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17762A -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762A
KR20070017762A KR1020050072338A KR20050072338A KR20070017762A KR 20070017762 A KR20070017762 A KR 20070017762A KR 1020050072338 A KR1020050072338 A KR 1020050072338A KR 20050072338 A KR20050072338 A KR 20050072338A KR 20070017762 A KR20070017762 A KR 2007001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oup
naclo
compound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계찬
이경묵
조삼영
신현철
김남서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762A/ko
Priority to JP2006166288A priority patent/JP2007049120A/ja
Priority to US11/453,079 priority patent/US7582217B2/en
Priority to CN200610090316XA priority patent/CN1912187B/zh
Priority to TW095123915A priority patent/TWI324639B/zh
Publication of KR2007001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762A/ko
Priority to US12/461,202 priority patent/US8052889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0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aluminium or alloy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4Aqueous compositions
    • C23F1/16Acidic compositions
    • C23F1/26Acidic compositions for etching refractory met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4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liquid etching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et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 질산, 초산, 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및 산화조정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 및 화소전극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평판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공정을 더욱 단순화시킬수 있으며, 생산 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알루미늄, 몰리브덴, 아이티오, 습식식각, 식각액

Description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Etchant composition, method of patterning electro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험예 1>에서 형성된 ITO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험예 2>에서 형성된 Mo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험예 3>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비교예 1>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 2>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비교예 3>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 정한 SEM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비교예 4>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비교예 5>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예 6>에서 형성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비교예 7>에서 형성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게이트 전극
120: 게이트 절연막 130: 반도체층
140a, 140b: 소스/드레인 전극 150: 보호층
160: 화소전극
본 발명은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및 ITO를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는 구동 방법에 따라 수동 구동(passive matrix)방식과 능동 구동(active matrix)방식으로 나뉘는데, 능동 구동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사용하는 회로들을 가진다. 이와 같은 회로들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ELD) 등의 평판 표시 장치에서 대표적으로 쓰인다. 상기 능동 구동 방식의 평판 표시 장치는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 능력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표시장치의 대면적화에 더욱 유리하다.
이와같은 능동 구동 방식의 평판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각각의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다수의 배선 및 화소전극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테면,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저 저항체의 도전물질로 Al, Mo, Cu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은 Mo, Cr, Al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소전극으로는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전막은 단일막으 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더욱 좋은 특성을 얻기 위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막은 에칭속도차이와 같은 특성이 서로 달라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식각액으로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해야 하므로 식각 공정을 위한 장비도 다르게 사용해야 한다. 이로써,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및 다수의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들은 공정이 복잡해질수 있으며,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막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테면, 알루미늄과 ITO를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이 제시되었다. 이로써, 게이트 전극과 화소전극을 동일한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공정을 수행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수 있었다. 또한, Mo/AlNd로 이루어진 이중층과 Mo의 단일층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에 관하여 제시되었다. 이로써, 서로 다른 도전막을 동일한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Al, Mo 및 ITO를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에 관하여 알려지지 않아,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식각 공정을 단순화하며,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각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 질산, 초산, 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및 산화조정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층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을 식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패터닝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막 상에 감광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 성막을 노광하여 패터닝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감광성막에 대하여 상기 도전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이며,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 질산, 초산,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산화조정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도전막을 형성한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대응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한후 패터닝하여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콘텍홀을 구비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텍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3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 및 화소전극은 동일한 식각액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각액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 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및 몰리브덴(M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상기 제 3 