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2346A -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346A
KR20070022346A KR1020067027215A KR20067027215A KR20070022346A KR 20070022346 A KR20070022346 A KR 20070022346A KR 1020067027215 A KR1020067027215 A KR 1020067027215A KR 20067027215 A KR20067027215 A KR 20067027215A KR 20070022346 A KR20070022346 A KR 2007002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element
holding means
structural
element according
auxiliar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969B1 (ko
Inventor
스티븐 에드워드 켈리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에드워드 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에드워드 켈리 filed Critical 스티븐 에드워드 켈리
Publication of KR2007002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3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재를 제작하기 위한 보조수단을 만드는 구조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구조요소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요소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철근 고정을 위한 홀딩수단과, 보강재 제작을 위한 보조수단은 물론, 이런 보조수단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과, 보강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 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STRUCTURAL ELEMENT, BASIC ELEMENT, HOLDING MEANS AND AUXILLIARY MEANS FOR THE MANUFACTURE OF A REINFORCEMENT,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N AUXILLIARY MEA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보강재를 제작하기 위한 보조수단을 만드는 구조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구조요소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요소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철근 고정을 위한 홀딩수단과, 보강재 제작을 위한 보조수단은 물론, 이런 보조수단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과, 보강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콘크리트 건축용 보강재를 만들 때, 와이어를 사용하거나 용접을 하여 여러개의 철근을 연결해야만 한다. 이런 작업은 콘크리트 거푸집 공사중에 일어나는데, 적당한 길이와 형상을 갖는 철근을 콘크리트 안에 배열한 다음 와이어로 묶거나 용접하여 철근을 서로 연결한다. 많은 조립식 보강재나 보강부분들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다른 곳에서 제작해 거푸집에 설치된다. 조립식 보강재를 제작하려면, 바닥용이나 벽면용의 철망과 기둥용의 철망을 만들되, 철근을 제위치에 고정하 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만드는데, 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6,560,834와 WO02/064906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보조수단은 다목적용이 아니라 각 경우에 다르게 만들어야 하므로 비싸다.
이런 보조수단이 없이 작업하면, 손으로 철근을 묶어야 하므로, 숙련된 기술의 노동력이 훨씬 더 필요하면서도 철근을 정확히 재단하고 설치할 때 실수를 범하기 쉬우며 철근의 방향을 잡기도 어렵다.
따라서, 보강재, 특히 철망과 같은 보강재를 제작하기 위한 범용 보조수단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하고 있으며, 이런 보조수단이 있으면 철근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조수단은 다양한 철근 직경과 길이 및 보강재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또한, 간단한 평면 형상에서부터 복잡한 3차원 형상, 예컨대 곡선형 철근이나, 곡선 표면이나 직각이 아닌 모서리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또, 보조수단은 간단하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다른 보강재에 재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보조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런 목적을 위하여, 보강재 제작을 위한 보조수단을 만들기 위한 구조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보조수단은 이런 구조요소를 여러개 포함하고, 구조요소에는 다른 구조요소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지점들이 있다. 다른 구조요소는 비슷한 구조요소이거나 지지요소로서, 바닥판, 판자, 테이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런 구조요소 여러개를 사용해 보강재용 보조수단을 만들 수 있는데, 이때는 구조요소들을 서로 연결한다. 보조수단은 따라서 간단하고 쉽게 만들 수 있고, 이는 널리 알려진 "메카노(Meccano)" 시스템과 비교된다. 보조수단은 사용하고 난 뒤 분해하였다가, 다른 보강재에 재사용할 수 있다.
구조요소 여러개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제1 타입의 결합지점외에도, 구조요소에는 구조요소를 지지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제2 타입의 결합지점도 형성된다. 따라서, 나무판이나, 테이블이나 바닥판과 같은 지지요소를 이용해 보조수단을 만들 수 있다. 제2 결합지점은 제1 결합지점과 동일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비슷한 구조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데는 물론 구조요소와 지지요소를 서로 연결하는데 동일한 결합지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요소는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홀딩수단은 구조요소와 일체이거나 구조요소에 별도로 설치된다. 보조수단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홀딩수단을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눈금을 구조요소에 만들 수도 있다.
