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3823A -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 Google Patents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823A
KR20070023823A KR1020077002793A KR20077002793A KR20070023823A KR 20070023823 A KR20070023823 A KR 20070023823A KR 1020077002793 A KR1020077002793 A KR 1020077002793A KR 20077002793 A KR20077002793 A KR 20077002793A KR 20070023823 A KR20070023823 A KR 2007002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opening
electrical connector
flat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스께 다께또미
아쯔히또 호리노
도모나리 가네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700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823A/ko
Publication of KR2007002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8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플랫 전기 회로를 종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커넥터는 플랫 회록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 개구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는 병렬식 어레이로 하우징에 장착되고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액츄에이터는 사실상 제로 삽입력으로 플랫 회로가 개구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플랫 회로를 편향시키는 폐쇄 위치와,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플랫 회로가 임시 보유되는 중간 위치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플랫 전기 회로, 전기 커넥터, 유전성 하우징, 액츄에이터, 제로 삽입력, 개방 위치, 중간 위치, 폐쇄 위치

Description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FLAT CIRCUIT CONNECTOR WITH PIVOTED ACTUA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랫 가요성 회로, 가요성 인쇄 회로 또는 다른 플랫 전기 케이블과 같은 플랫 회로를 종결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넓은 범위의 전기 커넥터가 플랫 가요성 케이블, 가요성 인쇄 회로 등과 같은 플랫 케이블 또는 회로를 종결시키기 위해 설계되어 왔다. 플랫 회로에 대한 전형적인 커넥터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단부를 가로질러 노출된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컨덕터를 갖는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슬롯 또는 장형 개구를 갖는다. 복수의 단자는 하우징에 장착되고 슬롯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며, 단자의 접촉부는 플랫 회로의 측방향 이격식 컨덕터와 결합 가능하다. 액츄에이터는 플랫 회로가 슬롯으로 자유롭게 삽입가능한 제1 위치와, 엑츄에이터가 하우징에서 회로를 클램핑하여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상기 회로를 편향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플랫 회로 커넥터의 예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4194호, 제2002- 329536호 및 제2003-45526호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랫 회로 커넥터에서의 단자의 접촉부는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을 위한 하우징에서 슬롯 또는 장형 개구로 입구의 내향으로 이격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상기 플랫 회로 커넥터는 근본적으로 회로를 개구 내로 삽입하여 단자의 접촉부와 결합시키는데 실질적인 저항을 생성하였다. 사실, 플랫 회로에서의 몇몇의 접점은 종종 변형되거나 또는 손상된다.
따라서, 플랫 회로 커넥터는 단자의 접촉부에서 내부 영역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개구가 플랫 회로의 두께보다 넓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플랫 회로는 실질적인 저항력 없이(소위 "제로 삽입력" 또는 "ZIF"로 불리움) 개구로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플랫 회로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플랫 회로 상의 접점 또는 커넥터 단자의 접촉부에서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한다.
불행하게도, 상기 제로 삽입력 커넥터는 종종 플랫 회로의 삽입 중에 너무 헐겁거나 자유롭게 된다. 상기 회로는 최종 클램핑 전에, 최종적으로 클램핑 되어 종결되는 상태에 우선하여 정확한 재조정 또는 재삽입을 제공하는 위치에서 임시 보유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플랫 회로의 자유로운 삽입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회로를 종결된 위치로 클램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플랫 회로의 임시 보유를 용이하게 하는 중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된 특성의 신규하고 개선된 플랫 회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플랫 전기 회로를 종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는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 개구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는 병렬식 어레이로 하우징에 장착되고,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액츄에이터는 실질적인 제로 삽입력으로 플랫 회로가 개구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플랫 회로를 편향시킨 폐쇄 위치와, 플랫 회로가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임시 보유되는 중간 위치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도록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몇몇 단자는 개구 위로 연장되는 상부 후크 아암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다. 상기 후크 아암은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플랫 회로는 액츄에이터의 중간 위치에서 베어링부와 접촉부 사이에 임시 보유된다. 상기 단자의 후크부는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 상의 피벗 수단과 협동한다. 상기 단자는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보유하도록 액츄에이터 상의 상보적 멈춤 수단과 결합 가능한 멈춤 수단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 수단은 단자 및 액츄에이터 상의 상호 결합식 플랫 표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들은 전방 단부로 하우징에 장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한 미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몇몇 단자는 개구 위로 연장되는 상부 캠 아암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다. 상기 상부 캠 아암은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상승시키도록 액츄에이터의 캠부와 결합한다. 상기 단자들은 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한 미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피팅 네일(fitting nail)은 인쇄 회로 기판에의 고착을 위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피팅 네일은 액츄에이터와 결합하여 액츄에이터를 커넥터에 피벗식으로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참조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랫 회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2의 (a)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랫 회로는 생략되었지만 액츄에이 터는 폐쇄 또는 종결 위치에 있는 선택된 제1 단자를 따라 취해진 도1의 커넥터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종단면도이다.
