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32433A -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 Google Patents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433A
KR20070032433A KR1020050086642A KR20050086642A KR20070032433A KR 20070032433 A KR20070032433 A KR 20070032433A KR 1020050086642 A KR1020050086642 A KR 1020050086642A KR 20050086642 A KR20050086642 A KR 20050086642A KR 20070032433 A KR20070032433 A KR 2007003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undle
rotor
stator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제신
Original Assignee
연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제신 filed Critical 연제신
Priority to KR102005008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433A/ko
Priority to US11/306,097 priority patent/US20070063606A1/en
Priority to PCT/KR2006/003448 priority patent/WO2007032610A1/en
Publication of KR2007003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433A/ko
Priority to US12/774,656 priority patent/US20100231077A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분리되어 사용되는 발전기와 전동기 대신에 발전기와 전동기를 일체화한 듀얼머신 또는 둘기(Dual Machine)를 작동시키는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둘기는 발전기와 전동기의 상호작용을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기초적 자석의 자연운동으로서 기본적으로 2개 뭉치가 짝을 이루는 오른쪽뭉치와 왼쪽뭉치로 구성되고, 상기 오른쪽뭉치에서 그 뭉치의 고정자극과 회전자극이 서로 당김작용을 하면서 상기 왼쪽뭉치는 그 뭉치의 고정자극과 회전자극이 튕김작용을 하므로, 상기 오른쪽뭉치와 왼쪽뭉치는 해당하는 고정자극과 회전자극이 당김과 튕김을 바꾸어 가면서 연속으로 반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당김작용이 당김력과 당김류로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튕김작용이 튕김력과 튕김류로 진행하므로 상기 당김류와 튕김류는 활성전기로써 입력(input)보다 더욱 큰 출력(output)으로 발전하고, 상기 당김력과 튕김력은 토오크(Torque)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둘기의 전기발전기(Geneator)와 전동기(Motor)의 에너지는 앞으로의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기, 고정자, 회전자,

Description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A Dual Machin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otoring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둘기의 왼쪽뭉치 및 오른쪽뭉치가 쌍으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및,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둘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에 대한 블럭회로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왼쪽뭉치
100': 오른쪽뭉치
720: 정류회로
724a, 724b; 724a', 724b':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
726;726': 구동회로
730;730': 전력인출반도체스위치
740: 서지보호회로
본 발명은 기존에 분리되어 사용되는 발전기와 전동기 대신에 발전기와 전동기를 일체화한 듀얼머신 또는 둘기(Dual Machine)를 작동시키는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기초 자석의 자연운동으로서 오른쪽뭉치(100')가 고정자극과 회전자극이 서로 당김작용을 하면 왼쪽뭉치(100)는 고정자극과 회전자극이 튕김작용을 바꾸어 가면서 반복운동을 연속하고, 상기 당김작용이 당김력과 당김류로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튕김작용이 튕김력과 튕김류로 진행하므로 상기 당김류와 튕김류는 활성전기로써 입력되었던 힘(Force)보다 더욱 큰 출력(output)으로 발전하는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발전기와 전동기는 각각 별개로 분리되어 개발되고 있음은 다 아는 사실이다. 즉, 상기 발전기는 직접방법인 직접 자석운동방식으로 설명 내지 개발되고 있으며 이 발전기를 이용한 발전방법은 막대한 에너지의 공급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기는 전동운동시 자류발생으로 인한 열이 발생하고, 히스테리시스와 와류 그 밖의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전동운동에 방해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전동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되어야 한다.
