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377A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12377A KR20070012377A KR1020067019765A KR20067019765A KR20070012377A KR 20070012377 A KR20070012377 A KR 20070012377A KR 1020067019765 A KR1020067019765 A KR 1020067019765A KR 20067019765 A KR20067019765 A KR 20067019765A KR 20070012377 A KR20070012377 A KR 20070012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sole
- outer frame
- foot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샌들(1)은 소울(3)을 그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틀(9)과 외측 틀(9) 내에 적당한 간격(11)을 두고 설치되는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의 가로대 요소(13)로 구성되는 내측 가로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들(21)은 소울(3)에 밑바닥면 개구(23)와 상면 개구(25)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경사 구멍부(27)를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들(31)은 외측 틀(9)과 내측 가로대(15)에 의하여 구획된 개구부(33)를 밑바닥면 개구(23)와 상면 개구(25)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했다. The sandal 1 is composed of an outer frame 9 which forms the sole 3, and a rod-shaped or plate-shaped rib element 13 which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11 in the outer frame 9. The inner crosspiece 15 is provided. In the sandal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clined hole portions 27 are provided in the sole 3 so that the bottom opening 23 and the top opening 25 are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andals 3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an angle so that the bottom opening 23 and the top opening 25 are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opening 33 partitioned by the outer frame 9 and the inner crossbar 15. di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을 올려놓는 소울(sole)과 발등을 덮는 어퍼 등의 덮개부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래사장 등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소울의 구조를 갖는 샌들이나 통기성이 높은 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비치 샌들은 모래사장 등에서 사용됨에 따라 소울 밑바닥면에 수분을 함유한 모래가 덩어리로 되어 부착되거나, 마른 모래가 날아 올라, 소울 상면에 퇴적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비치 샌들을 신은 채 물가나 풀사이드의 얕은 곳에 들어간 경우에, 뜻밖에, 물의 저항을 받아, 걷기 어렵거나, 제대로 걷지 못하여 미끄러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발이 물에 젖은채로 비치 샌들을 신었을 경우에는, 발바닥이 비치 샌들의 소울 상면에 밀착해버려, 습기 차기 쉬워진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As beach sandals have been used on sandy beaches, watery sand has agglomerated and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soul, or dry sand flew up and deposited on the top of the soul. In addition, in the case of entering the shallows of the waterside or poolside while wearing beach sandals, there is a risk of unexpectedly being subjected to water resistance and difficult to walk or slipping due to poor walking. In addition, when the feet are wet with water and the beach sandals are wor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es adhere to the sole upper surface of the beach sandals and the moisture becomes easy.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나막신대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관통하는 무수한 공기구멍을 설치한 지압효과를 갖는 나막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샌들이나 나막신은 지압효과 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비치 샌들에 적용한 사례로는 되어 있지 않다. 가령, 작은 요철이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샌들을 모래사장 등에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상기의 모래의 부착 문제가 여전히 생기고, 구멍직경이 작은 구멍을 설치했다고 해도, 물의 저항 문제나 습기차는 문제는 개선되지 않는다. In addition,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구멍직경이 작은 다수의 구멍을 샌들에 적용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샌들(101)의 소울(103)에, 소울(103)의 상면으로부터 밑바닥면에 걸쳐서 구멍(105)이 직선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잘못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돌기물(107)을 밟아, 그 돌기물(107)이 구멍(105)으로 빠져들어가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소울(103)이 돌기물(107)의 진입을 방해하는 것에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었다고 해도 돌기물(107)이 소울(103)을 관통하여 소울(103)의 상면에 이르고만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holes having a small hole diameter as disclosed in
상기한 습기차는 문제는 어퍼가 발등 전체를 덮고 있는 신에서 특히 현저하다. 예를 들면 의사나 간호사는 병원 내에서도 신을 신는 일이 많지만, 근무가 장시간에 걸쳐서 연속되므로 어떻게 해도 신 내부가 습기차게 되어, 상당한 불쾌감을 발생하게 된다. The above moisture problem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scenes in which the upper covers the entire instep. For example, doctors and nurses often wear shoes in hospitals, but since the work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inside of the shoes becomes wet anyway, which causes considerable discomfort.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성 제7-39501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7-39501 in Japa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기술 및 배경기술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래 등의 부착이 적고, 수중에서 사용한 경우의 물의 저항이 적은, 또, 발바닥의 습기참이 발생하기 어렵고, 지압효과도 있으며, 게다가 돌기물의 관통을 방지할 수 있고, 의장적 효과가 높은 샌들 등의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such a background art and a problem that the background art has, and has little adhesion of sand and the like, less water resistance when used in water, and hardly any moistness of the sole is generated. 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hoes such as sandals, which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protrusions and have a high design effe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발을 올려놓는 소울과, 상기 소울에 부착되어 발등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소울은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틀과, 외측 틀 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crosspiece) 요소를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가로대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인접하는 가로대 요소간의 간격은 가로대 요소의 폭치수의 1/3∼3 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a shoe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외측 틀 및 가로대 요소의 둘레면 형상은 부착된 모래 등의 분리를 쉽게 하는 분리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가로대 요소는 소울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hoe according to any one of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가로대 요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재료 중에는 의장적 효과를 갖는 함유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발을 올려놓는 소울에 발등을 덮는 덮개부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소울에는 밑바닥면 개구와 상면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 구멍부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e having the cover portion covering the foot of the sole on which the foot is placed, the so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hole portions formed at an angle so that the bottom opening and the top opening are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a characteristic shoe.
