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5579A -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 - Google Patents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579A
KR20070005579A KR1020067015235A KR20067015235A KR20070005579A KR 20070005579 A KR20070005579 A KR 20070005579A KR 1020067015235 A KR1020067015235 A KR 1020067015235A KR 20067015235 A KR20067015235 A KR 20067015235A KR 20070005579 A KR20070005579 A KR 2007000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s
character set
character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우오코 란쯔
주하 마릴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100)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02) 및 메모리(103)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202) 및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2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Split on-screen keyboar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터치-감응 디스플레이들과 같은, 온-스크린 키보드들을 지닌 디스플레이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사용자가 온-스크린 키보드를 통해 더 신속히 그리고 더 정확하게 상기 장치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들로서 터치 스크린들을 사용하는 핸드헬드 장치들상에서 텍스트는 종종 펜, 스타일러스 등을 사용하여 상기 스크린상의 그래픽 아이콘들 또는 문자들의 이미지들을 두드림으로써 입력된다. 문자들은 종종 표준 쿼티(QWERTY) 키보드상의 키들과 동일한 레이아웃 및 순서로 배열된다. 하지만, 각 개별 가상 키의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크기에 의존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주 작아지기 때문에 이것은 작은 스크린 장치들에 대한 최적의 해법이 아니다.
다양한 포인팅 태스크들에 대한 인간의 손 운동 수행에 관한, 잘 알려져 있는 피츠의 법칙(Fitts' Law)은 손 이동의 타깃들이 더 작아지고 더 이격될수록, 한 타깃으로부터 다른 타깃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증가하거나, 타깃 히팅 정확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목표로 하는 이동의 크기는 피츠의 법칙에 의하면 전자 신호와 유사하고, 상기 이동의 공간 정확성은 전자 노이즈와 유사하다. 특 히, 피츠의 법칙은 일련의 또는 가역적인, 타깃 획득 태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은 교대로 거리 D만큼 분리되어 있는 폭 W의 타깃들을 두드린다. 그래서 피츠의 법칙은 다음 공식에 따라 계산되는 어려움 지수(ID: Index of Difficulty)라 불리우는 타깃 획득 태스크의 어려움의 양화(quantification)를 제안한다:
ID = log2(2D/W)
따라서, 피츠의 법칙에 의하면, 감소된 키 크기는 더 느린 타이핑 속도를 초래하거나 증가된 타이핑 에러 확률을 초래한다.
분리된 키보드에 대한 필요없이 소형 장치들상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당 기술 분야에서 제안되었다. 하나의 접근은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의 이중자(bigrams)(때때로 바이그램으로 지칭됨) 또는 삼중자(trigrams)와 같은, 패턴들을 연구함으로써 입력될 다음 문자를 예측하려고 시도하고, 어떤 방법으로 입력될 다음 문자를 나타내거나 강조하는 것이다.
US 5,963,671은 가장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문자들 및 키보드의 제어가 삼중자 테이블들을 조사하여 결정되는 온-스크린 키보드를 개시한다. 상기 키보드의 문자들 및 다른 문자들은 표준 키보드 포맷 또는 알파벳 및 수치적인 순서로 문자들과 숫자들의 스트링들과 같은 완전히 다른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키보드 사용자가 가장 선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자들의 서브세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하기 위하여 색 세기 또는 크기와 같은 유인제가 강조를 위해 사용된다. 가장 가능성이 있는 문자가 문자인 경우, 완전한 단어들 및 단어 어미들을 포함하여, 상기 서 브세트의 다른 문자들의 복제본, 선택을 위한 제어 기능들을 식별하는 심볼들 및 유망한 다중-문자 조합들이 가장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문자 주위로 모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문자의 크기의 변경은 상기 스크린상의 변하는 레이아웃으로 인하여 사용자를 혼동시킬 가능성이 있다(다른 문자들은 다른 순간에 확대된다). 더욱이, US 5,963,671에 의한 해법은 또한 사용자가 문자들을 입력할 때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경된다는 점에서 사용자를 혼동시킨다. 특히, 문자 키 중심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입력될 다음 문자의 예측에 기반하여 변경된다.