도2의 (b)는 선택된 제2 단자를 따라 취해진 점을 제외하고는 도2의 (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2의 (c)는 액츄에이터가 폐쇄 또는 종결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피팅 네일 중의 하나를 따라 취해진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종단면도이다.
도3의 (a),(b) 및 (c)는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로부터 상향 피벗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2의 (a),(b) 및 (c)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4의 (a),(b) 및 (c)는 액유에이터가 중간 위치로 상향 피벗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3의 (a),(b) 및 (c)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5의 (a),(b) 및 (c)는 액츄에이터는 완전 개방 위치까지 피벗되고 플랫 회로는 커넥터로 삽입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4의 (a),(b) 및 (c)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6의 (a),(b) 및 (c)는 플랫 회로가 커넥터로 삽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4의 (a),(b) 및 (c)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7의 (a),(b) 및 (c)는 플랫 회로가 커넥터로 삽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3의 (a),(b) 및 (c)와 다소 유사한 도면이다.
도8의 (a),(b) 및 (c)는 플랫 회로가 커넥터로 삽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2의 (a),(b) 및 (c)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9는 플랫 회로에 작용하는 힘이 어떻게 다른지 도시하는 다소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10은 제1 단자들 중 하나의 변경된 형태의 분해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도2의 (a)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제1 단자를 도시한다.
도12는 플랫 회로가 커넥터로 삽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1과 유사한 도면이다.
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1 및 도2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4로 나타낸 (도1) 플랫 회로 전기 커넥터로 실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커넥터는 전방 단부(16a) 및 후방 단부(16b)를 갖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6으로 나타낸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서 개방되는 개구(18)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성 재료로 성형된 단일편 구조체이다. 이후에 더 상세하게 다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한 액츄에이터는 사실상 제로 삽입력으로 플랫 회로가 개구(18)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이하 설명)와,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에 대항하여 플랫 회로를 편향시키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도록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20)는 플랫 회로가 재조정이 허용되면서 안정된 상태에서 임시 보유되는 중간 위치로 피벗식 이동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도2의 (a)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2로 나타낸 복수의 제1 단 자 중의 하나를 도시하고, 도2의 (b)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4로 나타낸 복수의 제2 단자 중의 하나를 도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자는 엇갈리고, 병렬식 어레이로 개구(18)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도2의 (c)는 개구(18)의 각각의 단부 또는 각각의 최외측 대향측에서 커넥터 하우징(16)에 장착된 것으로, 피팅 네일을 도시한다.
각각의 제1 단자(22)은 상부 가요성 후크 아암(22a) 및 하부 강성 접촉 아암(22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다. 각각의 제1 단자(22)는 하우징(16)의 각각의 단자 슬롯(28)으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단자는 하우징의 천정판(16c) 밑면에 형성된 내측 래치 견부(30) 뒤에서 걸리는 전방 돌출 래치부(22d)를 갖는 후방 결합부(22c)를 갖는다. 상기 단자의 미부(22e)는 하우징의 바닥판(16d)의 전방 에지에 인접한다. 상기 미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 접속된다.