도전막은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각 조성물은 질산, 인산, 초산, 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각 조성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층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을 식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각 조성물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질산은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식각 조성물 중 상기 질산의 함량은 상기 도전막이 Mo/AlNd로 이루어진 이중막을 식각하는데 있어서, 식각 선택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3 내지 15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질산의 함량이 3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 조성물에 상기 Mo/AlNd로 이루어진 이중막을 습식식각하는 경우에 언더컷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인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질산과 알루미늄이 반응하여 발생한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를 적절히 분해하여 도전막의 식각 속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식각 조성물 중 상기 인산의 함량은 40 내지 70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산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식각액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어 린스시 상기 식각액의 제거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과도한 식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인산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에 도전막의 식각 속도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초산은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식각 조성물 중 상기 초산의 함량은 적절한 식각 속도의 조절을 고려하여 5 내지 35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초산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 식각하고자 하는 도전막이 Mo/AlNd일 경우에 언더컷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물은 질산과 알루미늄이 반응하여 생성된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를 분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식각 조성물을 희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물은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여과한 순 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은 18㏁이상의 비저항을 가지는 초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및 산화조정제일 수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Cl-로 해리될 수 있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KCl, HCl, LiCl, NaCl, NH4Cl, CuCl2, FeCl3, FeCl2, CaCl2, CoCl2, NiCl2, ZnCl2, AlCl3, BaCl2, BeCl2, BiCl3, CdCl2, CeCl2, CsCl2, CrCl3 및 H2Pt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비정질의 ITO, Mo 단일막 및 Mo/AlNd 이중막의 식각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식각액 조성물 중 상기 염소계 화합물의 함량은 Mo/AlNd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도전막에서 상기 AlNd층의 언더컷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정질 ITO와 Mo 단일막의 우수한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0.02 내지 5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염소계 화합물이 0.02 중량% 미만일 경우에 비정질 ITO의 식각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Mo/AlNd 이중막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NH4NO3, KNO3, LiNO3, Ca(NO3)2, NaNO3, Zn(NO3)2, Co(NO3)2, Ni(NO3)2, Fe(NO3)3, Cu(NO3)2 및 Ba(N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 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Mo 단일막으로 이루어진 도전막의 식각 속도 및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 중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의 함량은 0.05 내지 5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Mo 단일막에서 역테이퍼 및 숄더(shoulder)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5 중량% 초과일 경우 Mo 단일막의 식각 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H2SO4, Na2SO4, Na2S2O8, K2SO4, K2S2O8,CaSO4, (NH4)2SO4 및 (NH4)2S2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Mo 단일막의 식각 속도 및 프로파일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식각액 조성물 중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0.05 내지 5 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이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 Mo 단일막으로 이루어진 도전막을 식각할 경우에 양측 편차(CD-Bias)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이 5 중량% 초과하게 되면, Mo 단일막의 식각 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화조정제는 KMnO4, K2Cr2O7, NaClO, NaClO2, NaClO2, NaClO3, NaClO4, HClO4 및 H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산화조정제는 Mo/AlNd의 균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금속막 표면에 부분적으로 부동태산화막을 형성하여 식각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는 상기 알루미늄이 상기 Mo단일막보다 식각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의 식각 속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 중 상기 산화조정제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조정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 Mo/AlNd 이중막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면에 1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Mo 단일막에서 역 테이퍼 형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및 몰리브덴(Mo)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일지라도 상기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각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기판(10)이 제공되고, 상기 기판(10) 상에 도전막(20)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20)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층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일 수 있다.
상기 도전막(20)상에 감광성막(30)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감광성막(30)상에 상기 도전막(20)을 패턴하고자 하는 형태를 가지는 노광마스크(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정렬한 후, 상기 노광마스크로 자외선 광을 조사한다. 