구조요소에는 철근을 고정하는 홀딩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지점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러개의 설치지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표준화된 간격 때문에, 홀딩수단을 정확히 설치하고 전체 보조수단을 만드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치수상의 실수를 할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최종 보강재의 전체적인 공간적 구조가 아주 정확해질 수 있다. 설치지점에는 홀딩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번의 간단한 작업으로 홀딩수단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설치지점은 예컨대 원형의 구멍일 수 있다.
설치지점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외에, 홀딩수단들을 빨래집게로 집듯이 구조요소에 임의의 위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요소에 눈금을 만들 수 있다.
홀딩수단들을 구조요소에 대해 여러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지점을 형성하기도 한다. 관련 구조요소에 대한 홀딩수단의 방향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홀딩수단에 고정된 철근과 구조요소 사이의 각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들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지 않는 보강재를 만들 수 있다. 한편, 결합지점이 설치지점과 일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치지점을 사용해 구조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본요소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기본요소를 절단하거나 구부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요소를 만든다. 따라서, 한가지 기본요소를 이용해 여러가지 구조요소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홀딩수단은 다양한 치수의 철근이나 여러개의 철근을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 홀딩수단은 더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여러가지 직경의 철근으로 보강된다. 따라서, 필요한 홀딩수단의 종류를 최소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딩수단은 탄성 형태를 취하고, 구조요소에, 구체적으로는 구조요소의 구멍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V형이 바람직하다. 철근을 고정하고 홀딩수단을 구조요소에 설치하는 여러가지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단을 이용해 보강재를 만들기 위해, 여러개의 철근들을 이제 본 발명의 홀딩수단을 이용해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설치한 뒤, 철근들을 와이어로 묶거나 용접하여 서로 연결하면 기둥용이나 서까래용의 철망을 만들 수 있다. 즉, 비교적 신속정확하면서도 간단하게 보강재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홀딩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첫번째 구조요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단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수단이 설치된 두번째 구조요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번째 구조요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6가지 홀딩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단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구조요소를 보여준다. 구조요소(1)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형 구멍(2)이 뚫려있고, 이곳이 철근을 설치하기 위한 홀딩수단(3)의 설치지점이 된다. 설치지점의 간격은 2.5cm로 하고, 이 길이를 표준으로 할 수 있다. 홀딩수단(3)은 정확히 설치하기가 비교적 쉽고 오차율도 크게 줄어든다. 구조요소(1)에는 이들 구조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지점으로서 원형의 결합공(4)이 뚫려있고, 구조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단이 된다. 결합공(4)과 구멍(2)의 직경은 동일해도 된다. 물론 이 경우 제조가 유리하고 구조요소(1)의 사용도 편리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개의 구조요소(1)와 홀딩수단(3)이 모여 이루어진 보조수단의 일부분을 보여준다. 구조요소(1) 여러개를 서로 뗄 수 있게 결합하 고 홀딩수단(3)을 적당한 위치에 뗄 수 있게 설치한다. 철근(6) 여러개를 홀딩수단(3)에 끼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구조요소(7)를 보여준다. 이 구조요소(7)에도 설치지점으로서 원형구멍(2)이 일정 간격으로 좌우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멍에는 철근을 끼우기 위한 홀딩수단(3)이 설치된다. 구멍(2) 사이의 간격은 2.5cm이다. 이들 구멍(2)은 구조요소(7) 여러개를 서로 연결하여 판, 테이블, 마루판과 같은 지지요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번째 구조요소(8)를 보여준다. 이 구조요소(8)에도 설치지점으로서 원형구멍(2)이 일정 간격으로 뚫려있되 3차원을 이루도록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철근을 끼우기 위한 홀딩수단을 이곳에 설치한다. 구멍(2) 사이의 간격은 2.5cm이다. 이들 구멍(2)은 구조요소(8) 여러개를 서로 연결하여 판, 테이블, 마루판과 같은 지지요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구조요소는 본 발명의 기본요소를 절단하거나 구부려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여러 구멍이 뚫려 있는 한 종류의 기다란 판에서 구조요소를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요소(8)는 이런 판을 재단하고 구부려 만들어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6가지 홀딩수단(a-f)을 보여준다. 도시된 홀딩수단(a-f)은 탄성을 이용해 본 발명의 구조요소(1,7,8)에 간단히 끼우고 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요소에 대한 홀딩수단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홀딩수단에 고정된 철근과 관련 건축물 사이의 각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들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지 않는 보강재를 제작할 수 있 다. 홀딩수단이 V형이고 탄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직경의 철근을 착탈할 수 있다. 이런 홀딩수단은 따라서 범용적이고 여러가지 직경의 철근들을 사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을 제작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한가지나 아주 제한된 종류의 홀딩수단만 사용된다.