도2의 (a)에서, 각각의 제1 단자(22)의 가요성 상단 후크 아암(22a)은 개구(18) 내로 연장되며 하향 돌출 베어링부(32a)를 형성하는 후크부(32)를 갖는다. 상기 상단 후크 아암은 전방 수직 편평면(34b) 및 내부 수평 편평면(34a)을 갖는 전방 하향 개구 후크부(34)에서 종결된다. 결국, 각각의 제1 단자(22)의 하부 접촉 아암(22b)은 일반적으로 접촉 아암의 중간 대향 단부이고, 개구(18) 내로 상향 연장되는 상향 돌출 접촉부(36)를 갖는다.
도2의 (a)에서, 액츄에이터(20)는 전방 단부(20a) 및 후방 단부(20b)를 포함한다. 복수의 슬롯(38)은 액츄에이터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고 제1 단자(22)의 후 크부(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피벗 핀(40)은 각각의 슬롯(38)에 걸쳐지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단자의 후크부 내에 배치된다. 상기 피벗 핀은 원형면(40a) 및 편평면(40b)을 갖는다. 이하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18)는 액츄에이터의 피벗식 이동을 수용하도록 도면 부호 42와 같은 하우징(16)의 상부에서 개방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피벗 핀(40)에서부터 내향 돌출되는 가압 단부(44)를 갖는다.
도2의 (b)에서, 각각의 제2 단자(24)는 개구(18) 위로 연장되는 강성 상부 캠 아암(24a)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24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다. 상기 아암은 하우징에서 단자를 고정하도록 하우징의 바닥판(16d)의 플라스틱 재료 안으로 박히는 래치 투스(latch tooth; 24d)를 갖는 장착부(24c)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 단자(24)는 하우징(16)의 후방 단부(16b)로부터 각각의 슬롯(44) 안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삽입된다. 미부(24e)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해 장착부(24c)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결국, 접촉부(46)는 각각의 제2 단자(24)의 하부 접촉 아암(24b) 말단부에서 개구(18)로 상향 돌출된다.
도2의 (b)에서, 액츄에이터(20)는 제2 단자(24)의 상부 캠 아암(24a)의 전방 말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의 후방 단부(20b)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슬롯(48)을 갖는다. 이하에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슬롯(48)은 플랫폼 표면(48a) 및 램프(ramp) 표면(48b)을 갖는다.
도2의 (c)에서, 각각의 피팅 네일(26)은 하우징 내의 각각의 장착 슬롯(48) 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피팅 네일은 피팅 네일을 하우징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 슬롯(48) 내의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를 스키빙(skiving)하기 위한 이(26b)을 갖는 전방 연장 장착 포스트(26a)를 구비한다. 상기 피팅 네일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기부(26c) 및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후방 연장부 또는 베어링부(26d)를 갖는다. 상기 정사각형 기부는 상부 에지(26e)를 갖고, 직사각형 연장부는 상부 에지(26f)를 갖는다. 정사각형 기부(26c)의 상부 에지(26e)는 직사각형 연장부(26b)의 상부 에지(26f)보다 높다. 상기 기부는 납땜 등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장착 패드 위와 접속하기 위한 미부(26g)를 형성한다. 상기 피팅 네일의 상부 에지(26f)는 개구(18) 위의 하우징의 개방 영역(42)에 수직 방향으로 노출된다.
도2의 (c)에서, 액츄에이터(20)는 편평면(50a) 및 정밀면(accurate surface)(50b)을 갖는 베어링 보스 또는 윙(50)을 포함한다. 도2의 (C)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 보스의 편평면(50a)은 피팅 네일의 베어링부(26d)의 상단 에지(24c)와 결합한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어링 보스 또는 윙(50)은 피팅 네일(26)의 상부와 결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20)의 대향측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도1은 피팅 네일의 미부(26g)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장착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확고히 접속되기 위해 수평면에서 일반적으로 편평하게 도시한다.
