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088A -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 Google Patents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6088A KR20070006088A KR1020050061103A KR20050061103A KR20070006088A KR 20070006088 A KR20070006088 A KR 20070006088A KR 1020050061103 A KR1020050061103 A KR 1020050061103A KR 20050061103 A KR20050061103 A KR 20050061103A KR 20070006088 A KR20070006088 A KR 200700060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silicone
- cosmetic composition
- color cosmetic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40008099 dimethico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ZUOUZKKEUPVFJK-UHFFFAOYSA-N ph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82 B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ZNSFCLAULLKQX-UHFFFAOYSA-N Bor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B PZNSFCLAULLKQ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588 hydroxyl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049 pear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seric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XMSXQFUHVRWGNA-UHFFFAOYSA-N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Chemical compound C[Si]1(C)O[Si](C)(C)O[Si](C)(C)O[Si](C)(C)O[Si](C)(C)O1 XMSXQFUHVRWGN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980 iron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63 silicon-bas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4 clay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KTSYUJCYHOUJP-UHFFFAOYSA-N [O--].[Al+3].[Al+3].[O-][Si]([O-])([O-])[O-] Chemical compound [O--].[Al+3].[Al+3].[O-][Si]([O-])([O-])[O-] YKTSYUJCYHOU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49 di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1 halloy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34 iron oxid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TFXARWRTYJXII-UHFFFAOYSA-N iron(2+);iron(3+);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Fe+2].[Fe+3].[Fe+3] WTFXARWRTYJX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BMVTYDPPZVILR-UHFFFAOYSA-N iron(2+);oxygen(2-) Chemical class [O-2].[Fe+2] VBMVTYDPPZVI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ZVJSHCCFOBDDC-UHFFFAOYSA-N iron(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2 kaol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4 silicate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11 thermograv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를 포함하는 파우더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7:3 내지 9.9: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이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된 것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에 탄성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감촉과 촉촉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실리콘 복합 파우더, 색조 화장료, 표면탄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집성이 강한 탄성을 지닌 실리콘 러버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킨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배합함으로써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에 탄성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감촉과 촉촉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 분말형의 파우더류 색조 화장료를 구성하는 주원료를 체질안료라 하는데, 이 체질안료에는 마이카, 탈크, 카올린 등의 점토광물을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나 형태,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다. 점토 광물은 층상구조를 취하고 대부분이 규소(Si), 알루미늄(Al)을 주체로서 마그네슘(Mg), 철(Fe), 알칼리 금속(Li, Na, K) 등을 함유한 수순화 규산염 광물이다.
마이카(Mica)는 칼륨 운모에 속하는 백운모가 대표적이고 그 화학식은 KAl2(Al,Si3)O10(OH)2으로 나타낸다. 운모의 결정은 단사정계에 속하고 담황색 또는 녹색의 육각판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견운모라고 불리우는 세리사이트가 있지만 이는 미세한 백운모를 지칭하는 것이므로 백운모와 동일하다.
탈크는 수산화규산 마그네슘(Mg3Si4O10(OH)2)으로 나타내며, 통상 미세한 결정의 치밀괴 또는 엽상 조정(葉狀組晶)의 집합괴를 이루어 생산한다.
카올린의 조성은 수산화규산 알루미늄(Al2Si2O5(OH)4)이고, 결정도가 높은 것은 규칙성의 규각판상을 나타내지만, 결정도가 낮은 것은 미세한 부정판상으로 되어있다.
위에서 언급한 무기 분체들과 산화철, 유기 분체 그리고 약간의 유분이 혼합된 압축 분말 형의 파우더류 색조 화장료는 배합되는 분체의 함량에 따라 부착성 및 지속성을 조절할 수 있지만 압축 후 표면의 딱딱한 성질은 조절할 수가 없었다.
