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22070A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070A
KR20070022070A KR1020067025707A KR20067025707A KR20070022070A KR 20070022070 A KR20070022070 A KR 20070022070A KR 1020067025707 A KR1020067025707 A KR 1020067025707A KR 20067025707 A KR20067025707 A KR 20067025707A KR 20070022070 A KR20070022070 A KR 2007002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rea
mobile
base station
repeater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츠미 다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070A/en
Publication of KR2007002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0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기가 무선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간단한 시스템으로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동기와, 무선 기지국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이동기와의 사이에서 양방향 무선신호 증폭을 행하는 무선 중계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으로,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단계와,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를 식별신호에 관한 통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단계와, 이동기에 있어서, 식별부호와 통지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기가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가진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simple system to check whether a mobile device is located in a service area of a wireless repeater, and to perform a two-way wireless signal amplif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the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he steps of: in a wireless repeater,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 service area by a self to a radio signal from a radio base station to a mobile device; In the base station, determining that the radio signal directed to the mobile device includes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sig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wireless repeater When confirming that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has a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he meaning of the 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기, 무선중계기, 서비스영역, 위치판정, 식별부호 Mobile device, wireless repeater, service area, location determination, identification code

Descrip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sidence within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기지국이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기방향 및 이동기로부터 무선 기지국 방향의 양방향 무선 증폭 기능을 갖춘 중계장치(이하 ‘리피터(Repeater)’라 함)가 복수개 설치된 CDMA방식에 의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기가 리피터가 서비스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DMA in which a plurality of repea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peaters') having a two-way radio amplification function from a wireless base station to a mobile base station and a mobile base station from a mobile base station are provided in a service area constituted by one wireless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sche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detects whether a mobile device is located in an area serviced by a repeater.

일본 특개소63-51727호 공보에는 무선기지국과 무선단말과의 사이에 리피터를 배치하여 이 중계장치에 의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마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3-51727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peater is arranged between a radio base station and a radio terminal to prepare a new service area by this relay device.

CDMA방식에서의 위치 정보 검출로서, 기지국-이동기간의 전파지연차를 사용한 방식이 복수(RTT, OTDOA등) 채용되고 있다. 이것은, 복수(3개 이상)의 기지국과 이동기간의 전파지연차를 측정함으로써, 공간적으로 이동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이다.As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in the CDMA system, a plurality of methods (RTT, OTDOA, etc.) employing a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of the base station-moving period are employed. This is to calculate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unit spatially by measuring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the movement period.

무선기지국이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리피터가 배치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리피터를 경유한 전파로에 있어서는, 리피터 내에서의 무선신호의 제어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지국과 이동기간의 전파지연을 제대로 추정하는 일을 행할 수 없고, 위치정보를 정상적으로 산출할 수가 없게 된다.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repeater is arranged in a service area constituted by a radio base station, in the propagation path via the repeater, control delay of the radio signal in the repeater occurs, so that propagation dela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period can be properly corrected. Estim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position information cannot be calculated normally.

또한, CDMA시스템에 있어서의 개별 채널(DPCH)의 초기 송신 전력치 결정 및 하향공통채널(FACH)의 송신 전력치 결정은 아래의 순서에 의해 행해지고 있었다.In the CDMA system, the initial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of the individual channel (DPCH)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of the downlink common channel (FACH) have been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1. 기지국이 통지정보로 하향 파일럿 채널(PCPICH)의 송신 전력치를 통지1. The base station notifies the transmit power value of the downlink pilot channel (PCPICH) a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 이동기가 당해 영역에서의 하향 파일럿 채널(PCPICH)의 수신 전력치를 측정2. The mobile unit measures the received power value of the downlink pilot channel (PCPICH) in the region

3. 이동기가 상기 PCPICH의 수신 전력치를 기지국에 대해서 상향 통신 채널(RACH)로 통지3. The mobile notifies the base station of the received power value of the PCPICH to the uplink communication channel (RACH).