아울러 현재까지의 연구 개발에 의하면 상기 발전기와 전동기는 보이지 않는 자류(invisible current)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자류의 행정처리와 당김 작용 및 튕김작용을 형성하기위한 장치의 배열을 설계할 수 없고 독립적으로 운동하는 당김작용과 튕김작용을 위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인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제어기를 사용하여 각각 쌍을 이루는 자석에서 발생하는 당김류와 튕김류 그리고 당김력과 튕김력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어 작동하는 쌍을 이루는 뭉치에 의하여 전동기와 발전기의 동시기능을 수행하여 고효율의 에너지를 얻는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에서 둘기(200)는 자류와 자력를 동시에 이용하며, 상호 극성을 달리하여 작용하는 자석운동을 전자제어장치로 제어하고, 상호 대향하는 다수의 제1자석을 가진 왼쪽뭉치(100) 및 상호 대향하는 다수의 제2자석을 가진 오른쪽뭉치(100')를 구비하고, 상기 왼쪽뭉치(100) 및 오른쪽뭉치(100')를 하나의 완성된 행정운동으로 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상기 왼쪽뭉치(100) 및 오른쪽뭉치(100')의 자석부분에 서 발생한 자력운동과 자류운동의 상호작용과 조화로 다수의 제1자석에서 일어나는 자력운동은 다수의 제2자석에서 회전하는 토오크로 전환되어 회전하는 전동기(M)가 되고, 상기 다수의 제1자석에서 일어나는 자류운동은 다수의 제2자석에서 당김류와 튕김류의 조화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G)가 되고, 상기 전동기(M) 및 발전기(G)의 이원적 구조에 따라 전기력과 토오크힘을 출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류와 자력를 이용한 둘기(200)에서, 상기 오른쪽뭉치(100')는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은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 당김운동과 튕김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왼쪽 구리사리에 전기가 공급될 때 오른쪽 구리사리에는 전기가 출력하고, 이때 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출력뿐만 아니라 입력도 또한 병행해서 작용함으로써 교번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류와 자력를 이용한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은, 제1회전자-고정자쌍이 대향하여 배치되는 회전자(1), 고정자(100), 상기 제1회전자(1)-고정자(100)쌍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회전축(2)에 의해 연결되는 제2회전자(100') 및 제2고정자(20')가 포함되는 자류와 자력를 이용한 둘기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으로서;
외부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2)이 회전운동하는 단계와,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2) 상에 삽입·설치되며 작용편(3)과 반작용편(4)을 가진 다수개의 회전팔로 구성된 회전자(1)도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자(1) 말단 의 회전자 자석(10)과 고정자 전자석(20)의 자류 상호간의 자력이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자 전자석(20)과 회전자 자석(10)에 작용하는 소정의 전자기력은 제어기를 사용하여 고정자의 구리사리에 흐르는 크기 또는 위상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달성되고, 상기 구리사리에 흐르는 크기 또는 위상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회전자의 크기가 결정되는 토오크 특성으로 도선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자력은 상기 회전자(1) 회전팔의 작용편(3)-반작용편(4)의 회전에 따라서 고정자 전자석(20)과 회전자 자석(10) 상호간의 튕김류와 당김류의 변화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되는 단계와,
이러한 더욱 강해진 자류를 이용하여 고정자 전자석(20)에 권선되어 있는 구리사리로부터 강한 전기력을 출력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M) 및 발전기(G)의 이원적 구조에서 외부동력수단과 전기출력수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익히 알려진 구성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더욱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2 및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둘기의 왼쪽뭉치 및 오른쪽뭉치에서 조화 작용하는 둘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 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둘기(Dual Machine,200)란 이원적 원리로 이중적으로 동시에 작용하는 발전기(Genrrator;G) 및 전동기(Motor;M)를 의미하며, 구리사리(wounded coil)란 구리로 감겨진 구리사리편을 의미한다.
둘기(200)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조립체(a basic assembly)로서 회전축(2)과 간격유지구(40)를 통하여 오른쪽뭉치(100')와 왼쪽뭉치(100)로 쌍을 이루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른쪽뭉치(100')는 고정자 2개와 회전자 2개로 이루어지고,상기 오른쪽뭉치(100')에서 당김운동을 할 때 상기 왼쪽이 튕김운동을 하며, 이것을 교번으로 하기 위하여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오른쪽뭉치(100')와 상기 왼쪽뭉치(100)는 각각 고정자극(staror pole;20,20')과 회전자극(rotor pole;10,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고정자극(20,20')은 구리사리인 전자석으로 배열되고 상기 2개의 회전자극(10,10')은 영구자석을 방사상으로 배열하므로, 상기 전자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당김운동과 튕김운동이 교번으로 상호작용하게 된다.