이에 압축 분말형 색조 화장료의 표면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종래에 실리콘 파우더로서, 폴리오가노실세스키옥산 수지(Poly Orgaonosilsesquioxane Resin)의 미립자, 고무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Silicone Rubber Powder)가 알려져 있고 그것들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은 예를 들면, 특개평 1-268615호 공보나, 특공평 7-053646호 공보 등으로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폴리오가노실세스키옥산 수지의 미립자를 배합한 화장료는 폴리오가노실세스키옥산 미립자 분체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매끈하게 할 수는 있지만, 딱딱 한 감촉을 향상시킬 수 는 없었다. 또한 고무 탄성을 가지는 미립자는 폴리오가노실세스키옥산 수지의 결점은 대폭적으로 해결되었지만 유동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품을 다루기가 어렵고, 또한 응집성이 강하므로 각종 기재에의 균일 분산이 어렵고, 기재와의 상용성도 나쁘기 때문에 화장료에 배합하는 데는 상당한 제한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 2000-038317호에서는, 이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되는 복합 분체를 색조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운 느낌, 깨끗한 느낌 등의 사용감, 전연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실리콘 파우더를 일본의 실리콘 생산 업체인 신에쯔 실리콘 주식회사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한 바 있다. 첫째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Silicone Rubber Powder), 둘째는 실리콘 레진 파우더(silicone Resin Powder), 셋째는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코팅된 실리콘 러버 파우더(Silicone Resin Powder coated Silicone Rubber Powder), 즉 실리콘 복합 파우더이다.
상기 실리콘 러버 파우더는 직쇄상의 디메치콘을 가교한 구조를 가진 실리콘 고무의 미세 분말로서 실리콘 고무는 일반 고무에 비해 내열성 및 내한성이 양호하다. 또한 -70 ~ 250 ℃의 폭 넓은 범위에서 고무 탄성을 가진다. 실리콘 러버 파우더는 윤활성, 내마모성, 이형성의 향상을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실리콘 러버 파우더는 응집성이 강하여 1차 입자화하기가 매우 어려워 배합이 매우 어려운 원료이 다.
상기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실록산 결합이 (CH3Si3 /2)n 으로 표현되는 3차원 망상으로 가교된 구조를 가지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의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인 유기계 폴리머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우수하다. 열중량 분석으로 400 ℃에도 열용융하지 않아 중량 변화가 거의 없으며 입도 분포가 샤프(sharp)한 구상 타입의 분체이다. 이러한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에 비해 단단하며 윤활성이 특히 우수하다. 그러나,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입자가 단단하기 때문에 표면감촉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을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한 타입으로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의 장, 단점을 잘 혼합하여 복합화한 분체이다. 따라서,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의 결점을 해소하여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장점인 내충격성이 향상된 탄성을 가지면서, 실리콘 레진 파우더의 장점인 윤활성이 향상되어 각각의 파우더끼리 응집되지 않아 분산성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에 탄성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감촉과 촉촉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 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를 포함하는 파우더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7:3 내지 9.9: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이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된 것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의 결점을 해소한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기재의 분산성을 우수하게 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향상시키며 내 충격성과 윤활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7:3 내지 9.9: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이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는 Si와 O 분자가 망상구조를 이뤄, 각각으 분자사슬이 상호 이동할 수 없어 유동성이 낮으나 분자의 자유도가 높아 신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러버 파우더는 상기 실리콘 러버가 미세한 파우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실리콘 러버가 가능하다. 일예로 실리콘 러버 파우더로는 비닐 디메치콘 및 비닐 디페닐 메치콘와 같은 비닐계가 가능하고, 시판되는 것으로는 KMP-597, KMP-595 등이 있다.
실리콘 레진(Silicone Resin)은 실리콘 고무의 가교화를 극단적으로 진행시켜 분자의 자유도를 감소시켜 신축성을 낮춘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레진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마찬가지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실리콘 레진이 가능하다. 일예로 실리콘 레진 파우더로는 메치콘 실세스키옥산 크로스폴리머 및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가 가능하고, 시판되는 것으로는 KMP-590, X-52-854, X-52-821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 표면에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코팅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키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및 디페닐 디메치콘/비닐 디페닐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에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첨가하고 잘 반죽한 후, 실온에서 정치하고 가압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얻어진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입경이 1~100 ㎛인 범위 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제품 표면에 탄성이 부여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경도가 낮아져서 안정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상기 분체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고,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금운모, 황산바륨, 카올린, 보론나이트라이드, 운모티탄, 불소 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실리카, 산화철 색소 및 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오일류 및 왁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콤팩트, 및 투웨이케익을 포함하는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페이스파우더, 파우더파운데이션, 메이컵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파운데이션, 아이새도, 파우더블러쉬,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리콘 복합 파우더의 제조
일본특허공개 제2002-38317호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리콘 파우더의 물성 측정
실리콘 러버 파우더, 실리콘 레진 파우더, 및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을 실리콘 레진 파우더로 코팅한 실리콘 복합파우더의 고무 경도, 흡유량 및 기타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파우더 5.0 g을 실리콘 오일 50.0 g과 배합 후 잘 반죽하여, 3일간 실온에서 정치하고 여과하였다. 이때 실리콘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KF-995) 및 디메치콘(Dimethicone, KF-96(6cs))을 사용하였다.
