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10577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577A
KR20070010577A KR1020050065299A KR20050065299A KR20070010577A KR 20070010577 A KR20070010577 A KR 20070010577A KR 1020050065299 A KR1020050065299 A KR 1020050065299A KR 20050065299 A KR20050065299 A KR 20050065299A KR 20070010577 A KR20070010577 A KR 2007001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lm speaker
display
active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상
김형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577A/en
Priority to US11/489,307 priority patent/US20070019134A1/en
Priority to JP2006197361A priority patent/JP2007028641A/en
Publication of KR2007001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57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5Function characteristic involving resonance effects, e.g. resonantly enhanced inte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1Transducers used as a loudspeaker to generate sound aswell as a microphone to detect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 필름 스피커 및 진동 활성층을 포함한다. 표시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필름 스피커는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진동 활성층은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과 필름 스피커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필름 스피커를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부착하고, 일면과 필름 스피커 사이에 진동 활성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제품의 경박단소화 및 음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display device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is disclosed.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ssembly, a film speaker,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The display assembly includes a backlight assembly for emitting light, a panel assembly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panel assembly.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to output sound. The vibration act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the film speaker. Accordingly, by attaching the film speaker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interposing the vibration active layer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film speak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e light qu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llustrated display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스피커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the film speaker illustrated in FIG. 1.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4A and 4B are process diagrams for describing a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illustrated in FIG. 1.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for describing a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illustrated in FIG. 1.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vibrating active lay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수납 용기 210 : 광원100: storage container 210: light source

220 : 연성인쇄회로기판 230 : 도광판22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30: light guide plate

240 : 반사판 250 : 백라이트 어셈블리240: reflector 250: backlight assembly

260 : 몰드 프레임 270 : 휘도 향상부260: mold frame 270: brightness enhancement unit

280 : 표시 패널 모듈 310 : 음원 출력부280: display panel module 310: sound source output unit

320 : 필름 스피커 330 : 진동 활성층320: film speaker 330: vibration active layer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CRT, PDP, LCD 및 LED 등을 포함한다. 최근 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서 경량화 및 소형화 특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LCD)가 휴대용 단말기에서부터 대형 텔레비전까지 폭넓게 채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RT, a PDP, an LCD, and an LED. 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having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s have been widely used, ranging from portable terminals to large televisions,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상기와 같이 경량화 및 소형화된 표시 장치에 비해 음향 장치는 자석과 코일, 진동판을 이용한 자기 구동 방식의 스피커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기 구동 방식의 스피커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한계를 갖는다. 즉, 자석의 두께를 줄이거나 진동판의 두께를 줄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경우 음향 품질이 저하도는 문제점을 갖는다. Compared with the lighter and smaller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device employs a magnet-driven speaker using a magnet, a coil, and a diaphragm. However, the speaker of the magnetic drive method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magnet is reduced or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is reduced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e sound quality is deteriorated.

이에 따라서 소형화 및 경량화의 단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LCD)에 적합한 음향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acoustic device suitabl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ving disadvantages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 적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경박단소화를 도모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light and small size at the same time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 필름 스피커 및 진동 활성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스피커는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진동 활성층은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과 상기 필름 스피커 사이에 개재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ssembly, a film speaker,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The display assembly includes a backlight assembly emitting light, a panel assembly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panel assembly.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to output sound. The vibration act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the film speak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 및 필름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스피커는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하여 형성된 진동 활성층을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ssembly and a film speaker. The display assembly includes a backlight assembly emitting light, a panel assembly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panel assembly.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includes a vibration active layer formed to face the one surface.

이러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필름 스피커를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부착하고, 상기 일면과 필름 스피커 사이에 진동 활성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제품의 경박단소화는 물론 음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display device, by attaching a film speaker to one surface of a display assembly and interposing a vibrating active layer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film speak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nness and the sound quality of the produc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llustrated display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200), 음원출력부(310), 필름 스피커(320) 및 진동 활성층(33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ssembly 200, a sound source output unit 310, a film speaker 320,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330.

상기 표시 어셈블리(200)는 수납 용기(201)와, 백라이트 어셈블리(250), 패널 어셈블리(290), 음원출력부(310), 필름 스피커(320) 및 진동 활성층(330)을 포함한다. The display assembly 200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201, a backlight assembly 250, a panel assembly 290, a sound source output unit 310, a film speaker 320,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330.