다른 접근은 US 5,812,117에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미국 특허는 소프트 키보드에 관한 스크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소프트 키보드를 채택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소프트 키보드는 소정 수의 정보 키들이 두개 이하의 라인들에 배열되는 정보 키 영역 및 상기 정보 키 영역상에 표시된 정보 키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스크롤 방향 키들이 상기 정보 키들을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스크롤 키 영역을 포함한다. 하지만 US 5,812,117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될 문자들의 분할은 최적화되지 않는데, 즉 사용자는 입력될 다음 문자가 현재 표시된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텍스트를 입력할 때 매우 자주 앞뒤로 상기 정보 키 영역을 스크롤해야 한다. 따라서, US 5,812,117에 의한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키보드가 소형 장치들상에 표시될 수 있을지라도 장치의 사용자에게 텍스트를 입력하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두 손을 쓰는 제어 또는 편측성으로 알려져 있는 운동 행동의 특정화된 영역에 의하면, 인간은 두 손을 쓸 뿐만 아니라, 그들의 손들을 다르게 사용한다. 일상적인 태스크들에서 손들 간의 노동의 분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의 태스크들이 대칭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즉 우리의 손들은 다른 역할들을 가지며 뚜렷하게 상이한 태스크들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잘 알려져 있는 두 손을 쓰는 기술의 구이아드(Guiard's) 모델은 소위 비선호 및 선호하는 손들의 역할들 및 행동들을 식별한다. 특히, 구이아드의 모델에 의하면 비선호되는 손은 선호되는 손을 이끌고, 선호되는 손에 대한 참조의 공간 프레임을 설정하며, 거친 움직임들을 수행하는데 반하여, 선호되는 손은 비선호되는 손을 따르고, 상기 비선호되는 손에 의해 설정된 참조의 설정된 프레임 내에서 동작하며, 미세한 움직임을 수행한다. 따라서, 고정되고, 제한된 크기의 입력 장치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키들 간의 거리 및 폭 간의 관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과 관련된 특정 태스크들을 어떤 손으로 수행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스크린 키보드를 지닌,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와 같은,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 장치에, 텍스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해 알려져 있는 기술들의 상술된 문제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 통계적인 확률에 기반하여 큰 가상 키보드의 문자 세트를 더 작은 서브세트로 분할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 상기 서브세트들을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분할된 키보드의 사용자에게 현재 표시된 서브세트에서 입력될 다음 원하는 문자를 가장 잘 발견할 수 있으면서 더 큰 개별 키들이 제공될 것이라는 이해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특정 이점들은 상기 장치에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문자들의 입력, 상기 장치에서의 능력을 처리하기 위한 낮은 요구 및 메모리 요건들에 대한 낮은 요구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상기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감소시킬 가능성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많은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들과 함께 상기한 목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본 창의적인 개념에 따라 획득되는데,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 및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표시된 문자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감소된 수의 문자들로 인하여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문자들이 입력될 수 있는 속도는 표시된 문자 세트에서 원하는 문자를 찾을 증가된 통계적인 가능성으로 인하여 증가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문자들의 수의 감소는 감소된 수의 문자들 덕택으로 이용가능해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서브영역들내의 문자들 이외의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소된 수의 문자들 덕택으로 문자 크기를 증가할지 또는 상기 문자 크기를 유지하고 그대신 비-문자 정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용가능한 서브영역들을 사용할지는 사용자-선택가능한 옵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문자 세트에 부가하여 부가적인 문자들, 예를 들어 삭제 키와 같은 제어 키들을 표시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데, 원하는 표시된 문자의 선택이 사용자의 펜, 스타일러스, 손가락 등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인가되는 선택하는 동작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가 아니고, 상기 원하는 표시된 문자의 선택은 조이스틱 또는 회전자와 같은, 다른 입력 수단을 통해 수행되는데, 상기 조이스틱 또는 회전자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된 제1 문자 세트를 스크롤링할 수 있고 그 또는 그녀의 요망시 상기 문자들 중 현재 표시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제2 문자 세트로 대체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현재 표시된 문자 세트를 다른 문자 세트로 대체하기 위한 문자 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세트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분리된, 하드 키 또는 다른 하드웨어 멤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세트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선택가능한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제1 문자 세트에 부가하여 표시된 상기한 부가적인 문자들의 문자들 중 한 문자에 의해 또는 소정의 펜/손가락 제스처 또는 스트로크에 응답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세트 및 상기 제2 문자 세트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기반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이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다는 것은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 중에서, 제1 및 제2 문자의 대응하는 연속적인 선택과 비교하여, 당해 문자 직전 또는 직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높은 가능성을 지닌,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문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문자 세트에 어떤 문자들을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이중자들(digrams), 삼중자들(trigrams) 또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대한 어떤 다른 통계적인 패턴에 기반할 수 있다.