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34702A -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702A
KR20070034702A KR1020050089169A KR20050089169A KR20070034702A KR 20070034702 A KR20070034702 A KR 20070034702A KR 1020050089169 A KR1020050089169 A KR 1020050089169A KR 20050089169 A KR20050089169 A KR 20050089169A KR 20070034702 A KR20070034702 A KR 2007003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mobile communication
external memory
communication terminal
s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구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702A/ko
Publication of KR2007003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70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힌지로 결합된 폴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는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200)를 통해 삽입되는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소켓(300)이 설치된 메인인쇄회로기판(500)이 장착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장메모리카드(600)의 폭보다 약간 큰 치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24a,124b)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돌출부(124a,124b)들의 단부는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체부(100)의 개구부(200)를 통해 삽입된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 삽입시키도록 하며 아울러 종래 메모리소켓의 덮개부를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메모리소켓, 외장메모리카드, 회로기판, 돌출부

Description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memory socket for external memory card inserted}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장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4 는 도3 의 A-A'선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부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24 : 가이드부 124a,124b : 돌출부
200 : 개구부 200a,200b : 홈
300 : 메모리소켓
401: 고무덮개 401a,401b: 돌기부
500: 메인회로기판
600: 외장메모리카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외장메모리카드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 삽입시키도록 하며 아울러 종래 메모리소켓의 덮개부를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로는 플립형, 폴더형 등 다양한 구조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고, 이 밖에도 디지털카메라, MP3기능과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 폰뱅킹기능까지 구비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말기는 컴퓨터와 연결하거나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업그레이드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일 측면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있다.
도1 및 도2 는 종래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의 개략적인 사시 도와 측단면도이다.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상면으로 각종 정보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음성을 입력받는 송화부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회로기판(50, 도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폴더부에는 본체부(10)와 마주보는 면으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의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창과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메인회로기판(50)을 거쳐 LCD창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정보는 메인회로기판(50)을 거쳐 각종 기기를 작동함으로써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기능이나 MP3 재생기능을 사용하는 중에 사진을 저장하거나 음악을 저장하기 위하여는 메모리가 필요한데, 내장메모리의 용량 확장이 힘든 문제로 인해 SD(Secure Digital), MMC(Multimedia Card), 스마트미디어 등의 외장메모리카드(60)를 안내함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내측에 덮개부(31)를 가진 메모리소켓(30)을 구비하여,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20)를 통해 상기 외장메모리카드(60)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0)는 도어(41)에 의해 폐쇄되는데, 상기 도어(41)의 상면에는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41b)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1b)와 대응되는 개구부(20)의 내측 상면에는 도어(41)가 개구부(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 을 방지하는 걸림홈(21)을 형성하며, 메모리소켓(30)에 삽입된 외장메모리카드(60)의 외측 끝단은 도어(41)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하여 도어(41)가 개구부(20)의 내측으로 회동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힌지공(42)은 개구부(20)의 내측 방향으로 힌지축(41a)이 직선 운동하도록 길게 형성하여 본체부(10)의 외측에서 도어(41)를 누르면 도어(41)가 힌지공(42)을 따라 개구부(2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 가도록 구성된다.
도2 에서 미설명 부호 11 및 12 는 본체부(10)를 이루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30)에는 외장메모리카드(60)를 삽입할 때 외장메모리카드(60)를 안내하는 덮개부(31)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 덮개부(31)를 가진 메모리소켓(30)의 구성으로 인해 본체부(10) 내측의 메인회로기판(50) 상부에서부터 상부케이스(12)까지의 전체높이(h1)가 일정한 높이를 가져야만 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41) 구조가 복잡하여 도어(41) 파손이 자주 발생하며, 파손에 따르는 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장메모리카드를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 메모리소켓의 덮개부를 제거함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게 슬림화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된 폴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내부에는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외장메모리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저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절곡된 단부를 구비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외장메모리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부의 상하면에 개구부의 폭만큼 형성된 직선형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직선형 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고무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덮개는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 유사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르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장메모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4 는 도3 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도1 과 유사하므로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메인인쇄회로기판(500)이 장착되며,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500)의 상부에 메모리소켓(300)이 형성된다.
참조부호 200은 개구부를 나타내며, 이 개구부(200)를 통해 외장메모리카드(600)가 삽입되면서 상기 메모리소켓(300)에 장착된다. 상기 메모리소켓(300)의 구조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푸시인-푸시아웃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메모리카드(600)를 지지하는 별도의 탄성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커버가 탄성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참조부호 401은 상기 개구부(200)를 폐쇄하는 고무덮개를 나타내며, 상기 고무덮개(401)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00)의 상하면에 개구부 (200)의 폭만큼 형성된 직선형 홈(200a,200b)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기부(401a, 401b)가 개구부(200)의 폭만큼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다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401b은 고무덮개(401)를 상기 개구부(200)에 착탈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나타내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124는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24)는 상기 외장메모리카드(600)의 폭보다 약간 큰 치수의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24a,124b)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돌출부(124a,124b)들의 단부는 절곡되어 외장메모리카드(6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형태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메인회로기판(500)에 장착되는 메모리소켓의 덮개부(31)가 제거됨으로써 메인회로기판(500)의 상부에서부터 상부케이스(120)까지의 전체높이(h2)가 종래 도2 에서의 높이(h1)에 비해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본체부(100)의 전체두께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사용자는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삽입하고자 할 때, 상기 고무덮개(401)의 손잡이(401b)를 잡아당겨 고무덮개(401)를 제거하여 개구부(200)를 개방시킨다. 이후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상기 개구부(200)를 통해 삽입하며, 이때 상기 외장메모리카드(600)는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4a,124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이후 메모리소켓(300)에 장착된다.
한편, 외장메모리카드(600)를 빼내고자 할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덮개(401)를 제거한다. 이후, 상기 메모리소켓(300)은 푸쉬 인 아웃구조를 가지므로 한번 밀면 다시 밀려나오게 되어 쉽게 외장메모리카드(600)를 빼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 슬라이드 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메모리소켓(300)은 본체부(100)에 한정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양 본체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 본체부에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권리범위를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실시 예를 통해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외장메모리카드(600)가 삽입되는 개구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상부케이스(120) 저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24a, 124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24)에 의해 외장메모리카드(600)가 안정적으로 메모리소켓(300)에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메모리카드(600) 삽입을 안내하는 메모리소켓의 덮개부 구조를 본체부 상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되어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5)