4. 기지국은 1항에 있어서의 PCPICH의 송신 전력치와 이동기로부터 통지된 수신 전력치(2항)의 차로부터, 기지국-이동기간의 전파 손실을 추정4. The base station estimates the propagation loss in the base station-moving perio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of the PCPICH and the reception power value (paragraph 2) notified from the mobile station in paragraph 1

5. 기지국은 산출된 전파손실로부터 초기 송신 전력치를 산출5. The base station calculates the initial transmission power value from the calculated propagation los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기 송신 전력 산출 방식은, 하향(기지국으로부터 이동기) 방향의 전파 손실과, 상향(이동기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전파 손실이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는 전제 조건에 근거하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리피터 장치를 개재한 무선링크에 있어서는, 리피터에 있어서의 하향방향과 상향방향의 게인이 반드시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적절한 송신 전력치 결정을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initial transmission power calcu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ased on the precondition that the propagation loss in the downward direction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and the propagation loss in the upward direction (mobile to base station) can be regarded as the same. However, in the radio link via the repeater device, the gain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upward direction in the repeater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per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cannot be made.

상술한, 리피터를 갖추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기가 리피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확인이 위치정보검출, 송신 전력치의 결정 어느 쪽에 있어서도 그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having a repeater, check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peater become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accuracy in both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기의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개2000-69538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이 있다.As a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osition state of a mobile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 is an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69538.

일본 특개2000-69538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은, 다른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통신망 간이더라도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각 통신망이 파악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일본 특개2000-69538호 공보에는 이동 단말로부터의 단말식별부호의 통지를 받은 통신망이 자기의 식별부호와 단말식별부호를 다른 통신망에 대해서 통지정보로서 분배하고, 각 통신망에서는 자기가 관리하는 단말식별부호를 포함하는 통지정보가 도래하였을 때에 자기 데이터베이스에 단말식별부호에 대응시켜 통지 정보를 송신한 통신망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69538 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n apparatus capable of gras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by each communication network eve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a database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Next,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notification of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from a mobile terminal distributes its identification code and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and each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manag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re is disclosed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notification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in its own database.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피터를 갖추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위치 정보 검출, 송신 전력치의 결정 어느 쪽에 있어서도 이동기가 리피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그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중요하게 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이동기의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2에 개시되는 발명이 있으나, 이 발명은 이동 단말이 복수의 통신망 어느 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발명이지, 리피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지정보를 복수의 통신망에 분배하기 위하여 시스템 구성이 대규모인 것으로 되어,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rovided with the repeater, whether the positioner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peater is important for increasing the degree in both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As a technique for detecting a position state of a mobile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 is an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but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which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It does not confirm whether it is loc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stem configuration is large in order to distribut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cost is high.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기가 리피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간단한 시스템으로 행할 수 있고, 위치 정보 검출, 송신 전력치 결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with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peater with a simple system, and improve the accuracy of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determin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은, 이동기와, 그 이동기와 무선신호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이동기와의 사이에서 양방향의 무선신호증폭을 행하는 무선 중계기를 갖추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으로,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ing method includes a mobile station, a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and a radio signal, and a wireless signal amplificatio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mobile unit. In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wireless repeater to perform,

상기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부호를 부여하는 단계와, In the radio repeater,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at the radio signal from the radio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is a service area by the self;

상기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식별신호에 관하는 통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단계와,In the wireless base station, compris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radio signal directed to the mobile unit;

상기 이동기에 있어서, 상기 식별 부호를 상기 통지 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을 경우에는 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devic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a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ting a signal representing a meaning to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시스템은, 이동기와, 그 이동기와 무선신호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이동기와의 사이에서 양방향의 무선통신증폭을 행하는 무선 중계기를 갖추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시스템으로, The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base station, a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and a radio sig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amplificatio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mobile unit.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wireless repeater to perform,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부호를 부여하고,The radio repeater gives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at the radio signal from the radio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is a service area by the self,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식별신호에 관한 통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The wireless base station is assumed to includ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radio signal directed to the mobile device.