상기 수납 용기(201)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연장된 측벽들에 의해 정의된 수납 공간을 갖는다. 상기 측벽들 중 일부에는 걸림홈(201a)이 형성된다. The storage container 201 has a storage space defined by a bottom surface and sidewalls each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A locking groove 201a is formed in some of the sidewalls.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50)는 광을 발생하며, 광원(210), 연성인쇄회로기판(220), 도광판(230) 및 반사판(240)을 포함한다. The backlight assembly 250 generates light and includes a light source 210,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 a light guide plate 230, and a reflective plate 240.

상기 광원(210)은 광을 발생하고, 상기 광원(210)은 일례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한다. 상기 광원(210)은 상기 도광판(23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도광판(2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광판(23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210 generates light, and the light source 210 us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e light source 2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30, may be disposed under the light guide plate 230,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230.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광원(210)이 실장되며, 상기 광원(21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광원(210)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20)에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 has the light source 210 mounted thereon, and a circuit pattern for providing a driving signal to the light source 210 is formed. Here, the light source 210 is illustrated as being mount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상기 도광판(230)은 상기 광원(2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230)에는 광 경로를 제어하는 도트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도트 패턴은 인쇄되거나, 금형틀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 guide plate 230 guides the path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2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emits the light. The light guide plate 230 is formed with a dot pattern for controlling the light path. The dot pattern may be printed or molded by a mol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상기 반사판(240)은 상기 도광판(2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다시 상기 도광판(230)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시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reflection plate 240 reflects the light leak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230 back to the light guide plate 230 to improv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lthough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llustrated here as an example, it may have a sheet shape.

상기 패널 어셈블리(29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50)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90)는 몰드 프레임(260), 휘도 향상부(270) 및 표시패널모듈(280)을 포함한다. The panel assembly 290 is disposed on the backlight assembly 250 to display an image using the light. The panel assembly 290 includes a mold frame 260, a brightness enhancing unit 270, and a display panel module 280.

상기 몰드 프레임(260)은 위에 배치되는 상기 휘도 향상부(270)가 안착되며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20) 및 도광판(230)을 가이드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260)의 측벽에는 걸림턱(261)이 형성된다. The mold frame 260 guide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 and the light guide plate 230 to which the brightness enhancing unit 270 disposed above is mounted, and is disposed below. A locking jaw 261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mold frame 260.

상기 걸림턱(261)은 상기 수납 용기(201)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홈(201a)과 체결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260)과 수납 용기(201)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수납 용기(201)에 수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250)를 고정시킨다. The locking jaw 26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201a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ntainer 201 so that the mold frame 26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1 are fastened. As a result, the backlight assembly 25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1 is fixed.

상기 휘도 향상부(270)는 확산 부재와, 복수의 광학 시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안착된다. 상기 휘도 향상부(27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갖도록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모듈(280)에 제공한다.The brightness enhancing unit 270 includes a diffusion member and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and is mounted on the mold frame 260. The brightness enhancing unit 270 conver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assembly 250 to have a uniform brightness distribution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display panel module 280.

상기 표시패널모듈(280)은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모듈(280)은 표시 패널(283)과, 구동 칩(284) 및 연성인쇄회로기판(285)을 포함한다. The display panel module 280 displays an image using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The display panel module 280 includes a display panel 283, a driving chip 284,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85.

상기 표시 패널(283)은 2개의 기판간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er : 이하, TFT) 기판(281), 상기 TFT 기판(281)과 대향하여 결합되는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282) 및 상기 TFT 기판(28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282)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283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wo substrates. For example, a thin film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FT) substrate 281, a color filter substrate 282 coupled to the TFT substrate 281, and the TFT substrate 281 and the color filt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jected between the substrates 282.

