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429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36429A KR20070036429A KR1020050091438A KR20050091438A KR20070036429A KR 20070036429 A KR20070036429 A KR 20070036429A KR 1020050091438 A KR1020050091438 A KR 1020050091438A KR 20050091438 A KR20050091438 A KR 20050091438A KR 20070036429 A KR20070036429 A KR 20070036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sor
- moved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k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키입력 시 커서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저장하여, 현재 커서가 상기 저장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문자편집에 따른 커서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문자편집에 따른 커서 이동시 좀더 신속하고 간편하게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상품성과 경쟁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comprising: a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cursor when a key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a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current cursor to the stored position, by stor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text editing, to enable faster and easier editing when moving the cursor according to the text editing, the us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easily operated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erchandis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s.
커서, 좌표값 Cursor, coordinates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문자 편집하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SMS text edi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활된 화면에서 문자 편집하는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editing a text on a divided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지 전환화면에서 문자 편집하는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editing a text on a page switching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키입력부 20: 표시부 10: key input unit 20: display unit
30: 제어부 31: 입력처리부30: control unit 31: input processing unit
32: 좌표 계산부 33: 출력제어부 32: coordinate calculation unit 33: output control unit
40: 메모리 40: memory
본 발명은 문자편집기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편집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 커서의 좌표값을 저장함으로서, 입력된 문자 또는 기호를 수정하기 위해 커서가 이동되는 경우, 저장된 좌표값에 따라 커서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n the cursor is moved to correct an input text or a symbol by stor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cursor when a text is input using the text edi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ving a position of a cursor according to stored coordinate values.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성, 디자인 등을 선호함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기능에 필요한 편의성을 높여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을 생산하는 추세이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prefer the convenience, design, etc. 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necessary for the multi-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du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키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recognizes a signal accor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to receive data, and outputs it to a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SMS 또는 문자편집기에서 다수의 키버튼 중 방향키를 사용하여 커서가 이동되도록 하며, 이동된 커서의 위치에서 문자 및 기호를 입 력하게 된다.The mobile terminal allows the cursor to be moved using a direction key amo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 an SMS or a text editor, and inputs a character and a symbol at the position of the moved cursor.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키버튼 조작에 따라 커서를 편집하고자 하는 문자로 이동시켜 편집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dited by moving the cursor to the character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그러나, 종래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문자 또는 기호의 편집을 위하여 커서가 라인 이동시, 문자 또는 기호를 편집하고 커서를 이전라인의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가 여러 번 키를 반복 조작하여야만 커서가 작업위치로 이동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키 조작으로 인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ursor moves a line to edit an input character or symbol, when the cursor edits the character or symbol and the cursor is moved to the work position of the previous line, the user repeats the key several times. Since the cursor is moved only to the working position only by opera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keys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자 또는 기호를 편집하기 위하여 커서가 라인이동 될 때, 이동되는 커서의 좌표값을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좌표값에 따라 커서가 이동되어 사용자가 문자 편집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cursor is moved in line to edit a character or symbol,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ursor to be moved is stored, the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for the user text editing and its operation metho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기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키입력 시 커서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저장하여, 현재 커서가 상기 저 장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tore a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cursor when a key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allowing the current cursor to move to the stored posi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0)와, 상기 키입력부(10)의 키입력에 대한 출력을 나타내는 표시부(20)와, 상기 표시부(20)에서 상기 키입력(10)에 따른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커서의 위치에 따를 좌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display unit 20 indicating output of a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20. It includes a
상기 키입력부(10)는 다수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키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기호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키버튼은 사이드키와,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문자키와, 기능적으로 자주 쓰는 메뉴를 분류, 지정된 기능키로 구성된다.The key input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letters or symbols are input using the key button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composed of a side key, a character key for inputting a character or a symbol, and a function key frequently classified and functionally designated menu.
상기 기능키는 메뉴키와 방향키 등으로 구성되며, 이때 방향키는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도록 한다.The function key includes a menu key and a direction key, and the direction key moves a cursor so that a character or a symbol is input.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키입력부(10)의 방향키 동작에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커서가 출력된다. The display unit 20 outputs a cursor that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0.
이때, 상기 표시부(20)는 출력된 커서의 위치에서 상기 키입력부(10)의 키입 력 문자 또는 기호가 출력된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0 outputs a key input character or symbol of the key input unit 10 at the output cursor position.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키입력부(10)의 문자 또는 기호에 대한 입력을 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처리부(31)와, 상기 입력처리부(31)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20)에 출력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계산하는 좌표계산부(32)와,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좌표값에 따라 커서가 출력되는 출력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입력처리부(31)는 입력되는 문자 또는 기호에 따라 다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input processing unit 31 converts and outputs another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character or symbol.
