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8860A -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 Google Patents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60A
KR20070008860A KR1020050062716A KR20050062716A KR20070008860A KR 20070008860 A KR20070008860 A KR 20070008860A KR 1020050062716 A KR1020050062716 A KR 1020050062716A KR 20050062716 A KR20050062716 A KR 20050062716A KR 20070008860 A KR20070008860 A KR 2007000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dog
bath water
water
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736B1 (ko
Inventor
김택석
정진도
최흥근
Original Assignee
김택석
정진도
최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석, 정진도, 최흥근 filed Critical 김택석
Priority to KR102005006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욕수를 공급하는 목욕수 공급수단과, 공급된 목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목욕수 히터와, 가열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목욕시키는 욕조장치를 포함하며, 욕조장치는, 애완견을 수용시키고, 목욕수를 저수하는 트인 목욕실을 갖는 하우징과; 목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목욕수를 목욕실에 수용된 애완견에 분사하는 분사관들과; 애완견에 세정제를 공급해주는 세정제 공급수단과;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애완견을 씻겨주도록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목욕수 유동수단과; 목욕실로부터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수단과; 애완견을 건조시켜줄 수 있도록 목욕실에 열풍을 공급해주는 열풍공급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애완견 목욕 방법은, 목욕실에 목욕수를 급수하는 단계와; 급수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세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목욕수에 공기를 분출시켜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단계와;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애완견을 샤워시켜 헹굼하는 단계와;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애완견을 2차로 헹굼하도록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저수된 목욕수에 방향제 침지시키는 단계와;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애완견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PET DOG BATH AND METHOD FOR BATHING PET DOG FOR USE IN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전용 목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전용 목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전용 목욕기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목욕수 공급수단 12: pH 중화처리장치
14: 목욕수 히터 20: 욕조장치
30: 하우징 32: 조작패널
34: 콘트롤러 36: 목욕실
36a: 입구 40: 회전 커버
42: 슬라이딩 커버 50: 도입관
52: 목욕수 펌프 54: 메인압송관
55: 하부 분사관 56: 후방 분사관
57: 상부 분사관 60: 수동샤워수단
70: 세정제 저장통 72: 세정제 펌프
74: 압송호스 76: 세정제 분사노즐
80: 배수구 82: 배수관
84: 배수밸브 86: 걸름망
90: 상부수위센서 92: 공급밸브
94: 하부수위센서 100: 에어콤프레셔
102: 공기압송관 104: 공기히터
110: 받침망 112: 지지턱
120: 방향제 저장망 130: 향수 저장통
132: 향수펌프 134: 향수분사노즐
140: 세면대
본 발명은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견을 자동으로 목욕시키고 건조시킬 수 있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애완견의 긴 털은 쉽게 오염되고, 또한 애완견의 피부와 털에는 각종 기생충과 세균이 서식한다. 따라서 애완견을 자주 목욕시켜서 오염된 털을 깨끗이 씻어주고, 피부와 털에 기생하는 각종 기생충과 세균을 제거해야 한다.
애완견의 목욕은 대부분 가정용 세척도구, 예를 들면, 욕조, 브러쉬, 샤워기, 드라이기 등을 이용하고 있다. 애완견의 목욕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욕조에 따뜻한 물을 채운 후, 채워진 물로써 애완견을 피부와 털을 적신다. 그리고, 애완견의 피부와 털에 애견 전용 샴푸를 묻힌 다음, 털의 결 방향으로 빗질하면서 씻어준다 .
