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10717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717A
KR20070010717A KR1020050065517A KR20050065517A KR20070010717A KR 20070010717 A KR20070010717 A KR 20070010717A KR 1020050065517 A KR1020050065517 A KR 1020050065517A KR 20050065517 A KR20050065517 A KR 20050065517A KR 20070010717 A KR20070010717 A KR 2007001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mobile communication
fold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717A/en
Publication of KR2007001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에 대한 듀얼 스피커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시켜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의 어느 한 몸체에 마련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가 형성된 몸체를 제외한 다른 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마이크를 갖는 메인부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피커를 갖는 폴더부이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양측으로 배치되는 스테레오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한 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한 쪽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마이크에 대한 스피커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시켜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that relatively separate the positions of the dual speakers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to suppress the re-inpu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microphone by the microphone.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consisting of at least two or more bodies; A microphone provided in any one body of the terminal body; And a speaker provided in a body other than the body in which the microphone is formed. One of the two or more bodies is a main part having the microphone, and the other is a folder part having the speaker. Preferably, the speaker is a stereo speaker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folder portion. More preferably, the speak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folder portion, and the speaker is dispos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lder portion.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is relatively far apart, thereby preven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from being re-input into the microphone, thereby preventing generation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Description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Portable phone having a dual stereo speaker}Mobile phone having a dual speaker {Portable phone having a dual stereo sp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are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단말기 본체 12 : 메인부10: terminal body 12: main part

14 : 폴더부 17 : LCD패널14: folder 17: LCD panel

20 : 폴더 하우징 30,30a : 스피커20: folder housing 30,30a: speaker

본 발명은,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에 대한 듀얼 스피커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시켜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내부적인 공명과 울 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internal resonance and to suppress the re-inpu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microphone by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of the dual speaker relative to the micro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to prevent generation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ringing.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더형으로 구분되며,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a flip type, a folder type, and a slider typ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have recently become a necessity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gender. In addition, as the technology develop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becoming more diverse.

이와 같이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과 같이 단순히 통화를 하는 통신수단에서 벗어나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는 복합적인 전자기기로 탈바꿈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omplex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music stored in a built-in flash memory, instead of a communication means of simply making a call.

뿐만 아니라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이어폰을 통해 단독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도 있고, 혹은 외장형 스피커를 통해 여러 명이 함께 음악을 즐길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way of listening to music, you can listen to music alone through earphones, or multiple people can enjoy music through external speakers.

보다 탁월한 음질 향상을 추구하기 위해, 근자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는 본체의 양방향에 외장형 스테레오 스피커를 장착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즉, 힌지의 양단에 상대적으로 큰 대구경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각각 듀얼로 장착함으로써 원음에 가까운 탁월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sound quality, so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ecently introduced with external stereo speakers mounted in both directions of the main body. In other words, dual large stereo speakers ar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hinge to provide excellent sound effects close to the original sound.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의 양단에 듀얼 스피커를 장착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가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부에 마련된 마이크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입력되어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dual speakers at both ends of the hinge,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provided in one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is relatively Since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is input to the microphone again, there is a problem of howling, echo, and noise caused by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에 대한 듀얼 스피커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시켜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by suppressing the re-input of the microphone output sound from the speaker by remotely spaced relative position of the dual speaker relative to the micro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ne dual speaker.

상기 목적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어느 한 몸체에 마련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가 형성된 몸체를 제외한 다른 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the terminal body consisting of at least two bodies; A microphone provided in any one body of the terminal body; And a speaker provided in a body other than the body in which the microphone is formed.

여기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마이크를 갖는 메인부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피커를 갖는 폴더부이다.Here, any one of the two or more bodies is a main part having the microphone, and the other is a folder part having the speaker.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양측으로 배치되는 스테레오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peaker is a stereo speaker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folder portion.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한 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한 쪽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speak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folder portion, and the speaker is dispos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lder por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미도시)을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ack (10) coupled to the terminal main body 10 and the terminal main body 10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main body 10 ( Not shown).

단말기 본체(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위, 폴더형이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몸체 중 어느 하나는 메인부(12)이고 다른 하나는 폴더부(14)이다. 도 1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인부(12)와 폴더부(14) 사이에는 폴더부(14)를 메인부(12)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16)가 마련되어 있다.The terminal body 1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bodies.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is a so-called folder type, one of the two or more bodies is the main part 12 and the other is the folder part 14.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a hinge 16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part 12 and the folder part 14 to rotate the folder part 14 with respect to the main part 12.

메인부(12) 및 폴더부(14) 각각은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그 외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메인부(12)에 형성된 하우징에 대해서는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고, 폴더부(14)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폴더 하우징(20, 도 2 참조)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폴더 하우징(20)이라 함은, 폴더부(14)의 외곽 틀을 가리킨다.Each of the main portion 12 and the folder portion 14 is formed by its separate housing. However, hereinafter, the housing formed on the main part 12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housing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folder part 14 will be described as a folder housing 20 (refer to FIG. 2). Shall be. Therefore, the folder housing 20 refers to the outer frame of the folder portion 14.