상기 좌표계산부(32)는 문자편집에 따라 커서가 이동되는 경우, 커서의 위치를 좌표로 계산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When the cursor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ext editing, the coordinate calculator 32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as coordinates and stores the coordinates in the memory 40.
이때, 상기 좌표계산부(32)는 문자 또는 기호가 편집되는 과정에서 커서의 이동이 있고, 라인이동 될 때 커서가 라인이동 되기전 좌표를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32 has a movement of the cursor in the process of editing a character or symbol, and when the line is moved, calculates the coordinates before the line is moved and is stored in the memory 40.
상기 출력제어부(33)는 상기 키입력부(10)의 방향키 조작에 따라 커서가 이동되며,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커서의 위치 좌표값에 따라 커서가 이동되도록 한다.The output controller 33 moves the curs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0, and moves the cursor accor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s of the cursor stored in the memory 40.
상기 메모리(40)는 상기 좌표계산부(32)로부터 커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좌표값을 상기 출력제어부(33)로 출력하여 커서가 이동되도록 한다.The memory 40 stores coordinate values for the position of the cursor from the coordinate calculator 32 and outputs the stored coordinate values to the output controller 33 so that the cursor is mov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커서위치를 기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a text editing cursor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출력된 커서로 문자 또는 기호가 출력되고, 커서가 라인 이동되면 현재 위치가 저장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first step, a character or a symbol is outputted to a cursor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urrent position is stored when the cursor is moved line.
SMS, 메모, 메일등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다수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문자, 숫자, 또는 특수기호 등이 입력되고, 입력된 문자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된다.(S10)When a menu for inputting an SMS, a memo, an e-mail, or the like is selected, letters, numbers, special symbols, etc. are input according to a plurality of key button operations, and the input text data is output on the screen.
출력된 문자 또는 기호 등의 입력 중, 방향키가 조작되면 커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된다.(S20)During input of output characters or symbols, when the direction keys are operated, the cursor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S20)
이때, 상기 커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면, 현재 커서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S30)At this time, when the cursor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ursor is stored as coordinates (S30).
여기서, 상기 커서가 동일라인에서 좌우로 이동될 경우, 이동되는 위치가 좌표로 저장되며, 상하로 이동될 경우 상위라인 또는 하위라인으로 커서가 이동되며 현재 라인의 위치를 좌표로 저장된다. Here, when the cursor is moved left and right on the same line, the moved position is stored as coordinates. When the cursor is moved up and down, the cursor is moved to an upper line or a lower line an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line is stored as coordinates.
제 2 단계는 라인 이동된 커서가 이동전 라인으로 이동되면, 각 라인의 저장된 좌표에 따라 이동된다.In the second step, when the cursor moved to the line is moved to the line before the movement, the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s of each line.
상기 커서가 방향키에 의해 상위라인 또는 하위라인의 문자 또는 기호 등의 위치로 이동된다.(S40)The cursor is moved to a position such as a letter or a symbol of an upper line or a lower line by the direction key (S40).
라인이동 된 커서는 문자 또는 기호 등에 위치하게 되어,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편집되면, 현재 커서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되며 각각의 라인에 대해 커서가 이동되는 위치도 좌표로 저장된다.(S50)The cursor moved to a line is located at a character or a symbol, and when a character or a symbol is edited, the current cursor position is stored as coordinates,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cursor is moved for each line is also stored as coordinates (S50).