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내의 모든 보통 텍스트 문자들이 상기 제1 및 제2 문자 세트들 중 하나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 어떤 보통의 텍스트 문자들은 이러한 어떤 문자들이 통계적으로 이것에 대해 "인가"되지 않을지라도, 상기 제1 문자 세트와 함께 동시에 표시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목적들은, 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본 창의적인 개념에 따라 획득되는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단계; 및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제2 문자 세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문자 세트 및 상기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은 디스플레이상에 가상 키보드를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생성물에 의해 본 창의적인 개념에 따라 획득되는데,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를 정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소프트웨어 코드; 및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제2 문자 세트로 대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창의적인 개념에 의한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제1 태양에 의한 문자들의 제1 그룹화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제2 태양에 의한 문자들의 제2 그룹화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제3 태양에 의한 문자들의 제3 그룹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제4 태양에 의한 문자들의 제4 그룹화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창의적인 개념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창의적인 개념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창의적인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다음 본 창의적인 개념에 따른 장치의 상세가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질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부분들을 포함하는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상기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101) 또는 미국, 새너제이, 오차드 파크웨이, 2325, CA 95131에 있는 아트멜 코퍼레이션(Atmel Corporation)으로부터의 AVR RISC 마이크로콘트롤러; 미국, 애리조나, 챈들러, 웨스트 챈들러 불러바드, 2355에 있는 마이크로칩 테크놀러지 인코퍼레이티드로부터의 PIC-프로세서 계열의 프로세서 또는 상기 장치(100)에서의 사용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세서의 형태일 수 있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한다. 후자의 접근은 상기 MPU(101)가 상기 장치(100)내의 단일 칩상에서 다른 장치들과 함께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한데, 상기 장치(100)의 전체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처리 능력, 에너지 소비, 크기 및 메모리 관리 능력에 관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술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선택으로 인하여,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연관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101)을 선택하는데 아무런 어려움도 없을 것이다.
상기 MPU(101)는 아날로그 저항성 유형, 용량성 유형, 탄성파 유형, 전자기계식 유형 또는 표면상에 가해지는 압력에 감응하는 어떤 다른 적합한 유형일 수 있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10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MPU(101)와 디스플레이(102)간의 통신은 양방향적이다; 상기 MPU(101)는 상기 디스플레이(102)에게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표시될 정보를 제공하고, 반면에 상기 디스플레이(102)는 스크린상의 터치가 수행되었는지 그리고 어디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 이터를 상기 MPU(101)에 제공한다. 하기에 더 상세히 개시될 바와 같이, 상기 MPU(1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MPU(101)는 메모리(103)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ROM, PROM, SRAM, DRAM, EPROM, EEPROM, FLASH, NVRAM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형태의 메모리의 형태일 수 있는 메모리(103)는 도 1에 개별 유닛으로서 도시되지만, 또한 상기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10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MPU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3)는 상기 MPU(101)에서 실행되는 경우 다양한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의 일부를 실행하는 경우 수행될 하나의 태스크는 상기 장치(100)의 기본적인 입력/출력 능력을 지원하는 것인데, 즉 보통의 운영 체제와 연관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의 다른 부분들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MPU(101)에 의해 수행될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 특정 태스크들이 하기에 상세히 개시될 것이다. 상기 MPU(101)에서 실행될 코드를 저장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메모리(103)는 또한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에서 발견되는 리딩 이중자들(leading digrams)의 빈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100)가 예를 들어 이동 통신의 분야에서 일반적인, 하나보다 많은 언어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03)는 상기 장치(100)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가능한 언어들에서 발견되는 리딩 이중자들의 빈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MPU(101)는 또한 하드웨어 키보드(104)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정확히 말하면 하나 이상의 키들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하드웨어 키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키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서 텍스트 및 이미지들을 스크롤링하기 위한 두개의 스크롤 키들 및 상기 장치(100)상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달력 프로그램 또는 전화번호부를 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는 또한 오늘날 많은 이동 전화들에서 발견되는 완전한 숫자 키보드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치(100)가 매우 작게 설계되는 경우 상기 키보드는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장치(100)에의 정보의 입력은 상기 터치-감응 디스플레이(102)에 의해 단독으로 수행된다.