상기 이동기는, 상기 식별부호와 상기 통지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을 경우에는 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station us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mobile station has the meaning when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a signal indicating to the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상기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식별부호가 무선 중계기의 다른 무선 채널과 직교된 부호로 확산되며,In either case, the identification code is spread with a code orthogonal to other radio channels of the radio repeater,

통지정보는, 상기 식별부호의 확산부호 정보와 한계치를 나타내는 한계치 정보로 구성되며,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reading c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limit value information indicating a limit value.

상기 이동기는, 상기 식별부호를 상기 확산부호정보를 사용하여 영확산하고, 그 결과를 한계치 정보가 나타내는 한계치와 비교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진 값이 상기 한계치보다도 컸을 때에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도 좋다.The mobile unit zero sp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spreading code information, compares the result with the limit value indicated by the limit value information, and when the value obtained as the result of despreading is larger than the limit value, It may be located in the service area.

본 발명의 영역 판정 방법에 따르면, 무선 중계기로부터 식별부호를 송신하고, 무선 기지국 장치는 통지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이동기가 무선 중계기가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는 이동기로부터 무선 중계기가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통지받음으로써, 사전에 이미 알고 있는 리피터의 제어지연을 가미하여, 전파지연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전에 이미 알고 있는, 혹은, 리피터로부터 기지국에 적의 보고되는 무선 게인 정보에 근거하여, 전파 손실치의 보정을 행하며, 적절한 송신 전력치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According to the area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radio repeater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constituted by the radio repeater. Then,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is informed from the mobile station whether it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constituted by the radio repeater, so that the propagation delay can be corrected in addition to the control delay of the repeater already known in advance. Further,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ropagation loss value and determine an appropriate transmission power value based on radio gain information that is already known in advance or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from the repeater.

또한, 무선 중계기로부터 식별부호를 송신하고, 무선 기지국 장치는 통지정보를 송신하고, 이동기는 식별부호와 통지정보로부터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에 알린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대규모로 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radio repeater,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station confirms whether it is located in the area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s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This large scale never happe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피터를 사용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역 판정 방법을 행할 때의 신호 전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signal transmission when performing the area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Node B(13)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며, (b)는 리피터(14)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Node B 13,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repeater 14. FIG.

도 4는 통지정보(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역 판정을 행할 때의 Node B(13) 및 이동기(15)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de B 13 and the mobile unit 15 when performing the area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통지정보(622, 6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622, 62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1 이동통신 교환 네트워크 12 무선 기지국 제어 장치11 Mobile switching network 12 wireless base station controller

13 무선 기지국 장치 14 무선 중계기13 Wireless Base Station Unit 14 Wireless Repeater

15 이동기 16,17 서비스 영역15 Mobile 16,17 Service Area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피터를 사용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교환 네트워크(이하, CN이라 약칭함)(11), 무선 기지국 제어 장치(이하, RNC라 약칭함)(12), RNC(12)의 산하가 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이하, NodeB라 약칭함)(13), NodeB(13)가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16) 안에 배치되어 기지국-이동기의 양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증폭, 송신하는 무선 중계기(이하, 리피터라 약칭함)(14),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 안에 존재하는 이동 기(15)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N) 11, a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12, and a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12) are affiliated. (Abbreviated as NodeB) 13, a radio repeat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repeater) disposed in the service area 16 configured by NodeB 13 to receive, amplify, and transmit a bidirectional radio signal of a base station-mobile ( 14) and mobile unit 15 existing in service area 17 by repeater 14. As shown in FIG.

이동기(15)는, 리피터(14)에 마련된 수신 안테나(16), 송신 안테나(18)를 개재하여 통신을 행하고, 리피터(14), NodeB(13), RNC(12)경유로 CN(11)에 액세스하고, 공중망으로 액세스를 행한다.The mobile unit 15 communicates via the receiving antenna 16 and the transmitting antenna 18 provided in the repeater 14, and the CN 11 via the repeater 14, the NodeB 13, and the RNC 12. Access to the public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역 판정 방법을 행할 때의 신호전송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리피터(14)에서는 하향(기지국→이동기)방향의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신의 서비스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리피터 식별부호(21)를 부여하고, 서비스 영역(17)에 대해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signal transmission when performing the area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repeater 14 assigns a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for identifying its own service area to the radio signal in the downward (base station to mobile) direction,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to the service area 17. .