상기 커서가 방향키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며, 이때 이동된 각 라인의 저장된 좌표에 따라 상기 커서가 이동되며, 상기 커서의 좌표가 저장되지 않은 라인은 이동되기 전 라인의 커서와 같은 위치로 이동된다.(S60)The cursor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s. At this time, the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s of each moved line, and the line where the coordinates of the cursor are not stored is moved to the same position as the cursor of the line before the movement. (S60)
상기 커서가 방향키 조작으로 최종라인의 저장된 좌표로 이동되면, 문자 또는 기호 등에 대한 입력이 진행된다.(S70)When the cursor is moved to the stored coordinate of the last line by the direction key manipulation, input for a character or a symbol is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편집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문자 편집하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활된 화면에서 문자 편집하는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지 전환화면에서 문자 편집하는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text edi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SMS text edi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agmented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ext editing on a scree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ext editing on a page switching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고 방향키를 조작하여 'SMS'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화면상에 메뉴, 확인, 검색 등과 같은 항목이 출력된다. 이때,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입력되도록 키를 조작하여 화면에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출력된다.As shown in FIG. 3, when a menu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SMS' input menu is selected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items such as menu, confirmation, search, etc. are output on the screen. In this case, a character or a symbol is output on the screen by manipulating a key to input a character or a symbol.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입력된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출력되며, 현재 커서는 최종라인의 '!'뒤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3A, a character or a symbol inpu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 and the current cursor is positioned after '!' Of the last lin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는 방향키 중 상향키가 조작되어, 상위라인 으로 이동되며, 위치는 '!'와 같은 위치로 이동된후, 우측키가 조작되어 '르' 단어 뒤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위라인으로 이동되기 전 커서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As shown in Figure 3b, the cursor is moved to the upper line is operated by the up key of the direction keys, the position is moved to a position such as '!', Then the right key is operated to move behind the word 'le'. Here,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stored as coordinates before moving to the upper line.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는 방향키 중 상향키와 좌측키가 조작되어, 상위라인으로 이동되어, '라' 단어 뒤에 위치된다. 이때, 이전라인의 커서의 위치가 좌표가 저장된다.As shown in FIG. 3C, the cursor is operated by an up key and a left key of the direction keys, moved to an upper line, and is positioned after the word 'd'. At this time,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of the cursor of the previous line are stored.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이동된 '라' 단어를 '랑' 단어로 편집하고, 하향키를 조작하여 하위라인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하위라인의 저장된 좌표로 커서가 이동된다. 하위라인의 저장된 좌표인 '르' 단어로 커서가 라인이동 되어 위치된다. 이때, '랑' 단어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As shown in FIG. 3D, the word 'La' moved by the cursor is edited into a 'lang' word, and the down key is operated to move to a lower line. At this time, the cursor is moved to the stored coordinates of the lower line. Cursor is moved to the word 'Le' which is the stored coordinate of the lower lin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word 'lang' is stored as coordinates.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이동된 후 '를' 단어로 편집되고, 하향키를 이용하여 하위라인의 저장된 좌표로 이동된다. 이때, 라인이동은 각각의 저장된 좌표에 따라 커서가 이동되며, 좌표가 없는 경우의 라인은 현재라인의 위치와 같은 위치로 커서가 이동된다.As shown in FIG. 3E, after the cursor is moved, the word 'is edited' and the down key is moved to the stored coordinate of the lower line. At this time, the cursor moves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s for the line movement, and the cursor moves to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line when there is no coordinate.
여기서, 문자 입력이 완료되면 메뉴키, 확인키를 클릭함으로서, SMS를 전송하거나, 저장하고 종료되도록 한다. Here, when the text input is completed, the menu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are clicked to transmit, save, and terminate the SM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고 방향키를 조작하여 '문자편집기'를 선택한다. 출력된 화면은 '문자편집기' 메뉴를 두 번 클릭함으로서, '문자편집기 1'과 '문자편집기 2'가 출력된다.As shown in FIG. 4, a menu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xt editor is selected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In the output screen, 'Text Editor 1' and 'Text Editor 2' are displayed by double-clicking the 'Text Editor' menu.
화면상에 메뉴, 확인, 검색 등과 같은 항목이 출력되고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입력되도록 키를 조작하여 화면에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출력된다.Items such as menus, confirmations, search, etc. are output on the screen, and letters or symbols are output on the screen by manipulating keys to input characters or symbols.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편집기 1'과 '문자편집기 2'로 분활 된 화면이 출력되어, 커서가 메뉴키가 클릭 됨으로서 '문자편집기 1'과 '문자편집기 2'로 이동되어,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입력된다. 현재 커서는 '문자편집기 2'의 최종라인 '픈' 단어 뒤에 위치된다. As shown in FIG. 4A, a screen divided into 'Text Editor 1' and 'Text Editor 2' is output, and the cursor is moved to 'Text Editor 1' and 'Text Editor 2' by clicking a menu key. Or a symbol is input. The cursor is now located after the word 'open' in the last line of 'Text Editor 2'.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편집기 2'의 '케' 단어로 방향키 중 상향키와 우측키를 조작하여, 커서가 상위라인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되기 전 커서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As shown in FIG. 4B, the cursor is moved to the upper line by manipulating the up key and the right key among the direction keys with the word 'ke' of 'Text Editor 2'.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ursor before the movement is stored as coordinates.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편집기 2'의 '케' 단어로 이동된 커서는 메뉴키를 클릭하여 '문자편집기 1'로 화면이동된다. 이때, 커서는 '문자편집기 1'의 최종라인 마지막 '.' 뒤로 이동되며. 이동된 위치는 '문자편집기 2'로 이동되기 전 저장된 좌표이다.As shown in FIG. 4C, the cursor moved to the word 'ke' of the 'character editor 2' is moved to the 'character editor 1' by clicking the menu key. At this time, the cursor moves to the end of the last line of 'Text Editor 1'. Will move backwards. The moved position is the coordinate saved before moving to 'Text Editor 2'.