엇갈린 두 개의 피팅 네일(26)을 따르는 제1 단자(22) 및 제2 단자(24) 모두는 각각 도전성 금속 시트 재료로 스탬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팅 네일은 스텐레스강으로부터 떨어져 스탬핑 가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피팅 네일(26)의 상부와 결합하는 베어링 윙(50)에 의해 하우징(16) 상에서 포획되고, 피벗 핀[40; 도2의 (a)]은 제1 단자(22)의 후크부(34)의 밑면 내에서 포획되는 점을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2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플랫 회로를 각각 제1 단자(22) 및 제2 단자(24)의 접촉부(36, 46)에 대항하여 클램핑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핀(40)은 제1 단자(22)의 후크부(34)의 수평 편평면(34a) 아래로 이격된다. 액츄에이터(20)는 액츄에이터가 도4에 도시된 일반적으로 수직 중간 위치에 도달 할 때까지, 도2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화살표 "D" 방향으로 상향 피벗식 회전된다. 도3에 도시된 회전 중에, 상기 액츄에이터 상의 램프 표면[48b; 도3의 (b)]은 제2 단자(24)의 상부 캠 아암(24a)의 말단부와 결합된다. 이것은 액츄에이터에 상향력 "f2"[도의 (b)]를 인가한다. 동시에, 윙(50) 또는 베어링 보스의 정밀면(50b)은 도3의 (c)에 도시된 피팅 네일(26)의 상단 에지(26f)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단자 및 피팅 네일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상호 결합은 액츄에이터(20)가 화살표 "E"(도4) 방향으로 상향 상승되게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승 될 때, 피벗 핀(40)의 편평면[40b; 도4의 (a)]은 제1 단자(22)의 후크부(34)의 수평 편평면(34a)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호 결합식 편평면은 도4의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보유하게 하는 멈춤 수단을 형성한다.
도2의 폐쇄 위치로부터 도4의 중간 위치까지 액츄에이터(20)의 회전 효과는 제1 단자(22)의 상부 후크 아암(22a)와 관련하여 더 설명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향으로 피벗되었을 때, 제2 단자(24)의 강성 캠 아암[24a; 도4의 (b)]의 말단부는 엑츄에이터의 램프 표면(48b)으로 힘 "f2"를 인가한다. 이것은 가요성 상부 후크 아암(22a)은 항복식으로 상향 만곡되게 하여 액츄에이터의 피벗 핀(40)에 반발력(f1)을 인가한다. 도2의 (a)는 상기 엑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베어링부(32a)와 제1 단자의 접촉부(36)사이의 간극(W1)을 도시한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향으로 피벗되었을 때, 상기 간극은 확대된다.
도5는 도4의 제로 삽입력으로 커넥터의 하우징(16)의 개구(18)로 플랫 회로(58)의 단부(56)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하는 완전 개방 위치로 중간 위치에서부터 액추에이터(20)가 더 피벗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플랫 회로는 두께 "t"를 갖는다. 상기 두께는 베어링부(32a)와 제1 단자(22)의 접촉부(36) 사이의 간극 "W2"보다 작다. 따라서, 플랫 회로(58)의 바닥면이 제2 단자(24)의 접촉부(46)와 결합되더라도, 상기 플랫 회로는 제로 삽입력으로 모든 U 형상의 단자(22, 24)로 삽입될 수 있다.
플랫 회로(58)가 도5의 개방 위치에서 액츄에이터(20)을 갖는 커넥터로 삽입된 후, 상기 액츄에이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위치로 후방으로 피벗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플랫 회로는 초기 위치를 교정하는 것과 같은 회로의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임시 보유된다. 후크 아암의 베어링부(32a)가 플랫 회로의 상부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임시 보유 상태는 제1 단자(22)의 상부 후크 아암(22a)에 의한 힘"f3"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플랫 회로는 베어링부(32a)와 제1 단자의 접 촉부(36) 사이에서 개재된다. 이러한 힘들은 플랫 회로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지 않지만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상기 회로를 임시 보유한다. 액츄에이터(20)의 가압 단부(44)는 플랫 회로(58)의 상부면과 결합되어도, 클램핑력은 아직 인가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2 단자(24)의 상부 캠 아암[24a; 도6의 (b)]의 말단부는 상승된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유지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의 램프면(48b)으로 힘"f5"을 가한다. 제2 단자(24)의 하부 접촉 아암(24b)의 접촉부(46)는 플랫 회로의 밑면에 반발력 또는 지지력 "f4"을 인가한다. 또한, 도6의 (c)는 플랫 회로가 임시 보유되도록 상승된 액츄에이터(20)를 유지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20)의 가압 단부(44)가 피팅 네일(26)의 상부 에지(26f)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액츄에이터(20)가 도7에서 화살표 "G" 방향으로 도8의 폐쇄 또는 종결 위치까지 하향 피벗될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가압 단부(44)는 단자의 접촉부(36, 46)에 대해 플랫 회로를 가압하거나 또는 고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압축 단부는 액츄에이터의 플랫폼 표면(48a)이 강성 상부 캠 아암의 밑면과 결합될 때, 제2 단자(24)의 강성 상부 캠 아암(24a)의 말단부 아래로 이동한다. 상기 회로는 제2 단자의 상부 캠 아암(24a)의 편향 영향 하에서 제1 단자(22)의 상부 후크 아암(22a)과 액츄에이터의 압축 단부(44)의 연합력에 의해 단자의 접촉부(36, 46)에 대해 편향된다.