도 2(a)은 Node B(13)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b)은 리피터(14)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이 Node B(13)가 송출하는 무선신호는 식별채널과 공통채널로 구성되며, 도3(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피터(14)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에는 개별채널과 공통채널 외에 리피터 식별부호(21)가 부여되어 있다. 서비스 영역(16) 및 리피터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공통되는 통지정보가 되는 리피터 식별부호(21)가 부여되어 있다. 리피터 식별부호(21)는 예를들어 W-CDMA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파일럿 채널(SCPICH)이며, 다른 무선채널(공통채널, 개별채널)과 직교된 확산부호로 확산되어 있다. FIG. 2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Node B 13, and FIG. 3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repeater 14. FIG. As shown in FIG. 3 (a),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Node B 13 is composed of an identification channel and a common channel. As shown in FIG. 3 (b),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repeater 14 is a separate channel. In addition to the and common channels, a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is provided. A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serving as notification information common to the service area 16 and the service area 17 by the repeater is provide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is, for example, a second pilot channel (SCPICH) in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s spread with a spreading code orthogonal to other radio channels (common channel, individual channel).

한편, Node B(13)가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공통채널에는, 서비스 영역(16) 및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공통되는 통지정보(22)(도 2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도 4는 통지정보(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정보(22)는 리피터 식별부호(21)에 관한 정보인 리피터 식별부호정보(41),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42)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on channel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Node B 13 includes notification information 22 (see FIG. 2) common to the service area 17 by the service area 16 and the repeater 14. hav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As shown in FIG. 4,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is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41 and the repeater area position detection which are information about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As shown in FIG. Threshold 42 is includ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역 판정을 행할 때의 Node B(13) 및 이동기(15)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de B 13 and the mobile unit 15 when performing the area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기(15)에서는, 자신이 리피터에 의한 서비스 영역 산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도 5에 보이는 순서에 의해 검출한다. 먼저, 이동기(15)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통지정보(22)를 취득한다. 이 통지정보(22)에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42)와, 리피터 식별부호(21)에 관한 정보로서 리피터 식별부호 정보(41)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취득한다(스텝S401). 리피터 식별부호 정보(41)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리피터 식별부호(21)의 확산 부호 정보이다.The mobile unit 15 detects whether it is located under the service area by the repeater in the order shown in FIG. First, the mobile unit 15 acquir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s shown in Fig. 4,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includes the repeater region position detection limit value 42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41 as information about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and acquires them (step). S401). The content of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41 is, for example, spread code information of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다음으로, 이동기(15)에서는 통지정보로부터 취득한 리피터 식별부호 정보(41)에 근거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역확산 한다(스텝S402). 리피터 식별부호(21)는 다른 무선채널과 직교된 부호로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내에서는, 높은 상호 상관이 얻어진다. 한편,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의 바깥, 즉, Node B(13)에 의한 서비스 영역(16)내에서는, 상호 상관이 낮게 된다. 이동기(15)에서는, 스텝S401에서 취득한 통지정보(22)로 통지되는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42)와 스텝S402에서 취득한 상호 상관치와의 비교를 행하여(스텝S403), 그 대소를 확인함으로써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404).Next, the mobile unit 15 despreads the received radio signal based o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41 acquired from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tep S402). Since 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21 is spread with a code orthogonal to other radio channels, a high cross correlation is obtained in the service area 17 by the repeater 14. On the other hand, cross correlation is low outside the service area 17 by the repeater 14, that is, within the service area 16 by the Node B 13. The mobile unit 15 compares the repeater region position detection threshold 42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22 acquired in step S401 with the cross-correlation value obtained in step S402 (step S403), and confirms the magnitude of the repeat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17 by (14) (step S404).