청구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경사 구멍부의 구멍직경은 3 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발을 올려놓는 소울에 발등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소울은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틀과 외측 틀 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 요소를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가로대를 구비하고, 외측 틀과 내측 가로대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는 밑바닥면 개구와 상면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a shoe having a cover portion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back of the foot on the sole on which the foot is placed, the soul is provid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outer frame and the outer frame forming the outer shape, and has a rod shape. And an inner crosspiece form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plate-shaped crossbar elements, and the opening defined by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crosspiece is formed obliquely so that the bottom opening and the top opening are shif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hoes.
청구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신발에 있어서, 신발은 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은 옥내용의 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is a shoe according to any one of
청구범위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신발에 있어서, 덮개부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발명의 효과 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신발인 샌들을 비치 샌들로서 모래사장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가로대 요소간에 형성되는 개구 면적의 큰 간격과, 가로대 요소가 갖는 분리용이한 형상으로 인하여, 소울에의 모래의 부착은 대폭 적어진다. 또한, 소울 상면에의 모래의 퇴적도 발생하지 않고, 샌들을 신고 물에 들어갔다고 하여도 물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걷기 쉽고, 전도 등의 우려도 적다. 또한, 발이 물에 젖은 채로 샌들을 신었다고 하여도 발바닥이 습기차는 일도 없다. Even if sandals, which are the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s sandals on a sandy beach, the sand is attached to the soul due to the large spacing of the opening area formed between the crossbar elements and the easy-to-separate shape of the crossbar elements. In addition, even if sand is not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ul, even if sandals are put on the water, the resistance of the water is small, so it is easy to walk and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falling. Also, even if you wear sandals while your feet are wet, the soles of your feet won't get wet.
또한, 가로대 요소를 구성하는 재료 중에 비드 등의 함유물을 함유한 경우에는 샌들에 의장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울에 경사 구멍부나 비스듬히 형성한 개구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돌기물을 밟았다고 하여도 돌기물이 소울 상면에 도달하는 일도 없다. 또한, 구멍직경이 큰 개구부 등의 존재에 의하여 원료 코스트의 삭감이나 샌들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Moreover, when the material which comprises a crossbar element contains content, such as a bead, it becomes possible to give a design effect to sandals.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hole part or the oblique opening part is provided in the soul, even if the projection is stepped on, the projection does not reach the soul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n opening having a large hole diameter or the like can reduce the raw material cost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sandals.
본 발명의 신발인 신도 발바닥이 습기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울에 경사 구멍부나 비스듬히 형성된 개구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돌기물을 밟았다고 해도 돌기물이 소울 상면에 도달하는 일도 없다. 또한, 구멍직경이 큰 개구부 등의 존재에 의하여 원료 코스트의 삭감이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ongated sole of the shoe, which is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wet, and when the inclination hole or the oblique opening is provided in the sole, the protrusion does not reach the top of the soul even if the protrusion is stepped on.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n opening having a large hole diameter or the like can reduce the raw material cost and reduce the weight.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의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and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anda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은 실시형태 1, 3에 따른 샌들에 있어서 가로대 요소의 형상 및 배열을 바꾼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rossbar elements are changed in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도 9는 실시형태 1, 3에 따른 샌들에 있어서 외측 틀이나 가로대 요소에 시행하는 분리용이한 형상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asy-to-separate shape appli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crossbar element in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e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신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illustrating a sce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2는 샌들에 구멍을 뚫은 경우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roblem in the case of punching a sandal.