상기 구동 칩(284)은 상기 TFT 기판(281)의 일측에 실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283)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 칩(284)은 데이터 구동칩과 이외의 다른 구동 칩을 포함하거나,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칩(284)은 COG(Chip On Glass) 공정에 의하여 TFT 기판(281)의 일측에 실장된다.The driving chip 28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FT substrate 281, and outputs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283. The driving signal includes a data signal, a gate control signal, and a data control signal. The driving chip 284 may include other driving chips other than the data driving chip, o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hip. The driving chip 284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FT substrate 281 by a chip on glass (COG) process.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85)은 상기 TFT 기판(281)의 일측에 실장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 칩(284)에 제공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285)은 일반적으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매개로 상기 TFT 기판(2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85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FT substrate 281 to provide a data signal and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driving chip 284.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85 is gener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FT substrate 281 via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상기 음원 출력부(3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1 음원 신호를 상기 필름 스피커(320)를 구동시키는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필름 스피커(320)에 출력한다.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310 converts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for driving the film speaker 320 and outputs it to the film speaker 320.

상기 필름 스피커(320)는 상기 수납 용기(201)의 아래에 배치되며, 압전 필 름(321)과 상기 압전 필름(32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322) 및 상기 압전 필름(32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323)을 포함한다. The film speaker 320 is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container 201, and includes a piezoelectric film 321 and a first metal electrode 322 and the piezoelectric film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321. And a second metal electrode 323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321.

상기 압전 필름(321)은 전기 신호인 제2 음원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압전 필름(321)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fluoride:PVDF)과 그 유도체로 형성된다. 또한, HFP(hexafluoropropylene)등의 첨가물을 넣은 PVDF-HFP 고분자 혼합물(blend) 및 VDF/TrFE(Vinylidenefluoride/Trifluorethylene) 등의 혼성 중합체(copolymer)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piezoelectric film 321 emits sound waves by converting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s. The piezoelectric film 321 is formed of polyvinylidenfluoride (PVDF) and derivatives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y selecting from a group consisting of PVDF-HFP polymer mixture (blend) and VDF / TrFE (Vinylidenefluoride / Trifluorethylene) containing an additive such as HFP (hexafluoropropylene).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322, 323)은 상기 음원 출력부(310)로부터 출력된 제2 음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압전 필름(321)을 구동시켜 음파를 방사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322, 323)은 금속 물질 또는 투면 전도성 물질로 상기 압전 필름(311)의 제1 및 제2 면에 코팅된다.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310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322 and 323 to drive the piezoelectric film 321 to emit sound waves.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322 and 323 are co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311 by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진동 활성층(330)은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진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층을 갖는 버블층 또는 엠보싱층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투명 점착층이다. 상기 진동 활성층(330)은 상기 필름 스피커(320)가 부착되는 상기 수납 용기(201)의 일면과, 상기 수납 용기(201)의 일면에 대향하는 필름 스피커(320)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330 is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bubble layer or an embossing layer having an air layer for activating vibration of the film speaker 320, and a spacer. The vibration active layer 330 is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1 to which the film speaker 320 is attached and one surface of the film speaker 320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1.

따라서, 상기 수납 용기(201)에 부착된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면은 상기 진동 활성층(330)에 의해 진동이 활성화된다. 물론,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2 면 역시 일정한 갭의 공기층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refore, vibration is activa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lm speaker 320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201 by the vibration active layer 330. Of course,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speaker 320 is also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gap of a certain gap.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스피커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the film speake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출력부(310)는 입력부(311), 증폭부(312) 및 변환부(31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변환부(313)의 출력 신호는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322, 323)에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310 includes an input unit 311, an amplifier 312, and a converter 313. The output signal of the converter 313 i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322 and 323 of the film speaker 320.

상기 입력부(31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증폭부(312)는 상기 제1 음원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환부(transformer)(313)는 증폭된 제1 음원 신호를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필름 스피커(320)를 구동하기 위한 승압된 전압이다. The input unit 311 receives a first sound sourc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he amplifier 312 amplifies and outputs the first sound sourc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transformer 313 converts the amplified first sound source signal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s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Specifically,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is a boosted voltage for driving the film speaker 320.

상기 변환부(313)의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312, 313)과 각각 연결된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필름 스피커(320)에 인가된다.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is output to the film speaker 320 through input terminal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312 and 313 of the film speaker 320, respectively,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313. Is approved.

상기 필름 스피커(320)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312, 313)에 제2 음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압전 필름(321)은 진동하여 해당하는 음파를 방사한다. As the film speaker 320 receives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312 and 313, the piezoelectric film 321 vibrates to emit corresponding sound waves.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4A and 4B are process diagrams for describing a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illustrated in FIG.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금속 전극(311) 위에 합성 수지(331)를 도포한다. 4A and 4B, a synthetic resin 331 is coated on the first metal electrode 311 of the film speaker 320.

