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515A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4515A KR20070044515A KR1020050100488A KR20050100488A KR20070044515A KR 20070044515 A KR20070044515 A KR 20070044515A KR 1020050100488 A KR1020050100488 A KR 1020050100488A KR 20050100488 A KR20050100488 A KR 20050100488A KR 20070044515 A KR20070044515 A KR 200700445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connector
- printed circuit
- driving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기판과의 체결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회로 기판과 체결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절곡되게 신장되어 상기 회로 기판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인쇄 회로 기판과 체결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와 인쇄 회로 기판이 체결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와 인쇄 회로 기판의 체결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케이블과 접속된 커넥터의 체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과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 지를 통해 접속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2,108 : 접속단자 110,140 : 커넥터
112 : 몸체 114 : 신장부
116 : 안착부 118 : 돌출부
120 : 지지부 122 : 출력단자
124 : 입력단자 106,126 : 접속공간
130 : 솔더 132 : 관통홀
134,152 : 인쇄 회로 기판 142 : 케이블
150,168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54 : 백라이트 인버터부
158 : 사용자 연결부 160 : 액정 표시 패널
162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164 : 칼라필터 기판
166,170 : 집적 회로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과의 체결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셀들이 화소 신호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구동 회로는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구동 회로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신호들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전원 신호, 화소 전압 신호, 클럭 신호 등을 생성하는 외부시스템과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다.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과 솔더링 공정을 통해 체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켜 불량 유무를 검출하는 에이징 검사 공정과, 검사 공정 후 실장 공정시 체결 및 해체를 반복하게 된다. 이 때, 체결 및 해체시 요구되는 작업자의 무리한 힘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인쇄 회로 기판(2)에서 떨어져 나가 커넥터(10)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 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커넥터(10)의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은 고정단자(16)와 접속된 인쇄 회로 기판(2)을 이용하여 견딜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은 없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의 하측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커넥터(10)는 인쇄 회로 기판(2)에서 떨어져 나가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과의 체결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회로 기판과 체결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절곡되게 신장되어 상기 회로 기판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 회로 기판의 측면 상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안착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 에 수용되는 접속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암커넥터 또는 수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신호 생성부가 실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회로 기판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되게 신장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기판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기판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제어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어 인쇄 회로 기판과 구동 집적 회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공급하는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수커넥터(110)는 접속 공간(126)을 마련하는 몸체(112)와, 접속 공간(126) 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접속단자(102)와,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20)를 구비한다.
몸체(112)는 상/하부면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접속공간(126)을 마련한다. 이러한 몸체의 접속공간(126)에는 케이블과 접속된 암 커넥터의 몸체가 삽입된다.
접속 단자(102)는 다수개의 입력 단자(124)와, 그 입력단자(124)들과 접속된 다수개의 출력단자(122)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124)는 케이블과 접속된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접속된다. 출력단자(122)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들과 접속된다.
지지부(120)는 몸체(112)로부터 신장된 신장부(114)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116)와,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부(118)를 구비한다.
돌출부(118)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3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132)에 삽입된다. 이러한 돌출부(118)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2)에 의해 노출된 인쇄 회로 기판(134)의 측면 상에 형성된 솔더(130)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돌출부(118)는 수커넥터의 고정력을 높히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형성되어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13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안착부(116)는 인쇄 회로 기판(134)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솔더(130)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안착부(116)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솔더(130)와 접속되는 길이를 가진다.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솔더(130)와 접속되는 길이를 가지게 되어 도 4a에 도시된 안착부(116)에 비해 솔더(13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커넥터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134)의 배면 상에 솔더(130)를 형성하지 않아도 인쇄 회로 기판(134)의 측면 및 상부면 상에 형성된 솔더(130)에 의해 수커넥터(110)가 인쇄 회로 기판(134)에 고정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커넥터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됨으로써 커넥터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수커넥터(110)의 상/하측 어느 쪽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수커넥터(110)의 고정력이 종래보다 강해진다.
즉,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커넥터는 12~13KgF의 힘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서 분리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수 커넥터는 종래보다 큰 17~18KgF의 힘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서 분리된다.