이로써, 상기 감광성막(30)에 노광마스크의 형상에 따라 자외선 광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감광 성막(30)은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이 제거되는 음성 또는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이 제거되는 양성의 감광성막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감광성막(30)에 현상액을 적용하면 상기 도전막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감광성 패턴(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 도 1c에서와 같이 노출된 도전막을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하여 도전막 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Cl-로 해리될 수 있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KCl, HCl, LiCl, NaCl, NH4Cl, CuCl2, FeCl3, FeCl2, CaCl2, CoCl2, NiCl2, ZnCl2, AlCl3, BaCl2, BeCl2, BiCl3, CdCl2, CeCl2, CsCl2, CrCl3 및 H2Pt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NH4NO3, KNO3, LiNO3, Ca(NO3)2, NaNO3, Zn(NO3)2, Co(NO3)2, Ni(NO3)2, Fe(NO3)3, Cu(NO3)2 및 Ba(N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H2SO4, Na2SO4, Na2S2O8, K2SO4, K2S2O8,CaSO4, (NH4)2SO4 및 (NH4)2S2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산화조정제는 KMnO4, K2Cr2O7, NaClO, NaClO2, NaClO2, NaClO3, NaClO4, HClO4 및 H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에,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감광성 패턴(30)를 제거함으로써, 도전막 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바,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기판상에 ITO를 증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ITO막 상에 감광성막을 형성한후 노광 및 현상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ITO막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감광성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후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사용하여 노출된 상기 ITO막을 식각한 후, 감광성막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ITO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ITO막을 식각하고 감광성막 패턴을 제거하기 전과 후의 단면을 SEM을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예 2>
기판상에 Mo를 증착하여 Mo 단일막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Mo 단일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3>
기판상에 AlNd 합금과 Mo를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Mo/AlNd 이중막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Mo/AlNd 이중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식각액 조성물의 함량이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다른 식각액을 이용하여 Mo/AlNd 이중막을 식각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Mo/AlNd 이중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식각액 조성물의 함량이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다른 식각액을 이용하여 Mo 단일막을 식각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Mo단일막 패턴을 형성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험예들과 비교예들에서 사용된 식각액 조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구분 실험예 1 내지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인산 60 38 60 60 60 60 60 60
질산 6 6 2 6 6 6 6 6
초산 12 12 12 4 12 12 12 12
산화조정제 4 4 4 4 0.5 4 4 4
염소계 화합물 0.1 0.1 0.1 0.1 0.1 5.5 0.1 0.1
질화염계 화합물 0.05 0.05 0.05 0.05 0.05 0.05 0.02 0.05
황화염계 화합물 2 2 2 2 2 2 2 0.02
15.85 37.85 19.85 23.85 19.35 10.45 15.88 17.83
(단위 : 중량%)
도 2a 및 도 2b는 <실험예 1>에서 형성된 ITO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2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ITO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2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표 1>에서 제시한 식각액을 이용하여 ITO막을 식각하는 경우에 30 내지 60°의 테이퍼각을 가지는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ITO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 및 도 3b는 <실험예 2>에서 형성된 Mo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3a는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3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표 1>에서 제시한 식각액을 이용하여 Mo 단일막을 식각하는 경우에 45 내지 70°의 테이퍼각을 가지는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Mo 단일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a 및 도 4b는 <실험예 3>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4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4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표 1>에서 제시한 식각액을 이용하여 Mo/AlNd 이중막을 식각하는 경우에 있어서, AlNd의 언더컷 현상이 없는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Mo/AlNd 이중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동일한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즉, 60 중량 %의 인산, 6 중량%의 질산, 12중량%의 초산, 4 중량%의 산화안정제, 0.1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및 2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식각액으로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전막이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면서 식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a 및 도 5b는 <비교예 1>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5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5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인산의 함량이 40 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AlNd 이중막 패턴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하였고, 또한, Mo 단일막의 프로파일이 불량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 2>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6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6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질산의 함량을 3 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AlNd 이중막패턴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하였고, 또한, Mo 단일막패턴의 프로파일이 불량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a 및 도 7b는 <비교예 3>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7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7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초산의 함량이 5 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AlNd 이중막 패턴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a 및 도 8b는 <비교예 4>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8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8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산화조정제의 함량이 1 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AlNd 이중막 패턴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a 및 도 9b는 <비교예 5>에서 형성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9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AlNd 이중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9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염소계 화합물의 함량이 5 중량%초과된 식각액을 이용하는 경우에 도 9a에서와 같이, 감광성 패턴이 분해되어 상기 AlNd 이중막을 완전히 보호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AlNd 이중막 패턴에서 언더컷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예 6>에서 형성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10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10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질화염계 화합물의 함량이 0.05 중량%미만인 식각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Mo 단일막 패턴에서 역테이펴 현상 및 숄더(shoulder)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a 및 도 11b는 <비교예 7>에서 형성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을 측정한 SEM 사진이다.