샴푸질이 완료되면, 샤워기를 이용하여 애완견의 피부 및 털을 헹궤서 피부와 털에 남아 있는 샴푸를 완전히 제거하고, 헹굼이 완료되면, 마른 수건을 이용하여 애완견을 닦아 물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드라이기로 애완견의 피부와 털에 남아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주면서 털 고르기를 해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애완견 목욕 방법은, 애완견을 욕조의 물로 강제로 적시고, 샤워기로 강제로 헹구는 과정에서, 애완견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같은 단점은 애완견이 목욕 자체를 싫어하는 원인이 되고, 따라서 애견 주인은 애완견을 목욕시키기에 많은 어려움이 겪고 있다. 특히, 애완견을 목욕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애완견 목욕 방법은, 애완견을 욕조의 물로 적시고, 샤워기로 헹구는 과정에서, 욕조의 물과 샤워기의 물이 지나치게 차겁거나 뜨거워서 애완견이 자칫 감기에 걸리거나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애완견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키면서 세척수의 온도와 주변의 조건을 최적 의 상태로 조성하여 목욕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목욕에 대한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깨끗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완견을 깨끗하게 씻어줄 뿐만 아니라 애완견의 피부와 털을 건조시켜주고 향수를 분무하는 등, 미용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애완견 전용 목욕기는, 목욕수를 공급하는 목욕수 공급수단과, 공급된 목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목욕수 히터와, 가열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목욕시키는 욕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욕조장치는, 애완견을 수용시킬 수 있고, 상기 목욕수를 저수할 수 있는 트인 목욕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목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목욕수를 상기 목욕실에 수용된 애완견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과; 목욕수에 젖은 상기 애완견에 세정제를 공급해주는 세정제 공급수단과;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애완견을 씻겨줄 수 있도록 상기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목욕수 유동수단과; 상기 목욕실로부터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수단과; 목욕이 완료된 상기 애완견을 건조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에 열풍을 공급해주는 열풍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완견 목욕 방법은, 애완견이 수용된 목욕실에 목욕수를 급수하는 단계와; 급수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애완견이 수용된 목욕실 에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애완견에게 세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애완견을 목욕시킬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단계와; 목욕을 완료한 목욕수를 상기 목욕실로부터 배수시키는 단계와; 목욕수를 급수하여 상기 애완견을 샤워시켜 헹굼하는 단계와; 헹굼한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헹굼된 애완견을 2차로 헹굼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에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에 방향제 침지시켜 아로마테라피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목욕실로부터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목욕이 완료된 애완견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완견 전용 목욕기는, 목욕수 공급수단(10)을 구비한다. 목욕수 공급수단은 저수조로 구성된다. 저수조는 일종의 물탱크로서, 목욕수를 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욕조장치(20)에 목욕수를 공급한다. 한편, 목욕수 공급수단(10)의 다른예로서, 수도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도관은 후술하는 욕조장치(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수돗물을 욕조장치(20)에 직접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욕기는 목욕수 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목욕수의 산도(pH)를 중화시켜주는 pH 중화처리장치(12)를 구비한다. pH 중화처리장치(12)는 목욕수의 산도(pH)를 조절하여 이를 중화시켜줌으로써 산도가 높은 목욕수가 애완 견에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며, 따라서 애완견의 연약한 피부를 보호한다.
여기서, pH 중화처리장치(12)는 저수조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pH 중화처리장치(1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태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욕기는 목욕수 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목욕수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목욕수 히터(14)를 구비한다. 목욕수 히터(14)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식 히터로서, 목욕수를 애완견의 체온, 즉 35~38℃에 맞춰 가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욕기는 애완견을 실질적으로 목욕시키는 욕조장치(20)를 구비한다. 욕조장치(20)는 하우징(30)을 가지며, 하우징(3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32)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32)은 각종 누름버튼(32a), 예를 들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버튼과, 목욕시간 및 횟수 설정 버튼과, 헹굼시간 및 횟수 설정 버튼과, 건조시간 설정버튼과, 현재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우징(30)의 내측에는 콘트롤러(34)가 설치된다. 콘트롤러(34)는 마이콤, 타이머 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조작패널(32)로부터 입력된 값에 따라 욕조장치를 제어한다. 콘트롤러(34)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우징(30)은 내부의 목욕실(36)과, 목욕실(36)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실(38)을 구비한다. 목욕실(36)은 상부를 향해 트여있는 입구(36a)를 가지며, 트인 입구(36a)를 통해 애완견(D)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목욕실(36) 은 다양한 크기의 애완견(D)을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갖는다.
한편,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는 커버수단에 의해 덮여진다. 커버수단은 회전 커버(40)와 슬라이딩 커버(42)로 구성된다.