종래 | 본 발명 | |||
좌측 지지부 | 우측 지지부 | 좌측 지지부 | 우측 지지부 | |
테스트 1 | 12.50KgF | 12.00KgF | 17.10KgF | 17.80KgF |
테스트 2 | 12.60KgF | 12.80KgF | 18.10KgF | 18.20KgF |
테스트 3 | 13.00KgF | 12.90KgF | 17.50KgF | 17.60KgF |
테스트 4 | 12.50KgF | 12.50KgF | 17.20KgF | 17.60KgF |
테스트 5 | 12.60KgF | 12.80KgF | 18.10KgF | 17.70KgF |
평균 | 12.54KgF | 12.60KgF | 17.60KgF | 17.78KgF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커넥터(110)는 그 수커넥터의 지지부가 인쇄 회로 기판(102)에서 분리되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이 종래보다 줄어듦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암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암커넥터(140)는 접속 공간(106)을 마련하는 몸체(104)와, 몸체(104)의 상/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속단자(108)와,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120)를 구비한다.
몸체(104)는 상/하부면과, 상/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접속공간(106)을 마련한다. 이러한 몸체(104)의 접속공간(106)에는 수커넥터의 입력단자가 삽입된다.
접속 단자(108)는 접속공간(106)에 의해 노출된 몸체(104) 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단자(108)는 수커넥터의 입력단자의 상/하부면 각각과 접촉됨과 아울러 케이블(142)과 접속된다.
지지부(120)는 몸체(104)로부터 신장된 신장부(114)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116)와,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부(118)를 구비한다.
돌출부(118)는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 상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고정된다.
안착부(116)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140)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됨으로써 커넥터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암커넥터(140)의 상/하측 어느 쪽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암커넥터(140)의 고정력이 강해져 암커넥터(140)가 인쇄 회로 기판(134)에서 분리되어 발생되는 암커넥터(140)의 들뜸 현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케이블과 접속된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수커넥터이며, 케이블과 접속된 커넥터는 암커넥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34)에 고정되는 수커넥터(110)와, 그 수커넥터(110)의 접속 공간에 수용될 암커넥터(140)를 마련한다. 여기서, 암커넥터(140)는 수커넥터(110)의 입력 단자(124)가 삽입될 접속 공간(106)을 마련하는 몸체(104)와, 수커넥터(110)의 입력 단자(124)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입력단자(124)의 상/하부면과 접속된 접속단자(108)를 구비한다. 수커넥터(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암커넥터(1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10) 내에 수용됨으로써 암커넥터(140)의 접속단자와 수커넥터(110)의 입력단자(124)가 서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암커넥터(140)와 접속된 케이블(142)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신호는 수커넥터(110)의 출력단자(122)와 접속된 인쇄 회로 기판(134)의 신호라인에 공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과 접속된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62)과, 칼러 필터 기판(164)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60)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액정셀(Clc)들이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액정셀(Clc)에 공급한다.
액정 표시 패널(160)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은 데이터 집적 회로(166)가 실장된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150)를 통해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 집적 회로(166)는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화소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은 게이트 집적 회로(170)가 실장된 게이트 TCP(168)를 통해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은 게이트 구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라인을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 상에 형성하는 경우 제거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이트 집적 회로(170)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집적 회로(170)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이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로우 전압(VGL)을 게이트 라인들(GL)에 공급한다.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은 데이터 TCP(150)와 접속됨과 아울러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과 체결된 커넥터(110)와 케이블(142)을 통해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과 접속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은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해당 집적 회로(166,170)에 공급한다.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은 전원부로부터 생성된 백라이트 전원 신호를 백라이트 인버터부(154)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0)은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과 체결된 커넥터(110)와 케이블(142)을 통해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에는 케이블(142)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연결부(158)로부터의 입력 전원, 화소 데이터,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이 공급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와 대비하여 제어 인쇄 회로 기판 없이 사용자 연결부와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이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은 전원부로부터 생성된 백라이트 전원 신호를 백라이트 인버터부(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은 데이터 TCP(150)와 접속됨과 아울러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에 체결된 커넥터(110)와 케이블(142)을 통해 사용자 연결부(158)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에는 사용자 연결부(158)로부터의 입력 전원, 화소 데이터,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이 공급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은 해당 집적 회로(166,170)에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액정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소자, 전계 발광 소자 등의 표시 장치에 적용됨과 아울러 커넥터를 가지는 모든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커넥터의 돌출부가 인쇄 회로 기판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커넥터의 상/하측 어느 쪽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커넥터의 지지력이 강해져 커넥터가 인쇄 회로 기판에서 분리되어 발생되는 커넥터 의 들뜸 현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 회로 기판과 체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안착부와;상기 안착부로부터 절곡되게 신장되어 상기 회로 기판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 회로 기판의 측면 