저장 매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독취하고(제410 단계), 디코딩부(112)는 그 독취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다(제412 단계).
디스플레이부(114)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영상(230)을 디스플레이하고(제414 단계),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캡쳐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416 단계).
제416 단계에서 캡쳐를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4)는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 개수?"(240)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220)를 조작하여,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 개수를 설정하고(제418 단계), 사용자 조작부(116)는 제418 단계에서 설정된 프레임 개수가 단수인지 판단한다(제420 단계).
제420 단계에서 단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4)는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프레임간 시간 간격?"(240)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220)를 조작하여, 제418 단계에서 설정된 복수의 프레임간의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제422 단계).
제422 단계 후에, 영상 처리부(118)는, '제416 단계에서 캡쳐를 지시받았다고 판단된 시점'부터 '제422 단계에서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복수 번 캡쳐함으로써, 제418 단계에서 설정된 프레임 개수 만큼의 프레임을 캡쳐한다(제424 단계).
제424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부(114)는 제424 단계에서 캡쳐된 프레임의 영 상을 디스플레이한다(제426 단계). 이 때, 디스플레이부(11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24 단계에서 캡쳐된 모든 프레임(250-1, 250-2, ..., 250-9)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250-1, 250-2, ..., 250-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14)는 제426 단계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선정할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220)를 조작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250-2, 250-6, 250-7, 및 250-9)의 선정을 지시하고, 영상 처리부(118)는 그 지시된 바에 따라 프레임을 선정한다(제428 단계). 여기서, 250-2, 250-6, 250-7, 및 250-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428 단계 후에,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N-업(up)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430 단계).
제430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는 그 선정된 프레임(250-2, 250-6, 250-7, 및 250-9)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지시받는지 판단하고(제432 단계), 제432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434 단계).
제434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2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8)에서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들의 영상을,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 436 단계).
제434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저장부(222)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들을 저장한다(제438 단계).
한편, 제432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부(22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들의 영상을 인쇄매체상에 인쇄한다(제440 단계).
만일, 제430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는 그 선정된 프레임(250-2, 250-6, 250-7, 및 250-9)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지시받는지 판단하고(제442 단계), 제442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444 단계).
제444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저장부(222)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들을 저장한다(제446 단계).
그에 반해, 제444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21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의 영상을,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448 단계).
한편, 제442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부(22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처리된' 그 프레임의 영상을 인쇄매체상에 인쇄한다(제450 단계).
또한, 제420 단계에서 단수라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제416 단계에서 캡쳐를 지시받았다고 판단된 시점'에 캡쳐하고,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지시받는지 판단하고(제452 단계), 제452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454 단계).
제454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저장부(222)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캡쳐된 그 프레임을 저장한다(제456 단계).
그에 반해, 제454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에서 캡쳐된 그 프레임의 영상을,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458 단계).
한편, 제452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부(22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캡쳐된 그 프레임의 영상을 인쇄매체상에 인쇄한다(제460 단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플로우챠트로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소정의 키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 및 처리하고, 그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들(제510 ~ 54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독취부(110)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저장 매체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독취하고(제510 단계), 디코딩부(112)는 그 독취된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 다(제512 단계).
디스플레이부(114)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동영상(230)을 디스플레이하고(제514 단계),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캡쳐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516 단계).
제516 단계에서 캡쳐를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제516 단계에서 판단된 지시가 연속동작 캡쳐링(continuous-motion capturing)을 지시하는지 판단하고(제518 단계), 제518 단계에서 연속동작 캡쳐링을 지시한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4)는 연속동작 캡쳐링을 자동으로 수행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220)를 조작하여, 연속동작 캡쳐링을 자동으로 할지 아니면 수동으로 할지를 지정하고,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가 연속동작 캡쳐링의 자동 수행을 지정했는지 판단한다(제520 단계).