회전 커버(40)는 목욕실(36)에 수용된 애완견(D)의 머리부분에 대응되도록 입구(36a)의 앞부분에 설치되며, 힌지축(40a)을 중심으로 목욕실(36) 내측의 개방위치("A")와 목욕실(36) 상측의 차단위치("B")사이에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회전 커버(40)는 개방위치("A")에서는 목욕실(36)의 입구(36a) 앞부분을 개방하고, 차단위치("B")에서는 목욕실(36)의 입구(36a) 앞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단위치("B")에서 목욕실(36)의 입구(36a) 앞부분을 덮음으로써, 애완견(D)의 머리부분을 목욕시킬 경우, 목욕수가 외부로 튀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회전 커버(40)는 투명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목욕실(36)에 수용된 애완견(D)이 외부를 투시할 수 있게 구성되며, 따라서 목욕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회전 커버(40)에는 전방으로 향해 트인 통기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부(40b)는 공기의 통로로서, 목욕실(36)에 수용된 애완견(D)의 호흡할 경우,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회전 커버(40)는 록킹수단(41)에 의해 차단위치(“B")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록킹수단(41)은 회전 커버(40)에 형성된 핀구멍(41a)과, 핀구멍(41a)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우징(3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핀(41b)으로 구성된다. 특히, 록킹핀(41b)은 차단위치("B")로 회전된 회전 커버(40)의 핀구 멍(41a)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커버(40)가 차단위치("B")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록킹핀(41b)은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게 구성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록킹핀(41b)을 핀구멍(41a)으로 이탈시킨 후, 회전 커버(40)를 개방위치("A")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슬라이딩 커버(42)를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42)는 하우징(30)의 양쪽 측벽(30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목욕실(36)에 수용된 애완견(D)의 몸통부분에 대응되도록 입구(36a)의 뒷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커버(42)는 가이드레일(44)을 따라 트인 입구(36a)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운동한다. 특히, 전방의 차단위치("X")와 후방의 개방위치("Y")로 슬라이딩운동하면서 트인 입구(36a)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커버(42)는 가이드레일(44)의 트인 후방으로부터 이탈가능하며, 따라서 하우징(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가능하다. 특히, 하우징(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가능함으로써,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44)을 따라 전방의 차단위치("X")로 이동한 경우에는 회전 커버(40)와 맞춤되어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완전히 차단한 슬라이딩 커버(42)는, 체결수단에 의해 회전 커버(4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의 체결수단은 토글클램프(45)로 구성된다. 토글클램프(45)는 슬라이딩 커버(42)에 고정되는 체결고리부(45a)와, 체결고리부(45a)와 체결되도록 회전 커버(40)에 고정되는 고정고리부 (45b)로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커버(42)는 그 상측 부분이 투명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목욕실(36)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목욕실(36)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애완견(D)의 목욕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커버(42)의 상면에는 손잡이(46)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6)는 슬라이딩 커버(42)를 조작하기 쉽게 함은 물론, 슬라이딩 커버(42)가 하우징(30)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우징(30)을 통째로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수 공급수단(10)으로부터 목욕수를 도입하는 도입관(50)과, 도입된 목욕수를 펌핑하는 목욕수 펌프(52)와, 목욕수 펌프(52)의 목욕수를 압송하는 메인압송관(54)과, 메인압송관(54)으로 압송되는 목욕수를 목욕실(36)의 내부로 분사해주는 다수의 분사관(55, 56, 57)들을 구비한다.
특히, 분사관(55, 56, 57)은 목욕실(36)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관(55)과, 목욕실(36)의 후벽(36b)에 설치되는 후방 분사관(56)과, 슬라이딩 커버(42)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관(57)으로 구성된다.
하부 분사관(55)은 목욕실(36)의 바닥면을 따라 “∪”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다수의 분사노즐(55a)을 구비하고 있으며, 목욕실(36)의 상부를 향해 목욕수를 분사하여 애완견(D)의 복부를 씻겨준다. 그리고 후방 분사관(56)은 목욕실(36)의 후벽(36b)을 “∩”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다수의 분사노즐(56a)을 구비하고 있으며, 목욕실(36)의 전방을 향해 목욕수를 분사하여 애완견(D)의 둔부 및 꼬 리를 씻겨준다. 그리고 상부 분사관(57)은 슬라이딩 커버(42)의 안쪽면을 따라 “∪”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다수의 분사노즐(57a)을 구비하고 있으며, 목욕실(36)의 하부를 향해 목욕수를 분사하여 애완견(D)의 등과 머리를 씻겨준다.
한편, 하부 분사관(55)과 상부 분사관(57)과 후방 분사관(56)의 각 분사노즐(55a, 56a, 57a)은 목욕수를 분사하되, 상기 목욕수를 애완견(D)의 털의 결 방향을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목욕수를 털의 결 방향을 따라 분사함으로써, 빗질하면서 씻어주는 효과를 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 분사관(57)은 연결관(58)에 의해 목욕수 펌프(52)와 연결되는데, 이때 상부 분사관(57)은 슬라이딩 커버(42)와 함께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분사관(57)은 연결관(58)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연결관(58)과 상부 분사관(57)은 원터치식 호스 컨넥터(58a)에 의해 연결된다. 원터치식 호스 컨넥터(58a)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애완견(D)에 목욕수를 수동으로 분사하여 샤워시킬 수 있는 수동샤워수단(60)을 구비한다. 수동샤워수단(60)은 목욕수 펌프(52)와 연결되는 플렉시블호스(62)와, 플렉시블호스(62)의 단부에 설치되는 샤워분사노즐(64)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동샤워수단(60)은 사용자가 직접 애완견(D)에 목욕수를 분사하여 샤워시킴으로써, 애완견(D)의 신체를 구석 구석 수동으로 깨끗하게 씻어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애완견(D)에게 세정제를 공급해주는 세정제 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세정제 공급수단은 세정제를 저장하도록 하우징(30)의 구동실(38)에 설치되는 세정제 저장통(70)과, 세정제 저장통(70)의 세정제를 펌핑하는 세정제 펌프(72) 그리고 세정제 펌프(72)로부터 토출된 세정제를 목욕실(36)로 압송하는 세정제 압송호스(74)와, 압송된 세정제를 애완견(D)에게 분사할 수 있도록 목욕실(36)에 설치되는 세정제 분사노즐(76)로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에 도입된 목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80)와 배수관(82) 및, 배수관(82)을 개폐하는 배수밸브(84)를 구비한다.