A: 고무 경도 및
흡유량
측정
얻어진 혼합물의 고무 경도는 JISA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흡유량은 다음 식 1에 의해 측정하였고,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식 1)
흡유량(g) = 고액 분리후의 고형분의 질량(g) ━ 5.0(g)
[표 1] 실리콘 파우더 종류에 따른 물성 비교
실리콘 파우더의 종류 | 고무경도(JISA) | 흡유량(g) | |
KF-995 | KF-96(6cs) | ||
실리콘 러버 파우더 | - | 30 | 20 |
실리콘 레진 파우더 | - | 3 | 2 |
실리콘 복합 파우더 | 40° | 3 | 2 |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러버 파우더 표면에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코팅한 실리콘 복합 파우더의 경우 실리콘 러버 파우더 및 실리콘 레진 파우더에 비해 고무경도가 40° 정도로 화장품으로 적용시 제품 표면의 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유량에 있어서도 실리콘 레진 파우더와 동등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흡유량이 작기 때문에 제품에 적용시 안정성을 보다 쉽게 확보할 수 있다.
B: 물성 측정
얻어진 혼합물의 색조 화장품으로서 요구되는 탄성, 매끄러움, 응집, 분산성 및 팽윤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실리콘 파우더 종류에 따른 특성 비교
파우더 타입 | 탄성 | 매끄러움 | 응집 | 분산성 | 팽윤성 (silicone) |
실리콘 러버 파우더 | ◎ | ○ | 생김 | X | 있음 |
실리콘 레진 파우더 | X | ◎ | 없음 | ◎ | 없음 |
실리콘 복합 파우더 | ◎ | ◎ | 없음 | ◎ | 없음 |
주) 표 2에서, ◎=우수 / ○=보통 / X=나쁨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해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을 실리콘 레진 파우더로 코팅한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팽윤성이 없어 사용시 제품 표면에 탄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다량 사용시에도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C: 실리콘 오일에 따른
팽윤량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혼합 사용한 실리콘 복합 파우더의 팽윤량을 하기 식 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실리콘 오일로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KF-995) 및 디메치콘(Dimethicone, KF-96(6cs))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2)
팽윤량(g) = 고액 분리후의 고형분의 질량(g) ━ 5.0(g)
[표 3] 실리콘 복합 파우더의 실리콘 오일별 팽윤량 측정
팽윤량(g) | ||
KF-995 | KF-96(6cs) | |
실리콘 복합 파우더 | 3 | 2 |
상기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오일에 따라 팽윤량이 약간 차이가 있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산화철 색소 및 오일 결합제(Binder)와 함께 혼합후 분쇄하여 색조 베이스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키옥산 크로스폴리머이었다.(실리콘 러버 파우더: 실리콘 레진 파우더= 7 : 3의 중량비)
[표 4] 색조 베이스 화장료의 조성 (단위: 중량부)
원료명 | 비교예 1 | 실시예 1 |
적색 산화철 | 0.8 | 0.8 |
황색 산화철 | 3.8 | 3.8 |
흑색 산화철 | 0.4 | 0.4 |
실리콘 복합 파우더 | - | 5.0 |
마이카 | 60.0 | 65.0 |
탈크 | 20.0 | 20.0 |
유동 파라핀 | 10.0 | 10.0 |
(실험예 1)
표면 탄성 비교 시험
상기 표 4와 같은 조성의 색조 베이스를 투웨이케익 용기에 성형하고, 이것을 일반 소비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 제품의 표면 탄성을 비교하여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각각의 값은 통계 처리하여 나타냈다.