제520 단계에서 자동 수행을 지정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4)는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이를 알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116)에 마련된 키(220)를 조작하여,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개수, 그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들간의 시간 간격, 처음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 및 마지막으로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지정한다(제522 단계).
제522 단계 후에, 영상 처리부(118)는 제522 단계에서 지정된 사항에 따라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캡쳐함으로써, 제522 단계에서 지정된 프레임 개수 만큼의 프레임을 캡쳐한다(제524 단계).
한편, 제520 단계에서 자동 수행을 지정하였다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제525 단계). 여기서, 미리 설정된 사항에는, 캡쳐하는 프레임의 개수, 그 캡쳐하는 프레임들간의 시간 간격, 처음 캡쳐하는 프레임, 및 마지막으로 캡쳐하는 프레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524 단계 또는 제525 단계 후에, 영상 처리부(118)는 제524 단계 또는 제525 단계에서 캡쳐된 프레임들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인 연속영상 프레임을 생성한다(제526 단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그러한 연속영상 프레임이 갖는 영상의 일 례이다. 도 3a의 경우, 독취부(110)에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의 동영상은 '농구 선수가 덩크 슛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118)는 제524 단계 또는 제525 단계에서 3개의 프레임을 캡쳐하였으며, 그 캡쳐된 3개의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310)을 제526 단계에서 생성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3b의 경우, 독취부(110)에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의 동영상은 '골프 선수가 드라이브 샷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118)는 제524 단계 또는 제525 단계에서 5개의 프레임을 캡쳐하였으며, 그 캡쳐된 5개의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320)을 제526 단계에서 생성하였다. 제526 단계에서 생성된 하나의 프레임(310 또는 320)은 독취부(110)에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의 동영상이 갖는 '움직임'을 나타내므로 '연속영상 프레임'이라 명명하였다.
제526 단계 후에,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인쇄 를 지시받는지 판단하고(제528 단계), 제528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530 단계).
제530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저장부(222)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생성된 연속영상 프레임을 저장한다(제532 단계).
그에 반해, 제530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21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생성된 연속영상 프레임의 영상을,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534 단계).
한편, 제528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부(220)는 영상 처리부(118)에서 생성된 연속영상 프레임의 영상을 인쇄매체상에 인쇄한다(제536 단계).
또한, 제518 단계에서 연속동작 캡쳐링을 지시한다고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118)는 그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제516 단계에서 캡쳐를 지시받았다고 판단된 시점'에 캡쳐한다(제538 단계).
제538 단계 후에,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지시받는지 판단하고(제540 단계), 제540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조작부(116)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지시받는지 판단한다(제542 단계).
제542 단계에서 지시받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저장부(222)는 제538 단계에서 캡쳐된 프레임을 저장한다(제544 단계).
그에 반해, 제542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210)는 제538 단계에서 캡쳐된 프레임의 영상을,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제546 단계).