특히, 배수밸브(84)는 상기 콘트롤러(34)에 의해 제어되는 일종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콘트롤러(34)의 제어에 따라 배수관(82)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목욕실(36)에 저수된 목욕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배수구(80)에는 걸름망(86)이 설치된다. 걸름망(86)은 목욕수의 배수시, 목욕수에 포함되어 있는 애완견(D)의 털 및 기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에 저수된 목욕수의 수위를 제어하는 목욕수 수위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목욕수 수위제어수단은 목욕실(36)의 내벽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수위센서(90)와, 상부수위센서(90)의 신호에 따라 목욕실(36)에 미리 정해진 량의 세척수가 저수되었음을 판단하는 상기 콘트롤러(34)와, 콘트롤러(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압송관(54)을 차단하는 공급밸브(92)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위제어수단은, 미리 정해진 량의 목욕수가 목욕실(36)에 공급되면,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목욕수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목욕수의 과도한 공급을 방지한다. 특히, 목욕수가 과도하게 공급되어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통해 오버플로(over-flow)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목욕수 제어수단은, 목욕실(36)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수위센서(94)를 더 구비한다. 하부수위센서(94)는 목욕실(36)로부터 목욕수가 완전히 배수되었는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34)에 입력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에 저수된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목욕수 유동수단을 구비한다.
목욕수 유동수단은 공기를 펌핑하는 에어콤프레셔(100)와, 에어콤프레셔(100)로부터 토출되는 압송하는 공기압송관(102)과, 공기압송관(102)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목욕실(36)의 목욕수에 분출하는 분출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분출수단은 상기 하부 분사관(55)과 후방 분사관(56)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분사관(55, 56)은 목욕실(36)의 목욕수에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목욕수를 유동시킨다.
이러한 목욕수 유동수단은 목욕수를 유동시킴으로써, 유동되는 목욕수로 하여금 애완견(D)의 피부와 털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공기압송관(102)은, 각 분사관(55, 56)에 목욕수를 공급하는 메인압송관(54)과 연결되며, 따라서 메인압송관(54)을 통해 각 분사관(55, 56)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공기압송관(102)은 메인압송관(54)을 개폐하는 공급밸브(92)에 연결되며, 이 공급밸브(92)는 삼방향 제어밸브로 구성된다.
삼방향 제어밸브인 공급밸브(92)는 콘트롤러(34)의 제어에 따라 메인압송관(54)과 공기압송관(102)을 연결하거나 또는 메인압송관(54)과 목욕수 펌프(52)를 연결하거나 또는 메인압송관(54) 자체를 개폐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이 완료된 애완견(D)의 피부 및 털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해주는 열풍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열풍공급수단은 공기를 펌핑하는 상기 에어콤프레셔(100)와, 에어콤프레셔(100)로부터 토출되는 압송하는 상기 공기압송관(102)과, 상기 공기압송관(102)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공기히터(104)와, 가열된 공기를 애완견(D)에 분출하는 상기 분출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분출수단은 상기 상부 분사관(57)과 하부 분사관(55)과 후방 분사관(56)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분사관(55, 56, 57)은 애완견(D)의 복부와 둔부 그리고 등부위에 열풍을 분사하여 애완견(D)의 피부와 털을 건조시켜준다.
한편, 열풍을 불어주는 각 분사관(55, 56, 57)의 각 분사노즐(55a, 56a, 57a)은, 애완견(D)의 털의 결 방향을 향하므로, 상기 열풍을 털의 결 방향을 향해 분사하며, 따라서 빗질하면서 건조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에는 애완견(D)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망(110)을 구비한다. 받침망(110)은 목욕실(36)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턱(112)에 지지되는 것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따라서 애완견(D)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러한 받침망(110)은 애완견(D)의 목욕시, 애완견(D)으로부터 빠진 털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를 밟고 있는 애완견(D)의 발가락 사이를 벌려주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애완견(D)의 발가락의 사이 사이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받침망(110)의 지지하는 지지턱(112)은 상,하로 다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망(11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지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애완견(D)의 크기에 따라 받침망(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받침망(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목욕실(36)의 후벽(36b)을 분리한 후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제 저장망(120)을 구비한다. 방향제 저장망(120)은 상부수위센서(9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목욕수에 침수되게 구성되며, 따라서 저장된 방향제, 예를 들면, 허브, 아로마 등이 목욕수에 스며들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방향제 저장망(120)은 저장된 방향제가 목욕수에 스며들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목욕시, 아로마테라피(아로마 치료효과)가 발생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애완견(D)에서 향수를 분무해주는 향수분무수단을 구비한다. 향수분무수단은 향수를 저장하도록 하우징(30)의 구동실(38)에 설치되는 향수 저장통(130)과, 향수 저장통(130)의 향수를 펌핑하는 향수펌프(132) 그리고 향수펌프(132)로부터 토출된 향수를 애완견(D)에게 뿌려주도록 회전커버(40)에 설치되는 향수분사노즐(134)로 구성된다.