구조요소를 좀더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치하기 위한 홈(9)을 홀딩수단에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직경의) 철근들을 조이기 위한 죔쇠(10)를 더 마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딩수단은 여러개의 철근을 고정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개의 구조요소(1)와 홀딩수단을 연결해 형성된 보조수단(11)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들 구조요소(1)는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이런 보조수단(11)은 신속하고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메카노(Meccano)" 시스템과 비교된다. 보조수단(11)은 사용이 끝난 뒤 전체나 일부를 분해하였다가 다른 보강재에 재사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보강재(12)를 보조수단(11)으로 만들 수 있다. 직각구조가 아닌 좀더 복잡한 3차원 보강재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좀더 간단하고 신속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종래의 어떤 방법이나 도구나 장치보다도 보강재의 전체적인 공간적 형상과 각각의 철근의 설치가 좀더 쉽고 정확하게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동이나 반자동으로는 생산할 수 없는 소형이나 대형 보강재를 신속정확히 구축할 수 있다.

Claims (30)

  1. 보강구조를 이루는 보조수단을 구성하는 구조요소에 있어서:
    구조요소 여러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조요소 여러개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조요소를 지지요소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제2 결합지점이 제1 결합지점과 일치하여 비슷한 구조요소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설치하기 설치지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설치지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지점에 홀딩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10. 제7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지점이 원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11. 제7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을 설치지점에 여러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12. 제7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설치지점과 동일한 결합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소.
  13. 절단하거나 구부려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요소를 만드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요소.
  14. 제7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요소에 설치하기에 적합하고,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수단.
  15. 제14항에 있어서, 여러 치수의 철근들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철근들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17. 제14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조요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18. 제14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조요소에 대해 여러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19. 제14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성 형상을 취하고, 구조요소의 구멍에 끼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20. 제14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수단.
  21. 보강재 제작을 위한 보조수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단.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4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홀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단.
  23. 보강재 제작을 위한 보조수단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소들을 여러개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소를 지지요소에 연결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4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홀딩수단을 제7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요소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을 구조요소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3항에 따른 기본요소를 절단하거나 구부려 구조요소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보강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제21항 또는 제22항에 따른 보조수단을 이용해 다수의 철근들을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설치하되, 와이어로 묶거나 용접을 하여 이들 철근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제14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하나에 따른 홀딩수단을 이용해 철근을 신속히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27215A 2004-05-27 2005-05-26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KR101300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6278A NL1026278C2 (nl) 2004-05-27 2004-05-27 Opbouwelement, basiselement, vasthoudmiddel en hulpmiddel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zo een hulpmidd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NL1026278 2004-05-27
PCT/NL2005/000389 WO2005115682A1 (en) 2004-05-27 2005-05-26 Structural element, basic element, holding means and auxiliary means for the manufacture of a reinforcement,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n auxiliary mea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346A true KR20070022346A (ko) 2007-02-26
KR101300969B1 KR101300969B1 (ko) 2013-08-27

Family

ID=3497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215A KR101300969B1 (ko) 2004-05-27 2005-05-26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8701370B2 (ko)
EP (1) EP1750896A1 (ko)
JP (1) JP5014124B2 (ko)
KR (1) KR101300969B1 (ko)
CN (1) CN1984748A (ko)
BR (1) BRPI0511503A (ko)
EA (1) EA010843B1 (ko)
MX (1) MXPA06013789A (ko)
NL (1) NL1026278C2 (ko)
NO (1) NO20066004L (ko)
WO (1) WO2005115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6278C2 (nl) * 2004-05-27 2005-11-30 Steven Edward Kelly Opbouwelement, basiselement, vasthoudmiddel en hulpmiddel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zo een hulpmidd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EP2058452B1 (en) 2007-11-12 2013-02-27 Steven Edward Kelly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FR2935765B1 (fr) 2008-09-08 2017-07-14 Renault Sas Dispositif de fixation d'un boitier de relais d'alimentation d'un groupe moto ventilateur sur une buse supportant un groupe moto ventilateur d'un vehicule automobile.