상기 오른쪽뭉치(100')와 왼쪽뭉치(100)가 상호작용하면 오른쪽뭉치(100')에서 고정자 전자석과 회전자 영구자석이 당김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당김운동과 동시 동작으로 왼쪽뭉치(100)에서도 고정자 전자석과 회전자 영구자석이 튕김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한쌍의 당김과 튕김자류(magnetic current)와 한쌍의 당김과 튕김자력(magnetic vector) 이 발생하고, 오른쪽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호 조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 오른쪽뭉치(100')를 참조하면, 상기 오른쪽뭉치(100')는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은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 당김운동과 튕김운동을 수행할 때, 상기 당김운동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류운동으로서 주역할(invisible leading part)을 수행하고, 상기 튕김운동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자력운동으로서 주역할(visible leading part)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왼쪽 구리사리에 전기가 공급될 때 오른쪽 구리사리에는 전기가 출력하고, 이때 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출력뿐만 아니라 입력도 또한 병행해서 작용함으로써 교번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오른쪽고정자(20')과 왼쪽고정자(20)는 자석 전도체로 연결되고 또한 오른쪽회전자(10')과 왼쪽회전자(10) 역시 자석 전도체로 연결되므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자류운동이 원할하게 되고 그 자력운동은 작용과 반작용을 벡터리얼 각도(vectorial angle)로 유지하므로, 합력이 이루어지면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이원론적(The Dualistic Principles)인 발전기(G)와 전동기(M)는 둘기(Dual Machine)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둘기는 발전기(G)와 전동기(M)에 대해서 각각 일어나는 자석운동(Magnet motion)의 자류시스템과 자력운동(Magnetic motion))의 시스템이 하나의 행정운동(unit stroke)을 이루는 경우, 최초동작의 전원공급을 위한 온/오프, 구리사리의 입출력, 전자기력의 N극과 S극, N,S 극성간에 상호작용하는 당김류와 당김력, 그리고 전자기력의 N극과 N극, N,N 극성간에 상호작용하는 튕김류와 튕김력의 자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자석운동(10,10';20,20')은 오른쪽과 왼쪽 뭉치의 선행행정이 되는 제1위치(Position 1)의 하프행정(Half stroke)과 함께 상기 오른쪽과 왼쪽 뭉치의 후행행정이 되는 제2위치(Position 2)의 하프행정이 하나의 행정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둘기는 왼쪽뭉치(100)와 오른쪽뭉치(100') 가운데 둘기의 왼쪽뭉치(100)와 오른쪽뭉치(100')가 간격유지구(40)를 사이에 두고 동시에 작용하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둘기의 발전와 전동동작에 기초가 되는 자석운동에 있어서 자류와 자력을 생성하는 자류운동과 자력운동은 한벌의 자류시스템을 이루는 오른쪽뭉치(100')를 구성하고, 또다른 한벌의 자류와 자력시스템도 역시 한벌의 자류와 자력시스템을 이루는 왼쪽뭉치(100)를 구성하고, 상기 왼쪽뭉치(100)와 오른쪽뭉치(100')가 동시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둘기 뭉치의 발전 및 전동방법에 따른 동작에 있어서, 고정자와 회전자는 교번작용(alternation)하는 하나의 N극과 S극간, 즉 당김류와 튕김류간 쌍을 이루는 한 벌의 제1 회전자-고정자 쌍과, 또다른 하나의 N극과 N극간, 즉 튕김력과 튕김력간 쌍을 이루는 한 벌의 제2 회전자-회전자 쌍으로 이동하면서 하나의 스트록(Stroke)인 1 행정의 회전운동을 구성한다.