이러한 향수분무수단은, 목욕 및 건조가 완료된 애완견(D)에게 향수를 뿌려 줌으로써 미용효과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목욕실(36)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세면대(140)를 구비한다. 세면대(140)는 애완견(D)의 턱밑에 배치되는 것으로, 목욕실(36)의 바닥면에서 분사되는 목욕수를 차단하며, 따라서 목욕수가 애완견(D)의 얼굴을 향해 분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목욕시, 애완견(D)이 턱을 받쳐지지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애완견(D)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애관견 주인이 직접 수동으로 애완견(D)의 머리 및 얼굴부를 씻어줄 경우, 각종 세정도구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욕조장치(20)는, 콘트롤러(34)를 구비한다. 콘트롤러(34)는 세척모드와 헹굼모드와 건조모드로 작동되며, 조작패널(32)로부터 입력된 값에 따라 세척모드와 헹굼모드와 건조모드가 순차적으로 시행되면서 욕조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공급밸브(92)와 배수밸브(84)를 제어함으로써, 목욕수의 수위를 조절하고, 목욕수 펌프(52)와 에어콤프레셔(100)를 제어함으로써, 목욕수를 분사하고, 열풍을 분사한다. 또한, 각각의 장치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일련의 목욕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을 도 3과 도 4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라이딩 커버(42)를 열어서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개방시킨 다음, 애완견(D)을 목욕실(36)에 수용시킨다. 경우에 따라 슬라이딩 커버(42)를 하 우징(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 애완견(D)을 목욕실(36)에 수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애완견(D)의 수용이 완료되면, 슬라이딩 커버(42)를 닫아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폐쇄시킨다.
한편, 목욕실(36)의 트인 입구(36a)를 닫은 후, 목욕준비가 완료되면, 누름버튼(32a)을 눌러서 온(ON)시킨다. 그러면, 콘트롤러(34)는 세척모드를 진행한다.
즉, 목욕수 펌프(52)가 작동되면서 목욕수 공급수단(10)의 목욕수가 급수(S101)되고, 급수된 목욕수는 메인압송관(54)을 지나 상부, 하부, 후방 분사관(56)으로 도입되며, 도입된 목욕수는 각 분사관(55, 56, 57)을 통해 분사되면서 애완견(D)의 머리부와 복부와 등 및 둔부와 꼬리부를 골고루 샤워시켜준다(S103). 이때, 콘트롤러(34)는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개방시키며, 따라서 분사된 목욕수는 배수관(8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샤워 동작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차단시키며, 따라서 분사된 목욕수는 목욕실(36)에 저수되기 시작한다(S105).
이때, 목욕수가 목욕실(36)에 저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콘트롤러(34)는 세정제 공급수단의 세정제 펌프(7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세정제 펌프(72)와 세정제 분사노즐(76)은 세정제 저장통(70)의 세정제를 펌핑하면서 애완견(D)에게 분사해준다(S107).
한편, 목욕수가 계속적으로 분사되고 저수됨에 따라 목욕실(36)에 목욕수가 천천히 차오르게 되는데, 이때 목욕수의 수위가 상부수위센서(90)의 높이까지 차오 르게 되면, 상부수위센서(90)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34)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신호가 입력된 콘트롤러(34)는, 목욕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목욕수의 공급을 중단한다(S109).
그리고 목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삼방향 제어밸브인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공기압송관(102)과 메인압송관(54)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에어콤프레셔(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에어콤프레셔(100)에서 고압의 압축 공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압축 공기는 공기압송관(102)과 메인압송관(54)을 지나 상부, 하부, 후방 분사관(55, 56)으로 도입되며, 도입된 압축 공기는 각 분사관(55, 56)을 통해 분사된다. 특히, 하부, 후방 분사관(55, 56)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는 목욕수의 수중으로 불어넣어지면서 목욕수를 유동시키며(S111), 따라서 유동되는 목욕수로 하여금 애완견(D)의 피부와 털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에어콤프레셔(10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개방한다. 그러면, 목욕실(36)에 저수된 목욕수는 배수관(8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S11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애완견(D)의 세척동작은 완료되며, 이후 헹굼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세척동작이 2번 또는 3번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헹굼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목욕수 펌프(52)가 작동되면서 목욕수 공급수단(10)의 목욕수가 급수되고, 급수된 목욕수는 각 분사관(55, 56, 57)을 통해 분사되면서 애완견(D)을 골고루 샤워시켜 헹굼한다(S115). 특히, 애완견(D)을 샤워시켜주면서 애완견(D)의 피부와 털어 묻어 있는 세정제를 씻어준다. 이때, 콘트롤러(34)는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개방시키며, 따라서 분사된 목욕수는 배수관(8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S117).