상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안착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와;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는 접속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는 암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는 수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상기 구동회로부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신호 생성부가 실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회로 기판과;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는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되게 신장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상기 안착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와;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 회로 기판의 측면 상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솔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제어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인쇄 회로 기판과 구동 회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구동 회로부에 공급하는 데이터 인쇄 회로 기 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0488A KR20070044515A (ko) | 2005-10-25 | 2005-10-25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US11/399,870 US20070093110A1 (en) | 2005-10-25 | 2006-04-07 |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CNA2006100783134A CN1956266A (zh) | 2005-10-25 | 2006-05-09 | 连接器和具有连接器的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0488A KR20070044515A (ko) | 2005-10-25 | 2005-10-25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4515A true KR20070044515A (ko) | 2007-04-30 |
Family
ID=3798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0488A Withdrawn KR20070044515A (ko) | 2005-10-25 | 2005-10-25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93110A1 (ko) |
KR (1) | KR20070044515A (ko) |
CN (1) | CN195626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33538B (zh) * | 2013-08-12 | 2016-05-11 | 亞旭電腦股份有限公司 | 訊號接頭固定架 |
CN204045780U (zh) * | 2014-07-18 | 2014-12-24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组件 |
EP4283387A4 (en) * | 2021-08-12 | 2024-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54603B2 (en) * | 1997-03-07 | 2002-09-24 | Berg Technology, Inc. | Shielded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
TW532599U (en) * | 2002-04-18 | 2003-05-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5947769A (en) * | 1997-06-03 | 1999-09-07 | Molex Incorporated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
TW399818U (en) * | 1998-11-20 | 2000-07-21 | Molex Inc | Structure of connector |
US6053767A (en) * | 1998-12-18 | 2000-04-25 | The Whitaker Corporation | Hold dow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US6155876A (en) * | 1998-12-23 | 2000-12-05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nector adapter |
US6203367B1 (en) * | 1999-05-10 | 2001-03-2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TW421338U (en) * | 1999-11-23 | 2001-02-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TW467423U (en) * | 2000-10-26 | 2001-12-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6568966B1 (en) * | 2001-11-08 | 2003-05-27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Stacked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magnetic module |
US6986681B2 (en) * | 2004-02-20 | 2006-01-17 | Advanced Connectek, Inc. | HDMI connector |
-
2005
- 2005-10-25 KR KR1020050100488A patent/KR2007004451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6
- 2006-04-07 US US11/399,870 patent/US2007009311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5-09 CN CNA2006100783134A patent/CN195626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093110A1 (en) | 2007-04-26 |
CN1956266A (zh) | 200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4750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wer supply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US7407409B2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flexible printed circuit inserted into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
US20110063261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improved circuit substrate connection | |
JP2002333606A (ja) | 液晶表示装置 | |
KR20100023560A (ko) | 표시장치 | |
TW538395B (en) | Display device | |
KR20170059062A (ko) | 표시 장치 | |
KR20070044515A (ko)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
JP4401461B2 (ja) |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70013578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101146459B1 (ko) |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 |
JP2001177040A (ja) | 半導体集積回路とこの半導体集積回路を実装したプリント回路基板、およびこのプリント回路基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
JP2004109822A (ja)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
US20060197459A1 (en) | Layout configuration of flat display device | |
KR100303205B1 (ko) | 노오트북 컴퓨터용 표시장치 | |
KR20060116977A (ko)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체결방법 | |
JP2995888B2 (ja) | 液晶表示装置 | |
KR20070002347A (ko)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
KR101289939B1 (ko) | 배선 필름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검사장치 | |
KR20090110484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40041937A (ko) | 착탈이 용이한 표시패널의 단자부 접속구조를 갖는 평판표시소자 | |
US20010046022A1 (en) | Tape carrier package with separated bonding parts,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compensating misalignment thereof | |
KR100983523B1 (ko) |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 |
KR100703185B1 (ko) | 전원공급용 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 |
KR20060116978A (ko) |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체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