Figure 112005051877962-PAT00001
표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둘기의 동작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챠트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제1위치(P)의 오른쪽뭉치(100') 및 제2위치(P2)의 왼쪽뭉치(100)가 상호간에 결합하여 한쌍의 선행행정운동이 되고, 제2위치의 오른쪽뭉치(100') 및 제2위치의 왼쪽뭉치(100)가 또다른 한쌍의 후행행정운동이 되고, 이들 제1 및 제2위치의 행정이 합하여서 하나의 행정운동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쌍의 오른쪽뭉치(100')에 있어서 우선 왼쪽 둘기의 자류운동 시스템에서 튕김류와 당김류 운동을 하는 경우 튕김류운동은 N극과 N극의 튕김류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튕김류의 자류가 되고, 당김류운동은 S극과 N극의 당김류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당김류의 자류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 튕김류와 상기 고정자 당김류가 고정자 활성을 이룩하고, 상기 회전자 튕김류와 상기 회전자 당김류가 회전자 활성을 이룩하고 있으므로, 전환활성전류를 생성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자력운동은 N극과 N극의 튕김력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튕김력운동의 작용 내지 반작용벡터와, 당김력운동이 S극과 N극의 당김력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당김력의 작용 내지 반작용 벡터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 작용벡터와 상기 고정자 반작용벡터가 합력벡터를 이룩하고, 상기 회전자 작용벡터와 상기 회전자 반작용벡터가 또다른 합력벡터를 이룩하고 있으므로, 전환토오크를 생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4의 전환활성 및 전환토오크를 위한 반도체 스위칭회로에 의하여 자류와 자력에너지를 출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쌍의 왼쪽뭉치(100)에 있어서,
오른쪽 둘기의 자류운동 시스템에서 튕김류운동와 당김류운동을 하는 경우 튕김류운동은 N극과 N극의 튕김류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튕김류의 자류가 되고, 당김류운동은 S극과 N극의 당김류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당김류의 자류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 튕김류와 상기 고정자 당김류가 고정자 활성을 이룩하고, 상기 회전자 튕김류와 상기 회전자 당김류가 회전자 활성을 이룩하고 있으므로, 전환활성전류를 생성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자력운동은 N극과 N극의 튕김력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튕김력운동의 작용 내지 반작용벡터와, 당김력운동이 S극과 N극의 당김력에 의해 회전자 및 고정자를 분리하는 당김력의 작용 내지 반작용 벡터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 작용벡터와 상기 고정자 반작용벡터가 합력벡터를 이룩하고, 상기 회전자 작용벡터와 상기 회전자 반작용벡터가 또다른 합력벡터를 이룩하고 있으므로, 전환토오크를 생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4의 전환활성 및 전환토오크를 위한 반도체 스위칭회로에 의하여 자류에너지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둘기에 있어서 둘기의 회전자와 고정자간에 생성하는 자석운동(natural spontaneous motion)은 자연속성상 자발적으로 운동하는 자력운동과 자류운동(Current Motion)으로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대별된다.
상기 자석운동에서 자력운동은 본래적인 튕김류운동(natural repulsion)과 이 튕김력운동과 함께 존재하는 보조적인 당김류운동(subnatural attraction)이 쌍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면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자석운동에서 자류운동은 본래적인 당김력운동(natural attracti ve current)과 이 본래적인 당김력운동에 대해 보조적인 튕김력운동(subnatural repulsive current)이 함께 존재한다.
상기 자력운동에 있어서 상기 본래적인 튕김력(natural repulsion)은 제1작용벡터와 제1반작용벡터그룹으로 구성되는 제1의 합력벡터가 되고, 상기 보조적인 당김력(subnatural attraction)은 제3작용벡터와 제4반작용벡터그룹으로 구성되는 제2의 합력벡터가 되며, 상기 제1합력벡터와 상기 제2합력벡터가 합쳐져서 토오크힘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자력운동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류운동과 동시에 듀얼적 또는 이원적으로 운동하는 자류운동은 본래적인 당김류운동(natural attractive current)과 이 본래적인 당김류운동에 대해 조화(Harmony)를 이루며 보조적인 튕김류운동(subnatural repulsion current)이 함께 존재한다.
상기 당김류 운동은 제1 고정자당김류와 제2회전자튕김류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적인 튕김류운동은 제3고정자튕김류와 제4회전자튕김류그룹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당김류 운동의 상기 제1고정자당김류와 상기 튕김류운동의 상기 제3회전자튕김류그룹이 고정자 활성류를 결합하는 형태인 쌍합형태(combine type)로 하고, 상기 당김류 운동의 상기 제2회전자당김류와 상기 튕김류운동의 상기 제4회전자튕김류그룹이 고정자 활성류를 결합 또는 쌍합형태로 한다.