그리고 샤워 동작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차단시키며, 따라서 분사된 목욕수는 목욕실(36)에 저수되면서 애완견을 2차로 헹구기 시작한다(S119).
그리고 목욕수가 계속적으로 분사되고 저수됨에 따라 목욕실(36)에 목욕수가 천천히 차오르게 되는데, 이때 목욕수의 수위가 상부수위센서(90)의 높이까지 차오르게 되면, 상부수위센서(90)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34)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신호가 입력된 콘트롤러(34)는, 목욕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목욕수의 공급을 중단한다(S121).
한편, 목욕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삼방향 제어밸브인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공기압송관(102)과 메인압송관(54)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에어콤프레셔(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에어콤프레셔(100)에서 고압의 압축 공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압축 공기는 공기압송관(102)과 메인압송관(54)을 지나 상부, 하부, 후방 분사관(55, 56)으로 도입되며, 도입된 압축 공기는 각 분사관(55, 56)을 통해 분사된다. 특히, 하부, 후방 분사관(55, 56)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는 목욕수의 수중으로 분사되면서 목욕수를 유동시키며(S123), 따라서 유동되는 목욕수로 하여금 애완견(D)의 피부와 털을 깨끗하게 헹굼해 준다.
한편, 목욕수가 애완견(D)을 헹굼하는 과정에서, 목욕실(36) 내의 방향제 저장망(120)에서 방향제, 즉 허브, 아로마 등이 목욕수로 스며들며, 목욕수로 스며든 허브, 아로마 등의 방향제는 애완견(D)에게 아로마테라피를 제공한다(S125).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에어콤프레셔(10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배수밸브(84)를 제어하여 배수관(82)을 개방한다. 그러면, 목욕실(36)에 저수된 목욕수는 배수관(8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S127).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애완견(D)의 헹굼동작은 완료되며, 이후 건조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헹굼동작이 2번 또는 3번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건조동작은, 먼저 콘트롤러(34)가 삼방향 제어밸브인 공급밸브(92)를 제어하여 공기압송관(102)과 메인압송관(54)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에어콤프레셔(100)와 공기히터(10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에어콤프레셔(100)에서 고압의 압축 공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압축 공기는 공기히터(104)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공기는 메인압송관(54)을 지나 상부, 하부, 후방 분사관(55, 56, 57)으로 도입되며, 도입된 열풍은 각 분사관(55, 56, 57)을 통해 분출되면서 애완견(D)에 분사된다. 따라서 애완견(D)의 피부와 털은 건조된다(S129).
이때, 열풍을 분출하는 각 분사관(55, 56, 57)의 각 분사노즐(55a, 56a, 57a)은, 애완견(D)의 털의 결 방향을 향하므로, 상기 열풍을 털의 결 방향을 향해 분사되며, 따라서 애완견(D)의 털을 빗질하면서 건조해준다.
그리고 애완견(D)의 건조가 완료되면, 콘트롤러(34)는 향수분무수단의 향수펌프(13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향수펌프(132)와 향수분사노즐(134)은 향수 저장통(130)의 향수를 펌핑하면서 애완견(D)에게 뿌려준다(S131). 그리고 향수의 분무가 완료되면, 애완견(D)의 목욕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목욕동작을 통해서, 애완견(D)은 깨끗하게 씻어된다. 특히, 목욕, 헹굼, 건조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애완견(D)의 목욕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세척수의 온도와 주변의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조성하므로, 애완견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키면서 목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목욕에 대한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깨끗하게 목욕시킬 수 있다. 또한, 애완견의 피부와 털을 건조시켜주고 향수를 분무하는 등, 미용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은, 목욕, 헹굼, 건조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애완견의 목욕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세척수의 온도와 주변의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조성하 므로, 애완견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키면서 목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목욕에 대한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깨끗하게 목욕시킬 수 있다. 또한, 애완견의 피부와 털을 건조시켜주고 향수를 분무하는 등, 미용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목욕수를 공급하는 목욕수 공급수단과, 공급된 목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목욕수 히터와, 가열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목욕시키는 욕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욕조장치는,
    애완견을 수용시킬 수 있고, 상기 목욕수를 저수할 수 있는 트인 목욕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목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목욕수를 상기 목욕실에 수용된 애완견에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과;
    목욕수에 젖은 상기 애완견에 세정제를 공급해주는 세정제 공급수단과;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애완견을 씻겨줄 수 있도록 상기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목욕수 유동수단과;
    상기 목욕실로부터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수단과;
    목욕이 완료된 상기 애완견을 건조시켜줄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에 열풍을 공급해주는 열풍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욕실의 트인 상부를 덮는 커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목욕실에 수용된 애완견의 머리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트인 상부의 일 측에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트인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트인 상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 커버와;
    상기 목욕실에 수용된 애완견의 몸통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트인 상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트인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트인 상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하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차단위치로 운동한 상기 회전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와 슬라이딩 커버는 목욕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상기 애완견의 복부 부분에 목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관과, 상기 애완견의 둔부와 꼬리 부분에 목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후방 분사관과, 상기 애완견의 등과 머리 부분에 목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수단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을 받쳐지지할 수 있는 받침망과;
    상기 받침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받침망이 목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턱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턱은 상기 받침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목욕실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제 저장망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방향제 저장망은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에 침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에서 향수를 분무해주는 향수분무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향수분무수단은 향수를 저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향수 저장통과, 상기 향수 저장통의 향수를 펌핑하는 향수펌프 및, 상기 향수펌프로부터 토출된 향수를 상기 애완견에게 뿌려주는 향수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욕수 유동수단은,
    공기를 펌핑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토출되는 압송하는 공기압송관과, 상기 공기압송관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에 분출하는 분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수단은,
    공기를 펌핑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토출되는 압송하는 공기압송관과, 상기 공기압송관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공기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상기 애완견에 분출하는 분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출수단은 상기 열풍을 분출하되, 상기 애완견의 털의 결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전용 목욕기.