여기서, 도 11a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식각액 조성물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식각된 Mo 단일막 패턴의 단면으로써,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11b는 상기 감광성 패턴(PR)을 제거한 후의 사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황화염계 화합물의 함량이 0.05 중량%미만을 가지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Mo 단일막 패턴의 양측편차(CD-Bias)가 너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막 즉, Mo 단일막, ITO막 및 Mo/AlNd이중막을 동일한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식각하기 위해서는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10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00)은 플라 스틱, 유리 또는 금속기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0)상에 제 1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배선(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게이트 전극(11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110)은 몰리브덴(Mo)과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110)상에 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은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상기 화학기상증착법(CVD)은 저압화학기상증착법(LPCVD), 상압화학기상증착법(APCVD) 및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PECV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게이트 전극(110)과 대응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액티브층(131)과 오믹 콘텍층(132)을 적층하여 반도체층(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층(131)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오믹 콘텍층(132)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상기 반도체층(130)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소스/드레인 전극(140a, 140b)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소스/드레인 전극(140a, 140b)은 몰리브덴(Mo) 단일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게이트 전극(110),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40a, 140b) 및 상기 반도체층(130)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배선 및 소스/드레인 전극(140a, 140b) 상에 보호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콘텍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150)은 질화실리콘, 산화실리콘, 아크릴계 화합물, BCB 또는 PF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콘텍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1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보호층(150) 상에 제 3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화소전극(160)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전극은 투명전극으로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110),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40a, 140b) 및 상기 화소전극(160)을 이루는 각 도전막은 동일한 식각액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각액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톰 게이트(bottom gate)형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 하는 방법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탑 게이트(top gate)형 박막트랜지스터와 같은 다른 형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함에 있어 상술한 식각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후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방법에 의해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한다.
이를테면,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액정표시장치일경우에는 컬러필터와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대향기판을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과 부착시킨후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일 경우에는 상기 화소 전극상에 발광층을 포함한 유기층을 형성한 후, 상기 유기층 상에 대향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층은 전하 수송층 또는 전하 주입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 데이터 배선 및 소스/드레인 전극, 화소전극이 다른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경우에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을 더욱 단순화하여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및 ITO를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액 조성물이 제공됨에 따라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 및 화소전극을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어, 공정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식각 공정을 단순화시킬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인산, 질산, 초산, 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및 산화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KCl, HCl, LiCl, NaCl, NH4Cl, CuCl2, FeCl3, FeCl2, CaCl2, CoCl2, NiCl2, ZnCl2, AlCl3, BaCl2, BeCl2, BiCl3, CdCl2, CeCl2, CsCl2, CrCl3 및 H2Pt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NH4NO3, KNO3, LiNO3, Ca(NO3)2, NaNO3, Zn(NO3)2, Co(NO3)2, Ni(NO3)2, Fe(NO3)3, Cu(NO3)2 및 Ba(N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H2SO4, Na2SO4, Na2S2O8, K2SO4, K2S2O8, CaSO4, (NH4)2SO4 및 (NH4)2S2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정제는 KMnO4, K2Cr2O7, NaClO, NaClO2, NaClO2, NaClO3, NaClO4, HClO4 및 H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층막 또는 이들의 적층막을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각액 조성물.