이때, '문자편집기 1'로 이동되는 커서는 '문자편집기 2'의 이동 전 커서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cursor that is moved to 'Text Editor 1' is stored as a coordinate before the movement of 'Text Editor 2'.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편집기 1'로 이동된 커서는 라인별 이동은 방향키중 상향키와 하향키를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며, 같은 라인의 이동시에는 좌측키와 우측키를 조작하여 커서를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4D, the cursor moved to 'Text Editor 1' moves the cursor by operating the up and down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and the left and right keys are moved when moving the same line. Move the cursor.
따라서, 커서는 '문자편집기 1'의 'ㄹ' 단어로 이동되며, 라인이동 되기 전 커서의 위치가 저장된다.Therefore, the cursor is moved to the word 'ㄹ' of 'Text Editor 1',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stored before the line is moved.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ㄹ' 단어 뒤에 위치된 커서는 '보' 단어 뒤에 이동되고 '모' 단어로 편집된다. 이때, 편집된 '모' 단어의 위치가 좌표로 저장된다. As shown in Fig. 4E, the cursor located after the word 'd' is moved after the word 'Bo' and edited into the word 'parent'.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edited 'parent' word is stored as coordinates.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는 하향키를 조작하여 하위라인으로 이동되며, 이때 라인별 이동시에는 저장된 좌표에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커서는 하위라인의 저장된 좌표인 'ㄹ' 단어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4F, the cursor is moved to a lower line by manipulating a down key. In this case, the cursor is moved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s. Here the cursor is moved to the word 'ㄹ' which is the stored coordinate of the lower line.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를' 단어로 편집되고, 메뉴키를 클릭하여 커서는 '문자편집기 1'에서 '문자편집기 2'로 화면 이동된다.As shown in FIG. 4G, the word 'is edited' and the menu key is clicked to move the cursor from 'text editor 1' to 'text editor 2'.
이때, 커서는 '문자편집기 2'에서 '문자편집기 1'로 화면 이동되기 전 저장된 좌표로 이동되어, '문자편집기 2'의 '케' 단어 뒤로 커서가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cursor is moved to the stored coordinates before the screen is moved from the 'character editor 2' to the 'character editor 1', and the cursor is moved after the word 'ke' of the 'character editor 2'.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 단어와 바로 앞에 있는 '러' 단어는 '렇게' 로 편집되고, 하향키가 조작되어 커서는 '픈' 단어 뒤로 이동된다. 이동되기 전 위치는 좌표로 저장된다.As shown in Fig. 4H, the word 'ke' and the word 'r' immediately preceding are edited as 'so', and the down key is manipulated to move the cursor behind the word 'poor'. The position before the move is stored as coordinates.
여기서, 도 4 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수의 화면으로 분활 되는 기능이 구되며, 분활 된 화면으로 전환이 되도록 하는 기능키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다.Here, FIG. 4 shows a function of di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screens, and a function key for switching to a divided screen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 softwar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에서 문자편집기 화면을 선택하고, 문자편집기의 두 번째 페이지까지 문자 또는 기호 등이 작성된 화면이며, 화면 하단에는 메뉴, 확인, 검색 버튼이 구비되고, 그 위로 전체페이지와 현재페이지를 알 수 있도록 출력되며, 커서는 최종라인의 마지막에 위치된다. As shown in FIG. 5A, a screen for selecting a text editor from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xt or a symbol, etc. are written up to a second page of the text editor, and a menu, confirmation, and search button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t prints out the entire page and the current page so that the cursor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last line.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페이지에서 '노' 단어로 상향키와 우측키를 조작하여 커서가 이동되며, 이동 전 커서의 위치는 좌표로 저장된다.As shown in FIG. 5B, the cursor is moved by operating the up key and the right key with the word 'no' on the second page,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before the movement is stored as coordinates.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키를 클릭하여 커서는 첫 번째 페이지로 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첫 번째 페이지 최종라인 마지막으로 커서가 이동된다. 여기서, 커서의 위치는 저장된 좌표에 따라 첫 번째 페이지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5C, the cursor becomes the first page by clicking the menu key, and the cursor is moved last to the last line of the first pag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moved to the first page according to the stored coordinates.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페이지로 이동된 커서는 방향키가 조작되어, 상위라인의 '찐' 단어 뒤로 커서가 이동되며, 이동전 커서의 위치가 저장된다.As shown in FIG. 5D, the cursor moved to the first page is operated by a direction key, and the cursor is moved after the word 'steamed' in the upper line,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before the movement is stored.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 단어로 편집되고 위치가 좌표로 저장되며, 메뉴키를 클릭하여 두 번째 페이지로 커서를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5E, the word 'Jin' is edited and the position is stored as coordinates, and the menu key is clicked to move the cursor to the second page.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페이지에서 두 번째 페이지로 이동된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으로, 커서는 첫 번째 페이지로 이동되기 전, 두 번째 페이지의 좌표로 저장된 위치인 '노' 단어의 뒤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5F, the screen moves from the first page to the second page, and the cursor moves back to the word 'no', which is a position stored in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page, before moving to the first page. do.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놓' 단어로 편집되고, 하향키를 조작하여 최종라인 저장된 좌표로 커서가 이동된다.As illustrated in FIG. 5E, the word 'edit' is edited, and the cursor is moved to the last line stored coordinate by manipulating the down key.