  10. 애완견이 수용된 목욕실에 목욕수를 급수하는 단계와;
    급수된 목욕수로 애완견을 샤워시키는 단계와;
    애완견이 수용된 목욕실에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애완견에게 세정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애완견을 목욕시킬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단계와;
    목욕을 완료한 목욕수를 상기 목욕실로부터 배수시키는 단계와;
    목욕수를 급수하여 상기 애완견을 샤워시켜 헹굼하는 단계와;
    헹굼한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헹굼된 애완견을 2차로 헹굼할 수 있도록 상기 목욕실에 목욕수를 저수하는 단계와;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에 방향제 침지시켜 아로마테라피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목욕실로부터 목욕수를 배수시키는 단계와;
    목욕이 완료된 애완견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목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을 2차로 헹굼하는 단계에서, 상기 목욕실에 저수된 목욕수가 유동하면서 상기 애완견을 헹굼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동안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목욕수를 유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목욕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을 건조시키는 단계 후에, 애완견에게 향수를 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목욕 방법.
KR1020050062716A 2005-07-12 2005-07-12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2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16A KR100720736B1 (ko) 2005-07-12 2005-07-12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16A KR100720736B1 (ko) 2005-07-12 2005-07-12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60A true KR20070008860A (ko) 2007-01-18
KR100720736B1 KR100720736B1 (ko) 2007-05-22

Family

ID=3801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7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0736B1 (ko) 2005-07-12 2005-07-12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736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5803A (zh) * 2010-10-09 2011-02-09 温州市锐博机械成套有限公司 宠物洗澡机
CN105028227A (zh) * 2015-08-28 2015-11-11 石玉泉 一种自助宠物洗澡装置
CN105613328A (zh) * 2014-10-31 2016-06-01 烟台海翌能源科技有限公司 全自动宠物清洗装置
KR101849004B1 (ko) * 2016-08-30 2018-04-13 김태일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CN108308057A (zh) * 2018-03-28 2018-07-24 五邑大学 一种开放式宠物全自动洗浴机
CN109122373A (zh) * 2018-10-03 2019-01-04 合肥为宠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洗澡吹干机
KR20190005348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회라이스 반려동물 수소수 세정장치
KR20190063006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377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7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8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141903A (ko) * 2018-06-15 2019-12-26 김상엽 애견 목욕 장치
KR20200017741A (ko) 2018-08-09 2020-02-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수헬멧
KR20200017742A (ko) 2018-08-09 2020-02-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CN111011241A (zh) * 2019-11-13 2020-04-17 安徽宠旺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洗澡吹干设备
CN111034639A (zh) * 2018-10-11 2020-04-21 Lg电子株式会社 浴盆组件
KR20200089012A (ko) * 2019-01-16 2020-07-24 김동환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KR20200123330A (ko) *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목욕장치
US20210176960A1 (en) * 2019-12-13 2021-06-17 Stephen D Pigue Pet Cleaning Enclosure
KR20210001393U (ko) * 2019-12-13 2021-06-23 이은미 미용실 세발의자용 물받침대
KR20210146560A (ko) 2020-05-27 2021-12-06 김현동 이동식 애완동물 목욕 차량
KR20240098363A (ko) 2022-12-21 2024-06-28 조정선 반려동물용 위생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80Y1 (ko) 2014-03-07 2014-08-04 곽동식 샤워 부스 장치
KR101525934B1 (ko) * 2014-03-17 2015-06-09 정선우 애완동물용 스파
KR20180044013A (ko) * 2016-10-21 2018-05-02 김성호 애완동물 목욕 장치
KR101958090B1 (ko) 2017-06-22 2019-03-13 김상엽 애견 목욕 장치
KR101997663B1 (ko) 2017-11-09 2019-07-08 신현섭 반려동물 목욕용 밴드형 방수 귀마개
KR102759575B1 (ko) 2018-09-29 2025-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KR101938694B1 (ko) * 2018-10-16 2019-04-10 박맹기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KR102482014B1 (ko) * 2020-03-31 2022-12-27 최돈식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2438968B1 (ko) 2021-02-10 2022-09-01 정채영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102349761B1 (ko) * 2021-10-18 2022-01-11 (주)엠케이비즈 반려견샤워부스장치