메인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2a)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버튼(12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이크(12b)가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art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2a. The microphone 12b is formed below the input buttons 12a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or recording a voice message.

입력버튼(12a)들의 상부에는 복수의 조정버튼(1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12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a)들과는 달리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다기능 메뉴를 검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A plurality of adjustment buttons 12c are provided above the input buttons 12a. Unlike the input buttons 12a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these adjustment buttons 12c are used for accessing the Internet or searching a multifunctional menu.

폴더부(14)의 내면에는 화상이 형성되는 LCD패널(17)이 마련되어 있다. LCD패널(17)에는 전화번호나 문자의 표시, 배터리팩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등이 표시된다. LCD패널(17)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이 전달되는 수신부(18)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4, an LCD panel 17 on which an image is formed is provided. The LCD panel 17 displays a phone number or a letter,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pack, whether vibration is present, an alarm state, and the lik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CD panel 17, a receiving unit 18 through which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is provided.

한편, 폴더부(14)의 측면 하부영역에는 LCD패널(17)을 사이에 두고 폴더부(14)의 중심축선에 대해 양측으로 한 쌍의 듀얼 스피커(30)가 마련되어 있다. 듀얼 스피커(30)는 상호 이격되어 스테레오음을 재생할 수 있는 한 쌍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탁월한 음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dual speakers 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older portion 14 with the LCD panel 17 therebetween in the lower side region of the folder portion 14. Since the dual speaker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esent as a pair capable of reproducing stereo sound, it is possible to pursue more excellent sound quality improvement.

종래의 경우, 대부분이 힌지(16)의 양단에 듀얼 스피커(30)를 장착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4)의 측면 하부영역에 듀얼 스피커(30)를 마련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most of the dual speakers 30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hinge 16. However,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speaker 30 is provided.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마이크(12b)에 대해 훨씬 긴 이격거리(L1)를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이격거리(L1)를 확보함으로써 스피커(30)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12b)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much longer distance (L1) relative to the microphone 12b than in the prior art. By sec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L1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3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re-entered into the microphone 12b.

따라서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are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전술한 스피커(30)가 듀얼로 마련되어 있으며, 듀얼 스피커(30)의 후방으로 공명공간(2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above-described speaker 30 is provided in dual inside the folder housing 20, and the resonance space 25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dual speaker 30.

스피커(30)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피커(30)는, 음성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코일(voice coil)(31)과, 보이스코일(31)에 흐르는 음성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보이스코일(31)의 진동을 일으키는 마그네트(magnet)(32)와, 보이스코일(31)의 진동을 전달받아 공기의 압축변동으로 음파를 만드는 콘페이퍼(cone paper)(33)와, 보이스코일(31), 마그네트(32) 및 콘페이퍼(3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프레임(34)을 갖는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30 briefly as follows. The speaker 30 includes a voice coil 31 to which a voice current is applied, and a magnet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by vibrating the voic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31 to caus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31. (32), a cone paper (33)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31) to create a sound wave by the compressed fluctuation of air, the voice coil (31), the magnet (32) and the paper (33) It has a frame 34 that partially accommodates it.

보이스코일(31)은 음성전기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기 입력의 에너지양의 반발에 의해 실질적인 진동력을 발생한다. 마그네트(32)는 보이스코일(31)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끔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The voice coil 31 receives a voice electric signal and generates a substantial vibration force by repulsion of the amount of energy of the received electric input. The magnet 32 serves to induce the voice coil 31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Fleming's left hand law.

즉, 프레임(34) 내에 전자기력이 미치는 자기회로부내로 강력하고 지속적인 직류 자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콘페이퍼(33)는 소위, 진동판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콘페이퍼(33)는 보이스코일(31)의 진동을 전달받아 공기의 압축변동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파를 만들게 된다.In other words, it serves to supply a strong and continuous direct current magnetic flux into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that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frame 34. The cone paper 33 is also called a diaphragm. The paper 33 receives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31 to create a sound wave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uman ear by the compressed variation of air.

이에, 마그네트(32)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벨소리나 혹은 음악,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기능으로서의 엠피쓰리(MP3) 음악을 플레이하여 소리나 음향이 발생하면, 발생한 소리는 보이스코일(31)의 진동을 전달받아 콘페이퍼(33)로 옮겨진다.Thus, when a sound is generated by playing ringtones or music or MP3 (MP3) music as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magnet 32, the generated sound is voice coil 31. Receives the vibration of the paper is moved to the paper 33.

그런 다음, 콘페이퍼(33)가 공기의 압축변동으로 인간의 귀가 인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음파를 만들게 됨으로써 음파는 폴더 하우징(20)의 판면에 형성된 음파통과공(20a)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스피커(30)로써 출력된다.Then, the cone of the paper 33 to produce a sound wave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uman ear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air so that the sound wav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wave passing hole 20a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older housing 20 And output to the speaker 30.