이하, 도시한 실시형태 1∼3을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1-3 shown are demonstrated.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또한, 도 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샌들을 도시하 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 3에 따른 샌들에 있어서 가로대 요소의 형상 및 배열을 바꾼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실시형태 1, 3에 따른 샌들에 있어서 외측 틀이나 가로대 요소에 시행하는 분리용이한 형상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신의 사시도,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신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부분 확대단면도(b)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plan view of sand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b) showing sandal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rossbar elements are changed in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9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ther aspect of the easily-separated shape applied to an outer side frame and a crossbar element in the sandals which concerns on
실시형태 1에 따른 신발로서의 샌들(1)은 발을 올려놓는 소울(3)에 발등을 덮는 덮개부로서의 어퍼(5) 내지 코끈(7)을 부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울(3)로서는 적당한 탄성력과 강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경질 우레탄이나 합성고무 등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지만, 더욱 경질한 목제나 다른 경질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를 소울(3)의 재료로서 사용하고 있고, 또한 합성수지 재료 중에 의장적 효과를 갖는 함유물의 일례로서 여러 빛깔의 비드(17)를 군데군데 박아넣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The
또한, 상기한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형태 2, 3에서도 동일하다. In addition, about said point, it is the same also in
소울(3)은 외형을 구성하는 외측 틀(9)과, 외측 틀(9) 내에 적당한 간격(11)을 두고 설치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 요소(13)을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가로대(15)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틀(9)과 가로대 요소(13)는 속이 채워진 것에 한하지 않고, 속이 빈 것이어도 상관없다. Soul (3) is provided by a suitable combination of the outer frame (9)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and the outer frame (9) at an appropriate interval (11), rod-shaped plate-shaped cross element (13). The
외측 틀(9)은 발의 형태에 맞추어 만곡 형성되어 있고, 소울(3)의 윤곽을 구 성하고 있다. 외측 틀(9) 내에는 소울(3)의 길이 방향(도 2 중, 좌우측 방향)을 따르도록 5개의 가로대 요소(13)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The
그리고 인접하는 가로대 요소(13) 사이의 간격(11)의 치수(C)는 비교적 넓게 되어 있어서 가로대 요소(13)의 폭치수(B)의 1/3∼3 배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소울(3)의 이면측으로부터의 모래(A)의 부착을 방지하고, 소울(3)의 상면측으로부터 진입한 모래(A)의 배출을 쉽게 하고 있다. And the dimension C of the space |
또한, 외측 틀(9) 및 가로대 요소(13)의 둘레면 형상은, 부착된 모래(A) 등의 분리, 이탈을 쉽게 하는 분리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틀(9) 및 가로대 요소(13)는 분리용이한 형상의 일례로서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렇게 하여 구성되어 있는 소울(3)에는 도 1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어퍼(5)나 도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코끈(7)이 부착되고 샌들(1)이 완성된다. 어퍼(5)는 발등을 완전하게 피복하는 것 이외에 발끝의 발가락 부분 등 그 일부를 피복하지 않는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The sole 3 comprised in this way is attached with the upper 5 as shown by an imaginary line in FIG. 1, and the
또한, 코끈(7)과 어퍼(5)를 조합시킨 것이나 어퍼(5)를 복수개의 띠끈 형상의 어퍼 요소로 엮은 메쉬 형상의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실시형태 2에 관계되는 신발로서의 샌들(21)은 소울(3)의 구성이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즉, 소울(3)은 도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샌들과 같이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소울(3)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밑바닥면 개구(23)와 상면 개구(25)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 구멍 부(27)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The
또한, 경사 구멍부(27)의 구멍직경(D)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고, 3 ㎜ 이상,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hole diameter D of the
이러한 경사 구멍부(27)를 설치함으로써, 도 5 중의 확대도(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29)이 밑바닥면 개구(23)로부터 경사 구멍부(27) 내로 진입했다고 해도, 경사 구멍부(27)의 경사진 내벽면에 의하여 그 진입은 저지되므로 상면 개구(25)를 통하여 소울(3)의 상면으로 꿰뚫고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providing such
또한, 경사 구멍부(27)의 구멍직경(D)을 비교적 크게 설정함으로써 모래(A)의 부착의 방지, 통기성의 확보, 수중에서의 물의 저항의 저감도 동시에 도모되고 있다. Further, by setting the hole diameter D of the
실시형태 3에 따른 신발로서의 샌들(3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샌들(1)의 구성과 실시형태 2에 따른 샌들(21)의 구성을 조합시킨 것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소울(3)의 구성이 실시형태 1, 2와 상이하다. 즉, 소울(3)은 도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틀(9)과, 외측 틀(9) 내에 적당한 간격(11)을 두고 설치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 요소(13)을 적당하게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가로대(15)를 구비하고 있다. The