US20230240262A1 (en) * 2022-01-28 2023-08-03 Heping LIU Automatic bath cleaning machine for pet dogs
KR20250043802A (ko) * 2023-09-22 2025-03-31 윤태수 환자용 자동샤워장치 , 드라이장치 및 피부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38Y1 (ko) 2001-11-29 2002-06-21 현명수 애완동물용 세척기
KR200291042Y1 (ko) 2002-07-08 2002-10-07 정대용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314068Y1 (ko) 2003-03-04 2003-05-22 정은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40079305A (ko) * 2003-03-07 2004-09-14 이수테크 주식회사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0325503Y1 (ko) 2003-06-18 2003-09-03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0554293B1 (ko) * 2003-11-14 2006-02-24 하진태 애완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5803B (zh) * 2010-10-09 2012-09-19 温州市锐博机械成套有限公司 宠物洗澡机
CN101965803A (zh) * 2010-10-09 2011-02-09 温州市锐博机械成套有限公司 宠物洗澡机
CN105613328A (zh) * 2014-10-31 2016-06-01 烟台海翌能源科技有限公司 全自动宠物清洗装置
CN105028227A (zh) * 2015-08-28 2015-11-11 石玉泉 一种自助宠物洗澡装置
KR101849004B1 (ko) * 2016-08-30 2018-04-13 김태일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190005348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회라이스 반려동물 수소수 세정장치
KR20190063377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6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7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욕조 타입의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KR20190063008A (ko)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애완동물 목욕 받침대
CN108308057B (zh) * 2018-03-28 2023-09-01 五邑大学 一种开放式宠物全自动洗浴机
CN108308057A (zh) * 2018-03-28 2018-07-24 五邑大学 一种开放式宠物全自动洗浴机
KR20190141903A (ko) * 2018-06-15 2019-12-26 김상엽 애견 목욕 장치
KR20200017742A (ko) 2018-08-09 2020-02-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KR20200017741A (ko) 2018-08-09 2020-02-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수헬멧
CN109122373B (zh) * 2018-10-03 2023-09-19 合肥为宠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洗澡吹干机
CN109122373A (zh) * 2018-10-03 2019-01-04 合肥为宠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洗澡吹干机
US11229327B2 (en) 2018-10-11 2022-01-25 Lg Electronics Inc.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CN111034639A (zh) * 2018-10-11 2020-04-21 Lg电子株式会社 浴盆组件
EP3636070A3 (en) * 2018-10-11 2020-07-29 LG Electronics Inc. -1- Bath
US11559171B2 (en) 2018-10-11 2023-01-24 Lg Electronics Inc.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KR20200089012A (ko) * 2019-01-16 2020-07-24 김동환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KR20200123330A (ko) *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목욕장치
CN111011241A (zh) * 2019-11-13 2020-04-17 安徽宠旺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洗澡吹干设备
KR20210001393U (ko) * 2019-12-13 2021-06-23 이은미 미용실 세발의자용 물받침대
US20210176960A1 (en) * 2019-12-13 2021-06-17 Stephen D Pigue Pet Cleaning Enclosure
KR20210146560A (ko) 2020-05-27 2021-12-06 김현동 이동식 애완동물 목욕 차량
KR20240098363A (ko) 2022-12-21 2024-06-28 조정선 반려동물용 위생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736B1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36B1 (ko)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KR102759575B1 (ko) 반려동물 목욕기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KR101913963B1 (ko)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JPH035243Y2 (ko)
KR101917636B1 (ko) 반려동물 목욕기
KR200314068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328270Y1 (ko) 자동 전신 샤워 부스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EP4142478A1 (en) Animal cleaning, drying and/or treatment apparatus
KR102172055B1 (ko)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JP2007037538A (ja) 犬用洗浄装置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JP3101502B2 (ja) 自動洗髪機
US20070289549A1 (en) Automatic Hydromassage Machine for Household Pets
KR20110063706A (ko) 애완견 목욕장치
KR200331761Y1 (ko) 자동 손 세척기
KR20160026939A (ko) 애완동물 입식목욕기
KR200357835Y1 (ko) 애완동물의 세척장치
KR20040084351A (ko) 애완견 세척 장치
JPH11206259A (ja) ペットの洗浄および乾燥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200315478Y1 (ko) 애완동물 목욕기
KR102293912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160000823U (ko) 애완동물 입식목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