CN104014950A (zh) * 2014-05-05 2014-09-03 泰州市恒源建材机械有限公司 带有辅助穿筋板的钢筋骨架滚焊机及其使用方法
FR3033188B1 (fr) * 2015-02-26 2018-08-17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aintien de tube(s) a partie arriere de maintien unidirectionnel prolongee par une partie avant evasee
US10058792B2 (en) * 2015-06-25 2018-08-28 Tibbo Technology, Inc. Three-dimensional grid beam and construction set thereof
US20180236653A1 (en) * 2017-02-22 2018-08-23 Jui-Chien Kao Tool clamping assembly
CN108380795B (zh) * 2018-03-27 2024-02-27 建科机械(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主筋定位装置及钢筋笼装配机
NO344821B1 (en) * 2018-05-08 2020-05-11 John Oldroyd Cheetham Chair and method for fixing elongate profiles to a supporting surface, for example a tunnel wall or roof surface.
CN113958049B (zh) * 2021-11-23 2022-12-27 重庆大学 一种剪刀叉式建筑物钢架与叠合板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00245A (ko) *
US1275430A (en) * 1916-04-24 1918-08-13 Patented Devices Company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1767575A (en) * 1928-03-21 1930-06-24 Herman C Bujack Sleeper tie
US2068932A (en) * 1935-08-05 1937-01-26 Bert L Quarnstrom Fastening device
US2375513A (en) * 1943-09-30 1945-05-08 William F Bach Pipe hanger system
US2409342A (en) * 1944-05-15 1946-10-15 Joseph J Cassidy Rod suppor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2453980A (en) * 1946-10-28 1948-11-16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for cables, wires, or the like
US2861602A (en) * 1956-12-21 1958-11-25 Anna M Sedges Collapsible mandrel for manufacturing reinforcing cages
GB1010752A (en) * 1964-08-07 1965-11-24 Dexion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lotted-channel constructional elements
US3471987A (en) * 1967-11-21 1969-10-14 Delbert F Yelsma Positioning,spacing and supporting device
US3547385A (en) * 1968-05-02 1970-12-15 Robert D Kindorf Structual form for pipe clamp support
US3604687A (en) * 1969-12-22 1971-09-14 Rex T Moore Ructure
US3721412A (en) * 1971-04-09 1973-03-20 H Kindorf Locking wire cinch strap
FR2238825A1 (en) * 1973-07-25 1975-02-21 Krenn Federn Werkzeugfabrik A Reinforcing-mesh-fixing spacer between concrete form walls - with V-bent leaf springs as holders, with holes canted onto bar
US4044428A (en) * 1975-09-08 1977-08-30 B-Line Systems, Inc. Conduit clamp
US4483119A (en) * 1981-04-01 1984-11-20 Ernest Hernandez Bar support for use with reinforced concrete
US4617775A (en) * 1984-09-04 1986-10-21 John Padrun Extensible reinforcing bar assembly and clip
FR2570625B1 (fr) * 1984-09-21 1987-01-09 Lafon Guy Machine a chaine integree flexible, pour fabriquer automatiquement des armatures metalliques, notamment pour le beton arme
US4790060A (en) * 1987-12-07 1988-12-13 Council Jerry W Method for holding a conduit to a channel
US4957251A (en) * 1988-07-05 1990-09-18 Hubbard George R Pipe supporting bracket
US4960253A (en) * 1989-05-04 1990-10-02 Frederick Perrault Compact lightweight wireway
JP2536698Y2 (ja) 1992-09-17 1997-05-21 丸井産業株式会社 構築用鉄筋間隔保持具
DE4396373T1 (de) * 1992-12-14 1996-03-21 Cecil Gwilliam Jones Bindevorrichtung sowie Gerät und Verfahren zum Binden der Bindevorrichtung
US5350162A (en) * 1993-03-08 1994-09-27 Cushing Meredith K Apparatus for assembling reinforcing bar pier cages
US5639048A (en) * 1995-01-19 1997-06-17 Thomas & Betts Corporation Cable tray system
JP3105427B2 (ja) 1995-06-27 2000-10-30 昭信 藤原 鉄筋保持装置
JP2852512B2 (ja) * 1997-03-21 1999-02-03 東興産業株式会社 鉄筋間隔保持具