이 후, 엠보싱 형상의 음각을 갖는 금형틀(430)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 수지 (311)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양각의 엠보싱 형상을 갖는 진동 활성층(332)이 형성된다. Thereafter, the synthetic resin 311 is pressed using a mold 430 having an embossed intaglio. As a result, a vibrating active layer 332 having a raised embossed shape is formed.

상기 합성 수지(331)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등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와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를 포함한다.The synthetic resin 331 is an acrylic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acrylates, epoxy acrylates, polyester acrylates, urethane acrylates, oligomers, acetophenones, benzophenones, and thikes It includes a santon system.

결과적으로 상기 진동 활성층(332)은 일정 영역은 볼록하고 일정 영역은 오목한 엠보싱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목 부분에는 공기층(a)이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vibrating active layer 332 has a convex embossed shape and a certain area is convex, and an air layer a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5A and 5B are process diagrams for describing a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vibrating active layer illustrated in FIG. 1.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금속 전극(311) 위에 합성 수지(341)를 도포한다. 이 후, 개구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440)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수지(341)를 패터닝하여 일부 영역의 합성 수지(341)를 제거한다. 5A and 5B, a synthetic resin 341 is coated on the first metal electrode 311 of the film speaker 320. Thereafter, the synthetic resin 341 is patterned using the mask 440 having the opening pattern formed thereon to remove the synthetic resin 341 in a partial region.

결과적으로 상기 진동 활성층(342)은 상기 합성 수지(341)가 잔존하는 볼록부와 상기 합성 수지(341)가 제거된 오목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는 공기층(a)이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vibration active layer 342 is formed of a convex portion in which the synthetic resin 341 remains and a concave portion from which the synthetic resin 341 is removed, and an air layer a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상기 합성 수지(341)는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등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와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를 포함한다. The synthetic resin 341 is an acrylic UV curable resin, and includes photo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acrylates, epoxy acrylates, polyester acrylates, and urethane acrylates, oligomers, acetophenones, benzophenones, and thikes. It includes a santon system.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진동 활성층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vibrating active lay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제1 금속 전극(311) 위에 스페이서(351)가 포함된 투명 점착제(352)를 도포하여 진동 활성층(353)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점착제(352)는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진동에 연동되는 탄성 재질이다.Referring to FIG. 6, the vibrating active layer 353 is formed by applying the transparent adhesive 352 including the spacer 351 on the first metal electrode 311 of the film speaker 320. The transparent adhesive 352 is an elastic material that is linked to the vibration of the film speaker 320.

즉, 상기 스페이서(351)는 상기 필름 스피커(320)와 표시 장치의 갭을 유지시키며, 상기 투명 점착제(352)는 탄성에 의해 상기 필름 스피커(320)의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That is, the spacer 351 maintains a gap between the film speaker 320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transparent adhesive 352 activates vibration of the film speaker 320 by elasticit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미도시), 음원 출력부(미도시), 필름 스피커(520) 및 진동 활성층(53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어셈블리(미도시)는 수납 용기(201), 백라이트 어셈블리(250) 및 패널 어셈블리(2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ssembly (not shown), a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a film speaker 520,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530. The display assembly (not shown)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201, a backlight assembly 250, and a panel assembly 290.

상기 수납 용기(201)는 수납 공간을 갖고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50)와 패널 어셈블리(290)를 수납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5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290) 측으로 광을 출사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290)는 전기적 및 광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The storage container 201 has a storage space and accommodates the backlight assembly 250 and the panel assembly 290. The backlight assembly 250 emits light toward the panel assembly 290. The panel assembly 290 displays an image using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상기 필름 스피커(520)는 상기 수납 용기(201)의 일 측벽에 배치된다. The film speaker 520 is disposed on one sidewall of the storage container 201.

상기 필름 스피커(520)는 압전 필름(521)과 상기 압전 필름(52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522) 및 상기 압전 필름(52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523)을 포함한다. The film speaker 520 may include a first metal electrode 522 formed on a piezoelectric film 521 and a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521, and a second metal electrode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521. 523).