상기 활성류의 쌍합형태는 또한, 상기 고정자활성류와 상기 회전자활성류가 합쳐져서 증폭된 증폭활성류를 형성하여, 활성유도전기(activity induce electricty)를 생성하여 전기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표 1의 둘기는 자력운동과 자류운동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조화운동과 상호윤활(lubrication)운동을 하게 되고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상기 자석운동은 이원적인 자력운동과 자류운동이 각각 동시에 윤활하게 작용하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며, 이들 자력 및 자류운동은 동시에 발생하는데, 상기 자력운동이 육안으로 보이는 가시성(visible)을 가지며, 상기 자류운동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불가시성(invisible)을 가진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둘기의 전자제어장치에 대한 블럭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둘기에 있어서 오른쪽뭉치(100') 및 왼쪽뭉치(100)를 이루는 발전기(G) 내지 전동기(M)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의 둘기(200)는 전력공급회로(710)에서 입력전원으로 입력하는 교류 100/220 전원을 사용하며, 입력된 전원을 평활하여 정류하는 정류회로(720)과, 상기 정류회로(720)에서 나오는 직류(DC)출력을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724a, 724b; 724a', 724b')와, 상기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 724a, 724b; 724a', 724b')에 직렬연결되어 둘기의 고정자 구리사리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회로(726;726')와, 상기 구동회로(726)와 상기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724a, 724b; 724a', 724b')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회로(726;726')에 입력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력인출반도체스위치(730;730')와, 상기 구동회로(726;726')에 각각 연결된 왼쪽뭉치(100')와 오른쪽뭉치(100)와, 상기 왼쪽뭉치(100')와 오른쪽뭉치(100)를 통해 출력하는 전류와 둘기의 파손을 보호하는 서지보호회로(740)를 포함한다.
상기 직류변환회로(720)는 평활회로를 거친 후 완전한 DC에 가까운 파형을 만들기 위해 정전압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 여러 부품으로 정전압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 724a, 724b; 724a', 724b')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소자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 724a, 724b; 724a', 724b')는 직류 전력을 턴온과 턴오프시간으로 고속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직류변환회로(720)에서 평활된 DC 전압을 펄스로 스위칭해서 AC 전압으로 만드는 인버터를 통하여 전류의 흐름을 중단하는 온,오프상태와 안정상태를 가지고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다.
상기 전력인출반도체스위치(730)는 3극(Triode)으로 교류(AC)전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쌍방향 3단자 다이리스터(Bidirectional Triode Thyristor)로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게이트 신호로 전원의 정.역 어떠한 방향으로도 턴 온이 가능하며 상용주파수에서 교류제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회로(740)는 고정된 뭉치(100;100')의 구리사리에 구형파 전압을 입력/출력하는 경우 둘기의 고정된 뭉치(100;100')의 구리사리에서 발생하는 역기전압을 전원선로의 서지(Surge)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전력인출반도체스위치(730)와 상기 전력제어반도체스위치(724a, 724b)와 둘기(2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밝혀진 본 발명의 상술한 부분과 실시를 고려한다면 본 실시예에 예시된 기술적 범위를 통해 수정, 변경, 대체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하나의 둘기에서 또다른 2개 또는 그 이상의 둘기를 추가하는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추가의 설명이 없어도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술한 부분과 실시에는 예시로서만 고려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본 발명의 진실한 범위와 정신은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둘기에 의하면, 기존의 발전기는 발전에 의한 전력을 생성하는 경우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속박마찰 운동으로 인하여 에너지를 소모하고, 전동기는 자류(Magnetic current)로 인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에너지를 소모하여 전력 에너지 및 기술상의 장점을 얻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원적 원리를 이용한 둘기에서 자석 고유의 자연운동을 사용하고 전자석의 양쪽 끝에 2개의 극성을 사용하여 상기 자석과 전자석의 상호작용과 조화운동을 병행하면서 자류운동과 자력운동을 겸하게 되므로 열에너지 등의 소비로 인한 성능저하를 제거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둘기는 