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952A -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 Google Patents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7952A KR20070047952A KR1020050104880A KR20050104880A KR20070047952A KR 20070047952 A KR20070047952 A KR 20070047952A KR 1020050104880 A KR1020050104880 A KR 1020050104880A KR 20050104880 A KR20050104880 A KR 20050104880A KR 20070047952 A KR20070047952 A KR 200700479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harging
- charger
- terminal
- sl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3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46—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magnetic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closure of switch ca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와 충전기를 충전한 다음 완료시 각각의 부품들의 단자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과, 상기 슬롯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장착시 상기 배터리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단자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에 장착시 락커부에 걸려 고정시킴과 아울러 충전시키고, 충전 완료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락커부에 휨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걸림을 해제시켜 자동으로 상기 배터리를 이동시켜 각각의 단자와 분리시키는 자동 분리 장치와, 상기 배터리를 자동으로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측 연결 단자와 연결됨과 아울러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전자적에 전류를 인가하는 충전 완료 판단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파손 방지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알려주어 과충전에 대한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isconnect terminals of respective components after charging a battery and a charger, and for this purpose, a slot for providing a space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battery charg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a slo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mounted, wherein the battery charger is provided in the charger and is fixed to the locker unit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slot. 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which charges and charges, generates warpage to the locker par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releases the latch to automatically move the battery to separate from each terminal; 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automatically move the battery And a charge completion determination devi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sid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and to measure a voltage to determine a state of charge, and to apply a current t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This prevents overcharg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attery and extending its lifespan, and it is advantageous to inform the user that the charging is completed visually to reduce anxiety about overcharging.
충전기, 배터리, 자동 분리 장치, 탄성 수단, 충전 완료 판단 장치. Charger, battery, automatic disconnection device, elastic means, charging completion judgment devi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롯 방식의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ot type battery charg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롯 방식의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lot type battery charge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에 구성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를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battery to the overcharge protection of the battery configured in th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 전 상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before coupl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에 구성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is coupled to an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battery configured in a charg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 상태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overcharge protectio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overcharge protectio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와 충전기를 충전한 다음 완료시 각각의 부품들의 단자를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batter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isconnect terminals of respective components after charging a battery and a charger.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본체의 저면에 배터리 팩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러한 배터리 팩은 충전기에 수시로 재충전을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충전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휴대폰을 충전하기도 하고, 배터리 팩 단독으로 충전기에 충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이 놓여 충전되는 슬롯이 한 개 마련된 것을 " 1슬롯 방식의 충전기 " 라 하고, 두 개 마련된 것을 " 2슬롯 방식의 충전기 "라 한다.Typically, a mobile phone is a detachable battery pack on the bottom of the body, such a battery pack is often used to recharge the charger. At this time, the charger may charge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or may charge the charger with a battery pack alone. One slot for charging such a battery pack and being provided is called a "one slot charger", and two provided as a "two slot charger".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충전기(1)는 슬롯(하나의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구역(2), 배터리의 전류 공급기(미도시 됨), 전원에서 정격 전류로 변환하는 어댑터(3)(adaptor) 부속 전선(4) 및 배터리(8)측 연결 단자(8a) 및 충전기측 충전 단자(1a), 보호 회로(5) 및 충전 상태 표시 장치(6), 배터리를 착탈시키는 락킹 장치 (7)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휴대 단말기(10)등의 경우 통상 해당 단말기(10)에 장착된 배터리(8) 및 분리된 예비 배터리(미도시 됨)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두개 이상의 충전 슬롯이 있으며, 각 슬롯(2) 하나의 전자식 발광체로(예 :Light Emitting Diode : LED)충전 상태를 표시한다.In the case of the
상기 락킹 장치(7)는 거치대 역할을 겸할 수 있으며 아주 작은 휴대 단말기 (10)중에는 슬롯(2)을 포함한 거치대가 없는 경우가 있으나, 중소형 복합화한 휴대 단말기(PDA, 멀티미디어 기능 혼합등)에는 이동하지 않을때 지지대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거치대가 유용할 수 있다.The
휴대 단말기(10)의 충전가능 2차 배터리는 리튬 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mer)등 리튬(Li)계열 배터리가 많이 쓰이며, 구형 내지 일부 저가 제품들의 경우 Ni-Cd(니켈카드뮴), Ni-Mh(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니켈수소)등 니켈(Ni)계열 배터리를 사용한다.The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f the
니켈계열 배터리는 저렴하나 메모리 효과(memory effect)를 수반하여 조금씩 자주 충전하면 수명이 급속히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반면, 리튬 함유 전지는 메모리 효과가 거의 없어서 수시 충전에는 문제가 없는 반면, 과충전(완전 충전 이후 전류 공급)할 경우 급격히 수명이 줄어든다.Nickel-based batteries are inexpensive, bu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ir lifespan is rapidly reduced if they are frequently charged little by little with a memory effect. On the other hand, lithium-containing batteries have little memory effect and thus have no problem with occasional charging, while overcharge (current supply after full charge) dramatically shortens their lifespan.