  8.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막 상에 감광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막을 노광하여 패터닝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감광성막에 대하여 상기 도전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I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이며,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인산, 질산, 초산, 염소계 화합물, 질화염계 화합물, 황화염계 화합물, 산화조정제 및 물을 포함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KCl, HCl, LiCl, NaCl, NH4Cl, CuCl2, FeCl3, FeCl2, CaCl2, CoCl2, NiCl2, ZnCl2, AlCl3, BaCl2, BeCl2, BiCl3, CdCl2, CeCl2, CsCl2, CrCl3 및 H2Pt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NH4NO3, KNO3, LiNO3, Ca(NO3)2, NaNO3, Zn(NO3)2, Co(NO3)2, Ni(NO3)2, Fe(NO3)3, Cu(NO3)2 및 Ba(N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H2SO4, Na2SO4, Na2S2O8, K2SO4, K2S2O8,CaSO4, (NH4)2SO4 및 (NH4)2S2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정제는 KMnO4, K2Cr2O7, NaClO, NaClO2, NaClO2, NaClO3, NaClO4, HClO4 및 H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14.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도전막을 형성한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대응되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한후 패터닝하여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분을 노출하는 콘텍홀을 구비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콘텍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3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 소스/드레인 전극 및 화소전극은 동일한 식각액 조성물로 이루어진 식각액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액 조성물은 40 내지 70 중량%의 인산, 3 내지 15 중량%의 질산, 5 내지 35중량%의 초산, 0.02 내지 5중량%의 염소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질화염계 화합물, 0.05 내지 5중량%의 황화염계 화합물, 1 내지 10중량%의 산화조정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계 화합물은 KCl, HCl, LiCl, NaCl, NH4Cl, CuCl2, FeCl3, FeCl2, CaCl2, CoCl2, NiCl2, ZnCl2, AlCl3, BaCl2, BeCl2, BiCl3, CdCl2, CeCl2, CsCl2, CrCl3 및 H2Pt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염계 화합물은 NH4NO3, KNO3, LiNO3, Ca(NO3)2, NaNO3, Zn(NO3)2, Co(NO3)2, Ni(NO3)2, Fe(NO3)3, Cu(NO3)2 및 Ba(NO3)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염계 화합물은 H2SO4, Na2SO4, Na2S2O8, K2SO4, K2S2O8,CaSO4, (NH4)2SO4 및 (NH4)2S2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정제는 KMnO4, K2Cr2O7, NaClO, NaClO2, NaClO2, NaClO3, NaClO4, HClO4 및 H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막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디늄 합금(AlNd) 및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막은 IT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50072338A 2005-08-08 2005-08-08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eased KR20070017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38A KR20070017762A (ko) 2005-08-08 2005-08-08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06166288A JP2007049120A (ja) 2005-08-08 2006-06-15 エッチング液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導電膜のパターニング方法並びに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11/453,079 US7582217B2 (en) 2005-08-08 2006-06-15 Etchant composition, methods of patterning condu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0610090316XA CN1912187B (zh) 2005-08-08 2006-06-29 蚀刻剂组合物和用其构图导电层和制造平板显示器的方法
TW095123915A TWI324639B (en) 2005-08-08 2006-06-30 Etchant composition, methods of patterning condu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2/461,202 US8052889B2 (en) 2005-08-08 2009-08-04 Etchant composition, and methods of patterning condu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38A KR20070017762A (ko) 2005-08-08 2005-08-08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762A true KR20070017762A (ko) 2007-02-13

Family

ID=3771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338A Ceased KR20070017762A (ko) 2005-08-08 2005-08-08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82217B2 (ko)
JP (1) JP2007049120A (ko)
KR (1) KR20070017762A (ko)
CN (1) CN1912187B (ko)
TW (1) TWI324639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222A3 (ko) * 2009-08-13 2011-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구리 배선의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WO2011062400A3 (ko) * 2009-11-17 2011-09-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107545B1 (ko) * 2009-11-27 2012-01-31 솔브레인 주식회사 구리막의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1371606B1 (ko) * 2007-04-27 2014-03-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용 식각 조성물
KR101403251B1 (ko) * 2007-07-20 2014-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 형성방법
KR101404511B1 (ko) * 2012-07-24 2014-06-09 플란제 에스이 식각액 조성물, 및 다중금속막 식각 방법
KR101436167B1 (ko) * 2008-04-23 2014-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453088B1 (ko) * 2008-01-24 2014-10-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478809B1 (ko) * 2008-06-02 2015-01-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금속막 에칭 용액 및 이를 이용한 금속막 에칭 방법
KR20150032487A (ko) * 2013-09-18 2015-03-26 간토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산화물 에칭액 조성물 및 에칭 방법
KR101507159B1 (ko) * 2008-09-02 2015-03-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WO2015046794A1 (ko) * 2013-09-24 2015-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배선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형성 방법
US9209272B2 (en) 2013-09-11 2015-12-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Oxidation and etching post metal gate C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175B1 (ko) * 2004-11-03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체용 식각액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1160829B1 (ko) * 2005-02-15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DE102006008261A1 (de) * 2006-02-22 2007-08-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Ätzlösung und Verfahren zur Strukturierung eines UBM-Schichtsystems
KR101299131B1 (ko) * 2006-05-10 2013-08-2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식각 조성물