상기 장치(100)는 물론 상기 장치(100)의 특정 의도된 사용에 따라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는 이동 통신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RF-회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100)는 GSM, GPRS, DAMPS, DCS, PCS 또는 UMTS와 같은, 어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 단말기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치(100)에 포함될 다른 가능한 요소들은 디지털 카메라들, 뮤직 플레이어들, 음성 레코더들 등이다.
도 2a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바람직한 제1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제1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상 키보드(201)는 영어 언어에서 발견되는 문자들 뿐만 아니라 스페이스(SP) 및 삭제(DEL) 키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큰 키보드(201)가 가지고 있는 문제는 그것이 너무 커서 작은 디스플레이(102)상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인데, 즉 상기 키보드(201)의 개별 키들은 전체 키보 드(201)가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 표시되는 경우 너무 작아질 것이다. 전체 키보드(201)를 표시하는 대신에 키보드들(202, 203)상의 개별 문자들의 크기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201)는 두개의 절반들(202, 203)로 분할된다. 상기 문자 세트의 최적의 분할은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에 의해 정의된다. 가능한 분할들은 사용되는 각 언어에 대한 이중자 빈도에 기반하여 각 요망되는 언어에서 키보드 전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다.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해 요구되는 이중자 빈도들은 당해 언어의 텍스트 샘플들을 포함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다. 특히, 상기 대형 데이터베이스가 참조될 때, 각 이중자 그리고 모든 이중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이중자들이 분석된다. 그후 각 이중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된 모든 이중자들과 관련하여 가중화될 수 있다. 예로서, 에이치. 에프. 게인스의, 1956년, 뉴욕, 도버, 암호해독; 암호들 및 그들의 해법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영어 언어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이중자들은 (순서대로) TH, HE, AN, IN, ER, RE, ES, ON, EA, TI, AT, ST, EN, ND, OR, TO, NT, ED, IS, AR, OU, TE 및 OF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최적 알고리즘은 두개의 키보드 레이아웃들을 생성하는데, 맨좌측 키보드(202)는 상기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이중자들에서 발견되는 문자들을 포함하고, 반면에 덜 흔한 이중자 문자들은 맨우측 키보드(203)에서 발견된다. 도 2a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 이(102)상에 표시된 문자 세트에서 다음 원하는 문자를 발견할 높은 가능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종래 기술의 해법들에서보다 더 큰 가상 키들이 제공될 것이라는 점에서 고정되고,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하는 장치(100)는 상술된 분할 기술을 사용하여 이익을 얻을 것이다.
보통 문자들은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서 원하는 문자를 두드리기 위한 펜, 스타일러스 등을 사용하여 입력된다. 각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의 레이아웃은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단의 예측되는 펜 이동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할된 문자 세트들(202, 203)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이중자들을 분석함으로써 당해 이중자들의 각 문자가 동일한 이중자에서의 다른 문자에 가능한 한 근접하여 배열되도록 각 세트(202, 203)에서 문자들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를 상기에 개시된 영어 언어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이중자들과 비교함으로써, 맨좌측 문자 세트 레이아웃(202)내에서, 문자 T는 문자 H 옆에 배열되고, 문자 H는 문자 E 옆에 배열되며, 문자 A는 문자 N 옆에 배열되고, 문자 I는 문자 N 옆에 배열되며, 나머지도 마찬가지로 배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할된 세트들(202, 203)내의 문자들은 모이게 되어서,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문자들은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적은 문자들보다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에 대해 더 근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도 2a에 의한 상기 분할된 키보드의 사용자에게는 큰 키보드(201)의 분할로 인하여 더 큰 개별 키들이 제공될 것이고, 또한 그에게는 상이한 문자 세트들 간의 전환들을 최소화하는 키보드 레이아웃(202, 203) 및 현재 표시된 문자 세 트(202, 203)내에서 펜 이동을 최소화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츠의 법칙에 의하면 이동 태스크의 어려움은 타깃 크기가 증가하고 타깃들 간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확대된 키들 및 표시된 문자 세트내의 이중자 키들 간의 가까운 간격은 타이핑 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키고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타이핑 에러들의 확률을 감소시킬 것이다.