리튬 이온 배터리용 충전기는 역충전 방지 기능, 과충전 방지 기능, 과방전 방지 기능의 보호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특히, 상기 리튬 이온 배터리용 충전기는 그 취급의 위험성 때문에 상기한 보호회로의 구현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The charger for a lithium ion battery has a protection circuit with reverse charge protection, overcharge protection and over discharge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charger for the lithium ion battery i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 protection circuit due to the risk of its handling.
상기 보호회로는 정격 전류를 공급하면서 배터리 단자의 전압을 측정하여 일정한 문턱 전압을 넘으면 전류 공급을 줄이는 방식으로 과충전되지 않도록 한다. The protection circuit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terminal while supplying the rated current so as not to overcharge in a manner of reducing the current supply when the voltag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그러나, 종래의 리튬이용 배터리용 충전기는 정격 전류 공급 회로, 배터리 단자의 전압측정 회로 등에서의 오차, 결합 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과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충전용 배터리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충전용 배터리 셀 자체의 불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낳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충전용 배터리 사용시 불신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harger for lithium batteries, unexpected overcharge occurs due to an error, coupling, etc. in a rated current supply circuit, a voltage measurement circuit of a battery terminal, etc. 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battery does not perform a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is not only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an unstable operation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cell itself, but also has a problem of distrusting the user when using the rechargeable battery.
또한, 필요 시간 이상의 충전내지 장시간 충전이 전지 용량 및 수명에 악영향을 준다는 인식등 소비자에게 널리 펴져 있는 과충전에 대한 불안감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anxiety about overcharging, which is widely spread to consumers, such as recognition that charging or prolonged charging over a necessary time adversely affects battery capacity and lifespa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충전시킴에 있어서, 배터리와 충전기를 충전 완료 후 각각의 부품들의 단자를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harging the battery, the battery and the charg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isconnect the terminal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fter the charge i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battery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와 충전기의 단자를 자동으로 분리시킴으로써, 단자의 전압측정 회로의 오차 및 결함등으로 충전완료 이후에도 접점된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과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 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separate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the charger,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contacted terminal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charging due to errors and defects in the voltage measurement circuit of the termin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vercharge A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battery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기에 단자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충전기와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충전과 동시에 단말기를 다른기능(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switch unit for selectively disconnecting the terminal in the charger, while charging the terminal while the charger and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battery is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TV and video watching, etc.) It is to provide a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of a battery to be used 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과, 상기 슬롯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장착시 상기 배터리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단자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lot for providing a space for charging a battery, and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slo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battery charger of the terminal,
상기 충전기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슬롯에 장착시 락커부에 걸려 고정시킴과 아울러 충전시키고, 충전 완료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락커부에 휨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걸림을 해제시켜 자동으로 상기 배터리를 이동시켜 각각의 단자와 분리시키는 자동 분리 장치; It is provided in the charger, and when the battery is mounted in the slot is fixed and locked to the locker unit, and upon completion of charg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caus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upon completion of the charge and release the jam An automatic sepa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battery to separate the respective terminals;
상기 배터리를 자동으로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 및Elastic means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automatically move the battery; And
상기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측 연결 단자와 연결됨과 아울러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전자적에 전류를 인가하는 충전 완료 판단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battery-side connection terminal via the charging terminal and to determine the state of charge by measuring the voltage, and accordingly configured to charge comple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nic.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와 같이,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100)는 자동 분리 장치(110)와, 탄성 수단(120)과,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는 상기 배터리(8)를 충전기(1)에 제공된 슬롯(2)에 장착시킴과 아울러 락커부(113)에 걸려 고정시키고, 충전 완료시 전류의 인가에 따라서 전자석(15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락커부(113)에 휨을 발생시켜 걸림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8)를 이동시켜 상기 충전기(1)의 충전 단자(1a)와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수단(120)은 상기 락커부(113)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8)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충전기(1)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는 상기 충전 단자(1a)를 통해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8a)의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 단자(8a)의 충전이 완료 되면, 상기 전자석(150)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3 and 4, the