KR100817366B1 (ko) * 2007-04-11 2008-03-2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93599B1 (ko) * 2007-09-18 2014-05-1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Tft-lcd용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20090059961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용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식각액 조성물
CN100585837C (zh) * 2008-03-17 2010-01-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的形成方法
CN102206821B (zh) * 2010-03-31 2013-08-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蚀刻液及其蚀刻方法
CN102373473A (zh) * 2010-08-06 2012-03-14 东友Fine-Chem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坡面型刻蚀装置的刻蚀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20032904A (ko) * 2010-09-29 2012-04-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181867A (zh) * 2011-04-11 2011-09-14 江阴市润玛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酸性钼铝蚀刻液和制备工艺
SG187274A1 (en) 2011-07-14 2013-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tching method and devices produced using the etching method
KR102009250B1 (ko) * 2011-09-09 2019-08-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구리계 금속막/금속 산화물막의 식각액 조성물
KR101832184B1 (ko) * 2011-11-08 2018-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766488B1 (ko) * 2011-12-15 2017-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CN103255417B (zh) * 2011-12-16 2016-01-20 江阴润玛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酸性钼铝钼蚀刻液及其制备工艺
KR101925305B1 (ko) * 2011-12-28 2018-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금속 나노 입자를 함유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 형성 방법 및 에칭액
WO2013136624A1 (ja) * 2012-03-13 2013-09-19 株式会社Adeka エッチング液組成物及びエッチング方法
KR102069158B1 (ko) * 2012-05-10 2020-01-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배선의 형성 방법,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KR101922625B1 (ko) 2012-07-03 2018-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 배선 식각액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140086668A (ko) * 2012-12-28 2014-07-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금속 산화물막의 식각액 조성물
KR102087791B1 (ko) * 2013-03-27 2020-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식각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 방법 및 표시 기판의 제조방법
KR102166450B1 (ko) * 2013-09-25 2020-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형성 방법
KR102190370B1 (ko) 2014-01-10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972075A (zh) * 2014-05-05 2014-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刻蚀方法和阵列基板
CN103996618B (zh) * 2014-05-09 2017-01-18 上海大学 Tft电极引线制造方法
US9868902B2 (en) 2014-07-17 2018-01-16 Soulbrain Co., Ltd. Composition for etching
JP6599176B2 (ja) * 2015-08-28 2019-10-30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ターボ冷凍装置
WO2017051872A1 (ja) * 2015-09-25 2017-03-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導電性粒子、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構造体
CN105330166B (zh) * 2015-11-24 2018-03-06 陈锋 一种环保型的玻璃蒙砂液及其制备方法
CN106186714A (zh) * 2016-07-15 2016-12-07 天津美泰真空技术有限公司 一种抑制tft液晶显示屏减薄后凹点的蚀刻液
KR20180079923A (ko) * 2017-01-03 2018-07-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935131B1 (ko) * 2017-02-02 2019-01-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은 함유 박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KR102223681B1 (ko) * 2018-05-30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 형성 방법
CN113169116A (zh) * 2018-11-30 2021-07-23 应用材料公司 图案化金属层的方法
CN109706455B (zh) * 2019-02-18 2022-03-18 湖北兴福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蚀刻速率与选择比的铝蚀刻液及其制备方法
CN112615057B (zh) * 2020-12-15 2022-08-23 广东微电新能源有限公司 固态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及其固态锂离子电池
CN113322072B (zh) * 2021-06-25 2022-06-03 江阴润玛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性ito蚀刻液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373B2 (ja) * 1992-03-12 2001-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20040140288A1 (en) * 1996-07-25 2004-07-22 Bakul Patel Wet etch of titanium-tungsten film
KR100379824B1 (ko) * 2000-12-20 2003-04-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식각용액 및 식각용액으로 패턴된 구리배선을 가지는전자기기용 어레이기판
KR100685920B1 (ko) * 2001-06-13 2007-02-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30041694A (ko) 2001-11-21 2003-05-27 테크노세미켐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용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전극용 식각액조성물
CN1282024C (zh) * 2002-07-03 2006-10-25 Nec液晶技术株式会社 液晶显示器的有源矩阵基板及其制造方法
JP4478383B2 (ja) * 2002-11-26 2010-06-09 関東化学株式会社 銀を主成分とする金属薄膜のエッチング液組成物
US7300601B2 (en) * 2002-12-10 2007-11-2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Passivativ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omposition for copper film planarization
WO2004101222A2 (en) * 2003-05-12 2004-11-25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ompositions for step-ii copper liner and other associated material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4356616A (ja) 2003-05-28 200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配線用エッチング液及びこれを利用した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の製造方法
US7112458B2 (en) * 2003-10-02 2006-09-26 Tpo Displays Corp. Method of forming a liquid crystal display
KR20040029289A (ko) 2003-11-14 2004-04-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층을 함유한 다층막 및단일막 식각액 조성물