도 2b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제2 태양에 의한 문자들의 다른 그룹화를 도시한 것이다. 피츠의 법칙의 교시에 따라 문자들을 배열하는 대신에 분할된 문자 세트들(212, 213)에서 발견된 문자들은 보통의 쿼티(QWERTY) 키보드(210)와 유사하게 배열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맨좌측 문자 세트(212)는 상기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이중자들에서 발견되는 문자들을 여전히 포함하고, 반면에 덜 흔한 문자들은 맨우측 문자 세트(213)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상기 문자 세트들(212, 213)의 상단 가로줄들은 상기 감소된 수의 문자들을 가지고 가능한 한, 보통의 쿼티 키보드의 상단 가로줄에 대응한다는 것은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분할된 문자 세트들(212, 213)에서의 다른 가로줄들은 상기 쿼티 키보드(210)의 다른 가로줄들에 대응한다. 보통의 쿼티 키보드와 유사하게 상기 문자들을 배열함으로써 쿼티 키보드와 친숙한 상기 장치의 사용자는 더 큰 키보드(210)에 가능한 한 많이 대응하는 키보드 레이아웃(212, 213)을 사용하는 것이 적어도 초기에 더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거리-최적화된 키보드들(202, 203)은 사용자가 상기 키 세트의 분할 및 레이아웃을 학습할 때 더 빠른 타이핑 속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간적으로 갚을 것이다.
도 2c는 분할된 쿼티 키보드(220)의 또 다른 키보드 레이아웃(222, 223)을 도시한 것이다. 이 레이아웃에서 맨좌측 문자 세트(222)는 상기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통계적으로 가장 흔한 이중자들에서 발견되는 문자들을 여전히 포함하고, 반면에 덜 흔한 문자들은 맨우측 문자 세트(223)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각 문자 세트(222, 223)내의 개별 문자들은 알파벳순으로 분류된다. 쿼티 키보드 레이아웃(220)과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이러한 친숙한 문자들의 분류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영어 언어에 대해, 두개의 5×3 키 그리드들은 모든 흔히 사용되는 알파벳 문자들에 적합할 수 있다: 13 문자들, 스페이스 및 삭제 키들은 양 키보드 절반들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라틴 문자들에 기반하지만 26개보다 많은 문자들을 지닌 다른 언어들에 대해, 다른 키보드 절반은 스페이스와 삭제 키들 대신에
Figure 112006054291911-PCT00001
또는
Figure 112006054291911-PCT00002
와 같은, 몇몇 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접근은 문자들의 4번째 가로줄을 부가하는 것인데, 즉 상기 키보드 절반들에 대해 5×4 키 그리드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웨덴 언어에서
Figure 112006054291911-PCT00003
,
Figure 112006054291911-PCT00004
Figure 112006054291911-PCT00005
와 같은, 특정 문자들은 상기 분할된 키보드 레이아웃들(302, 303)에 적합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들(302, 303)의 전체 높이는 증가하거나 상기 개별 키들은 수직으로 수축된다. 각 문자 세트(302, 303)내의 개별 키들의 배열은 도 2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개시된 배열들과 유사하다. 도면에서 맨좌측 문자 세 트(302)는 본 실시예에서 통계적으로 흔한 이중자들로부터의 문자들을 포함할 것이어서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문자 세트(302)내에서 다음 원하는 문자를 찾을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문자 세트들(302, 303) 간의 전환은 훨씬 더 감소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매우 작거나 상기 장치(100)에서 사용된 문자들의 수가 많은 경우, 큰 가상 키보드(201)를 3개 이상의 문자 세트들로 분할하는 것이 본 창의적인 개념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상이한 문자 세트들 간의 전환들의 수는 증가할 것이지만, 상기 환경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증가된 전환들의 수를 보상하는 큰 키들을 사용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할 수 있다.