도 4와 같이, 상기 충전기(1)내에는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101)이 제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
도 4,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는 이동 부재(111)와, 코일 스프링(120)과, 락커부(11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이동 부재(111)는 상기 슬롯(2)에 상기 배터리(8)를 착탈시 상기 배터리(8)와 함께 착탈방향으로 이동하도 록 상기 충전기(1)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120)은 상기 이동 부재(111)의 이동을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 부재(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락커부(113)는 상기 배터리(8)의 장착시 상기 이동 부재(111)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111)의 종료 위치에서 상기 이동 부재(111)의 걸림돌기(111a)에 걸려 상기 이동 부재(111)를 고정시키고, 충전 완료시 상기 전자석(150)의 자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여 상기 걸림 돌기(111a)에서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부재(111)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4, 6 and 8, the
상기 코일 스프링(120)은 상기 탄성 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8과 같이, 상기 락커부(113)에는 상기 전자석(150)의 자력에 의해 휨이 발생하도록 철판 플레이트(113a)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자석(150)은 상기 락커부(113)의 철판 플레이트(113a)와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부(113)에는 상기 이동 부재(111)에 형성된 걸림돌기(111a)와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걸이부(113b)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도 6과 같이, 상기 걸이부(113b) 및 상기 걸림돌기(111a)에는 상기 배터리(8) 장착시 상기 이동 부재(111)와의 걸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a guide
도 8과 같이, 상기 이동 부재(111)의 일측면에는 상기 락커부(113)의 걸이부(113b)와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걸림돌기(1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부재(111)의 타측면에는 상기 배터리(8)를 상기 슬롯(2)에 착탈시 상기 배터리(8)와 접촉되도록 접촉 부재(111b)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a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기 충전기(1)에는 상기 배터리(8)를 장착한 단말기(10)를 상기 충전기(1)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다.5 and 7,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to 8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와 같이,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100)는 자동 분리 장치(110)와, 탄성 수단(120)과,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배터리(8)를 충전시킬 경우 상기 충전기(1)에 제공된 슬롯(2)에 상기 배터리(8)를 장착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when charging the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배터리(8)는 상기 슬롯(2)내로 밀려 들어가고, 상기 슬롯(2)내에 구비된 충전기(1)의 충전 단자(1a)와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충전기(1)에 구비된 이동 부재(111)가 상기 배터리(8)의 하단면과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8)의 장착방향으로 상기 이동 부재(111)가 이동한다.4 and 6, the
도 6과 같이, 상기 이동 부재(111)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부재(111)의 종료 위치에서 상기 락커부(113)의 걸이부(113b)와 상기 이동 부재(111)의 걸림돌기(111a)가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113b)와 상기 걸림돌기(111a)에는 상기 이동 부재(111)의 걸림돌기(111a)를 가이드 이동시키는 가이 드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돌기(111a)는 상기 걸이부(113b)의 가이드 경사면(140)에 접촉됨과 아울러 가이드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이때, 상기 걸림돌기(111a)에는 상기 걸이부(113b)의 가이드 경사면(140)과 접촉되어 가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돌기측 가이드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 (111a) is formed with a projection side guide inclined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와 상기 충전기(1)의 충전 단자(1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8)를 충전시킨다.In this state, the
여기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배터리(8)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가 상기 충전 단자(1a)를 통해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때, 상기 배터리(8)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는 상기 전자석(150)에 전류를 인가한다.7 and 8, when the charging of the
도 8과 같이, 상기 전자석(150)은 전류의 인가에 따라서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전자석(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락커부(113)를 휘게 한다.As shown in FIG. 8, the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락커부(113)의 걸이부(113b)도 함께 휘어져 상기 이동 부재(111)의 걸림돌기(111a)와 걸림을 해제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111)의 하부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111)를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 이동시킨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상기 이동 부재(111)가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8)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충전기(1)의 충전 단자(1a)와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는 서로 접촉이 분리된다.As the
이때, 상기 배터리(8)는 상기 충전기(1)의 슬롯(2)에서 일부가 돌출된다.In this case, a part of the
상기 배터리(8)의 연결 단자(8a)와 상기 충전기(1)의 충전 단자(1a)는 일정 거리로 분리되어 충전이 중단된다.The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충전기(1)에는 상기 배터리(8)가 장착된 단말기(10)를 상기 충전기(1)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충전기(1)의 외부에 노출된 스위치 장치(16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스위치 장치(160)는 상기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장치(160)를 선택하여 누르면, 상기 충전 완료 판단 장치(130)는 상기 전자식의 전류을 차단하여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는 단말기(10)의 다른 기능(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등)으로 사용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use other functions of the terminal 10 (TV and video viewing, etc.).