한편, 제540 단계에서 지시받았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부(220)는 제538 단계에서 캡쳐된 프레임의 영상을 인쇄매체상에 인쇄한다(제548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은,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어 디코딩을 필요로 하는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가 주어질지라도 그 동영상 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소정의 프레임을 캡쳐하기 위해, 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 스스로 캡쳐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갖는 영상의 움직임이 드러난 하나의 프레임을, 그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의 도움 없이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20)

  1.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포함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 성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프레임에서 상기 소정 프레임을 선정함으로써 상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처리된 프레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소정의 조작된 결과에 상응하여,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 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a)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b)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의 캡쳐를 지시하는 단계;
    (c2) 캡쳐하고자 하는 프레임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가 복수인지 판단하는 단계;
    (c3) 복수라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프레임간의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단계; 및
    (c4)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지시 시점부터 상기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복수 번 캡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캡쳐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5) 상기 설정된 프레임 개수가 복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지시 시점에 캡쳐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의 캡쳐를 지시하는 단계;
    (c2) 상기 소정 프레임간의 시간 간격, 캡쳐시작 프레임, 및 캡쳐종료 프레임을 지정하는 단계; 및
    (c3) 상기 지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캡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캡쳐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캡쳐하는 단계; 및
    (c2) 상기 캡쳐된 프레임에서 상기 소정 프레임을 선정함으로써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캡쳐하고자 하는 시점인 캡쳐 시점을 지정하는 단계; 및
    (c2) 상기 지정된 캡쳐 시점마다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캡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캡쳐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d)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8.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9.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a)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처리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a)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이 하나의 화면에 배분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모든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이 생성되도록 상기 처리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레임마다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0.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압축되어 주어지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중 소정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레임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05475A 2005-11-04 2005-11-04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10073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475A KR100739752B1 (ko) 2005-11-04 2005-11-04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11/584,540 US20070104464A1 (en) 2005-11-04 2006-10-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EP06123481A EP1783998A1 (en) 2005-11-04 2006-11-03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image data
CNA2006101433301A CN1960469A (zh) 2005-11-04 2006-11-03 成像装置和方法
JP2006300808A JP2007129725A (ja) 2005-11-04 2006-11-06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475A KR100739752B1 (ko) 2005-11-04 2005-11-04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411A true KR20070048411A (ko) 2007-05-09
KR100739752B1 KR100739752B1 (ko) 2007-07-13

Family

ID=3749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475A KR100739752B1 (ko) 2005-11-04 2005-11-04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04464A1 (ko)
EP (1) EP1783998A1 (ko)
JP (1) JP2007129725A (ko)
KR (1) KR100739752B1 (ko)
CN (1) CN19604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3726B2 (ja) * 2009-06-11 2012-08-15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4930615B2 (ja) * 2010-03-19 2012-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63886A (ko) * 2010-12-08 2012-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295A (en) * 1986-05-30 1993-02-02 Mann Ralph V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hysical skills
US5485553A (en) * 1993-10-29 1996-01-1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initiating video capture and printing
US5434958A (en) * 1994-04-04 1995-07-18 Lifetouch Portrait Studi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pecial effects on video screen
US5625412A (en) * 1995-07-13 1997-04-29 Vision Research High-frame rate image acquisition and motion analysis system
JPH09294238A (ja) * 1996-04-24 1997-11-11 Sony Corp 画像取り込み装置、画像取り込み方法、画像取り込みシステム、画像表示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US5970220A (en) * 1997-10-15 1999-10-19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having universal image port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JP2000023079A (ja) * 1998-07-03 2000-01-21 Sony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
US6514081B1 (en) * 1999-08-06 2003-02-04 Jeffrey L. Mengoli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motion analysis
US7092966B2 (en) * 2002-09-13 2006-08-1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software program for creating an image product having predefined criteria
KR100457541B1 (ko) * 2003-01-14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에서 정지 화면의 인쇄 방법 및 장치
KR100754163B1 (ko) * 2003-07-2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50075894A (ko) * 2004-01-16 2005-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상장치용 휴대용 출력장치
KR100574046B1 (ko) * 2004-01-20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중 소정의 정지영상을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는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29725A (ja) 2007-05-24
KR100739752B1 (ko) 2007-07-13
US20070104464A1 (en) 2007-05-10
CN1960469A (zh) 2007-05-09
EP1783998A1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7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KR100691531B1 (ko)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US9071806B2 (en) Reproducing apparatus
JP2004356774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JP2001197445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6191300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6157324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14391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73975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7444062B2 (en) Playback system
JP2007300563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8271258A (ja) 画像処理装置
JP2008017500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記録再生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133121B2 (ja) 画像選択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595807B2 (ja) 撮像装置
JP478522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20070094055A (ko) 썸네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6295652A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JP7603889B2 (ja) サーバ装置、表示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513491B2 (ja) 電子カメラ
JP2004120281A (ja) 画像編集装置
JP2009100019A (ja) 記録再生装置
JP200801736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329684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082269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