상기 압전 필름(521)은 상기 음원 출력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제2 음원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압전 필름(321)은 바람직하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와 그 유도체로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film 521 emits sound waves by converting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into mechanical vibration. The piezoelectric film 321 is preferably formed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522, 523)은 상기 음원 출력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제2 음원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압전 필름(521)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522, 523)은 금속 물질 또는 투면 전도성 물질로 상기 압전 필름(511)의 제1 및 제2 면에 코팅된다.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522 and 523, and the second sound source signal drives the piezoelectric film 521.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522 and 523 are co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511 with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진동 활성층(530)은 상기 필름 스피커(520)의 진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층을 갖는 버블층 또는 엠보싱층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투명 점착층이다. 상기 진동 활성층(530)은 상기 필름 스피커(520)가 부착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일 측벽과, 상기 표시장치의 일 측벽에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필름 스피커(520)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530 is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bubble layer or an embossing layer having an air layer for activating vibration of the film speaker 520, and a spacer. The vibration active layer 530 is formed between one sidewall of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film speaker 520 is attached and one surface of the film speaker 520 disposed to face one sidewall of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에 측벽에 부착된 상기 필름 스피커(520)의 제1 면은 상기 진동 활성층(530)에 의해 진동이 활성화된다. 물론, 상기 필름 스피커(520)의 제2 면 역시 일정한 갭의 공기층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Accordingly, vibration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lm speaker 520 attached to the sidewall of the display device is activated by the vibration active layer 530. Of course,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speaker 520 is also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gap of a certain gap.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 여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어셈블리(200), 음원 출력부(610), 필름 스피커(620) 및 진동 활성층(63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어셈블리(200)는 수납 용기(201)와, 백라이트 어셈블리(250) 및 패널 어셈블리(29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ssembly 200, a sound source output unit 610, a film speaker 620, and a vibration active layer 630. The display assembly 200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201, a backlight assembly 250, and a panel assembly 290.

상기 음원 출력부(6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1 음원 신호를 상기 필름 스피커(620)를 구동시키는 제2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필름 스피커(620)에 출력한다.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610 converts a first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for driving the film speaker 620 and outputs it to the film speaker 620.

상기 필름 스피커(620)는 상기 표시 패널(283)의 위에 배치되며, 압전 필름(621)과 상기 압전 필름(621)의 제1 면에 형성된 제1 금속 전극(622) 및 상기 압전 필름(621)의 제2 면에 형성된 제2 금속 전극(623)을 포함한다. The film speaker 620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83, and the piezoelectric film 621 and the first metal electrode 622 and the piezoelectric film 62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film 621. It includes a second metal electrode 623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상기 압전 필름(621)은 전기 신호인 제2 음원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압전 필름(621)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olyvinylidenfluoride:PVDF)과 그 유도체로 형성된다. 또한, HFP(hexafluoropropylene)등의 첨가물을 넣은 PVDF-HFP 고분자 혼합물(blend) 및 VDF/TrFE(Vinylidenefluoride/Trifluorethylene) 등의 혼성 중합체(copolymer)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piezoelectric film 621 emits sound waves by converting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s. The piezoelectric film 621 is formed of polyvinylidenfluoride (PVDF) and derivatives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y selecting from a group consisting of PVDF-HFP polymer mixture (blend) and VDF / TrFE (Vinylidenefluoride / Trifluorethylene) containing an additive such as HFP (hexafluoropropylene).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622, 623)은 상기 음원 출력부(610)로부터 출력된 제2 음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압전 필름(621)을 구동시켜 음파를 방사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622, 623)은 바람직하게 투명 전도성 물질로 상기 압전 필름(611)의 제1 및 제2 면에 코팅된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틴-옥 사이드(Indium-Tin-Oxide : ITO), 인듐-아연-옥사이드(Indium-Zinc-Oxide : IZO) 또는 인듐-틴-아연 옥사이드(Indium-Tin-Zinc-Oxide)를 포함한다. A second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610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622 and 623 to drive the piezoelectric film 621 to emit sound waves. The first and second metal electrodes 622 and 623 are preferably co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611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dium-Tin-Oxide (ITO), Indium-Zinc-Oxide (IZO) or Indium-Tin-Zinc-Oxide ).