이동기(15)는, 스텝S404에 있어서, 상호 상관값이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42)보다도 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위치하고 있다는 뜻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Node B(13)에 대해서 통지하고, 상호 상관값이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42)보다도 크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자기가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스텝S405).When the mobile unit 15 determines in step S404 that the cross-correlation value is larger than the repeater region position detection threshold 42, the mobile unit 15 output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located in the service region 17 by the repeater 14. If the B 13 is notifie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ross-correlation value is not larger than the repeater region position detection threshold 42, it is assumed that the magnetic field is not located in the service region 17 by the repeater 14 (step). S40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리피터를 개재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기(15)가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via the repeate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unit 15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17 by the repeater 14.

그리고, RNC(12)는 상기 검출 결과를 위치정보 검출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리피터(14)에 의한 제어지연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리피터(14)에 의한 서비스 영역(17)에 이동기(15)가 위치한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n, the RNC 12 can correct the control delay by the repeater 14 by apply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detection service, thereby moving the mobile unit 15 to the service area 17 by the repeater 14. Even if)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또한, RNC(12)는 상기 검출결과를 무선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에 적용함으로써, 리피터(14)에 의한 상하방향의 무선 증폭 이득이 다른 경우에도, 적절한 보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NC 12 applie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the radio channel, so that even when the vertical amplification gain of the repeater 14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apply appropriate correction, and thus the accurate transmission power. It becomes possible to carry out control.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하나의 Node B가 구성하는 무선 영역 내에 복수의 리피터가 배치되고, 복수의 리피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의 적용예이다.This embodiment is an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peaters is arranged in a radio area constituted by one Node B, and a service area by a plurality of repeaters exists.

도 7에는, 도1에 나타낸 CN(11), RNC(12), NodeB(13), NodeB(13)이 구성하는 서비스 영역(16) 외에, 2개의 리피터(614, 614’), 서비스 영역(617, 617’), 서비스 영역(617, 617’)에 위치하는 이동기(615, 615’), 리피터(614, 614’)에 마련되는 수신 안테나(616, 616’) 및 송신 안테나(618, 818’) 리피터 식별부호(621, 621’), 통지정보(622, 622’)가 나타나 있다.In FIG. 7, two repeaters 614 and 614 'and a service area (in addition to the service area 16 constituted by the CN 11, RNC 12, NodeB 13, and NodeB 13 shown in FIG. 617 and 617 '), mobile devices 615 and 615' located in service areas 617 and 617 ', receive antennas 616 and 616' provided in repeaters 614 and 614 ', and transmit antennas 618 and 818. Repeater identification codes 621 and 621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622 and 622 'are shown.

리피터 식별부호(621, 621’)는 리피터(614, 614’)가 자신의 서비스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서 부여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통지정보(622, 622’)는 같은 내용의 것이다. 도 7은 통지정보(622, 6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지정보(622, 622’)는, 리피터(614, 614’)용 정보인 리피터 식별부호 정보, 리피터 영역 위치 검출 한계치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기(615, 615’)는 도5에 나타낸 순서에 의해, 자기가 리피터(614, 614’)의 서비스 영역(617, 617’)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고, RNC(12)는 각 이동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이동기(615, 615’)가 리피터(614, 614’)의 서비스 영역(617, 617’)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The repeater identification codes 621 and 621 'are assigned by the repeaters 614 and 614' to identify their service area, and the contents thereof are differ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622 and 622 'are the same.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622, 622 '. As shown in FIG. 7, notification information 622, 622' includes repeater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repeaters 614, 614 '; Repeater region position detection thresholds are included, respectively, and the mobile units 615 and 615 'confirm whether they are located in the service regions 617 and 617' of the repeaters 614 and 614 'according to the procedure shown in FIG. The RNC 12 can determine whether each mobile station 615, 615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617, 617' of the repeaters 614, 614 'by the control signal from each mobile station.