JP2005163070A (ja) * 2003-11-28 2005-06-23 Sharp Corp エッチング液およびエッチング方法
US7368794B2 (en) * 2004-08-02 2008-05-06 Caruso Anthony N Boron carbide particle detectors
KR101122231B1 (ko) * 2004-12-1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반도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244B1 (ko) * 2005-06-28 2012-06-1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알루미늄, 몰리브덴, 인듐-틴-옥사이드를 식각하기 위한 식각액
KR101219046B1 (ko) * 2005-11-17 2013-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197059B1 (ko) * 2006-07-11 2012-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1376B1 (ko) * 2006-08-11 2013-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TWI378989B (en) * 2006-09-01 2012-12-11 Taiwan Tft Lcd Ass Etchant for patterning composite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sam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06B1 (ko) * 2007-04-27 2014-03-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용 식각 조성물
KR101403251B1 (ko) * 2007-07-20 2014-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 형성방법
KR101453088B1 (ko) * 2008-01-24 2014-10-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의 형성방법
KR101436167B1 (ko) * 2008-04-23 2014-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478809B1 (ko) * 2008-06-02 2015-01-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금속막 에칭 용액 및 이를 이용한 금속막 에칭 방법
KR101507159B1 (ko) * 2008-09-02 2015-03-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WO2011019222A3 (ko) * 2009-08-13 2011-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구리 배선의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WO2011062400A3 (ko) * 2009-11-17 2011-09-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N102576171A (zh) * 2009-11-17 2012-07-11 东友Fine-Chem股份有限公司 制造用于液晶显示装置的阵列基板的方法
KR101107545B1 (ko) * 2009-11-27 2012-01-31 솔브레인 주식회사 구리막의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KR101404511B1 (ko) * 2012-07-24 2014-06-09 플란제 에스이 식각액 조성물, 및 다중금속막 식각 방법
US9209272B2 (en) 2013-09-11 2015-12-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Oxidation and etching post metal gate CMP
US9564511B2 (en) 2013-09-11 2017-0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Oxidation and etching post metal gate CMP
US9917173B2 (en) 2013-09-11 2018-03-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Oxidation and etching post metal gate CMP
KR20150032487A (ko) * 2013-09-18 2015-03-26 간토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산화물 에칭액 조성물 및 에칭 방법
WO2015046794A1 (ko) * 2013-09-24 2015-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배선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2889B2 (en) 2011-11-08
US20070029280A1 (en) 2007-02-08
TWI324639B (en) 2010-05-11
JP2007049120A (ja) 2007-02-22
US7582217B2 (en) 2009-09-01
CN1912187A (zh) 2007-02-14
TW200706700A (en) 2007-02-16
US20100032613A1 (en) 2010-02-11
CN1912187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7762A (ko) 식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전막의 패터닝 방법 및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68956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8119833A1 (de)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am kopf befestigte anzeige aufweisend diesel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4988242B2 (ja) 配線形成方法
CN101431065B (zh) 金属布线层及其制造方法
US20100032186A1 (en) Transparent electrode fo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417383A (zh) 腐蚀剂和具有用腐蚀剂蚀刻之铜线的阵列式基片
US20110227085A1 (en) Substrate for use in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including same
JP4289682B2 (ja) エッチング組成物、及び液晶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US9312279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8265296B (zh) 蚀刻液组合物、配线、显示装置用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20230037016A (ko)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패턴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US20110256485A1 (en) Etchant composition, patterning condu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601552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178413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887982B (zh) 一种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设备
US864790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68112A (ko) 어레이 기판용 식각액 및 이를 이용한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US20190288015A1 (en) Etcha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ttern and array substrate using the same
JP541123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2312528B2 (en) Etchan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3311182B (zh) 制造用于面内切换模式液晶显示器装置的阵列基板的方法
KR20140091401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6077B1 (ko) 알루미늄, 몰리브덴, 인듐 틴 옥사이드를 식각하기 위한식각액
KR102282955B1 (ko) 인듐산화막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129

Appeal identifier: 2012101010392

Request date: 2012121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3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2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10

Effective date: 201311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0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210

Decision date: 20131129

Appeal identifier: 2012101010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