간략히 도 1 및 도 2로 돌아가면, 상기 하드웨어 키보드(104)상의 전용 물리적인 키는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문자 세트들(202, 203)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키는 스크롤 키 또는 상기 장치(100)상의 애플리케이션-특정 키, 예를 들어 달력 프로그램 또는 전화번호부를 개시하는 키일 수 있다. 상기 문자 세트들(202, 203)간에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키는 또한 터치 스크린상의 그래픽 버튼 또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202)를 가로질러 펜 또는 손가락으로 휘두르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수행되는 제스처일 수 있다. 더욱이, 문자 세트들(202, 203)간의 전환은 상기 전용 키를 누르고 해제함으로써 또는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를 표시하기 위한 키를 누르고 유지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는 상기 키가 해제되는 경우 표시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 여 상기 표시된 문자 세트(202, 203)의 키들을 가리키고 다른 손을 사용하여 문자 세트들(202, 203)간에 전환하도록, 즉 다른 손을 사용하여 상기 전환 키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도 4는 본 창의적인 개념이 사용될 수 있는, 장치(4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02) 및 키보드(404a-f)를 포함한다. 상기 키들 중 몇몇 키들(404b, 404c, 404e, 404f)은 상기 장치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한 키(404d) 또는 정확히 말하면 하나의 큰 키에 결합된 두개의 키들은 상기 디스플레이(402)상에서 텍스트 및 이미지들을 스크롤링하는데 전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특정 키들(404b, 404c, 404e, 404f) 및 상기 스크롤 키(404d) 이외에, 상기 장치(400)는 또한 상이한 문자 세트들(202, 203) 간에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측면에 배열된 키(404a)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두 손을 쓰는 제어의 교시는 상기 장치(400)에 잘 적용되고, 손들 간의 태스크들의 분할, 즉 선호하는 손으로 키들을 지시하고 선호하지 않는 손으로 문자 세트들(202, 203)간에 전환하는 것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것은 상기 장치(400)의 하우징(405) 내부에 존재하는 MPU(101) 및 메모리(102)이다. 상기 장치(400)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RF-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5는 상이한 문자 세트(202, 203)로부터 원하는 문자의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터치-감응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창의적인 개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도면들이 참조될 것이다.
루틴은 상기 장치(100)에서 사용된 언어에서 통계적으로 흔한 이중자들의 부분인 제1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501)에 의해 시작된다. 상기 제1 문자 세트의 부분이 되도록 정의되는 문자들의 수는 사용되는 언어 이외에도, 사용할 문자 세트들의 수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의존한다. 상기 제1 문자 세트에 속하는 문자들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당해 언어의 텍스트 샘플들을 포함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메모리(103)에 사전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각 문자는 사용될 각 언어 및 모든 언어에 대해 특정 이중자 빈도에 링크될 수 있거나, 상기 메모리는 상이한 언어들에 대한 개별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는데, 각 영역은 사용될 소정의 제1 및 제2 문자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문자들을 분할하고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에 상관없이, 각 문자는, 액세스되는 문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의 표시를 위해 어떤 문자 세트에 속하는지를 정의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MPU(101)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03)에 상이한 언어들의 텍스트 샘플들을 포함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들을 저장할 필요가 없다.
그다음 상기 루틴은 상기 제2 세트 및 요망되는 경우, 사용될 어떤 부가적인 문자 세트들을 정의하는 단계(502)에 의해 속행된다.
단계 503에서 상기 MPU(101)는 상기 디스플레이(102)에게 상기 장치(100)의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1 문자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를 초기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그리고 원하는 문자가 상기 제1 문자 세트(202)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많을지라도, 초기에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를 표시하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된다.