JPH11100997A (ja) * 1997-09-25 1999-04-13 Takamura Sogyo Kk コンクリ−ト製柱状体における補強用鉄筋の保持方法及びそのスペ−サ−
WO1999017896A1 (en) 1997-10-06 1999-04-15 Bcd Marcel Wirth-Bending And Cutting Devices Method to form metallic cages for reinforcement and relative device
US6508440B2 (en) * 2000-12-08 2003-01-21 Beverly Manufacturing Co. One-piece conduit hanger
AUPR300301A0 (en) 2001-02-09 2001-03-08 Cagemaker Equipment Pty Ltd A former associated with an apparatus for making cages
US6622976B1 (en) * 2001-09-18 2003-09-23 Daniel J. Ianello Cable hanger for installing cables on transmitting tower
US7090174B2 (en) * 2001-11-09 2006-08-15 Andrew Corporation Anchor rail adapter and hanger and method
US20030197108A1 (en) * 2002-02-08 2003-10-23 George Domizio Device for holding rebar rods
US7143563B1 (en) * 2003-05-20 2006-12-05 Palmer Douglas A Tie and tie method for binding together adjacent support elements
US7097142B1 (en) * 2003-08-13 2006-08-29 Beverly Manufacturing Company One-piece resilient stackable hanger
US7293745B2 (en) * 2003-11-26 2007-11-13 Site Pro 1, Inc. Cable holder
NL1026278C2 (nl) * 2004-05-27 2005-11-30 Steven Edward Kelly Opbouwelement, basiselement, vasthoudmiddel en hulpmiddel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werkwijze voor het opbouwen van zo een hulpmidd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wapening.
US7152831B2 (en) * 2004-11-23 2006-12-26 The Lamson & Sessions Co. Conduit support
US8517186B1 (en) * 2012-07-23 2013-08-27 Underground Devices, Inc. ULT cable support system with sad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1503A (pt) 2008-01-08
US8701370B2 (en) 2014-04-22
US20140311080A1 (en) 2014-10-23
MXPA06013789A (es) 2007-04-02
NO20066004L (no) 2007-02-22
EA200601999A1 (ru) 2007-04-27
JP5014124B2 (ja) 2012-08-29
WO2005115682A1 (en) 2005-12-08
US20080190054A1 (en) 2008-08-14
EA010843B1 (ru) 2008-12-30
NL1026278C2 (nl) 2005-11-30
US9032687B2 (en) 2015-05-19
JP2008500473A (ja) 2008-01-10
KR101300969B1 (ko) 2013-08-27
CN1984748A (zh) 2007-06-20
EP1750896A1 (en)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461B2 (ja) コンクリート壁用型枠モジュール
US9032687B2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JP2018123537A (ja) べた基礎の施工方法、筒状型枠及びべた基礎構造
JP6943581B2 (ja) 壁梁接合構造
KR100891347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128866B1 (ko)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US7959125B1 (en) Method of assembling a concrete wall and footing form with cleat for supporting rebar and concrete form
JP2000240207A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JP4703226B2 (ja) 型枠の施工方法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JP2005188194A (ja) 組立式型枠ユニット
KR102767498B1 (ko) 슬라브용 거푸집
JP201909467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門型形状組立て、金具。
JP3045248B2 (ja) 壁鉄筋の据付治具
JP3616304B2 (ja) 建築物用通し壁パネル
JP2005048515A (ja) ボイド型枠固定具
JP4724791B2 (ja) 木造建築物の支持構造、木造建築物並びに金属束具
KR20110018601A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897502B1 (ko) 유로폼용 만능치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523167B1 (ko) 거푸집 설치공법
JPS601461B2 (ja) 自在型枠装置
JP2005320686A (ja) 住宅基礎に用いる鉄筋組立体、および、同組立体を用いる住宅基礎の構築工法
JPH05248084A (ja)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5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506

Appeal identifier: 2012101007174

Request date: 2012080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5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0806

Decision date: 20130506

Appeal identifier: 201210100717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