그러나 외측 틀(9)과 내측 가로대(15)에 의하여 구획되는 개구부(33)의 구성이 실시형태 1과 상이하고, 이 개구부(33)에 실시형태 2에서 채용한 경사 구멍부(27)의 구성을 도입한 것이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즉, 외측 틀(9)에 대해, 그 내부에 가로대 요소(13)를 길이 방향의 축 중심 에 대하여 다소 기울인 상태에서 외측 틀(9)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That is, with respect to the
이것에 의하여 개구부(33)는 밑바닥면 개구(23)와 상면 개구(25)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Thereby, the opening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도 7 중의 확대도(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물(29)의 소울(3) 상면으로의 관통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방지된다. Even 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b) in FIG. 7, penetration of the
실시형태 4에 따른 신발로서의 신(41)에 대해 설명한다. The
신(41)은 예를 들면 의사나 간호사가 병원 내에서 신는 옥내용이 것으로, 소울(42)과 이 소울(42)에 부착된 덮개부로서의 어퍼(43)를 갖고 있다. The
소울(42)에는 복수의 경사 구멍부(45)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 구멍부(45)는 밑바닥면 개구(47)와 상면 개구(49)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또한, 어퍼(43)에는 다수의 통기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upper 43, a plurality of vent holes 51 are formed.
이 신(41)은 경사 구멍부(45)와 통기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를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한다. 따라서 발의 습기참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또한, 경사 구멍부(45)는 밑바닥면 개구(47)와 상면 개구(49)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물의 소울(42) 상면으로의 관통은 실시형태 2, 3과 마찬가지로 방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그 구체적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들의 형태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best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and th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ere demonstrated in detail, a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se form and embodiment, Comprising: A desig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Even if there exists a change etc., it is included in this invention.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대 요소(13)의 형상, 배열은 도 1, 2,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이고, 툇마루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도 8(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의 가로대 요소(13)를 사용하여 여러 무늬를 본뜬 배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서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평면적인 디자인으로 되기 쉬운 샌들에 입체적인 모양 등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의장적 효과가 향상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또한, 실시형태 1, 3에서, 외측 틀(9)이나 가로대 요소(13)에 시행하는 분리용이한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으로 하는 것 이외에,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원형,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에 라운드를 낸 장방형 형상의 것,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식물의 잎을 본뜬 것과 같은 형상, 또는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마름모 형상 등 여러 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또한, 소울(3)의 재료 중에 군데군데 박아 넣은 함유물은 비드(17) 이외에, 조개껍질의 파편이나 자갈이나 모래, 물고기의 비늘, 색송이(연질 비닐제의 것을 포함함)의 작은 조각, 금박이나 알루미늄박의 작은 조각, 또는 반사 테이프의 작은 조각, 조화 등, 또한 착색한 오일 등의 액체, 그 외에 여러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terial of the sole 3, the thing put in several places is a
실시형태 4에 따른 신(41)의 경사 구멍부(45)는 밑바닥면 개구(47)와 상면 개구(49)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는 둥근 구멍 형상의 것으로 했는데, 신에 대해서 소울을 실시형태 1 또는 3의 샌들의 소울와 마찬가지로 외형을 구성하는 외측 틀과 외측 틀 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 요소를 적당하게 조합하여 형성해도 된다. The
또한, 샌들 또는 신의 소울을 그 외형을 구성하는 외측 틀과 외측 틀 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봉 형상 내지 판 형상인 가로대 요소를 적당하게 조합하여 형성한 경우, 소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외측 틀끼리를 연결하는 리브, 외측 틀과 가로대 요소를 연결하는 리브 및 가로대 요소끼리를 연결하는 리브의 적어도 1개를 형성해도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soul when the sandal or the sole of the shoe is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outer frame and the outer frame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and form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rod-shaped plate elements. At least one of the rib connecting the outer frame, the rib connecting the outer frame and the crossbar element, and the rib connecting the crossbar elements may be formed.