(5: 아주 우수하다, 4:우수하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아주 나쁘다)
[표 5]
구분 | 비교예 1 | 실시예 1 |
표면 탄성 | 3.4 | 4.5 |
(실험예 2)
제품의
사용감
(부드러움, 촉촉함) 비교 시험
상기 표 4의 색조 베이스를 투웨이케익 용기에 성형하고, 이것을 일반 소비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 제품의 사용감을 비교하여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구 분 | 비교예 1 | 실시예 1 |
부드러움 | 3.9 | 4.3 |
촉촉함 | 3.3 | 4.4 |
상기 표 5 및 6의 결과와 같이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는 종래의 색조 화장료에 비해 제품 표면의 탄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부드러움과 촉촉함 등의 사용감에서도 종래의 색조 화장료에 비해 개선상태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향상된 탄성을 가지면서 분산성이 우수한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여,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에 적용시 탄성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감촉과 촉촉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7)
- 분체를 포함하는 파우더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이 실리콘 복합 파우더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며,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실리콘 러버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 파우더가 7 : 3 내지 9.9 : 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실리콘 러버 파우더의 표면이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된 것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키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및 디페닐 디메치콘/비닐 디페닐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복합 파우더는 구상이며,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 ㎛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60 내지 90 중량%의 양 으로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금운모, 황산바륨, 카올린, 보론나이트라이드, 운모티탄, 불소 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실리카, 산화철 색소 및 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류 및 왁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콤팩트, 및 투웨이케익을 포함하는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인 색조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103A KR20070006088A (ko) | 2005-07-07 | 2005-07-07 |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103A KR20070006088A (ko) | 2005-07-07 | 2005-07-07 |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6088A true KR20070006088A (ko) | 2007-01-11 |
Family
ID=3787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1103A Withdrawn KR20070006088A (ko) | 2005-07-07 | 2005-07-07 |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6088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8575A3 (ko) * | 2009-02-24 | 2011-01-06 | (주) 아모레퍼시픽 | 이산화티탄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WO2012026711A3 (ko) * | 2010-08-27 | 2012-05-10 | (주)아모레퍼시픽 |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483974B1 (ko) * | 2008-01-03 | 2015-01-20 | (주)아모레퍼시픽 |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
WO2015108383A1 (ko) * | 2014-01-17 | 2015-07-23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2005
- 2005-07-07 KR KR1020050061103A patent/KR2007000608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974B1 (ko) * | 2008-01-03 | 2015-01-20 | (주)아모레퍼시픽 |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
WO2010098575A3 (ko) * | 2009-02-24 | 2011-01-06 | (주) 아모레퍼시픽 | 이산화티탄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WO2012026711A3 (ko) * | 2010-08-27 | 2012-05-10 | (주)아모레퍼시픽 |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WO2015108383A1 (ko) * | 2014-01-17 | 2015-07-23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8894B1 (ko) | 표면처리한 화장료용 판상 분체 및 이를 배합한 고형분말 화장료 | |
KR101064504B1 (ko) |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KR102586449B1 (ko) |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25684B1 (ko) |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의 제조방법 | |
KR20120103800A (ko) |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099002A (ko) |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77424B1 (ko) |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 |
KR101789036B1 (ko) | 구상 실리콘 t 레진을 주 체질안료로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WO2018048214A1 (ko) |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101630825B1 (ko) |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80053232A (ko) |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70006088A (ko) |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 |
KR100828461B1 (ko) | Mq 수지가 코팅된 마이카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롱래쉬형 마스카라 조성물 | |
KR101729541B1 (ko) |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 |
JP7490348B2 (ja) | 粉末化粧料 | |
KR101978370B1 (ko) |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338785B1 (ko) | 금속염으로 표면 처리한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48737A (ko) | 오일-프리 압축 또는 고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01139A (ko) |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54250A (ko) | 피부 부착성과 지속성이 높은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제조 방법 | |
KR102594172B1 (ko) | 타정성 및 낙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1534595B1 (ko) | 구상 파우더에 폴리머 코팅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 |
KR101854536B1 (ko) |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714338B1 (ko) |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조성물 | |
KR102273261B1 (ko) |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매끄러운 발림성 및 폭신폭신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는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