다중기능을 이루게 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화석연료의 고갈을 해결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자류와 자력를 동시에 이용하며, 상호 극성을 달리하여 작용하는 자석운동을 전자제어장치로 제어하고, 상호 대향하는 다수의 제1자석을 가진 왼쪽뭉치(100) 및 상호 대향하는 다수의 제2자석을 가진 오른쪽뭉치(100')를 구비하고, 상기 왼쪽뭉치(100) 및 오른쪽뭉치(100')를 하나의 완성된 행정운동으로 하여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상기 왼쪽뭉치(100) 및 오른쪽뭉치(100')의 자석부분에서 발생된 자력운동과 자류운동의 상호작용과 조화로 다수의 제1자석에서 일어나는 자력운동은 다수의 제2자석에서 회전하는 토오크로 전환되어 회전하는 전동기(M)가 되고, 상기 다수의 제1자석에서 일어나는 자류운동은 다수의 제2자석에서 당김류와 튕김류의 조화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G)가 되고, 상기 전동기(M) 및 발전기(G)의 이원적 구조에 따라 전기력과 토오크힘을 출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른쪽뭉치(100')는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극(20')과 회전자극(10')은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 당김운동과 튕김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왼쪽 구리사리에 전기가 공급될 때 오른쪽 구리사리에는 전기가 출력하고, 이때 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출력뿐만 아니라 입력도 또한 병행 해서 작용함으로써 교번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기.
  3. 제1회전자-고정자쌍이 대향하여 배치되는 회전자(1), 고정자(100), 상기 제1회전자(1)-고정자(100)쌍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회전축(2)에 의해 연결되는 제2회전자(100') 및 제2고정자(20')가 포함되는 자류와 자력를 이용한 둘기(200)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으로서;
    외부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2)이 회전운동하는 단계와,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2) 상에 삽입·설치되며 작용편(3)과 반작용편(4)을 가진 다수개의 회전팔로 구성된 회전자(1)도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자(1) 말단의 회전자 자석(10)과 고정자 전자석(20)의 자류 상호간의 자력이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자 전자석(20)과 회전자 자석(10)에 작용하는 소정의 전자기력은 제어기를 사용하여 고정자의 구리사리에 흐르는 크기 또는 위상중 어느하나를 조절하여 달성되고, 상기 구리사리에 흐르는 크기 또는 위상중 어느하나에 따라서 회전자의 크기가 결정되는 토오크 특성으로 도선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자력은 상기 회전자(1) 회전팔의 작용편(3)-반작용편(4)의 회전에 따라서 고정자 전자석(20)과 회전자 자석(10) 상호간의 튕김류와 당김류의 변화에 의하여 더욱 강하게 되는 단계와,
    이러한 더욱 강해진 자류를 이용하여 고정자 전자석(20)에 권선되어 있는 구 리사리로부터 강한 전기력을 출력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기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KR1020050086642A 2005-09-16 2005-09-16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Ceased KR20070032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42A KR20070032433A (ko) 2005-09-16 2005-09-16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US11/306,097 US20070063606A1 (en) 2005-09-16 2005-12-15 Dual machine, and method of power generation and electromotive operation using the same
PCT/KR2006/003448 WO2007032610A1 (en) 2005-09-16 2006-08-31 Dual machine, and method of power generation and electromotive operation using the same
US12/774,656 US20100231077A1 (en) 2005-09-16 2010-05-05 Dual machine, and method of power generation and electromotive oper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42A KR20070032433A (ko) 2005-09-16 2005-09-16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433A true KR20070032433A (ko) 2007-03-22

Family

ID=3786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42A Ceased KR20070032433A (ko) 2005-09-16 2005-09-16 둘기와 그를 이용한 발전 및 전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070063606A1 (ko)
KR (1) KR20070032433A (ko)
WO (1) WO20070326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24B1 (ko) * 2011-09-06 2012-06-11 원제영 발전시 회전력이 발생하는 발전동기