이때, 스피커(30)와 마이크(12b)는 도 1과 같이 상당히 먼 이격거리(L1)로써 상호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3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소리가 마이크(12b)로 재입력되는 것이 그만큼 억제된다. 따라서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speaker 30 and the microphone 1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ubstantially far distance L1 as shown in FIG. 1, the sou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30 is re-entered into the microphone 12b. It is suppressed by tha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듀얼 스피커(30)를 폴더부(14)의 측면 하부영역에 마련함으로써 L1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스피커(30a)는 폴더부(14)의 측면 상부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distance of L1 is secured by providing the dual speaker 30 in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4.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dual speaker 30a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lder unit 1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2b)에 대한 이격거리가 L2 만큼 더 길게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microphone 12b may be as long as L2,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prevent generation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또한, 전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듀얼 스피커(30,30a)가 모두 폴더부(14)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폴더부(14)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스피커(30,30a)를 배치하더라도 무방하며, 마이크(12)에 대한 스피커(30,30a)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oth the dual speakers 30 and 30a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folder portion 14. However, the speaker 30, 30a may be arranged in front or rear of the folder portion 14, and the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of the speaker 30, 30a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12 to secu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12)에 대한 스피커(30,30a)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L1,L2)시켜 스피커(30,30a)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12)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s 30 and 30a by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1 and L2) of the positions of the speakers 30 and 30a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12 is applied to the microphone ( By suppressing the re-input to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owling, echo, noise, etc.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phenomenon.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llustrate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flip type or the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에는 LCD패널(17)이 폴더부(14)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12a)들이 메인부(12)에 마련되어 있지만, LCD패널(17)이 입력버튼(12a)들과 함께 메인부(12)에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LCD패널(17)과 입력버튼(12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을 경우, 상술한 구조들은 메인부(12) 측에 전부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LCD panel 17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4 and the input buttons 12a are provided on the main portion 12 in the drawing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CD panel 17 is connected to the input buttons 12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unit 12 may also be commonly encountered in the vicinity. As such, the LCD panel 17 and the input buttons 12a are irrelevant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y are disposed. In this case, however, the above-described structures should be disposed on the main part 12 si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에 대한 스피커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멀게 다른 몸체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내부적인 공명과 울림 현상으로 인한 하울링, 에코, 노이즈 등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position of the speaker relative to the microphone to be relatively far apart from the other body, by suppressing the re-inpu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microphone howling due to internal resonance and ringing phenomenon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generation of noise, echo, noise, and the like.

Claims (5)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단말기 본체;A terminal body comprising at least two bodies;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어느한 몸체에 마련되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provided in any one body of the terminal body; And 상기 마이크가 형성된 몸체를 제외한 다른 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A speaker provided in a body other than the body in which the microphone is form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speaker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두 개 이상의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마이크를 갖는 메인부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피커를 갖는 폴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y one of the two or more bodies is a main portion having the microphone, the other is a mobile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r portion having the speak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스테레오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peak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ual speaker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stereo speaker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older portion.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peak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fold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피커는 상기 폴더부의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한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peak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any on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older.
KR1020050065517A 2005-07-19 2005-07-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KR200700107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17A KR20070010717A (en) 2005-07-19 2005-07-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17A KR20070010717A (en) 2005-07-19 2005-07-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17A true KR20070010717A (en) 2007-01-24

Family

ID=3801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517A KR20070010717A (en) 2005-07-19 2005-07-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7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61B2 (en) Mobile terminal and speaker
KR101088429B1 (en) earphone
WO2022083643A1 (en) Electronic device
KR100880776B1 (en) Sound device and call device
CN101212838B (en) Sound box structur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ound box structure
KR10054067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Electroacoustic Converters Used in the Same
JP2001197596A (en) Audio transducer and audio visual device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JP3266132B2 (en) Foldable mobile phone
CN101222784B (en) Loudspeaker box structure and mobile electronic equipments adopting the same
JP2001268187A (en) Call tone ringing system and method for flip type mobile phone
WO2007060730A1 (en) Portable terminal
KR101202236B1 (en) Portable phone having speaker
JP4571632B2 (en) Speaker placement for foldable terminals
WO2019228295A1 (en) Cover plate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200349093Y1 (en) Multi-Function Device Type Micro Speaker To Generate vibration Using one fixed Coil and one Voice Coil
KR100692773B1 (en) Receiver - Dual loudspeaker with integrated loudspeak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t
KR2007001071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speakers
CN112311926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arphone device thereof
KR100834640B1 (en) Speaker device of slim portable terminal providing resonance space
JP2006157199A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5643981B2 (en) Speaker, microphone and electronic equipment
JP3792608B2 (en)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12565495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3099525U (en) Speaker with handse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