Claims (4)

이동기, 그 이동기와 무선신호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이동기와의 사이에서 양방향 무선신호 증폭을 행하는 무선 중계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으로,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obile station, a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by radio signals, and a wireless repeater for amplifying bidirectional radio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the mobile station. , 상기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부여하는 단계,In the radio repeater,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at the radio signal from the radio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is a service area by the self; 상기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식별신호에 관한 통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단계, 및In the wireless base station, compris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radio signal directed to the mobile unit, and 상기 이동기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호와 상기 통지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In the mobile device,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re used to confirm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o confirm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o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식별부호가 무선 중계기의 다른 무선 채널과 직교된 부호로 확산되고,The identification code is spread with a code orthogonal to other wireless channels of the wireless repeater, 통지정보는, 상기 식별부호의 확산부호 정보와 한계치를 나타내는 한계치 정 보로 구성되고,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reading c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reshold information indicating a threshold value. 상기 이동기는, 상기 식별부호를 상기 확산부호 정보를 사용하여 역확산하고, 그 결과를 한계치 정보가 나타내는 한계치와 비교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진 값이 상기 한계치보다도 큰 때에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방법.The mobile station desp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spreading code information, compares the result with a limit value indicated by the limit information, and when the value obtained as the result of despreading is larger than the limit value,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aid to be located in a service area. 이동기와, 그 이동기와 무선신호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이동기와의 사이에서 양방향 무선신호 증폭을 행하는 무선 중계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행해지는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시스템으로,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obile unit, a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unit by radio signals, and a wireless repeater for amplifying bidirectional radio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mobile unit. to,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부여하고,The radio repeater assigns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at the radio signal from the radio base station to the mobile device is a service area by its own.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기로 향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식별신호에 관한 통지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The wireless base station is assumed to include notification information relating to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radio signal directed to the mobile device. 상기 이동기는, 상기 식별부호와 상기 통지정보를 사용하여,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시스템.The mobile station us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nd when the mobile station confirms that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the wireless repeater.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ng to th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식별부호가 무선 중계기의 다른 무선채널과 직교된 부호로 확산되고,The identification code is spread with a code orthogonal to other radio channels of the wireless repeater, 통지정보는, 상기 식별부호의 확산부호 정보와 한계치를 나타내는 한계치 정보로 구성되고,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reading c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and limit value information indicating a limit value. 상기 이동기는, 상기 식별부호를 상기 확산부호 정보를 사용하여 역확산하고, 그 결과를 한계치 정보가 나타내는 한계치와 비교하여, 역확산의 결과 얻어진 값이 상기 한계치보다도 큰 때에 자기가 상기 무선 중계기에 의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서비스 영역 위치 판정 시스템.The mobile station desp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spreading code information, compares the result with a limit value indicated by the limit information, and when the value obtained as the result of despreading is larger than the limit value, A service area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aid to be located in a service area.
KR1020067025707A 2004-06-07 2005-04-12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220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707A KR20070022070A (en) 2004-06-07 2005-04-12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8825 2004-06-07
KR1020067025707A KR20070022070A (en) 2004-06-07 2005-04-12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070A true KR20070022070A (en) 2007-02-23

Family

ID=4365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707A KR20070022070A (en) 2004-06-07 2005-04-12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0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084B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network overlay geolocation system with repeaters
KR1007058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ization
KR100883486B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location measuring system, location calculation method and server device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KR100767550B1 (en) Radio handset and position location system
KR101261394B1 (en) Method to support user location in in-structure coverage systems
KR1008064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handoff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925205B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network overlay geolocation system with repeaters
FI952396A (en) Procedure to improve the accuracy of channel change and connection setup and cellular radio system
US5970394A (en) Method of detecting damaged cellular telephone facilities
KR100652259B1 (en) Signal Path Detection for Wireless Networks Including Repeaters
US20070184777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mobile unit in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034122A1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Network Overlay Geolocation System With Repeaters
US7486934B2 (en) Service area determinatio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mobile terminal is in the service area of a repeater or in the service area of a radio base station
KR100333201B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7376429B2 (en) Locating method and system
KR100560989B1 (en) Wireless environment analysis system and method in WCDMA network
KR20070022070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ice area lo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354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aldeterminationof user applianc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ditional positional elements in neighbouring radio cells
KR1015562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expansion of communication range
KR100442044B1 (en)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ing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repeaters in positioning system for mobile stations
KR100664066B1 (en) Terminal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56226B1 (en) Method of detecting time synchronization err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