KR20220059385A (ko) * 2020-11-02 2022-05-10 전숙이 비접촉 자기기어를 이용한 회전동력 증폭방법 및 전력소비량과 연동하여 생산량이 조절되는 지능형 전기발생장치 및 회전토크 중폭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3347A1 (en) * 2009-05-07 2010-11-11 Clynton Caines Novel ganged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US8412141B2 (en) * 2009-10-19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LR polyphase filter
DE102016012554B4 (de) * 2016-10-20 2021-09-23 Martin Huber Patent UG (haftungsbeschränkt) Wärmemotor mit mehreren Doppelschichtbauteilen
TWM556434U (zh) * 2017-09-19 2018-03-01 Wang ming zheng 低耗能高效率循環電力馬達
JP2023007536A (ja) * 2021-07-01 2023-01-19 正一 砂畑 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9984A (en) * 1973-01-29 1974-05-07 Allied Controls Co Inc Motor speed control system
US4364004A (en) * 1980-01-29 1982-12-14 Bourbeau Frank J Self-controlled polyphase synchronous motor drive system
US4743830A (en) * 1987-01-20 1988-05-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voltage electrical system
JP3294051B2 (ja) * 1994-04-21 2002-06-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多軸電動機
US5838085A (en) * 1994-06-08 1998-11-17 Precise Power Corporation Versatile AC dynamo-electric machine
US5508574A (en) * 1994-11-23 1996-04-16 Vlock; Alexander Vehicle transmission system with variable speed drive
KR980012798A (ko) * 1996-07-16 1998-04-30 양태허 공통자기회로형 복합로터 전기기계
JP3050138B2 (ja) * 1996-09-13 2000-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454234B2 (ja) * 1999-09-27 2003-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分割コアモータ
US6809456B2 (en) * 2001-02-08 2004-10-26 Jae Shin Yun Vector motor
US6504285B2 (en) * 2001-02-08 2003-01-07 Jae Shin Yun Vector motor
KR20040102263A (ko) * 2003-05-27 2004-12-04 연제신 자력 발전기 및 자력발전기의 발전방법과 자력발전기에이용되는 회전자
JP2005245079A (ja) * 2004-02-25 2005-09-08 Kohei Minato 磁力回転式モータ発電機
JP4591320B2 (ja) * 2004-12-15 2010-1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24B1 (ko) * 2011-09-06 2012-06-11 원제영 발전시 회전력이 발생하는 발전동기
WO2013035989A3 (ko) * 2011-09-06 2013-05-02 Won Jeayoung 발전시 회전력이 발생하는 발전동기
KR20220059385A (ko) * 2020-11-02 2022-05-10 전숙이 비접촉 자기기어를 이용한 회전동력 증폭방법 및 전력소비량과 연동하여 생산량이 조절되는 지능형 전기발생장치 및 회전토크 중폭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1077A1 (en) 2010-09-16
US20070063606A1 (en) 2007-03-22
WO2007032610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8916B2 (en) Composite electromechanical machines with uniform magnets
JP5643857B2 (ja) 電気機械
US7385330B2 (en) Permanent-magnet switched-flux machine
US8183802B2 (en) Composite electromechanical machines with controller
JP2009540776A (ja) 多相複数コイル発電機
CN112910123B (zh) 转子磁极调制型感应混合励磁无刷电机及发电系统
CN111181262B (zh) 一种使用绕组内置磁通调制环的定子结构
US20110210686A1 (en) Electric machine
EP1833141A1 (en) Automatic motor-generator charger
US20100231077A1 (en) Dual machine, and method of power generation and electromotive operation using the same
CN102210085A (zh) 发电机
Wadibhasme et al. Review of various methods in improvement in speed, power & efficiency of induction motor
WO2021112725A1 (ru) Статор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KR20120030344A (ko) 동기 및 유도 전동기
CN117097101A (zh) 一种电动与发电一体化轴向磁通永磁电机
KR20200099773A (ko) 전동기
JP2001238417A (ja) 電気機械
JP2004140991A (ja) 発電装置
WO2006057206A1 (ja) 発電機
RU27227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аци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TW201840106A (zh) 具相乘轉矩之直流馬達
Chen Vibration motor
KR20050112619A (ko) 고효율 발전기
CN117097104A (zh) 一种输出电压可调的一体化电动与发电轴向磁通永磁电机
JP3805345B2 (ja) 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