또한, 신은 옥내용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옥외에서 신는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door, but may be applied to outdoor wear.
Claims (1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099271 | 2004-03-30 | ||
JPJP-P-2004-00099271 | 2004-03-30 | ||
JPJP-P-2004-00324569 | 2004-11-09 | ||
JP2004324569A JP4459784B2 (en) | 2004-03-30 | 2004-11-09 | footwe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2377A true KR20070012377A (en) | 2007-01-25 |
Family
ID=3506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9765A Ceased KR20070012377A (en) | 2004-03-30 | 2005-03-28 | shoe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45592A1 (en) |
JP (1) | JP4459784B2 (en) |
KR (1) | KR20070012377A (en) |
WO (1) | WO200509462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02186A (en) * | 2007-06-11 | 2008-12-18 | Hideo Okatsu | Shoe sole (inside), scuff, sandal, and insole |
US8109012B2 (en) * | 2008-10-09 | 2012-02-07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drainage features |
CH700525A1 (en) * | 2009-03-11 | 2010-09-15 | Blue Ozean Mm & P Ag | Shoe sole element. |
DE102009015890A1 (en) * | 2009-04-01 | 2010-10-14 | W. L. Gore & Associates Gmbh | Sole unit for footwear and footwear provided with it |
NZ602815A (en) | 2010-06-25 | 2013-10-25 | Spenco Medical Corp | Contoured support insole |
CN102048296A (en) * | 2010-12-31 | 2011-05-11 | 曾祥军 | massage waterproof breathable shoes |
US9210965B2 (en) | 2011-01-10 | 2015-12-15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footbed |
US10010131B2 (en) | 2011-02-02 | 2018-07-03 | Implus Footcare, Llc | Flow insole |
US9192205B2 (en) * | 2012-03-13 | 2015-11-24 | Converse Inc. | Ball slide sandal |
US9788602B2 (en) | 2012-08-31 | 2017-10-17 | Implus Footcare, Llc | Basketball insole |
GB201312812D0 (en) * | 2013-07-17 | 2013-08-28 | Rogers Bradford | Footwear |
US9808044B2 (en) * | 2013-07-22 | 2017-11-07 | Deborah S Teitz | Modifiable and decorative footwear |
USD750358S1 (en) * | 2014-03-05 | 2016-03-01 | Kiel Partners, LLC | Sandal |
CN104490005B (en) * | 2014-12-23 | 2016-01-06 | 余姚市金星网板厂 | A kind of shoes |
AU2016268834A1 (en) | 2015-05-28 | 2017-11-16 | Impulse Footcare, LLC | Shoe insole |
EP3302149A4 (en) | 2015-05-28 | 2019-01-23 | Implus Footcare, LLC |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
KR20180004178A (en) | 2015-05-28 | 2018-01-10 |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 Outlined Shoe Insole |
CA2980463A1 (en) | 2015-05-28 | 2016-12-01 | Implus Footcare, Llc |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
USD762366S1 (en) | 2015-06-25 | 2016-08-02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Shoe insole |
USD762367S1 (en) | 2015-06-25 | 2016-08-02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Shoe insole |
USD761543S1 (en) | 2015-06-25 | 2016-07-19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Shoe insole |
USD766560S1 (en) | 2015-06-25 | 2016-09-20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58058S1 (en) | 2015-06-25 | 2016-06-07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Heel cup |
USD771921S1 (en) | 2015-06-25 | 2016-11-22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62368S1 (en) | 2015-06-25 | 2016-08-02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Shoe insole |
USD797430S1 (en) | 2015-07-15 | 2017-09-19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97429S1 (en) | 2015-07-15 | 2017-09-19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97428S1 (en) | 2015-07-15 | 2017-09-19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71922S1 (en) | 2015-09-15 | 2016-11-22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78567S1 (en) | 2015-09-17 | 2017-02-14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778040S1 (en) | 2015-09-25 | 2017-02-07 | Implus Footcare, Llc | Shoe insole |
