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846A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19846A KR20070019846A KR1020050073794A KR20050073794A KR20070019846A KR 20070019846 A KR20070019846 A KR 20070019846A KR 1020050073794 A KR1020050073794 A KR 1020050073794A KR 20050073794 A KR20050073794 A KR 20050073794A KR 20070019846 A KR20070019846 A KR 200700198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g
- hair
- cap
- partial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 두상형태로 제작되어 머리에 덮어 씌우는 캡과, 상기 캡의 외면에 가모를 심어서 된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전단부에 소정의 절개부가 형성된 통가발과; 상기 절개부에 탈부착되는 부분가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앞머리의 머리카락을 이용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가발을 바꾸지 않고도 헤어스타일의 변경이 가능하고, 자연스런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여 미적인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가발, 절개부, 분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을 구성하는 통가발과 부분가발을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에서 통가발의 착용예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통가발 4 : 부분가발
20 : 절개부 22 : 지지부재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본머리의 머리카락을 빼내어 앞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통상 머리카락이 거의 없을 때 머리를 전체적으로 씌워주거나 부분적인 탈모증으로 인한 부분 대머리, 화상등으로 인한 일부 모발손상, 또 는 두발부진으로 탈모증으로 인한 부분 대머리, 화상등으로 인한 일부 모발손상, 또는 두발부진으로 인한 머리숱의 부족 등에 주로 착용하여 왔다.
한편, 최근에는 미용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가발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가발이 사용되고 있다.
즉, 짧은 머리의 헤어스타일에서 긴머리의 헤어스타일을 원하는 경우 생모가 길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가발을 착용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발은 캡 내부에 클립을 부착시키고 본머리에 남아있는 머리카락을 파지하여 클립이 가발을 고정시켜주므로서 가발을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가발은 헤어스타일이 정해져서 제작된 것이므로, 헤어스타일을 변경하려면 가발을 바꿔서 착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발은 정교하게 수작업으로 제작하여도 본머리의 머리카락이 갖는 자연스러움을 주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가발과 부분가발로 구성되며, 통가발의 전단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본머리 특히 앞머리의 머리카락을 빼낸 후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가발을 바꾸지 않고도 헤어스타일의 변경이 가능하고, 본인의 머리카락으로 가발을 커버할 수 있어 자연스런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여 미적인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분가발을 상기 통가발의 절개부에 탈부착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가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은,
두상형태로 제작되어 머리에 덮어 씌우는 캡과, 상기 캡의 외면에 가모를 심어서 된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전단부에 소정의 절개부가 형성된 통가발과; 상기 절개부에 탈부착되는 부분가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발에 있어서, 상기 통가발의 절개부의 외주연 저면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발에 있어서, 상기 통가발의 절개부의 외주연 저면과, 상기 부분가발의 상면에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을 구성하는 통가발과 부분가발을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에서 통가발의 착용예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발(A)은, 두상형태로 제작되어 머리에 덮어 씌우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외면에 가모(24)를 심어서 된 것이며, 상기 캡(20)의 전단부에 소정의 절개부(202)가 형성된 통가발(2)과, 상기 절개부(202)에 탈부착되는 부분가발(4)로 구성된다.
상기 통가발(2)은 캡(20)의 전단부 즉, 착용자의 앞머리 중앙에 해당되는 부위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대략 'U'자 형상의 절개부(202)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202)의 외주연을 따라 캡(20)의 저면에 대략 'U'자 형상의 지지부재(22)가 개재되고, 그 하부에 탈부착수단(2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22)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2)로는 정수리와 이마로 연결되는 두상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부착수단(26)으로는 벨크로파스너가 적당하며, 이에 대응되는 벨크로파스너는 후술하는 부분가발(4)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분가발(4)은 전술한 통가발(2)의 절개부(202)의 저면으로부터 탈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부(20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캡(40)과, 이 캡(40)의 상면에 심어진 가모(44)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캡(40)의 상면에는 전술한 벨크로파스너가 탈부착수단(46)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예를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앞머리의 일정량의 머리카락(100)을 세운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가발(2)을 머리에 착용하되 상기한 머리카락(100)이 절개부(2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도 2의 (c) 및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된 머리카락(100)을 손질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만들면 본 발명의 가발(A)의 착용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착용예로써 상기 통가발(2)의 절개부(202)에 상기 부분가발(4)을 부착시킨 후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가발과 동일하게 착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발에 따르면, 앞머리의 머리카락을 이용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가발을 바꾸지 않고도 헤어스타일의 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인의 머리카락으로 가발을 커버할 수 있어 자연스런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여 미적인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 두상형태로 제작되어 머리에 덮어 씌우는 캡과, 상기 캡의 외면에 가모를 심어서 된 가발에 있어서,상기 캡의 전단부에 소정의 절개부가 형성된 통가발과;상기 절개부에 탈부착되는 부분가발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가발의 절개부의 외주연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통가발의 절개부의 저면과 부분가발의 상면에는 탈부착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794A KR20070019846A (ko) | 2005-08-11 | 2005-08-11 | 가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3794A KR20070019846A (ko) | 2005-08-11 | 2005-08-11 | 가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846A true KR20070019846A (ko) | 2007-02-15 |
Family
ID=4365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794A Abandoned KR20070019846A (ko) | 2005-08-11 | 2005-08-11 | 가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198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961Y1 (ko) * | 2018-05-02 | 2018-11-27 | 유한균 | 헤어 컷트 연습용 조립식 블록 가발 |
-
2005
- 2005-08-11 KR KR1020050073794A patent/KR20070019846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961Y1 (ko) * | 2018-05-02 | 2018-11-27 | 유한균 | 헤어 컷트 연습용 조립식 블록 가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47708A (en) | Kit and process for creating a hair bun | |
US6276368B1 (en) | Apparatus for styling hair and the method of use | |
PT1274327E (pt) | Peruca ajustavel a forma da cabeca do utilizador e processo para a realizacao deste ajustamento | |
KR20070007738A (ko) | 손수하기용의 제거가능하고 재사용가능한 비화학물질하일라이트 및 두발 연장물 | |
US20120197268A1 (en) | Self eyebrow waxing and shaping system | |
KR20120012881A (ko) | 볼륨-업 기능을 갖는 가발 및 가발의 볼륨-업 방법 | |
KR100889632B1 (ko) |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 |
US7537014B1 (en) | Open self-part for wigs | |
JP2008517173A (ja) | エクステンションヘア用リング | |
KR20070019846A (ko) | 가발 | |
KR101128097B1 (ko) |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 |
KR20130001419A (ko) | 부분 가발 | |
KR200437115Y1 (ko) | 헤어밴드 | |
KR101625044B1 (ko) | 슬림형 통가발 | |
CN213215532U (zh) | 假发半发套 | |
KR102027557B1 (ko) | 매듭이 형성된 열수축성 튜브 고정형 붙임 머리 | |
RU203271U1 (ru) | Головной убор с париком | |
KR101191508B1 (ko) | 헤어장신구 제조방법 | |
JP2533573Y2 (ja) | 複数の部分に分割可能なかつら | |
KR100520977B1 (ko) | 부분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및 부분 모발체 | |
KR200189020Y1 (ko) | 머리핀을 이용한 인조가발 | |
KR200386249Y1 (ko) | 붙임머리 | |
KR20110007841A (ko) | 가발의 제조방법 및 그 가발 | |
KR100640168B1 (ko) | 헤어연출부재 및 그를 사용한 헤어스타일 연출방법과삽입식 붙임머리 | |
KR200343269Y1 (ko) | 고무링이 구비된 붙임머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