이러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 에 구현 가능한 것인 바, 사용자는 문자편집을 하기 위한 커서이동시, 좀더 편하게 커서를 이동시켜 문자편집을 한다.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ursor moves for text editing, the user moves the cursor to make text editing more comfortable.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일에 대한 문자편집도 가능하게 되고, 커서 이동에 대한 위치가 저장되어 좀더 빠르게 문자편집이 가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상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lso edit the text for the mail, and the position for the cursor movement can be stored to enable faster text editing, thereby improving the merchandise and conveni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
상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키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가능하며,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키 기능이 변경 가능하고, 커서의 위치를 저장하여 이동되는 방식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The key function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the key function can be changed in software, and the method of moving by stor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can be changed in softwa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편집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문자편집에 따른 커서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문자편집에 따른 커서 이동시 좀더 신속하고 간편하게 문자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제품의 상품성과 경쟁력,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by stor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text editing, to enable faster and simpler text editing when moving the cursor according to the text editing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erchandis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438A KR20070036429A (en) | 2005-09-29 | 2005-09-29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CN2006101524086A CN1941981B (en) | 2005-09-29 | 2006-09-25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letter editor function and the operationa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438A KR20070036429A (en) | 2005-09-29 | 2005-09-29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429A true KR20070036429A (en) | 2007-04-03 |
Family
ID=3795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1438A Abandoned KR20070036429A (en) | 2005-09-29 | 2005-09-29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36429A (en) |
CN (1) | CN194198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64188B (en) * | 2013-03-25 | 2020-12-18 | 联想(北京)有限公司 |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49632A (en) | 1990-10-09 | 1992-05-22 | Brother Ind Ltd | document creation device |
JP2610114B2 (en) * | 1993-12-30 | 1997-05-14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 Pointing system, computer system and force response method |
CN100426201C (en) * | 2004-02-17 | 2008-10-15 | 京瓷株式会社 | Portable terminal |
-
2005
- 2005-09-29 KR KR1020050091438A patent/KR20070036429A/en not_active Abandoned
-
2006
- 2006-09-25 CN CN2006101524086A patent/CN194198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941981A (en) | 2007-04-04 |
CN1941981B (en) | 2012-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19824B2 (en) |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6542170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 |
US20020196229A1 (en) | Graphics-based calculator capable of directly editing data points on graph | |
JP2011150489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
CN101848272B (en) | Input method switching method of mobile phones | |
KR200900153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haracter deletion function | |
EP2787450A2 (en) |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ink text data | |
US2009005166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key | |
CA259442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pointing device | |
CN102403879B (en) |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 |
US20070106732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 |
JP2012215942A (en) | Input device and input target character selection method | |
KR20070036429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CN101226427A (en) | Keyboard and correspond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alm PC | |
JPH11355414A (en) | Telephone | |
KR100656779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ad and input method thereof | |
JP2005339453A (en) | Cellular phone | |
KR101083178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 |
JP4322698B2 (en) | Mobile device | |
KR100918624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KR20010058765A (en) |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in Mobile station | |
JP3374915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English sentence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70114649A (en) | The converting method and device of the extended keyboard for inputting the numbers in touch type mobile terminal | |
JP2006309578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JP2018005421A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