도9는 우수한 전기 접촉의 3점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액츄에이터의 가압 단부(44) 및 제1 단자(22)의 베어링부(32a)들 사이에서의 제1 단자(22)의 접촉부(36)를 따르는 상기 클램핑력을 다소 개별적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제1 단자(22)의 고정식 하부 접촉 아암(22b)의 상부 에지 상에 접촉부(36)을 형성하는 것은 전체 플랫 회로 커넥터(14)의 프로파일이 낮춰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캔틸레버식의 접촉 아암(62) 상의 접촉부(60)와 비교한 것이다. 접촉부(60)가 화살표(64)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더라도, 커넥터의 전체적인 높이는 증가한다.
도11 및 도12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4A로 나타낸 플랫 회로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자(22)의 상단 후크 아암(22a)은 하향 돌출 베어링부(32a)를 갖지 않는다. 또한, 유전성 하우징(16)은 플랫 회로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함몰부(66)를 갖는다. 또한, 도11 및 도12에서는 도1 내지 도8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기술 구성과 유사하게 대응되는 것을 유사한 참조 부호로 적용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주요한 특성 내에서 다른 특성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시 및 실시예는 설명을 위해 고려된 것으로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8)

  1.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상단부(16a)에 개구(18)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 상에 병렬식 어레이로 장착되고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단자(22, 24)와,
    사실상 제로 삽입력으로 플랫 회로가 상기 개구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플랫 회로를 편향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식 이동을 위해 가동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는, 플랫 전기 회로(58)를 종결시키는 전기 커넥터(14)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0)는 플랫 회로가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임시 보유되는 중간 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2)는 개구(18)위로 연장되는 상부 후크 아암(22a)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22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고, 상기 후크 아암은 베어링부(32a)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접촉부(36)를 갖고, 플랫 회로(58)는 액츄에이터의 중간 위치에서 베어링부와 접촉부 사이에서 임시 보유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2)는 하우징의 전방 단부(16a)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2)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한 미부(22e)를 갖는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2)는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도록 액츄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20) 상의 피벗 수단(40)과 협동하는 후크부(34)를 갖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4)는 개구(18) 위로 연장되는 상부 캠 아암(24a)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24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 형상이고, 상기 상부 캠 아암은 상기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상승시키도록 액츄에이터(20)의 캠부(48b)와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4)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16b)로부터 하우징(16)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4)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한 미부(24e)를 갖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몇몇 단자(22)는 액츄에이터가 중간 위치에 보유되도록 액츄에이터(20) 상의 상보적 멈춤 수단과 결합 가능한 멈춤 수단(40b)을 갖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액츄에이터(20) 및 몇몇 단자(22) 상의 상호 결합식 편평면(34a, 40b)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에의 고착을 위해 하우징(16)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피팅 네일(26)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 네일은 액츄에이터와 결합하여 커넥터 상에서 액츄에이터를 피벗식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부(26d)를 갖는 전기 커넥터.