  1.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힌지로 결합된 폴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는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200)를 통해 삽입되는 외장메모리카드(600)를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소켓(300)이 설치된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소켓(300)은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24a,124b)들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4)를 이루는 한 쌍의 돌출부(124a, 124b)의 단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0)의 상하면에 개구부(200)의 폭만큼 형성된 직선형 홈(200a,20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구부(200)를 폐쇄하며 상기 직선형 홈(200a,200b)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부(401a, 401b)를 가지는 고무덮개(40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덮개(401)는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40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89169A 2005-09-26 2005-09-26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Withdrawn KR20070034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69A KR20070034702A (ko) 2005-09-26 2005-09-26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69A KR20070034702A (ko) 2005-09-26 2005-09-26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702A true KR20070034702A (ko) 2007-03-29

Family

ID=492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169A Withdrawn KR20070034702A (ko) 2005-09-26 2005-09-26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29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667122B1 (ko) 이동 통신 단자용 리드 및 이동 통신 단자
US7764977B2 (en) Memory card removal guard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CN100379088C (zh) 用于闪速转存存储卡的插座
US7762827B2 (en) Card assembly with a hinged cover including a torsion spring
US7744000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344401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EP2469808A2 (en) Mobile device
US20060286847A1 (en) Sim card holder
KR20060125396A (ko) 외장형 카드 탈착장치
CN100508705C (zh) 便携式终端的滑动模块及安装于其上的外置卡的盖装置
KR100600167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833040B2 (en) Card socket assembly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KR100310854B1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JP2004222170A (ja) 折畳式携帯電子装置
KR20070034702A (ko) 외장메모리카드용 메모리소켓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KR200357053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외장메모리카드 삽입구 커버
JP2008263433A (ja) 電子機器
EP1845476B1 (en) SIM card reader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6281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