다시 상기 스위치 장치(160)를 누르면, 상기 자동 분리 장치(110)가 작동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배터리와 충전기의 충전을 완료 후 각각의 단자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파손 방지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어 과충전에 대한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each terminal to be automatically disconnected after complet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and the charger,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battery and extend the life, and visually to the user It can reduce the anxiety about overcharging by notifying you that charging is comple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of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를 충전시킴에 있어서, 배터리와 충전기를 충전완료 후 자동으로 인출시킴과 아울러 각각의 단자들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파손 방지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충전이 완료되었으면 알려주어 과충전에 대한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배터리와 충전기의 각각의 단자를 자동으로 분리시킴으로써, 단자의 전압측정 회로의 오차 및 결함등으로 충전완료 이후에도 단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과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전기의 단자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스위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충전기와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단말기를 다른기능(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charging the battery, the battery and the charger are automatically withdrawn after charging and configured to separate the terminals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overcharging of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battery breakage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nxiety about overcharging by notifying the user that the charging is visually completed, and by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the charger,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charging due to errors and defects in the voltage measuring circuit of the terminal.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terminal to prevent overcharging, and by configuring a switch device that selectively disconnects the terminal of the charger, the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other functions while the charger and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battery are combined. (TV) and video viewing) can be us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4880A KR20070047952A (en) | 2005-11-03 | 2005-11-03 |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4880A KR20070047952A (en) | 2005-11-03 | 2005-11-03 |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7952A true KR20070047952A (en) | 2007-05-08 |
Family
ID=3827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4880A Withdrawn KR20070047952A (en) | 2005-11-03 | 2005-11-03 |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47952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682A (en) * | 2015-05-08 | 2016-11-16 | 권나희 | Controller for output charging state |
KR20170049490A (en) * | 2009-10-09 | 2017-05-10 | 양태허 | Power charging device with charge saturation disconnector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release |
KR102167348B1 (en) * | 2020-06-03 | 2020-10-19 | 유한회사 숲이엔지 | Storage for solar energy |
KR20210031176A (en) *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 Electrical dust precipitator using secondary battery power |
-
2005
- 2005-11-03 KR KR1020050104880A patent/KR2007004795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9490A (en) * | 2009-10-09 | 2017-05-10 | 양태허 | Power charging device with charge saturation disconnector through electromagnetic force release |
KR20160131682A (en) * | 2015-05-08 | 2016-11-16 | 권나희 | Controller for output charging state |
KR20210031176A (en) *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 Electrical dust precipitator using secondary battery power |
KR102167348B1 (en) * | 2020-06-03 | 2020-10-19 | 유한회사 숲이엔지 | Storage for solar energ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925324B2 (en) | Energy pack and battery cartridge | |
US7494368B2 (en) | DC adap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9853260B2 (en) |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loading of component-to-be-loaded on main body side apparatus, component-to-be-loaded and battery pack | |
US20210083237A1 (en) | Battery pack | |
JP3421373B2 (en) | Attachment, charging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 |
JPH04286876A (en) | Battery and its charger | |
US20110241621A1 (en) | Battery pack charger | |
KR101290890B1 (en)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
KR20130079314A (en) | Universal battery charger | |
JP2011155821A (en) | Battery charger | |
US7843165B2 (en) | Charging apparatus | |
JP2006504240A (en) | Exterior battery pack | |
CN201075396Y (en) | Batteries | |
JP5445145B2 (en) | Power supply device | |
WO2013027595A1 (en) | Battery unit | |
KR20070047952A (en) |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 |
US2004010174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rechargeable batteries | |
GB2313242A (en) | Charging portable telephone batteries | |
JP3258875B2 (en) | Battery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2034584A2 (en) | Power charging and supplying system | |
JPH0927309A (en) | Secondary battery charger | |
JP3458061B2 (en) | Charger | |
JP4346169B2 (en) | Charging stand for portable game devices | |
JP3276827B2 (en) | Battery un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0302762Y1 (en) | External battery p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