단계 504에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문자 세트의 일부인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상기 루틴은 단계 505로 점프하는데, 단계 505에서는 문자가 표시되는 위치에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문자가 선택된다.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문자 세트의 일부가 아닌 경우, 상기 루틴은 단계 506으로 점프하는데, 단계 506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장치(400)상의 키(404a)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상기 제1 문자 세트(202)의 일부인 가상 전환 키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로부터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로 전환한다.
단계 507에서 상기 장치(400)의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그후 상기 루틴은 모든 원하는 문자들이 입력된 경우 중지될 수 있거나, 상기 루틴은 상기 디스플레이(202)상에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 503으로 점프할 수 있어서, 상기 장치(400)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문자 세트(203)로부터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장치(400)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로부터 다른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단계 504로 점프할 수 있다.
본 창의적인 개념이 이중자들의 사용과 관련하여 개시되었을지라도, 삼중자들 또는 제1 문자 세트(202)와 제2 문자 세트(203)간의 분할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어떤 다른 통계적인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하다. 예로서 큰 가상 키 보드(201)의 문자 세트를, 사용되는 언어에서의 이중자들 대신에 단일 문자들의 순서 및 빈도를 사용하여 두개 이상의 절반들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창의적인 개념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특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을지라도, 형태 및 상세의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고, 여기에서 특히 설명된 실시예들을 능가하는 본 창의적인 개념의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바와 같이 본 창의적인 개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성되거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8)

  1. 디스플레이(102); 및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202) 및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203)를 포함하는 메모리(103)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고,
    상기 디스플레이(102)는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202)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를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로 대체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203)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표시된 문자 세트를 다른 문자 세트로 대체하기 위한 문자 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내의 문자들을 모이게 하기에 적합하여,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문자들은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적은 문자들보다 서로에 대해 더 근접하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내의 문자들을 쿼티(QWERTY)-포맷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02)상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내의 문자들을 알파벳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202)상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2)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202) 및 상기 제2 문자 세트(203)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2.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501);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502)로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단계(502); 및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5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504, 5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제2 문자 세트로 대체하는 단계(504, 5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5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 및 상기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들(501, 502)은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모이게 하여,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문자들은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 이 더 적은 문자들보다 서로에 대해 더 근접하게 나타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쿼티(QWERTY)-포맷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알파벳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디스플레이상에 가상 키보드를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생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1 문자 세트를 정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
    적어도 두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 세트를 정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은 상기 제2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보 다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소프트웨어 코드; 및
    어떤 문자를 입력할지에 대한 선택을 위해,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1 문자 세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를 상기 제2 문자 세트로 대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문자가 상기 표시된 제2 문자 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문자들 중 어떤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모이게 하여,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 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많은 문자들은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순서로 선택될 가능성이 더 적은 문자들보다 서로에 대해 더 근접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쿼티(QWERTY)-포맷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7.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세트내의 문자들을 알파벳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내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생성물.
KR1020067015235A 2003-12-30 2004-12-22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 KR20070005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9,813 2003-12-30
US10/749,813 US20050141770A1 (en) 2003-12-30 2003-12-30 Split on-screen key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79A true KR20070005579A (ko) 2007-01-10

Family

ID=3470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235A KR20070005579A (ko) 2003-12-30 2004-12-22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41770A1 (ko)
EP (1) EP1700193A1 (ko)
KR (1) KR20070005579A (ko)
CN (1) CN1637695A (ko)