USD814750S1 (en) | 2015-09-25 | 2018-04-10 | Fourfoot, Llc | Sandal |
US20190231029A1 (en) * | 2018-01-30 | 2019-08-01 | The North Face Apparel Corp. | Footwear |
USD960539S1 (en) * | 2018-09-23 | 2022-08-16 | Xiamen Haitian Cheng Network Technology Co., Ltd. | Sport recovery sandal |
US20220202130A1 (en) * | 2020-12-28 | 2022-06-30 | Johnny Michel Khoury | Safe and hygienic sol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69947C (en) * | 1936-07-25 | 1939-01-07 | Carl Oestereich | sandal |
US2081375A (en) * | 1936-08-11 | 1937-05-25 | Robert G Hartman | Sandal |
US3061950A (en) * | 1960-03-08 | 1962-11-06 | Levine Beth | Ventilated shoe |
US3274708A (en) * | 1965-10-14 | 1966-09-27 | George A Lukas | Air circulatory insole |
US20020088140A1 (en) * | 1970-03-10 | 2002-07-11 | Jui-Te Wang | Water drainable sole for footwear |
US4525940A (en) * | 1982-09-19 | 1985-07-02 | Hideto Mochizuki | Beach sandals |
CA1240144A (en) * | 1985-06-28 | 1988-08-09 | Peter Glogowski | Arch support |
US4912858A (en) * | 1987-06-29 | 1990-04-03 | Hideto Mochizuki | Footwear |
JPH01170103A (en) * | 1987-12-24 | 1989-07-05 | Koryo Miura | Phase offset type opening surface antenna |
JP2000060602A (en) * | 1998-08-21 | 2000-02-29 | Hideyo Ozaki | Base board for footwear |
US20030106240A1 (en) * | 2001-01-10 | 2003-06-12 | Jui-Te Wang | Water drainable sole for footwear |
US6769202B1 (en) * | 2001-03-26 | 2004-08-03 | Kaj Gyr | Shoe and sole unit therefor |
JP3081377U (en) * | 2001-04-25 | 2001-11-02 | 請吉 山本 | Shoe soles and shoes using the soles |
US6948260B2 (en) * | 2003-12-24 | 2005-09-27 | Hsi-Liang Lin | 3D air-pumping shoe |
TWM288116U (en) * | 2005-06-29 | 2006-03-01 | Shi-Liang Lin | Air penetration structure for footwear |
-
2004
- 2004-11-09 JP JP2004324569A patent/JP445978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3-28 US US10/594,438 patent/US200702455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3-28 WO PCT/JP2005/005707 patent/WO200509462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3-28 KR KR1020067019765A patent/KR20070012377A/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5094622A1 (en) | 2005-10-13 |
JP4459784B2 (en) | 2010-04-28 |
JP2005312906A (en) | 2005-11-10 |
US20070245592A1 (en) | 2007-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12377A (en) | shoes | |
US7631440B2 (en) |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 |
US8015729B2 (en) | Draining insole for shoes | |
US4525940A (en) | Beach sandals | |
CN201238657Y (en) | Footwear article suitable for riding | |
US5513450A (en) | Sand soccer boot | |
JP2000166606A (en) | Ventilation member for shoe sole and ventilation shoe provided with the same | |
RU2325826C2 (en) | Waterproof and vented footware | |
KR20200099605A (en) | shoes | |
US7293370B2 (en) | Fitting system for children's footwear | |
US20100024255A1 (en) | Item of Footwear with Ventilated Sole | |
KR200332202Y1 (en) | The structure of shoes' sole having qualities of waterproof, well-ventilation, and good-safety | |
US20090071040A1 (en) | Felt sole with improved traction | |
KR100564792B1 (en) | Shoe soles with vents at the bottom and outer periphery | |
JP3147171U (en) | slipper | |
GB2183140A (en) | Shoe sole protection device | |
JP3121397U (en) | socks | |
KR200248603Y1 (en) | Shoes made of the outsole with air holes | |
EP1811873A1 (en) | Fitting system for children's footwear | |
KR20070094530A (en) | Non-slip footwear | |
JP2005218523A (en) | Shoe | |
JP2003024107A (en) | Boots | |
KR0124162Y1 (en) | Slipper | |
CN209825356U (en) | Leisure shoes | |
TWM377900U (en) | Creek-bed tilted-stripe slipping-prevention water-exhausting ventilation slipp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