  12. 상기 플랫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상단부(16a)에서 개구(18)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에 병렬식 어레이로 장착되고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단자(22, 24)와,
    상기 플랫 회로가 사실상 제로 삽입력으로 개구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플랫 회로를 편향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도록 가동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고,
    제1 복수의 단자(22)는 개구(18) 위로 연장되는 상부 후크 아암(22a) 및 개 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접촉 아암(22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후크 아암은 베어링부(32a)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은 접촉부(36)를 갖고, 플랫 회로(58)는 액츄에이터의 중간 위치에서 접촉부와 베어링부 사이에 임시 보유되고,
    제2 복수의 단자(24)는 개구(18) 위로 연장되는 상부 캠 아암(24a) 및 개구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캠 아암(24b)을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상부 캠 아암은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상승시키도록 액츄에이터(20)의 캠부(48b)와 결합하는, 플랫 전기 회로(58)를 종결시키는 전기 커넥터(14)에서,
    액츄에이터(20)는 재조정을 허용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플랫 회로가 임시 보유되는 중간 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단자(22)는 전방 단부(16a)로부터 하우징(16)에 장착되고, 제2 단자(24)는 후방 단부(16b)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모든 단자들(22, 24)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와의 접속을 위해 미부(22e, 24e)를 갖는 전기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단자(22)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피벗식 이동하게 액츄에이터를 장착되도록 액츄에이터(20) 상의 피벗 수단(40)과 협동하는 후크부(34)를 갖는 전기 커넥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단자(22)는 중간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를 보유하도록 액츄에이터 상의 상보적 멈춤 수단(34a)과 결합가능한 멈춤 수단(40b)을 갖는 전기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제1 터미널(22) 및 액츄에이터(20) 상의 상호 결합식 편평면(34a, 40b)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2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에의 고착을 위해 하우징(16)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피팅 네일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 네일은 액츄에이터(20)와 결합하여 커넥터 상에서 액츄에이터의 피벗식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부(26d)를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0077002793A 2004-07-06 2005-07-01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Ceased KR20070023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793A KR20070023823A (ko) 2004-07-06 2005-07-01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8796 2004-07-06
KR1020077002793A KR20070023823A (ko) 2004-07-06 2005-07-01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23A true KR20070023823A (ko) 2007-02-28

Family

ID=4365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793A Ceased KR20070023823A (ko) 2004-07-06 2005-07-01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8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76B1 (ko) * 2007-04-19 2009-0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커넥터
US7695299B2 (en) 2007-03-27 2010-04-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able connector
KR101008884B1 (ko) * 2008-05-14 2011-01-17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286472B1 (ko) * 2011-05-11 2013-07-16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11189981B2 (en) 2018-11-22 2021-11-30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inserting flexible memb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5299B2 (en) 2007-03-27 2010-04-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able connector
KR100957666B1 (ko) * 2007-03-27 2010-05-1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US8177570B2 (en) 2007-03-27 2012-05-15 Panasonic Corporation Cable connector
KR100879176B1 (ko) * 2007-04-19 2009-0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커넥터
KR101008884B1 (ko) * 2008-05-14 2011-01-17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286472B1 (ko) * 2011-05-11 2013-07-16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11189981B2 (en) 2018-11-22 2021-11-30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inserting flexible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3183B2 (en) Flat circuit connector with pivoted actuator
US6210193B1 (en) Card reader connector
KR101562778B1 (ko) 플러그-인 커넥터 및 플러그-인 커넥터에 전기 컨덕터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US647154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US7238032B2 (en)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US5364294A (en) Electrical device for surface mounting on a circuit board and mounting component thereof
EP0233914B1 (en) Surface mount connector
US7621768B2 (en) Space saving miniature connector for electric devices
US7695295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7726995B2 (en) Connector
KR101047660B1 (ko) 코넥터
US7291039B2 (en) Flat circuit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100571432B1 (ko) 연성 인쇄회로용 커넥터
US69579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 pitch terminals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KR100832178B1 (ko) 평면 회로 커넥터
KR20070023823A (ko)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US7172445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5863217A (en) Lock mechanism for FPC connector
US7029319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11909137B2 (en) Spring clip header for flat flexible cable
US574115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WO2016164219A1 (en) Terminal block
US621380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6236781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