상기 진동 활성층(630)은 상기 필름 스피커(620)의 진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층을 갖는 버블층 또는 엠보싱층과,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투명 점착층이다. 상기 진동 활성층(630)은 상기 필름 스피커(620)가 부착되는 상기 표시 패널(283)의 일면과, 상기 표시 패널(283)의 일면에 대향하는 필름 스피커(620)의 일면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 활성층(630)은 바람직하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bration active layer 630 is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bubble layer or an embossing layer having an air layer for activating vibration of the film speaker 620, and a spacer. The vibration active layer 630 is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83 to which the film speaker 620 is attached and one surface of the film speaker 620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83. Here, the vibration active layer 63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283)에 부착된 상기 필름 스피커(620)의 제1 면은 상기 진동 활성층(630)에 의해 진동이 활성화된다. 물론, 상기 필름 스피커(620)의 제2 면 역시 공기층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Accordingly, vibration of the first surface of the film speaker 62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283 is activated by the vibration active layer 630. Of course,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speaker 620 is also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layer.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름 스피커는 진동 활성층을 포함하여 표시 장치의 다양 부분에 부착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보호용 글래스, 키 패드 및 밧데리 등에 부착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film speaker may be attached to various part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bration active layer.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device may be attached to a case, a protective glass, a keypad and a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 활성층을 통해 표시 장치의 일면에 필름 스피커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활성층에 의해 상기 필름 스피커의 음질 및 음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film speaker to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vibration active layer, weigh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of a product to which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sound active and the sound quality of the film speaker can be improved by the vibration active layer.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Claims (9)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표시 어셈블리; A display assembly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emitting light, a panel assembly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panel assembly;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필름 스피커; 및 A film speak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to output sound; And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과 상기 필름 스피커 사이에 개재된 진동 활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vibration active layer interpo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the film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comprises an air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과 필름 스피커를 지지하는 볼록부와,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vibration active layer comprises a convex portion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 film speaker, and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air lay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활성층은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과 필름 스피커을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탄성을 갖는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vibrating active layer comprises a space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 film speak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피커는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피커는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a sidewall of the sto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The display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panel assembly compris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상기 필름 스피커는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the film speaker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피커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m speaker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which a sound source signal is input; And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압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piezoelectric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표시 어셈블리; 및 A display assembly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emitting light, a panel assembly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ight, and a storag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the panel assembly; And 상기 표시 어셈블리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하여 형성된 진동 활성층을 포함하는 필름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And a film speak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assembly and including a vibration active layer facing the one surface.
KR1020050065299A 2005-07-19 2005-07-19 Display device Withdrawn KR20070010577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299A KR20070010577A (en) 2005-07-19 2005-07-19 Display device
US11/489,307 US20070019134A1 (en) 2005-07-19 2006-07-19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197361A JP2007028641A (en) 2005-07-19 2006-07-19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299A KR20070010577A (en) 2005-07-19 2005-07-1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577A true KR20070010577A (en) 2007-01-24

Family

ID=3801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299A Withdrawn KR20070010577A (en) 2005-07-19 2005-07-1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57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617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dheld terminal
KR101383702B1 (en)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unit
EP2822371A3 (en) * 2013-05-07 2015-03-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133918A (en) * 2014-05-20 2015-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N111586222A (en) * 2020-06-24 2020-08-25 精拓丽音科技(北京)有限公司 Piezoelectric ceramic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617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dheld terminal
KR101383702B1 (en)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unit
US9436320B2 (en) 2012-12-12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USRE47802E1 (en) 2012-12-12 2020-01-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USRE49756E1 (en) 2012-12-12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nit
US11388278B2 (en) 2013-05-07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EP2822371A3 (en) * 2013-05-07 2015-03-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854078B2 (en) 2013-05-07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205810B2 (en) 2013-05-07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35571B2 (en) 2013-05-07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133918A (en) * 2014-05-20 2015-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US11310576B2 (en) 2014-05-20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1586222A (en) * 2020-06-24 2020-08-25 精拓丽音科技(北京)有限公司 Piezoelectric ceramic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28641A (en)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800707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5353606B2 (en) Protection plate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094408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8872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WO2015194476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40049202A (en)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53314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80067744A (en) Display
US86542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6518541A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696182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for improving uniformity of brightness
KR20070010573A (en) Hybrid polarizing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1401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20070010577A (en) Display device
KR20070079689A (en)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1885924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80857A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7685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165132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80012569A (en) 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4826365B2 (en) Flat image display module
KR101743291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77482A (en) Backlight assem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009799B1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