WO (1) WO2005066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9158B (zh) * 2005-10-11 2012-02-15 摩托罗拉移动公司 向电子设备中输入文本
US20080303793A1 (en) * 2007-06-05 2008-12-11 Microsoft Corporation On-screen keyboard
US20080320418A1 (en) * 2007-06-21 2008-12-25 Cadexterity, Inc. Graphical User Friendly Interface Keypad System For CAD
US8065624B2 (en) * 2007-06-28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CN100524185C (zh) * 2007-09-07 2009-08-05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复合按键的缩小化键盘
CN101452354B (zh) * 2007-12-04 2012-08-2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输入方法、内容显示方法及其应用
WO2010083821A1 (de) * 2009-01-26 2010-07-29 Alexander Gruber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f einem bildschirm dargestellten auswahlobjekts
FR2941546B1 (fr) * 2009-01-27 2011-02-04 Wyplay Procede optimise de saisie de caracteres alphanumeriques a partir d'une telecommande
US8564541B2 (en) * 2009-03-16 2013-10-22 Apple Inc. Zhuyin input interface on a device
EP2500807A1 (en) * 2011-03-18 2012-09-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entering text via virtual keyboard
CN102999170A (zh) * 2011-09-16 2013-03-27 阿比吉特·巴塔查尔吉 键入中文文本的方法和系统
US9292203B2 (en) 2012-05-10 2016-03-22 Apple Inc. Providing a vertical candidate bar with an on-screen keyboard
CN103677645B (zh) * 2012-09-11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候选对象显示方法和装置
KR102088909B1 (ko) 2013-03-15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변형 키패드 운용방법
CN105468182A (zh) * 2014-09-09 2016-04-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虚拟键盘显示系统及方法
CN106155344A (zh) * 2015-04-28 2016-11-23 李兴奇 一种提高打字速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669A (en) * 1986-05-12 1992-11-24 Romberg Harvey D Key arrangements and methods of use
US5963671A (en) * 1991-11-27 1999-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ment of soft keyboard operations using trigram prediction
US5352050A (en) * 1992-07-27 1994-10-04 Choate John I M Keyboard arrangement to maximize typing speed and ease of transition from a QWERTY keyboard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KR960024839A (ko)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입력방법
US6903723B1 (en) * 1995-03-27 2005-06-07 Donald K. Forest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5797098A (en) * 1995-07-19 1998-08-18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JP3727399B2 (ja) * 1996-02-19 2005-12-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US6147684A (en) * 1998-02-06 2000-11-14 Sun Microysytems,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layers of a user interface
JP4154786B2 (ja) * 1999-01-22 2008-09-24 株式会社セガ 文字入力制御装置
US6909424B2 (en) * 1999-09-29 2005-06-21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US6348878B1 (en) * 2000-08-10 2002-02-19 Kenzo Tsubai Data entry keyboard
CA2323856A1 (en) * 2000-10-18 2002-04-18 602531 British Columbia Ltd. Method, system and media for entering data in a personal computing device
US7152213B2 (en) * 2001-10-04 2006-12-19 Infoga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key assignment in enhanced user interface
KR20030050741A (ko) * 2001-12-1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크기와 입력키의 수가 제한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빠르고 간편한 캐릭터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기기
US20030197736A1 (en) * 2002-01-16 2003-10-23 Murphy Michael W. User interface for character entry using a minimum number of selection keys
FI116425B (fi) * 2002-01-18 2005-11-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laajan näppäimistön integroimiseksi pieneen laitteeseen
JP2003316502A (ja) * 2002-04-25 2003-11-07 Sony Corp 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
US6867965B2 (en) * 2002-06-10 2005-03-15 Soon Huat Khoo Compound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 coupled over a wireless link
US20040135823A1 (en) * 2002-07-30 2004-07-15 Nokia Corporation User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6749A1 (en) 2005-07-21
EP1700193A1 (en) 2006-09-13
CN1637695A (zh) 2005-07-13
US20050141770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233B2 (en)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US8117540B2 (en)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9122318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US8151209B2 (en) User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ouch-sensor
AU2008100006A4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CA2550669C (en)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EP3255529B1 (en) System implementing a flexible keyboard layout
USRE43082E1 (en)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EP19536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RU231603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данных с буквенно-цифровой клавиатур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грового контроллера
AU760655B2 (en)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US8296680B2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diacritics
KR20130001261A (ko) 이동 전화의 터치 스크린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중 모드 문자 입력 시스템
KR20070005579A (ko) 분할 온-스크린 키보드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05235188A (ja) データ入力装置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20170371424A1 (en) Predictive Text Typing Employing An Augmented Computer Keyboard
WO2010052036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level virtual keyboard
EP1923796B1 (en)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EP2400372A1 (en) Inputting symbols in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creen
KR102119482B1 (ko) 스마트폰 한손 자판 화면 배치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WO2012073005A1 (en) Predictive text entry method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